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노치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노치카》는 1939년 개봉한 미국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이다. 소련 정부가 혁명으로 몰수한 보석을 판매하기 위해 파견한 세 명의 무역 대표단이 호화로운 생활에 빠지자, 엄격한 공산주의자 니노치카가 감시를 위해 파견된다. 니노치카는 파리에서 매력적인 귀족 레옹을 만나 사랑에 빠지면서 서방 세계의 문화에 매료되고, 결국 레옹과의 사랑을 선택하여 모스크바로 돌아간다. 이후, 니노치카는 레옹을 만나기 위해 이스탄불로 다시 파견되고, 두 사람은 재회한다. 멜키오르 렌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그레타 가르보, 멜빈 더글러스 등이 출연했다. 제1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러 부문에 후보로 올랐고, 미국 국립 영화 등기부에 등재되었으며, 뮤지컬과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른스트 루비치 감독 영화 - 패트리어트 (1928년 영화)
1928년 제작된 무성 영화 《패트리어트》는 에른스트 루비치 감독, 에밀 야닝스 주연으로, 희곡 《파벨 1세》와 소설 《Der Patriot》을 원작으로 하며, 아카데미 최우수 각색상을 수상했으나 현재는 일부 조각만 남아있다. - 에른스트 루비치 감독 영화 - 천국은 기다려준다
《천국은 기다려준다》는 1943년에 개봉한 미국 영화로, 헨리 반 클리브가 사후에 자신의 삶을 되돌아본 염라대왕의 판단으로 천국으로 가게 되면서, 개인의 욕망과 사회적 가치 사이의 갈등과 행복의 의미를 탐구한다. - 정치 풍자 영화 - 디 인터뷰
2014년 개봉한 정치 풍자 코미디 영화 《디 인터뷰》는 김정은 인터뷰를 성사시킨 토크쇼 진행자와 프로듀서가 CIA의 암살 지령을 받으면서 벌어지는 소동을 그린 영화로, 북한의 반발, 해킹 사건, 테러 위협 속에 논란과 화제 속에 개봉하여 평범한 평을 받았다. - 정치 풍자 영화 - 독재자 (영화)
독재자 (영화)는 동아프리카 가상 국가를 배경으로 독재자가 뉴욕 방문 중 겪는 사건들을 코믹하게 그린 영화로, 정치 풍자와 유머를 담았지만, 이슬람 혐오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1939년 영화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영화)
마가렛 미첼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스칼렛 오하라와 레트 버틀러의 사랑, 타라 농장을 지키기 위한 스칼렛의 노력을 그린 역사 로맨스 작품이지만, 흑인 묘사와 남부 백인 중심 시각에 대한 논란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1939년 영화 - 모호크족의 북소리
모호크족의 북소리는 미국 독립 전쟁 시기 뉴욕주 모호크 강 계곡을 배경으로 백인 정착민과 아메리카 원주민 간의 갈등, 사랑, 독립 투쟁을 그린 존 포드 감독의 1939년 영화이다.
니노치카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 | |
원제 | Ninotchka |
감독 | 에른스트 루비치 |
제작 | 에른스트 루비치, 시드니 프랭클린 |
각본 | 찰스 브래킷, 빌리 와일더, 월터 라이시 |
원작 | 멜키오르 렌젤 |
출연 | 그레타 가르보, 멜빈 더글러스, 이나 클레어 |
음악 | 베르너 R. 헤이만 |
촬영 | 윌리엄 H. 대니얼스 |
편집 | 진 루지에로 |
제작사 | 메트로-골드윈-메이어 |
배급사 | 메트로-골드윈-메이어, 센트럴 영화사 |
개봉일 | 1939년 11월 9일 (미국), 1949년 11월 8일 (일본) |
상영 시간 | 110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 비용 | 140만 달러 (추정치) |
흥행 수입 | 230만 달러 |
2. 줄거리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 정부는 귀족에게서 압수한 보석을 판매하여 식량 위기에 대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란노프(지크 루만), 불자노프(펠릭스 브레사르), 코팔스키(알렉산더 그라나크) 세 명의 무역 대표단이 파리로 파견된다.
그러나 이들이 묵는 호텔의 웨이터이자 백 러시아 귀족인 알렉시스 라코닌 백작(그레고리 게이)은 이들의 임무를 우연히 엿듣고, 보석의 원래 소유주인 스와나 대공녀(이나 클레어)에게 이 사실을 알린다. 스와나의 연인인 레옹 달구 백작(멜빈 더글러스)은 보석이 팔리기 전에 되찾아 주겠다며 나서고, 보석상 메르시에(에드윈 맥스웰 (배우))와의 협상 자리에 나타나 보석이 불법적으로 압수된 것이라며 판매를 막는 소송을 제기했음을 알린다. 레옹은 특유의 매력으로 세 대표단에게 호화로운 식사를 대접하며 환심을 사고, 그들의 이름으로 모스크바에 타협을 제안하는 전보까지 보낸다.
이에 분노한 모스크바는 임무 완수와 세 대표단의 귀환을 위해 특별 특사 니나 이바노브나 "니노치카" 야쿠쇼바(그레타 가르보)를 파견한다. 니노치카는 엄격하고 원칙적인 공산주의자로, 파리에 도착하자마자 세 대표단을 임무 태만으로 질책한다. 그녀는 파리의 화려한 여성용 모자를 보고 "저런 모자를 여자에게 씌우는 문명은 멸망할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자본주의 사회에 비판적이다.
니노치카는 호텔 근처 거리에서 우연히 레옹과 마주치지만, 서로의 정체를 알지 못한다. 레옹은 그녀에게 추파를 던지지만 니노치카는 냉담하게 반응한다. 호기심이 생긴 레옹은 에펠탑까지 그녀를 따라가고, 결국 자신의 아파트까지 그녀를 데려간다. 그곳에서 두 사람은 키스를 나누지만, 때마침 걸려온 전화 통화로 서로가 보석을 두고 대립하는 관계임을 알게 되고 니노치카는 즉시 아파트를 떠난다.
레옹은 포기하지 않고 니노치카를 따라다니며 구애하고, 결국 노동자 식당에서 그녀를 웃게 만드는 데 성공하며 니노치카 역시 그와 사랑에 빠진다. 법적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니노치카는 점차 서구 사회와 자본주의의 매력에 빠져든다. 레옹과의 저녁 식사 자리에서는 처음으로 샴페인을 마시고 취하기도 하고, 이 자리에서 보석과 레옹의 애정을 두고 경쟁하는 스와나 대공녀와 마주치게 된다.
다음 날 아침, 숙취에 시달리던 니노치카는 라코닌 백작이 밤사이 보석을 훔쳐 갔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스와나는 니노치카에게 레옹을 포기하고 즉시 모스크바로 돌아간다면 보석을 돌려주고 소송을 취하겠다고 제안한다. 니노치카는 고심 끝에 제안을 받아들이고, 보석을 되찾아 매각 절차를 마무리한 뒤 세 대표단과 함께 모스크바로 돌아간다.
레옹은 뒤늦게 스와나에게 니노치카에 대한 사랑을 고백하지만, 그녀가 이미 떠났다는 소식만 듣게 된다. 그는 니노치카를 따라가려 하지만 귀족 신분 때문에 소련 비자 발급을 거부당한다.
모스크바에서의 삶은 파리와 대조적으로 암울하다. 니노치카는 세 동료를 자신의 공동 아파트에 초대해 파리를 그리워하고, 레옹에게서 편지를 받지만 검열로 인해 내용을 거의 알아볼 수 없어 절망한다.
시간이 흘러, 이란노프, 불자노프, 코팔스키는 콘스탄티노플(현 이스탄불)로 모피 판매 임무를 받아 파견되지만 또다시 임무 수행에 문제를 일으킨다. 상관인 라지닌 위원(벨라 루고시)은 니노치카에게 이들을 조사하고 데려오라는 명령을 내린다.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한 니노치카는 세 사람이 소련으로 돌아가지 않고 러시아 식당을 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니노치카가 이 일을 꾸민 사람이 누구냐고 묻자, 그들은 발코니에 서 있는 레옹을 가리킨다. 레옹은 니노치카를 소련 밖으로 데려오기 위해 세 사람과 함께 계획한 일이었음을 설명하며 함께 있어 달라고 부탁하고, 니노치카는 기쁘게 이를 받아들인다.
영화는 식당 간판에 자신의 이름이 빠진 것에 항의하며 "코팔스키의 이름도 네온에 넣어달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하는 코팔스키의 모습으로 마무리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3. 2. 소련 무역 대표단
소련 무역성의 관리인 이라노프(지그 루만), 불야노프(펠릭스 브레서트), 코팔스키(알렉산더 그라나흐)는 러시아 혁명 당시 귀족에게서 압수한 보석을 파리에서 판매하여 식량난 해결 자금을 마련하라는 임무를 받고 파견된 인물들이다.
이들은 파리에 도착하여 호텔에 머물지만, 백 러시아 망명 귀족이자 호텔 웨이터인 알렉시스 라코닌 백작(그레고리 게이)이 이들의 임무를 우연히 엿듣고 보석의 원래 주인인 스와나 대공부인(이나 클레어)에게 알린다. 스와나의 연인인 레옹 달구 백작(멜빈 더글러스)은 보석 매각을 막기 위해 법적 소송을 제기하고, 세 대표단을 교묘하게 회유한다. 레옹은 호화로운 점심을 대접하며 이들의 환심을 사고, 결국 세 사람은 파리의 자본주의적 생활 방식과 자유로운 분위기에 매료되어 실크 해트를 쓰는 등 점차 임무를 등한시하게 된다.
세 사람의 임무가 지연되자, 모스크바 당국은 강직한 공산주의자 니노치카(그레타 가르보)를 특별 감시역으로 파견한다. 니노치카는 처음에는 임무를 소홀히 한 세 동료를 질책하지만, 그녀 역시 파리의 매력과 레옹 백작과의 사랑에 빠지게 된다. 결국 보석 문제가 해결된 후, 세 대표단은 니노치카와 함께 모스크바로 돌아가지만 파리에서의 자유로운 생활을 그리워한다.
이후 세 사람은 콘스탄티노플 (현 이스탄불)로 모피 판매 임무를 받아 다시 파견되지만, 또다시 상부의 불만을 사게 된다. 이들을 조사하고 귀환시키기 위해 니노치카가 파견되지만, 세 사람은 이미 레옹 백작의 도움으로 콘스탄티노플에 러시아 식당을 열고 소련으로 돌아가지 않기로 결심한 상태였다. 니노치카 역시 결국 이들과 함께 남기로 결정한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는 코팔스키가 자신의 이름이 식당 간판('브리야노프와 아이라노프의 가게')에 빠졌다며 "내 이름도 네온에 넣어달라!"는 플래카드를 들고 시위하는 모습으로 코믹하게 마무리된다.
3. 3. 기타 인물
4. 제작 배경
헝가리 출신 작가 멜키오르 렌젤이 1937년 풀사이드 컨퍼런스에서 제안한 세 문장짜리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당시 MGM은 그레타 가르보에게 적합한 코미디 영화를 찾고 있었기에 렌젤의 아이디어를 채택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볼셰비스트 사상에 젖은 러시아 여자가 무시무시한 자본주의적이고 독점적인 파리에 간다. 그녀는 로맨스를 만나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결국 자본주의도 그리 나쁘지 않다."[11][12][13]
5. 평가 및 영향
(내용 없음)
5. 1. 비평적 반응
영화는 제2차 세계 대전이 유럽에서 발발한 직후인 1939년 말에 개봉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전 세계적으로 227.89999999999998만달러의 수익을 올렸으며, 이 중 미국 내 수익은 118.7만달러, 해외 수익은 109.2만달러였다. 순이익은 13.8만달러를 기록했다.[3] 그러나 소련과 그 위성국가에서는 상영이 금지되었다.
가르보의 첫 토키 영화였던 ''안나 크리스티'' (1930)의 유명한 광고 문구 "가르보가 말한다!"를 활용하여, ''니노치카''는 "가르보가 웃는다!"라는 문구로 홍보되었다. 이는 가르보의 기존 어둡고 우울한 이미지와 대조를 이루려는 의도였으나, 사실 가르보는 이전 작품에서도 여러 번 웃는 장면을 연기한 바 있다.
영화가 라디오 시티 뮤직 홀에서 상영되었을 때, ''뉴욕 타임스''의 영화 평론가 프랭크 S. 너전트는 "더글러스 씨의 쾌활한 연기와, 공작 부인 역의 이나 클레어, 그리고 사악한 세 명의 사절 역을 맡은 지그 루먼, 펠릭스 브레사르트, 알렉산더 그라나치의 연기를 통해, 그리고 루비치 씨의 능숙한 연출과 월터 라이쉬, 찰스 브래킷, 빌리 와일더의 재치 있는 각본을 통해, 이 영화는 훌륭하게 완성되었습니다. 스탈린은, 다시 말하지만, 이 영화를 좋아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당신의 취향이 당의 노선에 너무 가깝게 얽매여 있지 않다면, 우리는 당신이 이 영화를 매우 좋아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고 호평했다.[4]
로튼 토마토에서는 35개의 평론을 바탕으로 97%의 신선도 지수를 기록했으며,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8.4점이다. 로튼 토마토의 비평가 합의는 "그레타 가르보가 커리어 말년에 코미디 재능을 증명해 보인 영화 『니노치카』는 놓칠 수 없는 고전 명작이다."이다.[21]
5. 2. 수상 내역
상 | 부문 | 후보 | 결과 | 참고 |
---|---|---|---|---|
제12회 아카데미 시상식 | 아카데미 작품상 |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 후보 | [5] |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 그레타 가르보 | 후보 | ||
아카데미 각본상 | 멜키오르 렝겔 | 후보 | ||
아카데미 각색상 | 찰스 브래킷, 발터 라이슈, 빌리 와일더 | 후보 | ||
전미 비평가 위원회상 (1939년) | 10대 영화 | 니노치카 | 4위 | [6] |
연기상 | 그레타 가르보 | 수상 | ||
전미 영화 보존 위원회 | 국립 영화 등기부 | 니노치카 | 등록 | [7]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1939년) | 감독상 | 에른스트 루비치 | 후보 | [8] |
여우주연상 | 그레타 가르보 | 후보 |
''니노치카''는 미국 영화 연구소(AFI)의 AFI 100년 시리즈에서 다음과 같이 인정받았다.
5. 3. 문화적 영향
영화는 제2차 세계 대전이 유럽에서 발발한 직후인 1939년 말에 개봉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전 세계적으로 227.89999999999998만달러의 수익을 올렸으며, 이 중 미국 내 수익은 118.7만달러, 해외 수익은 109.2만달러였다. 순이익은 13.8만달러를 기록했다.[3] 그러나 소련과 그 위성 국가에서는 상영이 금지되었다.가르보의 토키 데뷔작인 ''안나 크리스티''(1930)의 유명한 광고 문구 "가르보가 말한다!(Garbo Talks!)"를 활용하여, ''니노치카''는 가르보의 기존 어둡고 진지한 이미지를 깨는 "가르보가 웃는다!(Garbo Laughs!)"라는 문구로 홍보되었다.
1955년, ''니노치카''를 원작으로 한 콜 포터 작곡의 뮤지컬 ''실크 스타킹스''가 브로드웨이 무대에 올랐다. 이 작품에는 힐데가르트 네프와 돈 아메체가 주연으로 출연했다. 이후 MGM은 루벤 마물리안 감독, 프레드 아스테어와 시드 차리스 주연으로 뮤지컬을 영화화한 ''실크 스타킹스''(1957)를 제작했다. ''니노치카''에서 단역으로 출연했던 조지 토비아스는 영화 ''실크 스타킹스''에서 코미사르 마르코비치 역을 맡았고, ''니노치카''의 호텔 매니저였던 롤프 세단은 ''실크 스타킹스''에서 무대 감독으로 카메오 출연했다. ''니노치카''는 이후 다른 영화들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클라크 게이블과 헤디 라머 주연의 ''코마데 X''(1940)와 밥 호프와 캐서린 헵번 주연의 ''철의 속치마''(1956)는 ''니노치카''의 여러 요소를 차용했다.
일본의 영화 감독 구로사와 아키라는 ''니노치카''를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 중 하나로 꼽았다.[15][16]
나치 독일의 선전 장관이었던 요제프 괴벨스는 1940년 6월 9일 회의록에서 "독일 언론은 훌륭한 미국 반소련 영화 ''니노치카''를 봐야 한다"고 언급했으며, 이 영화를 자신이 본 최고의 영화 중 하나라고 평가하기도 했다.[1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8년 이탈리아 총선 기간 동안 미국 국무부는 당시 세력을 넓히던 이탈리아 공산당에 대응하기 위해 영화 배급사들에게 ''니노치카'' 상영을 권장했다.[18]
또한, 1980년대 여성 프로레슬링 단체 Gorgeous Ladies of Wrestling에는 "니노치카 대령(Colonel Ninotchka)"이라는 캐릭터가 등장하기도 했다.
6. 한국과의 관계
1989년 극단 NLT에 의해 '니노치카 페레스트로이카 만만세'라는 제목으로 연극이 상연되었으며, 구로야나기 테츠코, 타테카와 미키, 가하라 나츠코 등이 출연하였다.[22]
참조
[1]
웹사이트
Ninotchka
https://www.tcm.com/[...]
Turner Broadcasting System (Time Warner)
2023-11-29
[2]
뉴스
All-Time 100 Movies
https://web.archive.[...]
Time
2011-10-03
[3]
웹사이트
NINOTCHKA
http://www.garbofore[...]
[4]
뉴스
Nugent, Frank S
https://movies.nytim[...]
The New York Times
1939-11-10
[5]
웹사이트
The 12th Academy Awards (1940)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1-07-11
[6]
웹사이트
1939 Award Winners
https://nationalboar[...]
National Board of Review
2024-03-01
[7]
웹사이트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4-03-01
[8]
웹사이트
1939 New York Film Critics Circle Awards
https://www.nyfcc.co[...]
New York Film Critics Circle
2024-03-01
[9]
웹사이트
America's Funniest Movies
http://www.afi.com/D[...]
American Film Institute
2017-01-28
[10]
웹사이트
AFI's 100 Greatest Love Stories of All Time
http://www.afi.com/1[...]
American Film Institute
2017-01-28
[11]
서적
Hollywood's Cold War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
[12]
서적
Billy Wilder in Hollywood
https://books.google[...]
Hal Leonard Corporation
1977
[13]
서적
The Big Screen: The Story of the Movies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2
[14]
서적
For the Duration. . . : The United States Goes To War
[15]
웹사이트
From Stanley Kubrick to Martin Scorsese: Akira Kurosawa once named his top 100 favourite films of all time
https://faroutmagazi[...]
Far Out Magazine
2022-09-20
[16]
웹사이트
Akira Kurosawa's Top 100 Movies!
http://wildgrounds.c[...]
[17]
간행물
The Secret Conferences of Dr. Goebbels: October 1939-March 1943
Weidenfeld and Nicolson
1970
[18]
서적
Hollywood's Cold War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7
[19]
문서
MGM Feature film Ledger, 1928-47 (Economic Effects of Vertical Disintegration: The American Motion Picture Industry, 1945 to 1955)
http://eprints.lse.a[...]
[20]
문서
ニノチカ
[21]
웹사이트
Ninotchka (1939)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1-04-23
[22]
웹사이트
ニノチカ(ペレストロイカ万々歳)
http://www.nlt.co.jp[...]
劇団NLT
2021-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