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고속도로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고속도로지선은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에서 양산시 남부동을 잇는 고속도로이다. 1992년 부산 ~ 대구고속도로지선으로 지정되어, 1996년 남양산 나들목 ~ 양산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고, 이후 대동 분기점 ~ 남양산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1년 중앙고속도로지선으로 변경되었으며, 2014년 김해 분기점 ~ 대동 분기점 구간이 확장 개통되었다. 총 연장은 18.1km이며, 김해 분기점, 대동 분기점, 물금 나들목, 남양산 나들목, 양산 분기점을 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고속도로지선 - 대동 분기점
대동 분기점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며, 중앙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지선이 만나는 분기점으로 1996년 부산대구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 중앙고속도로지선 - 양산 분기점
양산 분기점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지선이 만나는 분기점으로, 1996년 부산대구고속도로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하여 경부고속도로의 노포 나들목과 양산 나들목 사이, 중앙고속도로지선의 남양산 나들목과 연결된다. - 양산시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양산시의 도로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는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과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을 잇는 총 길이 48.8km, 왕복 4차로의 고속국도 제600호선으로, 부산과 김해를 연결하고 동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지역 교통망을 효율적으로 연결한다.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중앙고속도로지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종류 | 고속국도 |
노선명 | 중앙고속도로지선 |
로마자 표기 | Jungang-gosokdoro-jiseon |
총 연장 | 18.1 km |
개통 년도 | 1996년 |
개통 날짜 | 1996년 5월 1일 (남양산 ~ 양산) 1996년 6월 28일 (대동 ~ 남양산) 2014년 12월 16일 (김해 ~ 대동) |
![]() | |
노선 경유지 | |
기점 |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 |
주요 경유지 | 경상남도 김해시 경상남도 양산시 |
종점 | 경상남도 양산시 남부동 |
주요 교차 도로 | |
교차 도로 | 경부고속도로 (AH1) 남해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국도 제35호선 |
2. 역사
- 1992년 4월 29일 : 경상남도 김해군 대동면 ~ 양산군 양산읍 구간을 '''고속국도 제19호의2호선 부산 ~ 대구고속도로지선(부산 ~ 대구선의 지선)'''으로 지정[1]
- 1992년 5월 18일 : 부산 ~ 대구고속도로지선 대동 ~ 양산 구간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양산군 동면 석산리 ~ 김해군 대동면 월촌리 5.537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
- 1994년 1월 14일 : 남양산 나들목 국도 접속부를 입체화 하기 위해 경상남도 양산군 양산읍 석산리 8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 1996년 3월 22일 : 1997년 12월까지 남양산 나들목 국도 접속부를 입체화 하기 위해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석산리 9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 1996년 5월 1일 : 남양산 나들목 ~ 양산 분기점 2.0km 구간 개통[5][6]
- 1996년 6월 28일 : 대동 분기점 ~ 남양산 나들목 6.4km 구간 개통[7]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경상남도 김해군 대동면'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으로, 종점을 '경상남도 양산군 양산읍'에서 '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으로 변경.[8]
- 2001년 8월 25일 : '''고속국도 제551호선 중앙고속도로지선'''(중앙선의 지선)으로 변경.[9]
- 2008년 7월 16일 : 냉정 ~ 부산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 양산시 동면 석산리 17.1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 2009년 2월 : 대동 분기점 ~ 양산 분기점 구간 (8.2km) 왕복 6차로 확장공사 착공 및 김해 분기점 ~ 대동 분기점 구간 (10km) 왕복 4차로 착공
-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대동 분기점부터 양산 분기점까지 8.2km 구간을 '''중앙지선고속도로'''로 고시[11]
- 2014년 12월 16일 : 김해 분기점 ~ 대동 분기점 9.2km 구간 왕복 4차로 신설 연장 개통 및 대동 분기점 ~ 양산 분기점 6.5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개통[12][13]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 종점을 '경상남도 양산시 남부동'으로 명시[14]
2. 1. 1990년대
1992년 4월 29일, 경상남도 김해군 대동면 ~ 양산군 양산읍 구간이 고속국도 제19호의2호선 부산 ~ 대구고속도로지선으로 지정되었다.[1] 같은 해 5월 18일, 부산 ~ 대구고속도로지선 대동 ~ 양산 구간 신설을 위해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2] 1994년 1월 14일과 1996년 3월 22일에는 남양산 나들목 국도 접속부 입체화를 위해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3][4]1996년 5월 1일, 남양산 나들목 ~ 양산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고,[5][6] 같은 해 6월 28일에는 대동 분기점 ~ 남양산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었다.[7] 1996년 7월 1일, 기점은 '경상남도 김해군 대동면'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으로, 종점은 '경상남도 양산군 양산읍'에서 '경상남도 양산시 중부동'으로 변경되었다.[8]
2. 2. 2000년대 ~ 현재
2001년 8월 25일 고속국도 제551호선 중앙고속도로지선(중앙선의 지선)으로 변경되었다.[9] 2008년 7월 16일 냉정 ~ 부산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 양산시 동면 석산리 17.13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10]2009년 2월 대동 분기점 ~ 양산 분기점 구간 (8.2km) 왕복 6차로 확장공사 및 김해 분기점 ~ 대동 분기점 구간 (10km) 왕복 4차로 착공에 들어갔다. 2010년 12월 28일 도로명주소에 대동 분기점부터 양산 분기점까지 8.2km 구간을 중앙지선고속도로로 고시하였다.[11]
2014년 12월 16일 김해 분기점 ~ 대동 분기점 9.2km 구간 왕복 4차로 신설 연장 개통 및 대동 분기점 ~ 양산 분기점 6.5km 구간 왕복 6차로 확장 개통하였다.[12][13]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김해시 안동', 종점을 '경상남도 양산시 남부동'으로 명시하였다.[14]
3. 구성
김해 분기점 ~ 대동 분기점, 남양산 나들목 ~ 양산 분기점 구간은 왕복 4차로이다. 대동 분기점 ~ 남양산 나들목 구간은 왕복 6차로이다.
총 연장은 18.1km이다.
김해 분기점 ~ 양산 분기점 구간의 최고 제한 속도는 100km/h이고, 최저 제한 속도는 50km/h이다.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대동1터널 |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 1,994m | 2014년 | 양산 방면 |
1,944m | 김해 방면 | |||
대동2터널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주동리 | 1,139m | 2014년 | 양산 방면 |
1,149m | 김해 방면 | |||
대동3터널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예안리 | 1,300m | 2014년 | 양산 방면 |
1,295m | 김해 방면 |
3. 1. 차로수
김해 분기점 ~ 대동 분기점, 남양산 나들목 ~ 양산 분기점 구간은 왕복 4차로이다. 대동 분기점 ~ 남양산 나들목 구간은 왕복 6차로이다.3. 2. 총 연장
총 연장은 18.1km이다.3. 3. 제한 속도
김해 분기점 ~ 양산 분기점 구간의 최고 제한 속도는 100km/h이고, 최저 제한 속도는 50km/h이다.3. 4. 터널
wikitable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대동1터널 | 경상남도 김해시 불암동 | 1,994m | 2014년 | 양산 방면 |
1,944m | 김해 방면 | |||
대동2터널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주동리 | 1,139m | 2014년 | 양산 방면 |
1,149m | 김해 방면 | |||
대동3터널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예안리 | 1,300m | 2014년 | 양산 방면 |
1,295m | 김해 방면 |
3. 4. 1. 대동1터널
wikitable
3. 4. 2. 대동2터널
wikitable
3. 4. 3. 대동3터널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예안리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지선의 터널이다. 양산 방면은 1,300m, 김해 방면은 1,295m로 2014년에 준공되었다.4. 나들목 · 분기점
거리
거리
(600호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부산방향 진출시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간접 연결
제방로·황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