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고속도로제3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해고속도로제3지선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과 김해시 진례면을 연결하는 고속국도이다. 2008년 고속국도 제105호선으로 지정되었으며, 2012년 착공하여 2017년 신항 교차로에서 진례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고, 2018년 진해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총 연장은 15.3km이며, 왕복 4차로로 구성되어 있다. 신항 교차로, 진해 나들목, 대청 나들목, 남진례 나들목, 진례 분기점을 포함한 6개의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해고속도로제3지선 - 진례 분기점
진례 분기점은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에 위치하며 남해고속도로와 남해고속도로제3지선이 만나는 분기점으로, 2017년 남해고속도로제3지선 개통과 함께 통행이 시작되었다. - 남해고속도로제3지선 - 대청 나들목
대청 나들목은 경상남도 김해시 관동동에 위치한 남해고속도로제3지선의 나들목으로, 2017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지방도 제1020호선과 연결되고, 나들목 부지 협소로 김해 방향 진출, 창원 방향 진입 램프만 설치되었으나 장유 방향 진·출입 램프가 추가 신설되었다.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김해시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김해시의 교통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남해고속도로제3지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노선 번호 | 고속국도 제105호선 |
노선 이름 | 남해고속도로 제3지선 |
대체 이름 | 남해고속도로 제3지선 |
노선 정보 | |
총 연장 | 15.3 km |
개통 | 2017년 1월 13일 |
차선 수 | 5 |
노선 방향 | |
방향 A (남쪽)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방향 B (북쪽) | 경상남도 김해시 |
주요 경유지 | |
접속 도로 | |
주요 교차 도로 | 남해고속도로 |
분기점 수 | 5 |
지도 정보 | |
2. 역사
- 2008년 11월 17일 경상남도 진해시(현 창원시 진해구)와 김해시를 잇는 고속국도 제105호선 남해고속도로제3지선이 지정되었다.[4]
- 2012년 4월 19일 부산항신항 제2배후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 ~ 김해시 진례면 산본리 15.26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5]
- 2012년 7월 13일 신항 교차로 ~ 진례 분기점 15.26km 전 구간이 착공되었다.
-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진해시'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으로 변경, 종점을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산본리'로 명시하였다.[6]
- 2015년 4월 27일 사업시행기간을 2012년 7월 13일부터 2017년 1월 12일까지로 명시하였다.
- 2015년 12월 2일 시점부 웅천왜성 문화재 구간 선형 변경 및 죽항마을 구간 진해 나들목 램프 선형 변경을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 ~ 김해시 진례면 산본리 15.26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7]
- 2017년 1월 13일 진해 나들목을 제외한 신항 교차로 ~ 진례 분기점 15.26km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8]
- 2018년 1월 6일 진해 나들목이 개통되었다.[9]
2. 1. 개요
남해고속도로제3지선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에서 김해시 진례면 산본리를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2008년 11월 17일 경상남도 진해시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05호선 남해고속도로의제3지선으로 지정하면서 신설되었다.[4] 부산항신항 정비 사업에 포함된 도로 정비 사업으로, 기존 제1 배후 도로인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은 남해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지선 연결 기능을 가졌지만, 고속도로는 아니었기 때문에 직통하는 고속도로가 필요하여 건설되었다. 부산항 신항 제2 배후 도로로 정비되었으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되어 동명의 주식회사에서 관할하고 있다.지형적인 이유로 긴 터널이 많으며, 모든 IC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진출입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1992년부터 1996년까지 고속국도 6-3호선으로 지정되었던 하동 ~ 광양 연결 도로(현재 국도 제59호선 산업로)가 제3 지선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지만, 이 노선과는 관계가 없다.
2. 2. 상세
2008년 11월 17일 경상남도 진해시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05호선 남해고속도로의제3지선'''으로 지정하였다.[4] 2012년 4월 19일 부산항신항 제2배후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 ~ 김해시 진례면 산본리 15.26km 구간 도로구역을 결정하였다.[5] 2012년 7월 13일 신항 교차로 ~ 진례 분기점 15.26km 전 구간이 착공되었다.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경상남도 진해시'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으로 변경, 종점을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산본리'로 명시하였다.[6] 2015년 4월 27일 사업시행기간을 2012년 7월 13일부터 2017년 1월 12일 까지로 명시하였다. 2015년 12월 2일 시점부 웅천왜성 문화재 구간 선형 변경 및 죽항마을 구간 진해 나들목 램프 선형 변경을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 ~ 김해시 진례면 산본리 15.26km 구간 도로구역을 변경하였다.[7] 2017년 1월 13일 진해 나들목을 제외한 신항 교차로 ~ 진례 분기점 15.26km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8] 2018년 1월 6일 진해 나들목이 개통되었다.[9]부산신항 정비 사업에는 여러 도로 정비 사업이 포함되어 있으며, 제1 배후 도로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9호선이 개통되어 남해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 지선과의 연결 기능을 가졌지만, 고속도로는 아니었다. 따라서, 직통하는 고속도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부산항 신항 제2 배후 도로'''로 정비된 도로이다. 민간 자본에 의한 사업으로, 동명의 주식회사에서 관할하고 있다.
지형으로 인해 긴 터널이 많으며, 모든 IC에 한쪽 방향으로의 진출입 램프만 설치되어 있다.
제3 지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노선으로는 1992년부터 1996년까지 고속국도 6-3호선으로 지정되었던 하동 ~ 광양 연결 도로(현 국도 제59호선 산업로)가 있지만, 본 노선과는 관계가 없다.
3. 구성
남해고속도로제3지선은 전 구간 왕복 4차로, 총 15.26km로 구성되어 있다. 최고 제한 속도는 100km/h, 최저 제한 속도는 50km/h이다. 주요 터널로는 밤갓터널, 굴암터널, 관동터널, 장유1터널, 장유2터널 등이 있다.
3. 1. 차로 수
전 구간이 왕복 4차로이다.3. 2. 총 연장
15.26km3. 3. 제한 속도
최고 속도는 100km/h이고, 최저 속도는 50km/h이다.3. 4. 터널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밤갓터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 | 2,052m | 2017년 | 김해 방면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소사동 | 2,057m | 진해 방면 | ||
굴암터널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대장동 | 3,285m | 2017년 | 김해 방면 |
경상남도 김해시 관동동 | 3,308m | 진해 방면 | ||
관동터널 | 경상남도 김해시 대청동 | 345m | 2017년 | |
장유1터널 | 경상남도 김해시 대청동 | 1,290m | 2017년 | 김해 방면 |
경상남도 김해시 삼문동 | 1,330m | 진해 방면 | ||
장유2터널 | 경상남도 김해시 삼문동 | 1,975m | 2017년 | 김해 방면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산본리 | 진해 방면 |
4. 나들목 · 분기점
나들목(IC) 및 분기점(JC) 번호는 숫자로, 요금소(TG)는 TG로, 휴게소(SA)는 SA로 표시한다. 거리 단위는 '''km'''이다.
- 전 구간 경상남도에 위치한다.
4. 1. 목록
신항북로김해방향 진입과 창원방향 진출만 가능
(104호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