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꺅도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꺅도요는 북아메리카, 유라시아, 아프리카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도요새의 일종이다. 늪, 습지, 툰드라 등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남부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으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꺅도요는 잡식성으로 곤충, 절지동물, 씨앗 등을 먹으며, 둥지는 땅 위에 짓고 4개의 알을 낳는다. 수컷은 구애 기간에 꼬리 깃털을 진동시켜 "드럼 소리"를 내는 독특한 행동을 한다. 꺅도요는 수렵 조류로 지정되어 사냥되기도 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꺅도요속 - 바늘꼬리도요
    바늘꼬리도요는 시베리아에서 번식하여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월동하는 몸길이 25~27cm의 도요새로, 흑갈색과 황갈색이 섞인 몸과 바늘 모양 꼬리깃이 특징이며, 한국에서는 드물게 관찰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환경 오염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꺅도요속 - 꺅도요사촌
    꺅도요사촌은 시베리아, 몽골 등지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 호주 등지에서 서식하는 작은 도요새로, 위장 무늬 깃털을 가지며 작은 무척추동물을 섭취하고, 서식지 파괴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 아이슬란드의 새 - 원앙
    화려한 수컷과 회갈색 암컷 깃털을 가진 원앙은 동아시아 원산의 오리과 조류로, 부부 금슬 상징으로 여겨지나 실제로는 매년 짝을 바꾸며,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보호받는다.
  • 아이슬란드의 새 - 아비
    붉은목잠수부는 붉은색 멱과 얼룩덜룩한 등을 가진 잠수부과의 조류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물고기를 주로 먹고 일부일처제 짝짓기 체계를 가지며, 개체수 감소가 보고되지만 국제적인 보호를 받는다.
  • 카메룬의 새 - 대백로
    대백로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왜가리과에 속하는 흰색 대형 조류로, 번식기에는 장식깃과 검은 부리를 가지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집단 번식을 하는 습성이 있고, 과거 남획으로 개체수가 감소했으나 보호 조치로 회복되었지만 서식지 파괴로 지속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 카메룬의 새 - 뻐꾸기
    뻐꾸기는 유라시아와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여름철새로 찾아오는 뻐꾸기과의 새로, '뻐꾹'하는 울음소리와 탁란 습성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지만 최근 개체 수 감소로 관심 대상종으로 분류된다.
꺅도요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분류
학명Gallinago gallinago
명명자Linnaeus, 1758
한국어 이름타시 기 (田 鴫)
영어 이름Common snipe
상태LC (관심 필요)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도요목
도요과
타시 기속
아종
사진
타시 기 Gallinago gallinago
분포
G. gallinago 의 범위 #00FF00 #008000 #007FFF
이전 학명

2. 분포 및 서식지

꺅도요는 북아메리카 대륙, 남아메리카 북부·남부, 사막 지대와 고산 지대를 제외한 유라시아 대륙, 아프리카 중부·남부, 일본 열도, 그레이트브리튼 섬, 아일랜드, 아이슬란드, 필리핀, 자바 섬, 실론 섬, 보르네오 섬, 수마트라 섬, 서인도 제도 등 전 세계적으로 넓게 분포한다.

유라시아 대륙 북부, 북아메리카 대륙 북부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유럽 남부, 아프리카, 중동, 인도, 동남아시아, 북아메리카 대륙 남부로 이동하여 월동한다.[1][4]

2. 1. 번식지

팔레아크틱 전역의 , 습지, 툰드라, 습지 초원에서 번식한다. 북쪽 한계는 아이슬란드, 영국 제도 북부, 북부 페노스칸디아, 유럽 러시아, 시베리아를 거쳐 북위 70~74° 부근까지 이어진다. 동쪽으로는 아나디르, 캄차카, 베링 섬, 쿠릴 열도까지 분포한다. 유럽 내 남쪽 한계는 포르투갈 북부, 프랑스 중부, 이탈리아 북부, 불가리아, 우크라이나를 통과한다. 아시아에서는 북부 투르케스탄, 아프가니스탄, 중동, 알타이를 지나 만주우수리까지 뻗어 있다.[1]

2. 2. 월동지

유럽의 꺅도요는 남부 및 서부 유럽과 아프리카 (적도 이남)에서 겨울을 나고, 아시아의 꺅도요는 열대 남아시아로 이동하여 월동한다.[1] 일본에서는 봄과 가을에 철새로 날아오는 나그네새이며, 혼슈 중부 이남에서는 겨울새로 월동한다.[4]

3. 분류

꺅도요는 1758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린네가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Scolopax gallinago''라는 이명으로 공식적으로 기재했다.[2] 1760년 프랑스 동물학자 마투랭 자크 브리송이 도입한 ''Gallinago''에 속하며, 17종의 다른 도요와 함께 분류된다.[3][4] ''gallinago''라는 이름은 신라틴어로 사다새 또는 꺅도요를 의미하며, 라틴어 ''gallina''(암탉)와 접미사 ''-ago''('~을 닮은')에서 유래되었다.[5]

3. 1. 아종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아종이 인정된다.[4]

  • ''G. g. faeroeensis'' (브레엠, CL, 1831) – 아이슬란드, 페로 제도, 오크니 제도셰틀랜드 제도에서 번식; 영국 제도에서 비번식
  • ''G. g. gallinago'' (린네, 1758) – 기준 아종; 중앙, 북유럽 및 아시아에서 번식; 서유럽, 아프리카, 인도네시아 및 일본에서 비번식


북미의 윌슨꺅도요는 이전에는 꺅도요의 아종으로 간주되었으나,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분류된다.

4. 형태

성체의 몸길이는 25cm에서 27cm이고, 날개 길이는 44cm에서 47cm이며, 몸무게는 80g에서 140g(이동 전 최대 180g)이다. 다리는 짧고 녹색을 띤 회색이며, 매우 길고(5.5cm에서 7cm) 곧은 어두운 부리를 가지고 있다. 몸은 얼룩덜룩한 갈색이며, 등에는 짚과 같은 노란색 줄무늬가 있고, 배는 옅다. 눈을 가로지르는 어두운 줄무늬가 있고, 그 위와 아래에는 밝은 줄무늬가 있다. 날개는 뾰족하다.

꺅도요와 유사한 도요새는 여러 종이 있다. 가장 가까운 종은 북아메리카의 윌슨도요(''G. delicata'')인데, 최근까지 꺅도요의 아종(''G. g. delicata'')으로 여겨졌다. 꼬리 깃털의 수에서 차이가 있는데, 꺅도요(''G. gallinago'')는 7쌍, 윌슨도요(''G. delicata'')는 8쌍을 가진다. 북미 종은 또한 날개의 흰색 뒷부분이 약간 더 얇다(흰색은 대부분 둘째 날개의 끝에 있다). 두 종 모두 알류샨 열도에서 번식한다. 또한 동아시아의 꼬리도요(''G. stenura'')와 스윈호꺅도요(''G. megala'')와 매우 유사하며, 이 지역에서 이 종들을 식별하는 것은 복잡하다.

아종 ''faeroeensis''는 보통 명칭종인 ''gallinago''보다 가슴, 상체 및 머리 부분의 색상이 더 풍부하다.[6] 둘째 날개깃 끝부분의 깃털은 흰색이다. 꼬리깃은 보통 14개이다. 부리는 길고 직선적이다. 암수 동색이다.[12]

5. 생태

꺅도요는 위장이 잘 된 새로, 수줍음이 많고 땅에 가까운 초목 속에 숨어 있다가 가까이 다가가야만 날아오른다. 날아오를 때 "젲"하는 날카로운 소리를 내며, 지그재그로 비행하여 포식자를 피한다. 일본에서는 , 연밭, 호수 주변, , 내륙의 습지 등에 서식한다.[12] 단독 생활을 하지만, 10마리 정도의 소규모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케올라데오 국립공원, 인도 라자스탄주 바라트푸르에 있는 ''G. g. gallinago''


마요르카 섬 S'Albufera 자연 공원에 있는 ''G. g. gallinago''

5. 1. 먹이

꺅도요는 잡식성으로, 주로 곤충류, 절지동물, 갑각류, 지렁이, 씨앗 등을 먹는다. 부드러운 진흙 속에서 먹이를 찾으며, 시각으로 먹이를 쪼거나 집어 올린다. 주로 야간에 먹이를 찾지만, 안전한 곳에서는 낮에도 활동한다.

5. 2. 번식

꺅도요는 번식기에 습지, 초원, 습한 툰드라 등에서 서식한다. 수컷은 구애 기간 동안 "위노잉(winnowing)" 전시를 하는데, 하늘 높이 원을 그리며 날다가 얕게 급강하하여 꼬리 깃털을 진동시켜 "드럼 소리"를 낸다.[7] 이 소리는 양이나 염소의 울음소리에 비유되기도 한다. 필립 맨슨-바르는 꺅도요가 비행 방향에 대해 90도로 두 개의 꼬리 깃털을 펼쳐서 이 독특한 소리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밝혀냈다.[7]

꺅도요는 땅 위에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둥지를 짓고, 짙은 갈색 반점과 얼룩이 있는 짙은 올리브색 알을 보통 4개 낳는다. 암컷이 17-21일 동안 알을 품는다.[12] 갓 부화한 새끼는 검정, 흰색, 황갈색이 얼룩덜룩하게 섞인 짙은 적갈색 솜털로 덮여 있다. 새끼들은 양 부모 모두의 보살핌을 받으며, 10-20일 후에 둥지를 떠난다.

6. 인간과의 관계

프랑스 요리에서는 식재료로 사용된다.[1] 꺅도요는 수렵 조류로 지정되어 수렵의 대상이 된다.[1] 저격(sniping)이라는 단어는 꺅도요 사냥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1]

한국에서는 꺅도요가 조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수렵 조수로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은 야생동물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으며, 꺅도요와 같은 야생 조류의 서식지 보호와 개체 수 보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6. 1. 문화

과거에는 "진흙 도요", "말 고우크", "헤더 블리트"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 스코틀랜드에서는 "헤더-블리터(heather-bleater)", 핀란드어에서는 "taivaanvuohi"(하늘 염소) 등으로 불린다. 수컷은 구애 기간 동안 "위노잉(winnowing)" 전시를 하는데, 하늘 높이 원을 그리며 날다가 얕게 급강하하여 꼬리 깃털을 진동시켜 "드럼 소리"를 낸다. 이 소리는 양이나 염소의 울음소리에 비유되기도 한다.

프랑스 요리에서는 식재료로 사용된다. 꺅도요는 수렵 조류로 지정되어 수렵의 대상종이다. 대한일본수렵회가 발행하는 수렵 독본에는 '뼈가 부드럽고 그 식미는 바로 구운 닭고기의 왕이다'라는 기술이 있다. 저격(스나이핑, sniping)은 꺅도요 사냥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한다.

7. 보전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꺅도요를 관심 필요(LC) 종으로 지정하고 있다.[10] 유럽 번식 범위 남쪽 가장자리의 개체군은 농지 배수와 농업 집약화로 인해 감소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 멸종이 발생하기도 했다. 아프리카-유라시아 이동성 물새 보호 협약(AEWA)이 꺅도요에 적용된다.[9]

일본의 일부 도도부현에서는 꺅도요를 다음과 같이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13]

등급
효고현취약종(VU)
시가현, 오사카부, 나라현준위협(NT)
가나가와현기타(주목종)


참조

[1] 간행물 Gallinago gallinago 2019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3] 서적 Ornithologie, ou, Méthode contenant la division des oiseaux en ordres, sections, genres, especes & leurs variétés https://biodiversity[...] Jean-Baptiste Bauche
[4] 웹사이트 Sandpipers, snipes, courser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7
[5]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6] 문서 Identification of Wilson's and Common Snipe 2008
[7] 뉴스 Unfolding the mysteries of a snipe's lovesong https://www.theguard[...] 2012-04-15
[8] 논문 Mixed patterns of morphological adaptation to insularity in an aerial displaying bird, the Common Snipe Gallinago gallinago
[9] 웹사이트 Species https://www.unep-aew[...] Agreement on the Conservation of African-Eurasian Migratory Waterbirds (AEWA)
[10] 웹사이트 IUCN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Gallinago gallinago) http://www.iucnredli[...] IUCN 2012-04-08
[11] 웹사이트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http://www.itis.gov/[...] ITIS 2012-04-07
[12] 문서 ひと目でわかる野鳥 (2010)、88頁
[13]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タシギ)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2-04-08
[14] 웹사이트 狩猟制度の概要 https://www.env.go.j[...] 環境省 2012-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