맨위로가기

김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장은 김치를 대량으로 만들어 저장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문화이다. 김치는 한국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최소 13세기부터 채소, 절임, 소금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졌으며, 17세기에는 고춧가루가 첨가되었다. 김장은 보통 11월에 가족, 친척, 이웃이 함께 모여 배추, 무 등을 소금에 절이고 양념을 버무려 김치를 담그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전통적으로 김치는 옹기에 담아 땅에 묻어 보관했으며, 현대에는 김치냉장고를 사용하여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치 - 세계김치연구소
    세계김치연구소는 김치산업진흥법에 따라 김치 종주국의 위상 회복을 목표로 설립된 광주광역시 소재 연구기관으로, 김치 관련 다양한 연구와 김치 산업 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며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으로 운영된다.
  • 김치 - 마르코프차
    마르코프차는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배추김치 대신 당근으로 만든 샐러드 형태의 반찬으로, 구소련 국가에서 널리 소비되며 한국에도 소개되었다.
  •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유산 - 아리랑
    아리랑은 19세기 이후 등장한 한국의 민요로, 슬픔과 희망을 담은 멜로디가 특징이며, 다양한 종류와 어원 해석이 존재하고, 일제강점기 저항의 노래, 남북 분단 이후 통일 염원의 노래로 불렸으며, 유네스코 무형유산으로 등재되어 대중문화에 널리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유산 - 한산모시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에서 생산되는 한산모시는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 모시 직물로, 조선시대 왕실 진상품이었으며, 섬세한 수작업으로 만들어지는 세모시, 광폭세포, 저포교직 등의 종류가 있다.
  • 한국 요리 - 호박죽
    호박죽은 늙은 호박이나 단호박을 삶아 으깬 후 찹쌀가루 등을 넣어 끓여 만든 한국 전통 음식이다.
  • 한국 요리 - 애호박
    애호박은 한국 요리에서 볶음, 전, 찌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채소이며, 말린 형태인 호박고지는 볶음이나 나물로 조리되고 궁중 요리에도 사용된다.
김장
김장
김장을 준비하는 모습
김장을 준비하는 모습
로마자 표기gimjang
한글김장
한자(표기 없음)
개요
설명한국의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
등재 국가대한민국
등재 유형무형문화재
등재 기준(표기 없음)
지역아시아 및 태평양
회차8
원제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ublic of Korea
등재 연도2013
등재 번호881
사이트유네스코

2. 역사

김치 제조법은 최소 13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3] 당시에는 채소, 절임, 소금 또는 알코올과 소금 혼합물로 만들었다.[6] 17세기에 고춧가루가 재료에 추가되었다.[3] 현대 김치는 일반적으로 배추와 흰 로 만들지만, 순무, 파, 당근, 마늘도 포함될 수 있으며 수백 가지의 변형이 존재한다.[2][7]

3. 재료

김치의 주재료는 배추와 무이다. 부재료로는 대파, 쪽파, , 마늘, 생강, 양파, 고춧가루, 소금, 설탕, 액젓 등이 사용된다.[2] 17세기에 고춧가루가 재료에 추가되었다.[3] 현대 김치는 일반적으로 배추와 흰 무를 사용하며, 순무, 파, 당근, 마늘도 포함될 수 있다.[7] 지역과 계절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특색있는 김치를 만들기도 한다.

4. 제조 과정 (김장)

김장은 늦가을에서 초겨울 사이에 이루어지는 한국의 전통적인 김치 담그기 문화이다. 김장을 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배추를 반으로 쪼개어 10시간 정도 소금물에 절인 후 냉수에 헹구고 물기를 뺀다. 무채에 고춧가루를 넣고 버무린 후, 각종 채소와 마늘, 생강을 넣고 다시 버무린다. 소금, 설탕, 젓갈 등으로 간을 맞춘다. 절인 배춧잎 사이로 양념소를 넣은 후 겉잎으로 싸서 덮는다.

11월의 쌀쌀한 날씨에는 들판과 시장에 많은 작물이 나오며, 김장 과정이 시작된다.[2] 김장은 가족, 친척, 이웃이 함께 모여 노동력을 나누고, 정을 나누는 공동체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2][8] 사람들은 모여 채소를 썰고, 씻고, 소금을 넣어 음식을 절이고 발효 과정을 시작한다.[2] 과거에는 김치를 옹기에 담아 땅에 묻어 보관하였으나, 현대에는 김치냉장고를 이용하여 보관한다.

4. 1. 김장 문화의 현대적 변화

김치냉장고의 보급과 김치 산업의 발달로 김장을 하는 가정이 줄고, 사 먹는 가정이 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가정에서 김장을 통해 전통을 이어가고 있으며, 도시에서는 발코니에 김치 항아리를 보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2]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김치냉장고가 일반화되면서 김치 보관 문제가 해결되었고, 김치가 대량 생산되어 구입해 먹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가정에서 전통적인 김장 방법으로 김치를 담가 먹는다.[2]

김치는 너무 추우면 얼고, 너무 따뜻하면 과발효되어 시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이 어렵다.[3][9] 효과적인 현대적인 냉장 기술이 발명되기 전에는 김치를 옹기에 담아 땅에 묻어 보관했다.[2] 옹기를 땅에 묻으면 김치가 얼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었다.

김치의 강한 냄새는 냉장고 안의 다른 음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3] 현대적인 냉장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김장 풍습은 여러 세대에 걸쳐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도시에서는 사람들이 발코니에 김치를 담은 큰 항아리를 보관하는 것이 흔하며,[2] 김치 보관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보조 냉장고를 사용하는 가정도 늘고 있다.[3]

참조

[1] 논문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and temperature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jang kimchi https://www.ncbi.nlm[...]
[2] 서적 Korea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10-04-14
[3] 서적 Lonely Planet Kore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0-04-14
[4] 간행물 Koreana Quarterly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Research Centre 2010-04-14
[5] 웹사이트 Kimchi-Making Culture Joins UNESCO Intangible Heritage List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13-12-06
[6] 서적 Handbook of Korea Korean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7] 서적 Seasonal Customs of Korea Hollym
[8] 간행물 Pictorial Korea Korean Overseas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9] 서적 A guide to Korean cultural heritage Korean Information Service
[10] 간행물 Koreana Quarterly International Research Centre
[11] 웹사이트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
[12] 뉴스 김장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됐다 https://news.naver.c[...] 2013-12-05
[13] 뉴스 한국의 김장, 인류무형유산됐다 http://news.donga.co[...] 2013-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