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보로시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보로시스크는 흑해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의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곡물 무역의 중심지였다. 로마, 몽골,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쳤으며, 특히 1838년 러시아 흑해 함대 기지가 건설되면서 도시로 발전했다. 러시아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격전지였으며, 1973년에는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주요 산업으로는 항만, 철강, 식품 가공, 시멘트 생산 등이 있으며, 러시아의 주요 와인 생산지이기도 하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군사적 요충지로 부상하여, 우크라이나 측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영웅 도시 - 키이우
키이우는 우크라이나의 수도이자 동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키예프 루스의 중심지였으나 몽골 침략 후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소비에트 우크라이나의 수도가 되었고,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중심지로서 2022년 러시아 침공 이후 재건 노력을 하고 있으며, 'Kyiv' 표기가 국제적으로 사용된다. - 소련의 영웅 도시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크라스노다르 변경주 - 소치
소치는 흑해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의 도시로, 고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2014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며 국제적인 도시로 성장하여 관광, 경제,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크라스노다르 변경주 - 아나파
아나파는 러시아 크라스노다르 지방의 흑해 연안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식민 도시에서 오스만 제국을 거쳐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온화한 기후와 해변을 바탕으로 러시아의 대표적인 가족 여행지이자 다양한 문화 시설과 행사가 개최되는 곳이다. - 흑해의 항구 도시 - 오데사
오데사는 우크라이나 남부 흑해 연안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오데사 주의 행정 중심지로, 1794년 건설되어 자유항으로 발전하며 러시아 제국 내 무역 중심지로 성장, 지중해풍 건축과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격변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전략적 요충지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 흑해의 항구 도시 - 세바스토폴
세바스토폴은 크림반도 남서쪽 흑해 연안의 도시로, 러시아 제국 시대에 흑해 함대의 주요 기지로 건설되어 크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으며, 소련 붕괴 후 러시아에 합병되었으나 우크라이나와 국제 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 노보로시스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일반 정보 | |
![]() | |
![]() | |
| 공식 명칭 | 노보로시스크 |
| 러시아어 명칭 | Новоросси́йск |
| 로마자 표기 | Novorossiysk |
| IPA | nəvərɐˈsʲijsk |
| 아디게어 명칭 | ЦӀэмэз |
| 별칭 | 없음 |
| 국가 | 러시아 |
| 연방 주체 | 크라스노다르 지방 |
| 도시 관할 구역 | 노보로시스크 도시 |
| 도시 округ | 노보로시스크 도시 округ |
| 시장 | 안드레이 크라브첸코 |
| 기념일 | 9월 12일 |
| 설립일 | 1838년 |
| 지리 | |
| 면적 | 81.1 제곱킬로미터 |
| 고도 | 10m |
| 인구 | |
| 2021년 인구 | 262,293명 |
| 2010년 인구 조사 | 241,952명 |
| 인구 순위 | 76위 |
| 2002년 인구 | 232,079명 |
| 1989년 인구 | 185,938명 |
| 행정 | |
| 우편 번호 | 353900–353903, 353905–353907, 353909–353913, 353915–353925, 353960, 353999 |
| 지역 번호 | 8617 |
| 교통 | |
| 항구 | 흑해 최대 항구 중 하나 |
| 기타 정보 |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60년, 이 도시는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노보로시스크의 종소리, 영원한 영광의 불꽃'' (작품 번호 111b)에 기념되었다.
2003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노보로시스크에 흑해 함대 해군 기지를 건설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러시아는 2007년에서 2012년 사이에 새로운 기지 건설에 123억러시아 루블 (약 4.8억달러)을 할당했다. 해안 병력, 항공 및 물류 부대를 포함한 기지의 다른 시설 및 기반 시설 건설은 2012년 이후에도 계속될 것이다.[11] 러시아는 2020년에 80척의 군함과 본부를 세바스토폴에서 노보로시스크 기지로 이전할 계획이었다.[12]
세바스토폴 항만 시설에 대한 러시아의 임대 계약은 2017년에 만료될 예정이었는데, 우크라이나의 일부였던 세바스토폴은 러시아 흑해 함대의 주요 기지였다.[13] 우크라이나는 임대 계약을 갱신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보고되었지만, 2010년 4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25년 동안의 임대 계약과 계약 만료 후 5년 더 연장할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하는 협정에 서명했다.[14] 그러나 2014년 2014년 크림 위기 동안 러시아군이 크림 반도를 점령하면서, 크림 반도는 국제법에 따라 러시아 연방에 의해 불법적으로 점령된 상태가 되어 임대 계약 갱신 문제는 즉시 제기되지 않게 되었다.
2007년 이후 흑해 함대의 새로운 모항 건설이 진행되고 있었으나,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병합으로 세바스토폴이 사실상 러시아령이 되면서 신 모항의 앞날은 불투명해졌다. (기존 모항은 크림반도 끝의 세바스토폴에 있었지만, 이 지역은 우크라이나 영토이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항구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작 시점에는 전선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어 특별히 언급할 만한 것은 없었지만, 같은 해 8월 세바스토폴이 공격을 받자, 노보로시스크 기지에 다수의 잠수함이 이동하는 등 군사 행동을 담당하는 도시가 되었다. 같은 해 11월 22일, 우크라이나 언론은 노보로시스크 시내의 석유 터미널에 공격이 가해졌다고 보도했다. 또한 2023년 8월에는 항구 내에서 대형 상륙함 오렌에고르스키 고르냐크가 무인기의 공격을 받는 영상이 우크라이나 측에서 공개되었다.
2. 1. 고대와 중세
고대 시대, 체메스 만 해안은 곡물 무역을 전문으로 했던 고대 그리스 식민지인 '''바타''' (Βατά|바타grc)의 터전이었다. 스트라보[6]와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서 등에 언급되어 있다.로마와 하자르의 짧은 지배 기간을 거쳐 9세기부터 이 지역은 비잔틴 제국의 케르손 테마에 속했다.
11세기에는 쿠만족이 이끄는 유목민들이 이 지역을 침략하여 지배했다. 그 후, 비잔틴 황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재위 1081–1118)는 노르만 정복 이후 잉글랜드를 떠난 앵글로-색슨족 난민들에게 ''케르손 테마''에 토지를 제공했고, 그 후 비잔틴-영국 식민지가 설립되었다는 증거가 있다. 예를 들어, 중세 항해 지도에는 수사코(Susaco) (또는 ''Susacho'')로 알려진 (노보로시스크가 세워질 곳 근처에 위치한) 항구를 포함하여 쿠반 해안의 지명이 영어 기원을 가질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서식스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다.[7] (같은 지도에는 ''수사코'' 북서쪽에 런던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는 강 ''론디아''도 표시되어 있다.[7])
15세기에는 제노바 출신의 기솔피 가문 상인들이 이 지역에 무역 전초 기지를 유지했다. 2007년 관련 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에서 몇 가지 흥미로운 유물이 발견되었다.[8]
2. 2.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제국
1722년부터 이 만은 '''수주크'''(Sujuk, Sudzhuk, Sudschuk, Soğucak으로도 음역)라는 오스만 제국 요새(''qale'')가 지배했다. 이 이름은 ''수사코''(위 참조)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으며, 1769년까지 이 지역은 유럽 지도에 ''수자코''(Suzako)로 표기되기도 했다.이 해안선은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결과로 1829년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었다. 이후 미하일 라자레프 제독과 니콜라이 라예프스키는 1838년 해안에 흑해 함대의 동부 기지를 세웠다. 노보로시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이 항구는 흑해 연안선으로 알려진 일련의 요새에서 중요한 연결 고리를 형성했으며, 이는 남쪽의 소치까지 이어졌다.
2. 3. 러시아 내전과 제2차 세계 대전
1918년 8월 26일부터 1920년 3월 27일까지는 러시아 내전에서 데니킨 장군이 이끄는 백군의 중요 거점이었으나, 표트르 브란겔 장군의 지휘 아래 백군은 크림으로 철수했다.[9]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2년 9월 10일, 노보로시스크 대부분이 나치 독일군과 루마니아군에 점령되었다.[10] 그러나 1943년 2월 4일부터 225일 동안 소련 해군 부대가 말라야 젬리야로 알려진 도시의 한 부분을 방어했다. 훗날 해군 총사령관이 되는 세르게이 고르쉬코프의 지휘 아래 소련 해병대가 영웅적인 방어를 펼치며 도시의 만 입구를 계속 유지하여, 독일군이 보급을 위해 항구를 사용하는 것을 막았다. 결국 1943년 9월 16일에 붉은 군대가 도시를 탈환했다. 이러한 공로로 노보로시스크는 1973년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2. 4. 현대
1838년 러시아 제국 해군의 흑해 함대 기지가 건설되면서 신설되었다. 노보로시스크라는 이름은 노보로시야 지방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1866년에는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고 19세기 말에는 급속도로 발전했다.러시아 내전 중이던 1918년 8월 26일부터 1920년 3월 27일까지는 러시아 백군의 거점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2년 9월 10일에는 나치 독일 군대에 점령되었지만, 1943년 9월 16일에 소련 군대가 탈환했다. 1973년에는 소련의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1838년 흑해 함대의 동부 기지가 건설되어, 1722년 이래 그 땅을 지배해 온 터키의 요새 수주크 칼레(Sujuk-Qale), 즉 소우주크(Soğucak)를 대체했다. 1918년 8월 26일부터 데니킨 장군의 백군의 중요 거점이 되었지만, 1920년 3월 27일에 표트르 브란겔 장군의 지휘하에 백군은 크림으로 철수했다. 1942년 독일군에 점령되었지만, 1943년 9월 16일 적군에 의해 해방될 때까지 소련 해병대의 소부대가 225일 동안 마을의 일부를 사수했다. 훗날 해군 총사령관이 되는 세르게이 고르쉬코프의 지휘하에 소련 해병대가 영웅적인 방어를 펼치며, 도시의 만 입구를 계속 유지했다. 그 때문에 독일군은 보급을 위해 항구를 사용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노보로시스크는 1973년 영웅 도시 칭호를 받았다.
2007년 이후 흑해 함대의 새로운 모항 건설이 진행되고 있었다. (기존 모항은 크림반도 끝의 세바스토폴에 있었지만, 이 지역은 우크라이나 영토이며,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항구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었다.) 그러나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병합으로 세바스토폴이 사실상 러시아령이 되면서, 신 모항의 앞날은 불투명해졌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작 시점에서는 전선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어 특별히 언급할 만한 것은 없었지만, 같은 해 8월에 세바스토폴이 공격을 받자, 노보로시스크 기지에 다수의 잠수함이 이동하는 등 군사 행동을 담당하는 도시가 되었다. 같은 해 11월 22일, 우크라이나 언론은 노보로시스크 시내의 석유 터미널에 공격이 가해졌다고 보도했다. 또한 2023년 8월에는 항구 내에서 대형 상륙함 오렌에고르스키 고르냐크가 무인기의 공격을 받는 영상이 우크라이나 측에서 공개되었다.
3. 행정 구역
러시아의 행정 구역 내에서, 24개의 농촌 정착지와 함께 '''노보로시스크 시'''로 통합되어 있으며, 이는 구와 동등한 지위를 가진 행정 단위이다.[15] 지방 자치 구역으로, 노보로시스크 시는 '''노보로시스크 시 도시 구'''로 통합된다.[16]
4. 지리

이 도시는 흑해 연안에 위치한다. 아나파와 겔렌지크는 휴양 도시이지만, 노보로시스크는 휴양 도시는 아니다. 노보로시스크 관할 하에 여러 도시형 정착지가 있는데, 가장 유명한 곳은 아브라우-듀르소이다. 아브라우 호 기슭의 작은 마을과 흑해 해안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불구불한 산길로 연결되어 있다.
노보로시스크 지역은 러시아의 주요 포도 재배 지역 중 하나이다. 차르 알렉산드르 3세가 1870년에 설립한 아브라우-듀르소의 와이너리는 국내 소비를 위한 테이블 와인과 스파클링 와인을 생산한다.
4. 1. 기후
노보로시스크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습윤 아열대 기후(Cfa)와 지중해성 기후(Csa)의 경계에 있다. 가장 건조한 달의 강수량이 36mm이고, 여름에 일관되게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 도시는 습윤 아열대 기후 또는 지중해성 기후로만 분류될 수 없다.[33]
5. 인구
| 연도 | 인구 |
|---|---|
| 1897년 | 16,897명 |
| 1926년 | 67,941명 |
| 1939년 | 95,240명 |
| 1959년 | 93,461명 |
| 1970년 | 132,744명 |
| 1979년 | 159,135명 |
| 1989년 | 185,938명 |
| 2002년 | 232,079명 |
| 2010년 | 241,952명 |
| 2021년 | 262,293명 |
6. 경제
노보로시스크는 흑해의 가장 뛰어난 만 중 하나로 고대부터 알려진 비동결 체메스 만의 해안을 따라 펼쳐져 있다. 노보로시스크 상업 해상 항구는 11억달러의 시가 총액을 가지고 있으며, 모스크바 증권거래소와 런던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이곳은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지중해, 남아메리카 지역과의 러시아 해상 무역을 담당하며,[20] 흑해에서 가장 분주한 유류 항구이자 카자흐스탄의 텡기즈 유전에서 출발하는 카스피 송유관 컨소시엄 송유관의 종착지이다.
노보로시스크는 철강, 식품 가공, 금속 제품 및 기타 제조업 생산에 의존하는 산업 도시이기도 하다. 광대한 석회암 채석장은 도시 안팎의 주요 시멘트 공장에 공급된다. 이 도시는 해양 주립 아카데미[21]와 노보로시스크 공과 대학[22]의 본거지이다.
노보로시스크는 러시아의 주요 농산물 수출 항구이며, 얼지 않는 체메스 만에 위치해 있다. 노보로시스크 항구는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지중해, 남아메리카 등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산업 도시로서 강철, 식품, 금속 제품 등 제조업이 활발하다. 이 도시 주변에는 많은 석회암 채석장이 있으며, 그 결과 중요한 시멘트 공장이 입지해 있어 "시멘트 밸리"라고 불리기도 한다. 바쿠 유전과 바쿠-노보로시스크 파이프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노보로시스크 지방은 러시아 와인의 산지 중 하나이다. 인근 아브라우에 있는 와인 양조장에서는 러시아 국내에서 유명한 고품질의 테이블 와인과 스파클링 와인이 만들어지고 있다.
7. 와인 생산
노보로시스크 지역은 러시아의 주요 포도 재배 지역 중 하나이다. 차르 알렉산드르 3세가 1870년에 설립한 아브라우-듀르소의 와이너리는 러시아 국내에서 유명한 고품질의 테이블 와인과 스파클링 와인을 생산한다.[1][2]
8. 교육
노보로시스크 해양국립대학교(http://www.nsma.ru)와 노보로시스크 공과대학교(http://www.nbkstu.org.ru/)가 있다.
9. 교통
노보로시스크는 러시아 최대의 항구이다. 2019년 화물 운송량은 1.425억ton에 달했고,[23] 2021년에는 1.052억ton이었다.[24]
노보로시스크는 철도 및 고속도로를 통해 러시아, 트란스카우카시아, 중앙 아시아의 주요 산업 및 인구 중심지와 연결되어 있다. 노보로시스크 기차역이 있다.
가장 가까운 공항 (겔렌지크 공항, 아나파 공항, 크라스노다르 공항)은 도시에서 각각 33km, 53km, 172km 떨어져 있으며, 러시아의 여러 도시로 운항하는 항공편을 제공한다. 노보로시스크는 크라스노다르, 소치와 철도 및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2019년에 완공된 크림 대교로 크림 반도로의 이동도 용이해졌다. 시내 대중교통은 버스, 트롤리 버스, 마르슈루트카로 구성되어 있다.
10. 스포츠
FC 체르노모레츠 노보로시스크는 이 도시의 축구 팀으로, 러시아 2부 리그에서 활동한다.
11. 주요 건물 및 시설
12. 자매 도시
노보로시스크는 다음과 같은 자매 도시를 두고 있다.[26]
| 도시 | 국가 | 체결년도 |
|---|---|---|
| 플리머스 | Plymouth영어 | 1956년[27] |
| 리보르노 | Livornoit | 1967년 |
| 발파라이소 | Valparaísoes | 1968년 |
| 히혼 | Gijónes | 1986년 |
| 게인즈빌 | Gainesville영어 | 1988년 |
| 바르나 | Варнаbg | 1999년 |
| 풀라 | Pulahr | 1999년[28] |
| 콘스탄차 | Constanțaro | 2002년 |
| 삼순 | Samsuntr | 2007년 |
| 톰스크 | Томскru | 2008년 |
| 가바르 | Գավառhy | 2009년 |
| 노보메스토 | Novo Mestosl | 2010년 |
| 하일브론 | Heilbronnde | 2019년 |
참조
[1]
웹사이트
Мэром Новороссийска стал Андрей Кравченко
https://expertsouth.[...]
2021-12-24
[2]
이미지
Генеральный план городского округа муницип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город Новороссийск Краснодарского края. Схема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ых границ.
http://img-fotki.yan[...]
[3]
참조
2010Census
[4]
웹사이트
Рейтинг крупнейших портов Черного моря {{!}} газета Новый Севастополь
https://web.archive.[...]
2012-10-20
[5]
웹사이트
Expert.ru – Крупнейшие порты России
https://web.archive.[...]
2012-07-27
[6]
웹사이트
11.2.14
http://data.perseus.[...]
[7]
웹사이트
The medieval 'New England': a forgotten Anglo-Saxon colony on the north-eastern Black Sea coast
http://www.caitlingr[...]
2018-02-25
[8]
웹사이트
Официальный сайт администрации города-героя Новороссийска – Content
https://web.archive.[...]
2007-05-25
[9]
웹사이트
Story: The evacuation of Novorossiysk {{!}} Lives of the First World War
https://livesofthefi[...]
2024-06-23
[10]
서적
The Caucasus 1942–43: Kleist’s race for oil
[11]
웹사이트
Novorossiysk Naval Base Construction: First Phase to Finish Late in 2013
http://rusnavy.com/n[...]
[12]
논문
Russian Hybrid Warfare and Its Implications in The Black Sea
https://dergipark.or[...]
2021-07-21
[13]
뉴스
And when the lease on Sevastopol expires?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9-01-09
[14]
서적
The Great Power (mis)Management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11
[15]
문서
Reference Information #34.01-707/13-03
[16]
법률
Law #686-KZ
[17]
웹사이트
Герб Новороссийска
http://www.heraldicu[...]
2024-07-19
[18]
웹사이트
Администрация и Дума города Новороссийска
https://www.admnvrsk[...]
2024-07-19
[19]
웹사이트
Novorossijsk Climate Data
http://climatebase.r[...]
Climatebase
2017-11-06
[20]
논문
Transport and logistics infrastructure of the Krasnodar Krai: Problems and solutions
[21]
웹사이트
Главная
https://web.archive.[...]
2022-02-23
[22]
웹사이트
Home
https://web.archive.[...]
2008-03-09
[23]
웹사이트
Грузооборот Новороссийского торгового порта в 2019 году вырос на 7,8%
https://www.kommersa[...]
[24]
웹사이트
Грузооборот Новороссийского морского торгового порта за год вырос на 3,8%
https://www.kommersa[...]
[25]
웹사이트
Memorial "Malaya Zemlya" – Novorossiysk – TracesOfWar.com
https://www.tracesof[...]
[26]
웹사이트
Межнaродные Связи – Администрация муницип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город-герой Новороссийск
https://web.archive.[...]
2011-12-23
[27]
웹사이트
Plymouth – Town Twinning
https://web.archive.[...]
2013-05-02
[28]
웹사이트
Međunarodna suradnja Grada Pule
https://web.archive.[...]
2012-05-05
[29]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4-30
[30]
뉴스
クリミア軍港にドローン攻撃 各地で激しい戦闘―ウクライナ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22-11-23
[31]
뉴스
ロシア軍艦船への攻撃は保安局、海軍の合同作戦
https://www.cnn.co.j[...]
CNN
2023-08-05
[32]
웹인용
Novorossiysk#Demographics (Russian Wikipedia)
https://ru.wikipedia[...]
[33]
웹인용
Novorossijsk Climate Data
http://climatebase.r[...]
Climatebase
2017-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