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바 전투 (170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르바 전투 (1700년)는 1700년 11월 30일, 스웨덴의 칼 12세가 이끄는 스웨덴군이 러시아의 표트르 1세가 이끄는 러시아군을 상대로 승리한 전투이다. 이 전투는 북방 전쟁의 초기 주요 전투 중 하나로, 훈련 부족과 지휘 체계 미비 등 문제점을 노출한 러시아군은 스웨덴군의 기습 공격에 대패했다. 이 패배는 표트르 대제의 군사 개혁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스웨덴의 군사적 우위를 과시했지만, 4년 뒤 러시아가 나르바를 탈환하며 전쟁의 양상을 바꾸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르바 전투 (1700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명 | 나르바 전투 (1700년) |
다른 이름 | Slaget vid Narva (스웨덴어) Битва при Нарве (러시아어) |
분쟁 | 대북방 전쟁 |
날짜 | 1700년 11월 30일 (그레고리력, 율리우스력 11월 19일, 스웨덴력 11월 20일) |
장소 | 에스토니아, 나르바 (당시 스웨덴 제국의 잉그리아) |
결과 | 스웨덴의 승리 |
영토 변경 | 러시아군, 잉그리아에서 철수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스웨덴 제국 |
교전국 2 | 러시아 차르국 |
지휘관 및 지도자 | |
스웨덴 제국 | 칼 12세 칼 구스타프 렌스크홀드 오토 벨링크 |
러시아 차르국 | 샤를 외젠 드 크루아 아프토놈 골로빈 이반 트루베츠코이 아담 베이데 이메레티의 알렉산더르 보리스 셰레메테프 |
병력 규모 | |
스웨덴 제국 | 나르바 수비대: 1,800명, 포 297문 지원군: 10,500명, 포 37문 |
러시아 차르국 | 33,384–37,000명, 포 195문 |
피해 규모 | |
스웨덴 제국 | 전사 667명, 부상 1,247명 |
러시아 차르국 | 전사, 부상, 익사: 8,000–9,000명 항복: 20,000명 포로: 700명 (포 177문, 군기 171개 포함) 동사: 불명 총합: 18,000명 이상 |
기타 정보 | |
관련 전투 | 쾨게 만 해전 플라드스트란드 해전 호글란드 해전 강구트 해전 페마른 해전 뤼겐 해전 외셀 해전 그렌감 해전 |
![]() |
2. 배경
17세기 말, 러시아는 표트르 대제의 근대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기술적으로 뒤떨어져 있었다.[13] 이는 군사력에도 영향을 미쳐, 표트르 1세는 발트해로의 진출을 통해 서구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러시아를 근대화하고자 했다.
당시 발트해 연안은 스웨덴이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가 발트해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스웨덴과의 전쟁이 불가피했다. 표트르 1세는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왕국,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와 동맹을 맺고 스웨덴을 공격했다.
칼 12세는 영국과 네덜란드 해군의 지원을 받아 코펜하겐 북부에 상륙하여 덴마크-노르웨이 왕국을 트라벤달 조약을 통해 동맹에서 이탈시켰다(1709년까지).[16] 그 후 스웨덴군을 이끌고 발트해를 건너 에스토니아로 이동, 에스토니아와 핀란드 주둔 스웨덴군과 합류했다.[17]
한편,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과의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전쟁의 방향을 남쪽에서 북쪽으로 전환할 수 있었다.[52]
2. 1. 러시아의 상황
표트르 대제는 러시아를 급격히 근대화하려 했지만, 1700년 당시 러시아군은 훈련도가 낮았다.[52] 군대를 근대화하기 위해 외국인 장군과 장교들을 고용했지만, 병사들은 여전히 정예병이라고 할 수 없었다.[52] 반면, 스웨덴군은 장비가 우수하고 잘 훈련되어 있었다.[52] 당시 스웨덴군은 양적으로는 북유럽 최대가 아니었지만, 질적으로는 가장 우수한 군대였다.[52] 표트르 대제는 이러한 스웨덴 군사력을 부러워하면서도 두려워했다.[52]17세기 동안 러시아는 다른 유럽 국가들보다 기술적으로 덜 발전된 상태였고, 이는 군대에도 적용되었다.[13] 표트르 1세는 몇 년 동안 러시아를 급격하게 현대화할 것이었지만, 1700년에 그가 이끌었던 군대는 여전히 훈련이 부족했다. 전쟁 준비를 위해 31개의 새로운 연대를 편성하기로 결정했다. 1700년 봄, 장교단 개편으로 대부분의 장교들이 예편하거나 봉급 없이 주둔 부대에 배치되었다. 이로 인해 심각한 지휘관 부족(중대급에서 최대 70%)이 발생했다. 결원은 지휘 경험, 보병 복무 경험, 정규 군사 훈련도 없는 젊은 모스크바 귀족들로 채워졌다. 부사관들도 심각한 문제를 겪었는데, 베테랑 군인이 아니었고 신병들 중에서 선출되었기 때문이다.[15]
표트르 1세는 전투 전날 군대를 떠났을 뿐만 아니라, 공식 최고 사령관인 육군 원수(Field Marshal) 표도르 알렉세예비치 골로빈도 데리고 갔다. 새로운 최고 사령관인 드 크로이는 러시아 장군이 아니었다. 아우구스트 2세가 그를 외교 사절단(러시아 보조 군단을 요청)과 함께 파견했고, 표트르 1세는 노브고로드에서 그를 만났다. 경험 있는 사령관이 부족했기 때문에 표트르 1세는 드 크로이를 데리고 다녔다. 드 크로이는 여러 번 지휘권을 거부했고, 표트르 1세가 직접 설득한 후에야 수락했다. 지휘권 이양에 대한 공식 지시는 스웨덴 구원군이 나르바에 도착했을 때 발행되었다.[21]
나르바 근처 러시아군은 아브토놈 골로빈, 이반 트루베츠코이, 아담 바이데가 지휘하는 세 개의 주요 부대(general'stvo)로 나뉘었다. 이들은 모두 젊은이들(1667년생)이었고, 전투 경험은 아조프 원정(1695–96)에서의 두 차례 아조프 요새 포위 공격에 국한되었지만, 표트르 1세의 총애를 받는 장난감 군대(poteshnye voiska)에서 복무했다.[22] 터키와의 전투에서 성공적인 활동으로 유명한 보리스 셰레메체프는 정규군 계급이 없었고 봉건 징집 기병을 지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러시아 포병의 공식 사령관은 26세의 젊은이이자 표트르 1세의 측근인 이메레티 공이었다. 그의 경험은 1697년 헤이그에서 몇 달 동안 포병 이론을 공부한 것에 불과했다. 모스크바로 돌아온 후, 그는 곧 야전포병대장(Feldzeugmeister)(1700년 5월)이라는 최고 포병 계급을 받았다. 나르바에 대한 러시아 포위 포병의 매우 실패한 활동에 대한 많은 증거가 있다.[22]
2. 2. 스웨덴의 상황
17세기 러시아는 유럽의 다른 지역에 비해 기술적으로 낙후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표트르 대제는 스웨덴령 발트해 연안 지역으로 영토를 확장하고자 했다. 반면, 스웨덴군은 장비가 우수하고 잘 훈련되어 있었다. 당시 스웨덴군은 양적으로는 북유럽 최대라고 할 수 없었지만 질적으로는 북유럽에서 가장 우수한 군대였다. 표트르 대제는 이러한 스웨덴의 군사력을 부러워하면서도 두려워하고 있었다.[52]스웨덴군은 칼 12세가 직접 지휘했으며, 중장 칼 구스타프 레힌스퀼트(Carl Gustav Rehnskiöld)[18]와 기병대장 오토 벨링크(Otto Vellingk)가 보좌했다. 벨링크는 프랑스에서 10년 동안 복무하며 대령으로 승진했고, 레힌스퀼트는 9년 전쟁(1688~1697년)에 참전했다. 1698년부터 벨링크는 인그리아(스웨덴령 인그리아)의 총독이었으며, 대북방 전쟁 초기에 리가 포위 공격을 지원하기 위해 소규모 부대를 지휘했다.[19][20]
스웨덴 포병대는 경험 많은 무기 총감 요한 시외블라드(sv)가 지휘했다. 그는 거의 40년간 포병으로 복무했으며, 1690년 최초의 스웨덴 포병 규정의 저자였다. 나르바에서 서쪽으로 약 28.97km 떨어진 퓌해요기(Pyhajoggi) 고개에서 벌어진 작은 충돌에서 스웨덴 포병대의 뛰어난 활동을 확인할 수 있다.
2. 3. 국제 정세
17세기 러시아는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기술적으로 뒤떨어져 유럽 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럼에도 표트르 대제는 스웨덴령 발트해 연안 확장을 원했다. 러시아는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왕국,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와 동맹을 맺고 스웨덴을 공격했다.[52]칼 12세는 영국, 네덜란드 해군의 지원을 받아 코펜하겐 북부에 상륙, 덴마크-노르웨이 왕국을 트라벤탈 조약을 통해 동맹에서 이탈시켰다(1709년까지).[16] 이후 스웨덴군을 이끌고 발트해를 건너 에스토니아로 이동, 에스토니아와 핀란드 주둔 스웨덴군과 합류했다.[17]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과의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전쟁터를 남쪽에서 북쪽으로 옮길 시간을 기다렸다.[52]
표트르 1세는 발트해로의 출구를 확보하기 위해 스웨덴과의 전쟁을 결심하고, 폴란드-리투아니아 공화국의 국왕이자 작센 선제후였던 아우구스트 2세와 덴마크-노르웨이 국왕 프레데리크 4세와 함께 반(反)스웨덴 동맹을 맺었다. 1700년 2월, 폴란드가 스웨덴의 리보니아 지역 도시 리가를 공격하고, 3월에는 덴마크가 스웨덴의 동맹국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국을 공격함으로써 대북방 전쟁이 시작되었다.
칼 12세는 즉시 반격하여, 7월에는 잉글랜드(영국)와 네덜란드 함대의 협력을 얻어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을 기습 공격하였다. 프레데리크 4세는 8월에 칼 12세와 트라벤탈 조약을 체결하고 전쟁에서 이탈하였으며, 리가를 포위하고 있던 폴란드군도 리가를 함락시키지 못했다. 표트르 1세는 8월에 오스만 제국과 휴전을 맺고 스웨덴에 선전포고했지만, 덴마크의 이탈로 동맹은 이미 붕괴 직전이었다.[39][40][41]
3. 1700년 전투 (1차 나르바 전투)
1700년 11월 30일, 칼 12세는 약 1만 명의 스웨덴군을 이끌고 3만 4천에서 4만 명 사이의 러시아군에 맞섰다. 스웨덴군은 칼 12세가 직접 지휘했으며, 칼 구스타프 렌셸드가 보좌했다. 러시아군은 표트르 1세와 샤를 외젠 드 크루아가 지휘했지만, 표트르 1세는 러시아 국내 문제로 며칠 전 나르바를 떠나 전투 당시에는 없었다.[52]
11월 30일 대부분은 심한 눈보라로 양군 모두 공격이 불가능했다. 그러나 오후에 바람의 방향이 바뀌어 눈보라가 러시아 쪽으로 불면서, 칼 12세는 이 기회를 이용해 공격을 시작했다. 스웨덴군은 2열로 나누어 공격, 러시아군을 돌파하여 전열을 셋으로 나누고 포위했다. 러시아군이 후퇴하는 중 나로바강의 다리가 붕괴되어 약 6,000명에서 18,000명(출처에 따라 다름)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나머지는 항복했다.
러시아군 항복으로 칼 12세는 러시아군의 모든 대포, 머스켓총, 군수물자를 획득했다. 이로 인해 남은 러시아군은 무장이 거의 없게 되었다. 만약 나르바 전투 이후 스웨덴 등이 러시아를 공격했다면, 표트르 1세는 방어할 수 없었을 것이다.
3. 1. 전투 전 상황
1700년, 스웨덴의 칼 12세는 덴마크-노르웨이를 격파하고 러시아군이 포위하고 있던 나르바로 진군했다. 당시 러시아군은 표트르 1세가 직접 지휘하였으나, 나르바 전투 며칠 전 러시아 국내 문제로 인해 표트르 대제는 나르바를 떠나 노브고로드로 돌아갔다.[52] 이로 인해 러시아군의 지휘는 프랑스 출신 장교 샤를 외젠 드 크루아에게 맡겨졌다. 표트르 대제는 그의 장군들을 신뢰했으며, 러시아군이 수적으로 우세하고 진지를 잘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칼 12세가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당시 러시아군은 나르바 요새를 포위하고 있었으나, 훈련 부족과 보급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표트르 1세는 아우구스트 2세와의 협상, 증원군 도착, 보급 문제 해결 등을 위해 나르바를 떠났다는 주장이 있다. 일각에서는 표트르 1세의 행동을 비겁하다고 비난했지만, 차르가 이전에도 여러 차례 위험을 무릅쓴 적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비난은 근거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
표트르 1세는 군대를 떠나면서 최고 사령관인 육군 원수 표도르 알렉세예비치 골로빈도 데리고 갔다. 새로운 최고 사령관인 드 크루아는 러시아 장군이 아니었고, 경험 많은 사령관이 부족했기에 표트르 1세가 그를 데리고 다녔다. 드 크루아는 여러 차례 지휘권을 거부하다가 표트르 1세가 직접 설득한 후에야 수락했다.[21]
나르바 근처 러시아군은 아브토놈 골로빈, 이반 트루베츠코이, 아담 바이데가 지휘하는 세 개의 주요 부대로 나뉘어 있었다. 이들은 모두 젊고 전투 경험이 부족했지만, 표트르 1세의 총애를 받는 장난감 군대에서 복무했다.[22] 반면, 스웨덴군은 칼 12세가 직접 지휘했으며, 칼 구스타프 렌셸드[18]와 오토 벨링크가 보좌했다. 벨링크와 렌셸드는 모두 외국군 복무 경험이 있었다.[19][20]
스웨덴 포병대는 경험 많은 무기 총감 요한 시외블라드가 지휘했다. 그는 거의 40년간 포병으로 복무했으며, 1690년 최초의 스웨덴 포병 규정의 저자였다. 러시아 포병의 공식 사령관은 표트르 1세의 측근인 이메레티 공이었는데, 그의 경험은 포병 이론을 공부한 것에 불과했다. 나르바에 대한 러시아 포위 포병의 활동은 매우 실패했다는 증거가 많다.[22]
11월 18일(구력) 오후, 칼 12세는 나르바에서 7마일 떨어진 라게나 마을에 접근하여 군대를 점검했다. 셰레메체프의 기병대가 주력 부대에 합류하면서 러시아 포위군 진영은 적의 접근에 대해 경고를 받았다. 드 크루이는 군대를 점검하고 경계를 강화했으며, 다음 날 아침 병사들에게 탄약을 지급하고 전체 군대를 집결시키라는 명령을 내렸다.
1700년 11월 19일(구력) 또는 30일(신력)[23] (스웨덴 과도기력으로는 11월 20일) 칼 12세는 약 1만 500명의 병력[24]을 이끌고 러시아 포위군과 대치했다.[5][25][23][26]
3. 2. 전투 경과
1700년 11월 30일, 칼 12세는 약 1만 명의 스웨덴군을 이끌고 3만 4천에서 4만 명 사이의 러시아군에 맞섰다. 스웨덴군은 칼 12세가 직접 지휘했으며, 칼 구스타브 렌셸드가 보좌했다. 러시아군은 표트르 1세와 샤를 외젠 드 크루아가 지휘했지만, 표트르 1세는 러시아 국내 문제로 며칠 전 나르바를 떠나 전투 당시에는 없었다.[52]11월 30일 대부분은 심한 눈보라로 양군 모두 공격이 불가능했다. 그러나 오후에 바람의 방향이 바뀌어 눈보라가 러시아 쪽으로 불면서, 칼 12세는 이 기회를 이용해 스웨덴군의 공격을 시작했다. 스웨덴군은 2열로 나누어 공격, 러시아군을 돌파하여 전열을 셋으로 나누고 포위했다. 러시아군이 후퇴하는 중 나로바강의 다리가 붕괴되어 약 6,000명에서 18,000명(출처에 따라 다름)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나머지는 항복했다.
러시아군의 항복으로 칼 12세는 러시아군의 모든 대포, 머스켓총, 군수물자를 획득했다. 이로 인해 남은 러시아군은 무장이 거의 없게 되었다. 만약 나르바 전투 이후 스웨덴 등이 러시아를 공격했다면, 표트르 1세는 방어할 수 없었을 것이다.
11월 29일(신력) 오후, 칼 12세는 나르바에서 약 11.27km 떨어진 라게나 마을에서 군대를 점검했다. 셰레메체프의 기병대가 러시아 포위군에 합류하여 적의 접근을 알렸다. 드 크루이는 군대를 점검하고 경계를 강화했으며, 다음 날 아침 병사들에게 탄약을 지급하고 전군을 집결시켰다.[23]
1700년 11월 30일(신력), 칼 12세는 약 1만 500명의 병력을 이끌고 3만 4,000명에서 4만 명에 달하는 러시아 포위군과 대치했다.[5][25][23][26]
스웨덴군은 오전 10시에 러시아군에 접근, 공격 준비를 시작했다. 칼 12세와 장군들은 러시아군 위치를 조사했고, 병사들은 해자를 넘기 위해 묶음나무를 준비했다. 드 크루이는 스웨덴군의 규모가 작아 주력 부대의 선봉대로 의심했다. 셰레메체프는 야영지에서 군대를 이끌고 나가 공격을 제안했으나, 다른 장군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드 크루이는 약 6.44km에 걸쳐 군대를 배치하고 두 줄의 성벽 사이에 끼워 넣었다.[24][27]
러시아군 위치 중앙에는 골든호프 언덕이 있었고, 칼 12세는 보병을 둘로 나누어 북쪽과 남쪽으로 향하게 했다. 스웨덴 기병대는 보병 측면을 엄호하고 러시아군이 요새를 벗어나지 못하게 했다. 스웨덴 포병대는 공격 예정 지역에 포격을 가했다.
러시아군의 정확한 전투 순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트루베츠코이 "사단"이 중앙에 위치했으며, 세 주요 사단 중 가장 약했다.
오후 2시, 스웨덴군은 전진했다. 기온이 떨어지고 바람이 바뀌면서 눈보라가 러시아군을 덮쳤다.[30] 칼 12세는 악천후를 틈타 러시아군을 향해 진격했다.[18]
스웨덴군은 두 돌격대를 이용, 러시아군 진영에 접근하여 일제사격을 가했고, 러시아군은 "풀처럼 쓰러졌다". 처음에는 러시아군이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15분 만에 스웨덴군은 요새를 돌파했고 "끔찍한 학살"이 시작되었다.
스웨덴군은 방어선을 따라 남북으로 이동, 러시아군 방어를 무너뜨렸다. 혼란과 공황이 일어났고, 러시아 병사들은 외국 장교들을 죽이기 시작했으며, 드 크루이는 항복했다. 겁에 질린 러시아 병력은 나르바 강의 캄퍼홀름 다리로 몰려들었고, 다리가 무너졌다.[18]
러시아군 우익에서는 프레오브라젠스키 연대와 세묘노프스키 연대만이 전투 대형을 유지했다. 칼 12세는 공격을 이끌었지만 격퇴되었고, 그의 말이 죽었다. 대부분의 러시아 지휘관들은 드 크로이의 항복에도 이 부대에 합류했다. 좌익에서 바이데 장군은 부상에도 불구, 그의 "사단"은 반격하기도 했다.[31]
러시아군 최고 사령부는 사기를 잃고 항복했다. 스웨덴군은 지쳐 러시아군 일부를 토벌하지 못했다. 러시아군 우익은 자유롭게 철수했지만, 좌익의 바이데 장군은 항복하여 무기와 깃발을 넘겼다. 모든 포병과 수레 행렬도 스웨덴군에 넘어갔다.[32][33]
스웨덴군과 러시아군은 항복한 병력이 나르바 강 우안으로 건너가는 캄페르홀름 다리를 수리했다. 칼 12세는 조약을 위반하고 러시아군 최고 사령관들을 포로로 잡아두었다. 셰레메체프는 기병대를 이끌고 나르바 강 좌안을 따라 시렌스크까지 행군, 다리를 건너 포로가 되는 것을 피했다.[34]
3. 3. 전투 결과
1700년 11월 30일, 칼 12세가 이끄는 스웨덴군은 나르바 전투에서 러시아군에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42][43][44] 이 전투에서 러시아군은 심한 눈보라 속에서 기습 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고 나로바강을 건너 퇴각했다. 전투 중 나로바강의 다리가 붕괴되면서 6,000명에서 18,000명에 달하는 러시아군 사상자가 발생했다.[52]러시아군은 항복하면서 모든 대포, 머스켓총, 군수물자를 스웨덴군에게 넘겨주었다. 이로 인해 러시아군은 사실상 무장 해제 상태가 되었으며, 만약 스웨덴이 러시아를 공격했다면 표트르 1세는 방어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나르바 전투는 러시아군에게 끔찍한 패배였다. 스웨덴군은 러시아 장군 10명과 대령 10명을 사로잡았고, 많은 러시아 연대 장교들이 전투에서 사망했다. 1701년 1월 러시아 연대 명부에 따르면 총 인원 손실은 약 25%였다. 고로빈 "사단"에서는 356명의 장교 중 250명만 생존했다. 러시아는 또한 무기에서 큰 손실을 입었는데, 스웨덴군이 4,050정의 소총과 173문의 대포(64문의 공성포 포함)를 노획했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스웨덴군은 얌 근처의 수송대에서 22문의 박격포를 추가로 노획했다.[35][34]
이 패배로 인해 표트르 1세는 군대 현대화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1705년부터 징병제를 도입하는 등 군사 개혁을 추진하게 된다. 칼 12세가 폴란드로 향한 틈을 타 에스토니아 원정을 재개하여 1704년에는 나르바 요새를 함락시키는 데 성공했다.[46][47][48]
4. 1704년 전투 (2차 나르바 전투)
1차 나르바 전투에서 패배한 지 4년 후인 1704년, 표트르 1세는 다시 나르바를 공격했다. 보리스 셰레메티예프가 이끄는 러시아군 2만 명이 타르투를 점령하고[30] 나르바를 포위했다. 나르바 수비대는 헤닝 루돌프 혼 아프 란치엔 소장의 지휘 아래[30] 보병 3,800명과 기병 1,30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격전 끝에 러시아군은 나르바를 함락시켰고, 혼 장군을 포함한 많은 스웨덴군이 포로로 잡혔다.
4. 1. 전투 전 상황
1700년 나르바 전투에서 패배한 후, 표트르 1세는 징병제를 도입하고 군대를 현대화하는 개혁을 추진했다. 러시아는 1703년 잉에르만란드(Ингерманландия)를 점령하고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하여 발트해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46][47][48]4. 2. 전투 경과
표트르 대제는 1700년 전투에서 패배한 지 4년 만인 1704년에 4만 5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나르바를 다시 공격했다. 보리스 셰레메티예프 원수가 이끄는 2만 명의 병력은 6월 24일에 타르투를 점령하고,[30] 나르바를 포위했다. 나르바 수비대는 사령관 헤닝 루돌프 혼 아프 란치엔 소장의 지휘 아래[30] 보병 3,800명과 기병 1,30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러시아군은 세 번의 돌격을 감행했고, 뒤이은 격전 끝에 1704년 8월 20일 나르바를 함락시켰다. 표트르 1세가 제지하기 전까지 일부 스웨덴 주민들이 학살당했다.[30] 호른 장군과 여러 장교, 다수의 스웨덴 군인들이 포로로 잡혔고, 약 3,2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러시아군 역시 승리했지만, 포위 공격 과정에서 최대 3,000명의 사상자를 냈다.[38]4. 3. 전투 결과
1700년 나르바 전투에서 패배한 후, 표트르 1세는 4년 만에 다시 나르바를 공격했다. 4만 5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진군한 러시아군은 세 번의 돌격 끝에 나르바를 함락시켰다.[38] 란시엔의 H.R 호른(H. R. Horn af Ranzien) 휘하의 나르바 수비대는 보병 3,800명과 기병 1,30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격전 끝에 패배했다. 호른 장군을 포함한 많은 스웨덴 병사들과 장교들이 포로로 잡혔고, 3,2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러시아군 역시 승리했지만, 공성전과 최종 돌격 과정에서 총 1만 3천 명의 피해를 입었다.[38]1704년, 표트르 1세는 다시 한번 나르바를 공격했다. 보리스 셰레메티예프 원수가 이끄는 2만 명의 병력이 6월 24일 타르투를 점령한 후,[30] 나르바를 포위했다. 헤닝 루돌프 혼 아프 란치엔 소장[30]이 지휘하는 나르바 수비대는 보병 3,800명과 기병 1,300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8월 20일, 러시아군은 나르바를 함락시켰고, 표트르 1세가 제지하기 전까지 일부 스웨덴 주민들이 학살당했다.[30] 혼 장군과 여러 장교, 다수의 스웨덴 군인들이 포로로 잡혔으며, 약 3,2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러시아군은 이 과정에서 최대 3,000명의 사상자를 냈다.[38]
결과적으로 러시아군은 나르바를 점령하고 발트해로의 진출을 위한 중요한 거점을 확보했다. 이 승리는 1700년 전투의 패배를 설욕하고, 러시아군의 성장과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5. 전투의 영향 및 의의
나르바 전투에서 스웨덴은 러시아군에 대승을 거두었지만, 이 승리는 오래가지 못했다. 표트르 1세는 패배를 교훈 삼아 군대를 현대화하고 징병제를 도입하는 등 개혁을 추진했다. 반면 스웨덴의 칼 12세는 나르바에서 승리 후 러시아의 재기를 경계하지 않고 폴란드 방면으로 진격했다.[46][47][48]
표트르 1세는 칼 12세가 폴란드로 향한 틈을 타 에스토니아 원정을 재개하여 1704년에 나르바를 함락시켰다. 이후 발트해 연안을 점차 평정해 나간 표트르 1세는 내정과 군사 개혁을 계속하며 폴란드에 원군을 보내 스웨덴과의 전투를 계속했다.[46][47][48]
5. 1. 스웨덴
스웨덴군의 승리 요인은 신속한 기동을 통한 각개격파, 지휘관이 선두에서 공격을 지휘하여 높아진 사기, 종대돌격에서 보인 병력의 집중에 있었다.[39] 당시 18세였던 스웨덴 국왕 칼 12세는 즉시 반격하여, 7월에는 잉글랜드와 네덜란드 함대의 협력을 얻어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을 기습 공격하였다. 덴마크 왕 프레데리크 4세는 8월에 칼 12세와 트라벤탈 조약을 체결하고 전쟁에서 이탈하였다.[40]10월 말, 스웨덴군은 덴마크와 휴전을 맺은 후 발트해를 건너 에스토니아의 항구 도시 파르누에 상륙하여 북상, 나르바로 이동했다.[42] 11월 19일, 스웨덴군은 눈보라 속에서 나르바에 있는 러시아군 본진을 기습했다. 악조건 속에서도 스웨덴군은 병력의 약 절반으로 러시아군에 압도적인 타격을 입혔다. 러시아군의 사상자는 6000명이었고, 1만 명이나 포로가 되었으며, 대포도 모두 빼앗겼다. 반면 스웨덴군의 피해는 2000명이었다.[43][44] 이후 스웨덴군은 리가를 포위하고 있던 폴란드군을 격파하고 추격했다.[45]
5. 2. 러시아
표트르 대제는 나르바 전투의 패배를 통해 군사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패전 후 표트르는 스웨덴군에 대항하기 위해 병사의 정기적인 징집, 군의 국고에 의한 급여 체제를 정비하고 산업을 육성했다. 특히 대포를 대량으로 정비했다. 그리고 보병, 기병, 포병 혼성의 기동군을 편성해, 기동전을 방어하기 위한 전술을 고안했다.[35] 정면에 방어보루를 복수로 건설하여 화력으로 적 병력을 소멸시킨 후 진군하는 전법은 이후 러시아의 전형적인 전술이 되었다.나르바 전투는 러시아군에게 끔찍한 패배였다. 스웨덴군은 러시아 장군 10명과 대령 10명을 사로잡았고, 많은 러시아 연대 장교들이 전투에서 사망했다. 1701년 1월 러시아 연대 명부에 따르면 총 인원 손실은 약 25%였다 (트루베츠코이 "사단"의 두 정규 보병 연대는 57~68%의 손실을 입었다). 고로빈 "사단" (두 근위대 연대 제외)에서는 356명의 장교 중 250명만 생존했다. 그러나 바이데 "사단"은 다소 나은 성적을 거두었다. 러시아는 또한 무기에서 큰 손실을 입었는데, 스웨덴군이 4050정의 소총과 173문의 대포를 노획했고, 그중에는 64문의 공성포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스웨덴군은 얌 근처의 수송대에서 22문의 박격포를 추가로 노획했다. 러시아는 1701년 봄까지 소총 대부분을 보충했지만, 이전 고로빈과 바이데 "사단"은 여전히 연대 포병이 부족했다. [34]
4년 후, 표트르 1세는 나르바를 함락시키기 위한 새로운 시도를 했다. 보리스 셰레메티예프 원수가 이끄는 2만 명의 병력은 1704년 6월 24일에 타르투를 점령했다.[30] 셰레메티예프는 이후 나르바를 포위했다. 러시아군은 1704년 8월 20일 나르바를 함락시켰고, 표트르 1세가 제지하기 전까지 일부 스웨덴 주민들을 학살했다.[30] 러시아군은 포위 공격 과정에서 최대 3,000명의 사상자를 냈다.[38]
5. 3.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강대국 간의 경쟁 속에서 생존과 번영을 추구해야 하는 지정학적 위치에 있다. 나르바 전투는 강대국 사이의 세력 변화와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쟁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이다. 특히, 1700년 전투에서 스웨덴의 승리는 당시 최강의 군사력을 보유했던 스웨덴의 위상을 보여주지만, 1704년 전투에서 러시아의 승리는 군사 개혁과 국력 강화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대한민국은 나르바 전투를 통해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국가 안보와 국익을 지키기 위한 전략 수립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6. 기념
나르바 전투 이후 러시아와 스웨덴은 각자의 방식으로 전투를 기념했다.
1900년, 나르바 전투 200주년을 맞아 러시아는 전사한 자국 병사들을 기리는 기념비를 건립했다. 기념비는 흙으로 쌓은 언덕 위에 십자가가 얹힌 화강암 받침대 형태이며, "1700년 11월 전사한 우리의 영웅적인 조상들에게"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36]
2000년, 스웨덴은 나르바 전투 승전을 기념하는 새 기념비를 건립했다. 이 기념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사라진 1936년 건립된 기념비를 대체한다. 기념비는 스웨덴 삼왕관이 새겨진 구슬 위에 왼발을 올린 "스웨덴 사자" 모양이다. 화강암 받침대 위에는 라틴어로 "MDCC"(1700년)와 "Svecia memor"("스웨덴은 기억한다")라고 새겨져 있다.[37]
6. 1. 러시아 기념비
1900년, 나르바 전투 200주년을 맞아 예비군 연대와 세묘노프스키 연대가 나르바 전투에서 전사한 러시아 병사들을 기리는 기념비를 건립했다. 기념비는 흙으로 쌓은 언덕 위에 십자가가 얹힌 화강암 받침대 형태이며, "1700년 11월 전사한 우리의 영웅적인 조상들에게"라는 비문이 적혀 있다.[36]6. 2. 스웨덴 기념비
2000년 11월 20일, 스웨덴 외무장관 레나 헬름 발렌은 나르바 전투 승전을 기념하는 새 기념비를 개관했다. 스웨덴 연구소의 지원으로 건립된 이 기념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사라진 1936년 건립된 기념비를 대체한다. 기념비는 스웨덴 삼왕관이 새겨진 구슬 위에 왼발을 올린 "스웨덴 사자" 모양이다. 화강암 받침대 위에는 라틴어로 "MDCC"(1700년)와 "Svecia memor"("스웨덴은 기억한다")라고 새겨져 있다.[37]
참조
[1]
서적
Kerala J. Snyder (2002), p.137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5-12-13
[2]
웹사이트
Magnus Stenbock Count and Spy
http://www.historyto[...]
2012-07-19
[3]
서적
Peter the Great's Disastrous Defeat: The Swedish Victory at Narva, 1700
https://books.google[...]
HELION & Company
2024-06-01
[4]
서적
Peter the Great
https://books.google[...]
New Word City
2020-11-24
[5]
서적
Christer Kuvaja (2008), p.139
[6]
서적
Great Northern War 1700–1721, II
2011-01-01
[7]
서적
Karl XII på slagfältet
1918-01-01
[8]
웹사이트
Tacitus.nu, Örjan Martinsson. Russian force.
https://web.archive.[...]
2013-09-07
[9]
서적
Kampen mot övermakten. Baltikums fall 1700–1710. pp. 38
2012-01-01
[10]
서적
Wars of the Age of Louis XIV, 1650–1715. pp. 313
2008-01-01
[11]
서적
Russia in the Age of Peter the Great
Yale University Press
1998-01-01
[12]
서적
Stormaktens sista krig (2009) Lund, Historiska Media. pp. 99
2009-01-01
[13]
문서
Peter The Great – Swift
[14]
웹사이트
Sweden Was a Military Giant—Until It Invaded Russia
http://nationalinter[...]
2018-02-04
[15]
간행물
К вопросу об офицерском корпусе русской армии накануне и на начальном этапе Великой Северной войны. // Война и оружие: Новые исследования и материалы. Труды Пятой Международной научно-практической конференции, 14–16 мая 2014 года. СПб.: ВИМАИВиВС, 2014. pp. 338–354. Russian officer corps in the beginning of the Great Northern war (English summary)
http://rusmilhist.bl[...]
[16]
서적
Frost (2000), p.229
[17]
웹사이트
Swedish army at Lagena on 19/29 Nov of 1700 (Inspection of the Royal army the day before Narva battle)
http://rusmilhist.bl[...]
2018-03-06
[18]
서적
Jeremy Black (1996), p. 111
[19]
웹사이트
Vellingk, Otto
http://rusmilhist.bl[...]
2018-03-05
[20]
웹사이트
Rehnsköld, Karl Gustaf // Nordisk familjebok
http://runeberg.org/[...]
[21]
서적
Биографии российских генералиссимусов и генерал-фельдмаршалов: Часть первая
https://books.google[...]
2019-07-28
[22]
웹사이트
Великанов В.С. Формирование генералитета русской армии в 1700–09 гг. // Русская военная элита. Сборник материалов научной конференции. — Севастополь: Изд-во «Шико-Севастополь», 2015. С. 97–111
http://rusmilhist.bl[...]
2018-03-05
[23]
서적
Frost (2003), pp. 230, 232
[24]
웹사이트
Swedish BO in the battle of Narva, 19(20)/30 Nov 1700
http://rusmilhist.bl[...]
2018-03-05
[25]
서적
Ericson (2003), p. 257
[26]
서적
Porfiriev (1958), p. 145
[27]
서적
Empire and Military Revolution in Eastern Europe: Russia's Turkish Wars in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8-03-12
[28]
웹사이트
Russian BO at Narva on 19/30 Nov, 1700 by Fer & Wolff.
http://rusmilhist.bl[...]
2018-03-07
[29]
서적
К вопросу об организации и численности русской армии в нарвском походе 1700. // "Война и мир. Новые исследования и материалы". Материалы 2-й международной научно-практической конференции. СПб, 2011. Ч. 1. С. 130–143
[30]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Vol. Two
ABC-CLIO, LLC
2010-01-01
[31]
웹사이트
Unknown episode of Narva battle on 20/30 November 1700
http://rusmilhist.bl[...]
2018-03-12
[32]
서적
Ullgren (2008), p.57
[33]
서적
Северная война (1998), p.43
1998-01-01
[34]
간행물
К вопросу о состоянии русской армии после нарвского поражения, зима 1700–1701 гг. // Война и оружие: Новые исследования и материалы. Труды Седьмой Международной научно-практической конференции, 18–20 мая 2016 года. СПб.: ВИМАИВиВС, 2016. Ч. 2. С. 26–42.
http://rusmilhist.bl[...]
[35]
웹사이트
Nilsson Bengt. Abraham Cronhjort and the defense of Ingria 1700–1703
http://rusmilhist.bl[...]
2018-03-13
[36]
서적
[37]
웹사이트
Svenska institutet och Narva
http://www.si.se/Sve[...]
[38]
서적
Военный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лексикон. Часть 9-я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웹인용
The Battle of Narva
http://www.stormakts[...]
2009-01-15
[50]
서적
Karl XII: En Biografi
[51]
서적
Historien om Sverige, från istid till framtid
Norstedts
[52]
문서
Peter The Great – Swif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