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리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리부는 금관가야의 마지막 임금 구형왕의 장남으로, 532년 신라에 귀순하여 진골 귀족이 되었다. 신라에서 대아찬, 파진찬, 이찬을 역임했으며, 551년 고구려 공격, 577년 백제 격퇴전에 참여하여 군사적 공을 세웠다. 진지왕 폐위 후 상대등이 되어 신라의 중앙 관제 정비에 기여했으나, 588년 사망했다. 《화랑세기》에서는 세종이라는 이름으로 미실의 남편이자 풍월주로 묘사되나, 역사적 사실과 차이가 있어 논란이 있다.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구해왕)의 장남으로, 법흥왕 19년(532년)에 구형왕이 가족과 함께 신라에 항복하면서 신라의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신라 조정에서 대아찬(545년[3]), 파진찬(551년[4]), 이찬(568년[5][6])을 역임하였다.
위서 논란이 있는 필사본 《화랑세기》에서는 노리부와 세종을 서로 다른 인물로 보고 있다.
2. 생애
진흥왕 12년(551년), 나제 동맹을 맺은 백제와 신라가 함께 고구려를 공격하여 백제는 한강 유역을 수복하고 평양까지 진출하였고, 신라는 죽령 이북 10군을 정복하였다. 노리부는 거칠부 등과 함께 이 작전에 참여하였다.[7] 이후 관산성 전투로 신라와 백제가 적대 관계로 바뀌었고, 진지왕 2년(577년) 10월 백제가 신라를 공격하자, 노리부는 일선군(一善郡)[8] 북쪽에서 백제군을 격파하고 3,700여 명을 베는 전공을 세웠다.[9]
진지왕 4년(579년) 7월, 진지왕이 폐위되고[10] 진평왕이 즉위하자 그해 8월에 노리부는 상대등이 되었다.[11] 이는 노리부가 진지왕 폐위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12]
상대등 재임 기간 동안 위화부(位和府), 선부(船府), 조부(調府), 승부(乘府) 등 신라의 중앙 관제가 다수 정비되었다. 진평왕 10년(588년) 12월에 사망하였고, 후임으로 이찬 수을부(首乙夫)가 상대등으로 임명되었다.[13] 가야 왕족 출신인 그가 신라의 재상이 된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받는다.[14]
2. 1. 신라 귀족으로의 편입과 초기 활동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구해왕)의 장남으로,[1],[2] 법흥왕 19년(532년)에 구형왕이 가족과 함께 신라에 귀순하면서 신라의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신라 조정에서 대아찬(545년[3]), 파진찬(551년[4]), 이찬(568년[5],[6])을 역임하였다. 진흥왕 12년(551년) 나제 동맹을 맺은 백제와 신라가 함께 고구려를 공격하여, 백제는 한강 유역을 수복한 뒤 평양까지 이르고 신라는 죽령 이북의 10군을 정복했는데, 노리부는 거칠부 등과 함께 여기에 참여하였다.[7] 이후 관산성 전투로 신라와 백제가 적대 관계로 바뀌었고, 진지왕 2년(577년) 10월에 백제가 신라를 공격하자, 노리부는 일선군(一善郡)[8] 북쪽에서 백제군을 격파하고 3,700여 급을 베는 전공을 세웠다.[9]
2. 2. 군사적 활약과 공적
금관가야의 마지막 임금인 구형왕(구해왕)의 장남으로,[1][2] 법흥왕 19년(532년)에 구형왕이 가족과 함께 신라에 귀순하면서 신라의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신라 조정에서 대아찬(545년[3]), 파진찬(551년[4]), 이찬(568년[5][6])을 역임하였다. 진흥왕 12년(551년)에 나제 동맹을 맺은 백제와 신라가 함께 고구려를 공격하여, 백제는 한강 유역을 수복한 뒤 평양까지 이르고 신라는 죽령 이북의 10군을 정복했다. 노리부는 거칠부 등과 함께 여기에 참여하였다.[7] 이후 관산성 전투로 신라와 백제가 적대하게 되어 진지왕 2년(577년) 10월에 백제가 신라를 공격하자, 노리부는 일선군[8] 북쪽에서 백제군을 격파하고 3,700여 급을 베는 전공을 세웠다.[9]
2. 3. 진지왕 폐위와 진평왕 즉위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구해왕)의 장남으로,[1][2] 법흥왕 19년(532년)에 구형왕이 가족과 함께 신라에 귀순하면서 신라의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다.
진지왕 4년(579년) 7월에 진지왕이 폐위되고[10] 진평왕이 즉위하였다. 그해 8월에 노리부는 상대등이 되었다.[11] 진지왕의 폐위에 노리부가 주도적으로 참여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12]
2. 4. 상대등 재임과 사망
금관가야의 마지막 임금인 구형왕의 장남으로,[1][2] 법흥왕 19년(532년)에 구형왕이 가족과 함께 신라에 귀순하면서 신라의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다. 진평왕 원년(579년) 8월에 상대등이 되었다.[11] 진지왕의 폐위에 노리부가 주도적으로 참여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12]
그가 상대등으로 재임하던 시기에는 위화부, 선부, 조부, 승부 등 신라의 중앙 관제가 다수 정비되었다. 진평왕 10년(588년) 12월에 사망하여, 그의 후임으로 이찬 수을부가 상대등으로 임명되었다.[13] 가야의 왕족인 그가 신라의 재상이 된 것에 대해 상당한 의미를 부여하는 견해가 있다.[14]
3. 《화랑세기》의 노리부 (세종)
3. 1. 미실의 남편, 풍월주 세종
《화랑세기》에 따르면, 노리부와 세종은 서로 다른 인물이다. 세종은 신라 화랑도의 6대 풍월주로, 태종과 지소태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미실과 혼인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초명은 의종(義宗)이다.[15]
진흥왕은 이부동모(異父同母) 형제인 세종을 친동생처럼 아꼈다. 세종의 친아버지인 태종(이사부)이 진흥왕에게 예를 갖추자, 세종은 울면서 이를 말렸고, 진흥왕은 둘 사이를 부자 관계로 인정했다. 지소태후가 세종의 부인을 정하려 할 때, 세종은 미실을 선택했다. 지소태후는 미실이 대원신통이라 탐탁지 않았지만, 태종의 설득으로 혼인을 승낙하였다.
사도왕후가 모함을 받을 때 미실이 이를 알려 위기를 넘겼다. 지소태후는 미실 대신 융명을 세종의 아내로 삼았지만, 세종이 미실을 잊지 못해 병을 얻자, 결국 미실을 다시 불러들였다.
561년, 사다함의 유언에 따라 세종은 6대 풍월주가 되었다. 그러나 미실이 진흥왕, 동륜태자, 설원, 미생과 관계를 맺고 568년에 원화를 부활시키면서, 세종은 풍월주 자리에서 물러나고 미실이 화랑도를 이끌게 되었다. 572년, 동륜태자의 죽음으로 미실이 원화 자리에서 물러나자 세종은 다시 풍월주가 되었지만, 미실의 권유로 설원에게 자리를 넘겨주었다.[16]
이후 진지왕이 대원신통에 반하는 모습을 보이자,[17] 미실과 사도왕후는 진지왕 폐위를 공모했다. 세종은 579년에 설원과 함께 화랑을 장악하고,[18] 노리부와 함께 진지왕을 폐위시킨 뒤 진평왕을 옹립했다.
만년에 미실과 다시 화합했으며, 《화랑세기》는 그를 온화하고 사려 깊은 화랑의 전형이라고 칭송하고 있다.
3. 2. 진지왕 폐위 주도
필사본 《화랑세기》에서는 노리부와 세종이 서로 다른 인물로 나타난다.[1]
3. 3. 《화랑세기》 기록에 대한 비판
위서 논란이 있는 필사본 《화랑세기》에서는 노리부와 세종이 서로 다른 인물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필사본 《화랑세기》의 기록은 사학계 일반에서 크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서로 교차검증되는 사실이 《화랑세기》에만 다르게 기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4. 가계
노리부에 대한 가계는 자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따르면, 노리부는 겸지왕의 손자이자 구형왕과 계화부인의 아들이며, 아들은 김솔지이다. 반면 《화랑세기》에 따르면, 이사부와 지소태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미실궁주를 아내로 맞이하였다.[1] 숙명공주와 남매지간이며, 아들은 하종이고, 김유신의 아내가 된 영모부인은 그의 손녀이다.[1]
4. 1. 《삼국사기》, 《삼국유사》
奴利夫|노리부중국어는 겸지왕의 손자이자, 구형왕과 계화부인의 아들이다. 아들은 김솔지이다.4. 2. 《화랑세기》
奴里夫중국어는 이사부와 지소태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미실궁주를 아내로 맞이하였다.[1] 숙명공주와 남매지간이다.[1] 아들은 하종이며, 김유신의 아내가 된 영모부인은 그의 손녀이다.[1]
5. 관련 작품
MBC 드라마 선덕여왕(2009년)에서 독고영재와 문회원이 노리부 역을 연기하였다.[25]
5. 1. 드라마
참조
[1]
서적
삼국사기 신라본기 법흥왕 19년
[2]
서적
삼국유사 기이 가락국기
[3]
서적
단양신라적성비
[4]
서적
삼국사기 열전 거칠부
[5]
서적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
[6]
서적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
[7]
서적
삼국사기 열전 거칠부
[8]
문서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일대
[9]
서적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지왕 2년
[10]
서적
삼국사기, 삼국유사
[11]
서적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평왕 원년
[12]
뉴스
김춘추 외교의 달인
푸른역사
2012-09-07
[13]
서적
삼국사기 신라본기 진평왕 10년
[14]
뉴스
미완의 문명 1백년 가야사
푸른역사
2012-09-07
[15]
뉴스
대역 화랑세기
소나무
2012-09-07
[16]
뉴스
대역 화랑세기
소나무
2012-09-07
[17]
뉴스
대역 화랑세기
소나무
2012-09-07
[18]
뉴스
대역 화랑세기
소나무
2012-09-07
[19]
뉴스
미완의 문명 1백년 가야사
푸른역사
2002-04-05
[20]
논문
筆寫本 「花郞世紀」의 史料的 檢討
1989-09
[21]
논문
筆寫本 《花郞世紀》 진위 논쟁 10년
2000
[22]
뉴스
대역 화랑세기
소나무
2012-09-07
[23]
논문
화랑 설치에 관한 諸 史書의 기사 검토
2003-12
[24]
논문
筆寫本 《花郞世紀》 진위 논쟁 10년
2000
[2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