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자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재자 (영화)는 가상의 동아프리카 국가 와디야를 배경으로, 잔혹한 독재자 알라딘이 유엔 연설을 위해 뉴욕을 방문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영화이다. 알라딘은 암살 시도, 정체성 상실, 인권 운동가 조이와의 만남 등을 겪으며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된다. 이후 그는 조작된 선거를 통해 권력을 유지하지만, 조이와의 결혼을 통해 유대교에 대한 충격을 받는다. 이 영화는 정치 풍자와 유머를 섞어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상영이 금지되기도 했다. 또한, 이슬람 혐오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아랍 및 무슬림에 대한 고정관념적인 묘사 논란에 휩싸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정치 코미디 영화 - 조조 래빗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나치 독일 점령하 독일에서 나치 이데올로기에 대한 의문을 품고 성장하는 10살 소년 조조 베츨러의 이야기를 그린 코미디 드라마 영화 《조조 래빗》은 타이카 와이티티 감독 연출, 로만 그리핀 데이비스, 토마신 매켄지, 스칼릿 조핸슨, 샘 록웰 등이 출연했으며, 나치즘과 전쟁의 잔혹함을 풍자와 유머로 묘사하면서 인간애와 희망을 전달하여 아카데미 각색상을 수상하는 등 성공을 거두었다. - 미국의 정치 코미디 영화 - 프레지던트 (영화)
1996년 개봉한 미국의 정치 코미디 영화 프레지던트는 전직 대통령들이 음모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코믹하게 풀어냈으며 잭 레먼, 제임스 가너 등이 출연했고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촬영되었다. - 정치 풍자 영화 - 디 인터뷰
2014년 개봉한 정치 풍자 코미디 영화 《디 인터뷰》는 김정은 인터뷰를 성사시킨 토크쇼 진행자와 프로듀서가 CIA의 암살 지령을 받으면서 벌어지는 소동을 그린 영화로, 북한의 반발, 해킹 사건, 테러 위협 속에 논란과 화제 속에 개봉하여 평범한 평을 받았다. - 정치 풍자 영화 - 팀 아메리카: 세계 경찰
《팀 아메리카: 세계 경찰》은 트레이 파커와 맷 스톤이 제작한 2004년 액션 코미디 영화로, 국제 테러에 맞서는 특수 부대 '팀 아메리카'의 활약을 인형극으로 표현하며 과장된 애국심과 유명 인사를 풍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 모로코에서 촬영한 영화 - 바벨 (영화)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감독의 2006년 영화 《바벨》은 모로코, 미국, 멕시코, 일본을 배경으로 언어와 문화적 장벽으로 인한 소통의 부재와 예측 불가능한 결과를 보여주는 네트워크 서사로, 브래드 피트, 케이트 블란쳇, 가엘 가르시아 베르날, 야쿠쇼 코지 등이 출연했으며 아카데미 음악상을 수상하고 일본 개봉 당시 영상 점멸 문제로 논란이 되었다. - 모로코에서 촬영한 영화 - 번!
《번!》은 1844년 앤틸리스 로열 슈거 컴퍼니의 이익을 위해 영국 해군성이 퀘이마다 섬에서 흑인 노예 반란을 조장하는 영화로, 말론 브란도와 에바리스토 마르케스가 주연을 맡아 제국주의의 잔혹함과 억압받는 자들의 저항을 보여주며 식민주의, 제국주의, 노예제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과 사회·정치적 메시지로 인해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
독재자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제목 | 독재자 |
원제 | The Dictator |
![]() | |
감독 | 래리 찰스 |
각본 | 사샤 바론 코헨 알렉 버그 데이비드 만델 제프 셰퍼 |
제작 | 알렉 버그 사샤 바론 코헨 제프 셰퍼 데이비드 만델 스코트 루딘 |
제작 총괄 | 피터 베이넘 앤서니 하인즈 댄 메이저 마리 조 윙클러 |
출연 | 사샤 바론 코헨, 안나 패리스, 벤 킹슬리 |
음악 | 에란 바론 코헨 |
촬영 | 로렌스 셔 |
편집 | 에릭 키삭 그레그 헤이든 |
제작사 | 포 바이 투 필름스 |
배급사 | 파라마운트 영화 |
개봉일 | 2012년 5월 16일 |
상영 시간 | 83분 |
제작 국가 | |
언어 | 영어 히브리어 아랍어 |
제작비 | 6,500만 ~ 1억 달러 |
흥행 수입 | 1억 7,940만 달러 |
2. 줄거리
가상의 동아프리카 국가 와디야 공화국을 철권 통치 아래 둔 독재자 해저프 알라딘 제독 장군은 핵무기 개발 문제로 유엔의 제재 위기에 놓이자 직접 연설을 하기 위해 뉴욕으로 향한다. 그러나 뉴욕 도착 직후, 정권을 노리는 삼촌 타미르의 음모로 납치되어 트레이드마크인 수염을 깎인 채 거리로 내쫓긴다. 타미르는 알라딘과 닮은 대역 에파와드를 내세워 와디야를 명목상 민주화하고 국가의 석유 자원을 외국 자본에 팔아넘기려 한다.
신분을 증명할 수 없게 된 알라딘은 우연히 자유주의적 가치관을 지닌 인권 운동가 조이를 만나 그녀가 운영하는 가게에서 일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과거 자신이 처형했다고 생각했던 핵무기 개발 책임자 나달 박사와 재회하고, 그가 사실 반 알라딘 세력의 도움으로 망명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알라딘은 나달과 함께 삼촌의 음모를 막고 권력을 되찾기 위한 계획을 세우며, 동시에 조이와 사랑에 빠지지만 자신의 과거로 인해 갈등을 겪는다.
결국 알라딘은 타미르와 에파와드가 와디야 민주화 문서에 서명하려는 유엔 행사에 잠입하여 타미르의 음모를 폭로한다. 그는 처음에는 독재를 찬양하는 연설을 하지만, 조이의 모습을 보고 마음을 바꿔 와디야의 민주화를 선언한다. 타미르는 알라딘을 저격하려다 실패하고 체포된다.
1년 후, 와디야에서는 첫 민주 선거가 열리지만 결과는 알라딘에게 유리하게 조작되고, 그는 '대통령-총리'라는 직함으로 여전히 권력을 유지한다. 그는 조이와 성대한 결혼식을 올리지만, 결혼식 도중 그녀가 유대인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어 충격에 빠진다. 영화는 알라딘이 여전히 독재적인 면모를 버리지 못한 채 끝을 맺는다.
2. 1. 와디야 공화국과 알라딘 장군
수년 동안 가상의 동아프리카 공화국 와디야는 잔혹한 독재자 오마르 알라딘의 지배 아래 있었으며, 그의 사후 아들인 해저프 알라딘 제독 장군이 권력을 승계했다. 알라딘은 어린아이 같고 성차별적이며 서구와 반유대주의에 반감을 가진 독재자로, 여성 경호원들을 대동하고 다닌다. 그는 테러리즘을 지원했는데, 특히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에게 피난처를 제공했다. 이는 미국이 빈 라덴의 분신을 사살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또한, 알라딘은 와디야 사전의 여러 단어를 자신의 이름인 "알라딘"으로 바꾸도록 지시했으며, 이스라엘을 파괴하겠다는 명목으로 핵무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었다. 그는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와디야의 풍부한 유전을 외국 자본에 매각하는 것을 거부했다. 이러한 그의 행보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군사 개입을 결의하자, 알라딘은 유엔 본부가 위치한 뉴욕시로 가서 직접 연설하기로 결정한다.
2. 2. 유엔 총회 참석과 납치 사건
와디야 공화국의 독재자 해저프 알라딘은 이스라엘 파괴를 명분으로 핵무기 개발을 진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행보는 국제 사회의 우려를 샀고, 결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와디야에 대한 군사 개입을 결의하기에 이른다. 국제적 압박이 거세지자, 알라딘은 유엔 본부가 있는 뉴욕으로 가서 직접 연설하기로 결정한다.그러나 뉴욕에 도착하자마자 알라딘은 경호 책임자로 위장한 청부살인자 클레이턴에게 납치당한다. 클레이턴은 알라딘의 삼촌 타미르 마프라드가 고용한 인물이었다. 타미르는 알라딘을 제거하고, 조종하기 쉬운 꼭두각시인 목동 에파와드를 내세워 와디야를 명목상 민주화하고 국가의 석유 자원을 외국 자본에 팔아넘기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었다.
납치된 알라딘은 클레이턴의 고문 시도 중 그가 사고로 불에 타 죽으면서 가까스로 탈출한다. 하지만 클레이턴이 그의 상징과도 같은 수염을 깎아버려 아무도 알라딘을 알아보지 못하는 신세가 된다. 한편, 타미르는 불에 탄 클레이턴의 시체를 알라딘으로 오인하고 그가 죽었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계획을 계속 진행시킨다.
2. 3. 알라딘의 탈출과 뉴욕 생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핵무기 개발을 이유로 군사 개입을 결의하자, 알라딘은 유엔 본부가 있는 뉴욕으로 가서 연설을 하기로 결정한다.뉴욕 도착 직후, 알라딘은 경호 책임자로 위장한 청부살인업자 클레이턴에게 납치된다. 이는 알라딘의 삼촌이자 아버지 오마르가 후계자로 삼지 않았던 타미르 마프라드의 소행이었다. 타미르는 알라딘을 제거하고, 자신의 꼭두각시인 어리석은 목동 에파와드를 내세워 와디야를 명목상 민주화하고 외국 자본에 유전을 개방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었다. 알라딘은 클레이턴이 고문 중 실수로 불에 타 죽으면서 가까스로 탈출하지만, 클레이턴이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수염을 깎아버려 아무도 그를 알아보지 못하게 된다. 타미르는 불에 탄 클레이턴의 시체를 알라딘으로 오인하고 그가 죽었다고 생각한다.
민간인 복장으로 뉴욕 거리를 방황하던 알라딘은 '앨리슨 버거스'라는 가명을 사용한다. 그는 우연히 인권 운동가 조이를 만나고, 그녀가 운영하는 사회적으로 진보적인 성향의 협동조합 가게에서 일자리를 제안받는다.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곧 와디야 핵무기 프로그램의 전 책임자였던 '핵' 나달을 만난다. 알라딘은 과거 탄두 설계 문제로 나달을 처형했다고 생각했었다.
알라딘은 나달을 따라 와디야 출신 난민들이 모여 사는 뉴욕의 '리틀 와디야' 지역으로 간다. 그곳에는 알라딘이 처형을 명령했던 수많은 사람들이 운영하고 방문하는 "알라딘에게 죽음을"이라는 식당이 있었다. 자신의 정체를 숨기려 했지만 실패하고 사람들에게 공격당할 뻔한 알라딘을 나달이 구해준다. 나달은 알라딘이 처형을 명령했던 사람들이 사실은 저항 세력이었으며, 처형 집행인들의 도움으로 미국으로 망명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나달은 알라딘이 자신을 다시 핵 프로그램 책임자로 임명하는 조건으로, 타미르의 음모를 막고 알라딘이 권력을 되찾는 것을 돕기로 약속한다.
알라딘은 조이의 가게가 타미르가 서명식을 열 호텔에 음식을 납품한다는 사실을 알고 그녀의 일자리 제안을 수락한다. 알라딘은 조이의 가게 운영 방식을 바꾸며 엄격한 규율을 적용하고, 조이 주변에 개성 숭배 분위기를 조성하기도 한다. 일하는 동안 그는 조이와 가까워지고, 그녀의 강한 신념과 모습에 점차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자신의 진짜 정체를 밝히기로 결심한 후, 과거 자신의 잔혹한 행동 때문에 조이와의 관계는 위기를 맞는다.
2. 4. 나달과의 만남과 복귀 계획
클레이턴의 손에서 벗어난 알라딘은 강제로 수염이 깎여 정체를 숨긴 채 뉴욕 거리를 헤매게 된다. 그는 인권 운동가 조이(아일라 피셔 분)를 만나 그녀의 사회적으로 진보적인 대안 생활 협동조합 가게에서 일자리를 제안받지만 처음에는 거절한다.그러던 중, 알라딘은 자신이 핵무기 개발 책임자 시절 탄두 설계 문제로 처형했다고 믿었던 '핵' 나달(제이슨 맨추커스 분)과 우연히 마주친다.[1][2] 알라딘은 나달을 따라 와디야 출신 난민들이 모여 사는 뉴욕의 '리틀 와디야' 지역으로 향하고, 그곳에서 '알라딘에게 죽음을'이라는 이름의 식당을 발견한다.[2] 이 식당은 알라딘이 처형을 명령했던 수많은 사람들이 운영하며 방문하는 곳이었다.[1] 자신의 정체를 숨기려 했으나 실패하고 사람들에게 공격당할 뻔한 알라딘은 나달의 도움으로 위기를 모면한다.[2]
나달은 알라딘에게 자신이 처형을 명령했던 사람들이 실제로는 반 알라딘 저항 세력의 도움으로 미국으로 망명했으며, 처형 집행인들이 사실 저항 세력이었음을 밝힌다.[1][2] 나달은 알라딘이 자신을 다시 와디야 핵 프로그램 책임자로 임명하는 조건으로, 삼촌 타미르의 음모를 저지하고 알라딘이 권력을 되찾는 것을 돕기로 동의한다.[1][2] 계획의 일환으로, 알라딘은 조이의 가게가 타미르가 와디야 민주화 문서에 서명할 예정인 호텔에 음식을 납품한다는 사실을 알고, 잠입을 위해 그녀의 가게에서 일하기로 한다.[1][2]
2. 5. 민주화 선언과 결혼
알라딘은 조이에게 정직하게 자신의 진짜 모습을 드러내기로 결심한 후 관계가 틀어진다. 조이는 그의 백성에게 너무 잔혹했던 남자를 사랑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새 수염을 구한 알라딘은 호텔로 잠입하여 에파와드에게 자신이 돌아왔음을 알린다.서명식에서 알라딘은 언론 앞에서 타미르가 준비한 서류를 찢어 버리고, 독재의 미덕을 찬양하며 미국의 현안과 의도치 않게 유사점을 드러내는 열정적인 연설을 한다.[1][2] 그러나 연설 도중 방에 있는 조이를 발견하고는 그녀에 대한 사랑을 선언한다. 조이의 신념을 존중하여, 그는 자신의 나라를 민주주의화하고 와디야의 유전을 개방하겠다고 맹세하지만, 그 이익이 일반 대중에게 돌아가는 방식으로 하겠다고 약속한다. 알라딘이 계속 권력을 유지하는 것에 분노한 타미르는 그를 총으로 쏘려 하지만, 에파와드가 총알을 대신 맞고 머리에 총상을 입지만 살아남는다 ("머리가 비어서" 괜찮다는 식의 농담이 나온다). 타미르는 이후 체포된다.[3]
1년 후, 와디야는 첫 번째 민주 선거를 치르지만, 결과는 알라딘에게 유리하도록 조작된다. 그는 기존의 제독 장군 직함에 '대통령-총리'라는 직함을 추가한다. 이후 그는 조이와 결혼식을 올리지만, 결혼식 중 그녀가 유대교 관습에 따라 유리잔을 발로 깨는 것을 보고 그녀가 유대인이라는 사실에 충격을 받는다. 영화 내내 그는 이스라엘을 파괴하겠다고 공언했었기 때문이다.
엔딩 크레딧 장면들에서는 알라딘의 차량 행렬이 친환경 자동차로 바뀌고, 복직된 나달을 방문하는 모습, 그리고 조이가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첫 아이를 임신했다고 밝히는 장면이 나온다. 알라딘은 이 소식에 "아들이야, 아니면 낙태할까?"라고 묻는 것으로 반응한다.[4]
3. 등장인물
(내용 없음)
3. 1. 주요 인물
- 사챠 바론 코헨: 하파즈 알라딘 장군 제독 대통령[15] / 에파와드 역
- 안나 페리스: 조이 역
- 벤 킹슬리: 타미르 마프라드 역 (알라딘의 삼촌)[7][8]
- 제이슨 맨추커스: "핵" 나달 역[7]
- 존 C. 라일리: 클레이튼 역 (크레딧 미표기)[7]
- 바비 리: 라오 씨 역
- 사예드 바드레야: 오마르 알라딘 역 (하파즈 알라딘의 아버지)
- 아딜 악타르: 마로쉬 역
- 프레드 아미센: '알라딘에게 죽음을' 레스토랑 웨이터 역
- 에드워드 노튼: 본인 역 (크레딧 미표기)
- 애덤 르페브르: 헬리콥터 안의 남자 역
- 메건 폭스: 본인 역
- 버스티 하트: 에트라 역
- 크리스 엘리엇: 오그든 씨 역
- 개리 샌들링: 보건 검사 역 (크레딧 미표기)
- 크리스 파넬: 뉴스 앵커 역
- 아시프 만드비: 의사 역
- 리즈완 만지: 환자 역
- 호라시오 산즈: 발코니의 보좌관 역
- 프레드 멜라메드: 핵 과학자 책임자 역
- 조이 슬롯닉: 노숙자 역
- 제시카 세인트 클레어: 드니스 역
- 캐서린 한: 임산부 역
- 안나 카타리나: 앙겔라 메르켈 역
- 케빈 코리건: 슬레이드 역
- J.B. 스무브: 장례식 안내원 역
- 쏜드라 제임스: 친절한 고객 역
- 존 글래서: 불쾌한 고객 역
- 나심 페드라드: 여성 GMW 진행자 역
- 미첼 그린: 조셉 역
- 제니 살다나: 한나 역
- 데이비드 엘-바다위: 알라딘의 스턴트 더블 역
- 션 T. 크리슈난: 웨이터/시리얼을 좋아하는 군인 역
3. 2. 조연
- 사샤 바론 코헨 - 하파즈 알라딘 / 총리 / 앨리슨 버거스[15] 역 및 그의 분신 에파와드 역
- 제이슨 맨추커스 - "핵" 나달[7] 역
- 안나 파리스 - 조이 역
- 벤 킹슬리 - 타미르 마프라드[7][8] 역 (알라딘의 삼촌)
- 존 C. 라일리 (미등장) - 클레이튼[7] 역
- 바비 리 - 라오 씨 역
- 세이드 바드레야 - 오마르 알라딘 역 (하파즈 알라딘의 아버지이자 전임자)
- 아딜 악타르 - 마로쉬 역
- 프레드 아미센 - '알라딘에게 죽음을' 레스토랑 웨이터 역
- 에드워드 노턴 (미등장) - 본인 역
- 애덤 르페브르 - 헬리콥터 안의 남자 역
- 메간 폭스 - 본인 역
- 버스티 하트 - 에트라 역
- 크리스 엘리엇 - 오그든 씨 역
- 개리 샌들링 (미등장) - 보건 검사 역
- 크리스 파넬 - 뉴스 앵커 역
- 아시프 맨드비 - 의사 역
- 리즈원 맨지 - 환자 역
- 호라시오 산즈 - 발코니의 보좌관 역
- 프레드 멜라메드 - 핵 과학자 책임자 역
- 조이 슬롯닉 - 노숙자 역
- 제시카 세인트 클레어 - 드니스 역
- 캐서린 한 - 임산부 역
- 안나 카타리나 - 앙겔라 메르켈 역
- 케빈 코리건 - 슬레이드 역
- J. B. 스무브 - 장례식 안내원 역
- 쏜드라 제임스 - 친절한 고객 역
- 존 글래서 - 불쾌한 고객 역
- 나심 페드라드 - 여성 GMW 진행자 역
- 미첼 그린 - 조셉 역
- 제니 살다나 - 한나 역
- 데이비드 엘-바다위 - 알라딘의 스턴트 더블 역
- 션 T. 크리슈난 - 웨이터/시리얼을 좋아하는 군인 역
- 비제이 노박
- 아제이 나이두
- 엘리야스 퀴레시
- 제프 그로스만
- 안소니 맹가노
4. 제작 과정
파라마운트 픽처스는 이 영화를 "자신이 사랑스럽게 억압해 온 나라에 민주주의가 결코 오지 않도록 목숨을 건 북아프리카 독재자의 영웅적인 이야기"라고 묘사했다.[9] 처음에는 이라크 독재자 사담 후세인의 소설 ''자비바와 국왕'' (''자비바와 왕'')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알려졌으나[10][54], 뉴욕 타임스는 나중에 이것이 각색이 아니라고 보도했다.[15][58] 주인공 에파와드 제독 역을 맡은 사샤 바론 코언은 자신의 연기가 주로 리비아의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를 기반으로 했다고 밝혔다.[11][12][56] 영화는 김정일에게 헌정되었다.[13]
안나 파리스가 연기한 조이 역할에는 원래 크리스틴 위그와 질리언 제이콥스가 고려되었는데, 버라이어티에 따르면 이 역할은 "강력한 즉흥 연기 능력을 요구"했다.[8][55]
초기에는 모로코가 촬영지로 고려되었으나[8][55], 실제 로케이션 촬영은 2011년 6월부터 8월까지 스페인 세비야의 스페인 광장, 푸에르테벤투라섬[14][57], 그리고 뉴욕시에서 진행되었다.[15][58] 사샤 바론 코언은 UN 본부 내부 장면 촬영을 국제연합 측이 허락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UN이 "우리는 많은 독재자들을 대표하며, 그들은 자신들의 묘사에 매우 화낼 것이므로, 거기서 촬영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고 말했다.[16] 이에 대해 당시 UN 사무총장 반기문의 대변인은 "사샤 바론 코헨은 훌륭한 유머 감각을 가지고 있다"고 논평했다.[16] 실제 국제연합 장면들은 뉴욕주 베스페이지에 있는 그러먼 스튜디오의 사운드 스테이지에서 촬영되었다.[17]
영화 속에서 알라딘은 반유대주의자로 묘사되며 이스라엘을 파괴하기를 원하지만, 그가 사용하는 "와디언" 언어는 실제로는 히브리어이다. 이는 배우인 사샤 바론 코언 자신이 유대인이기 때문이다.[18]
5. 마케팅 및 홍보
제46회 슈퍼볼 광고를 위해 예고편이 제작되었다.[59] 예고편 영상에는 버락 오바마, 힐러리 클린턴, 데이비드 캐머런 등이 카다피 대령을 비난하는 2011년 연설 장면이 사용되었다.[60]
2012년 2월, 주연 배우 사샤 바론 코헨이 영화 속 독재자 알라딘 장군의 모습으로 제84회 아카데미 시상식에 참석하는 것을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가 금지했다는 소문이 퍼졌으나, 아카데미 측은 이를 부인하며 "그를 금지한 적은 없지만, (그런 차림으로 참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61] 바론 코헨은 결국 시상식 레드 카펫에 카다피의 아마존 경호대와 비슷한 제복을 입은 여성 경호원 두 명과 함께 등장했다. 그는 북한의 김정일 유골이라고 주장하는 항아리를 들고 있다가 E! 채널 진행자 라이언 시크레스트에게 내용물을 쏟았다. 항아리 속 내용물은 팬케이크 가루였던 것으로 알려졌다.[62]
바론 코헨은 2012년 5월 5일, 알라딘 장군으로 분장하여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위켄드 업데이트(Weekend Update)" 코너에 출연했다. 그는 영화 평론가 A. O. 스콧과 로저 에버트를 고문하여 영화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내고, 마틴 스콜세지 감독을 인질로 잡은 것처럼 보이는 모습을 연출했다.[63] 또한 2012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이후 프랑수아 올랑드의 승리를 축하하는 영상을 공개했으며,[64] 2012년 5월 7일에는 ''데일리 쇼''에 제복을 입은 여성 경호원 두 명과 함께 출연했다.[65]
워싱턴 D.C.에서는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과 교육, 스포츠, 예술, 문화부가 '독재자' 시사회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라는 내용의 가짜 초대장이 우편함에 배달되기도 했다. 이 초대장에는 시사회가 5월 12일 짐바브웨의 무가베 대통령궁에서 열린다고 적혀 있었다.[25]
6. 음악
영화 음악은 에런 배런 코헨이 작곡했다. 사운드트랙 음반 ''독재자 – 영화 음악''은 2012년 5월 8일 Aladeen Records에서 발매되었다.
# | 제목 | 연주자 | 작곡가 | 길이 |
---|---|---|---|---|
1 | 알라딘 마다파카 (넥스트 에피소드) | 나우팔레 "아이와" 알 와합, 엘 타예브 "미스터 티브즈" 이브라힘, 알라딘 제독 장군 | 데이비드 액설로드, 브라이언 베일리, 멜빈 브래드포드, 캘빈 브로더스, 안드레 영 | 2:43 |
2 | Ila Nzour Nebra | 젤랄 함다우이, 운전자 | 젤랄 엘 함다우이, 운전자 | 3:22 |
3 | Habibi | 알리 하산 쿠반 | 알리 하산 쿠반 | 4:21 |
4 | 에브리바디 허츠 | MC 라이 | 윌리엄 베리, 피터 벅, 마이클 스타이프, 마이클 밀스 | 5:28 |
5 | Wahrane Wahrane | 칼레드 | 아메드 와흐디, 칼레드 하지 브라힘 | 4:43 |
6 | 9 투 5 | 미셸 J. 나세르 | 돌리 파튼 | 2:41 |
7 | Goulou L'Mama | 젤랄 함다우이, 셰브 라얀 | 젤랄 엘 함다우이 | 4:01 |
8 | 알라딘 제독 장군의 노래 | 에런 배런 코헨, 오마르 파델 | 에런 배런 코헨, 오마르 파델 | 2:56 |
9 | 렛츠 겟 잇 온 | 모하메드 아메르 | 마빈 게이, 에드워드 타운센드 | 1:57 |
10 | Raoui | 수아드 마시 | 수아드 벤자엘 | 3:46 |
11 | 돈이 서랍 위에 | 에런 배런 코헨, 줄스 브룩스 | 사샤 배런 코헨, 에런 배런 코헨, 알렉 버그, 데이비드 맨델, 제프 섀퍼 | 2:45 |
12 | 우리의 사랑하는 지도자 | 디 알라디니스 | 2:01 | |
총 길이 | 40:44 |
판자비 MC와 제이 지의 "Mundian To Bach Ke"가 예고편에 사용되었으며,[26] 핏불의 "Hey Baby (Drop It to the Floor)"가 두 번째 예고편에 사용되었다.
7. 평가
영화 《독재자》는 비평가들로부터 대체로 엇갈리는 평가를 받았다. 로튼 토마토나 메타크리틱과 같은 리뷰 집계 사이트에서는 평균적인 점수를 기록했으며, 시네마스코어 조사에 따르면 관객 반응 역시 호불호가 갈렸다.[27][28][29]
일부 비평가들은 사샤 배런 코언의 연기와 영화의 정치 풍자를 높이 평가하며 재미있고 도발적인 코미디라고 호평했다. 예를 들어 로저 에버트는 코언을 최고의 코미디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으로 꼽으며 영화의 풍자성을 칭찬했다.[30] 반면, 다른 비평가들은 영화가 저속하고 일관성이 부족하며, 코언의 이전 작품들에 비해 풍자의 날카로움이 무뎌졌다고 비판하기도 했다.[31][39]
영화의 코미디 스타일이 이전의 모큐멘터리 형식에서 벗어나 전통적인 서사 구조를 따른다는 점도 지적되었다.[38] 또한, 일부 비평가들은 이 영화를 고전 코미디 영화인 마르크스 형제의 오리 수프나 찰리 채플린의 위대한 독재자와 비교하기도 했다.[33][34][35][36] 전반적으로 영화는 특유의 도발적인 유머와 정치 풍자로 주목받았으나, 그 표현 방식과 완성도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7. 1. 비평가들의 반응
리뷰 집계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는 222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이 영화에 57%의 지지율과 10점 만점에 평균 5.90점의 평점을 부여했다. 사이트의 비평가 합의 내용은 "극도로 고르지 않지만 일관되게 도발적인 ''독재자''는 정치 풍자 코미디 장르에서 괜찮은 작품이다"라고 요약된다.[27] 메타크리틱에서는 41명의 평론가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58점을 매겨 "혼합적이거나 평균적인 평가"를 나타냈다.[28] 개봉 주말 시네마스코어가 조사한 관객들은 A+에서 F까지의 등급 중 평균 "C" 등급을 주었다.[29]시카고 선타임스의 로저 에버트는 이 영화에 별 4개 중 3개를 주며 "''독재자''는 외설적이고, 역겹고, 도착적이며, 저속하고, 조잡하지만 재미있다. 사샤 배런 코언이 수많은 토크쇼에서 영화를 홍보하는 것을 보고 영화가 데자뷔처럼 느껴질까 걱정했지만, 그렇지 않았다. 그는 현재 활동하는 최고의 코미디 영화 제작자임을 입증했다. 그리고 독재에 대한 그의 연설은 날카로운 정치 풍자를 보여준다"고 평했다.[30][69] 반면, 슬랜트 매거진은 "''독재자''는 올해 최악의 코미디 중 하나가 될 운명이며, 민감한 문제를 다루기보다는 뛰어난 풍자가의 재능이 약화되었음을 보여준다"고 혹평했다.[31] 타임 아웃의 키스 울리히는 별 5개 중 4개를 주며 영화의 오프닝 시퀀스를 "활기차고 재미있는 통렬한 비판"으로, 마지막 독백을 "찰리 채플린과 팀 아메리카: 세계 경찰에 걸맞은 웅장하고 웃긴 클라이맥스 연설"이라고 칭찬했다.[32]
일부 비평가들은 마르크스 형제의 1933년 영화 오리 수프가 이 영화의 일부 장면에 영감을 주었다고 언급했다.[33] 디 A.V. 클럽의 스콧 토비아스는 "알라딘 제독과 루퍼스 T. 파이어플라이(오리 수프의 등장인물)는 같은 계보를 공유하며, '최고의 수염'을 기르든 희극적인 가짜 콧수염을 붙이든 모든 종류의 세계 지도자들에 대한 더 일반적인 경멸을 나타낸다"고 지적했다.[34] 내슈빌 신문의 스콧 윌슨은 "외국인 혐오를 조롱하는 가장 재미있는 영화인 ''오리 수프''의 메아리가 여기에 있다"고 썼다.[35] 롤링 스톤의 피터 트래버스는 바론 코헨의 영화가 "안전한 관습을 피하며 궁극적으로 마르크스 형제의 ''오리 수프''와 찰리 채플린의 위대한 독재자와 비교될 만하다"고 주장했다.[36]
아일랜드 이그자미너는 "사샤 배런 코언은 이 즐겁게 불쾌한 물 밖에 나온 물고기 코미디로 ''브루노''의 죄를 속죄했으며, 이 영화는 정치적 올바름의 눈에 모래를 던진다"고 평가하며, "9·11 테러, 강간, 성 평등, 유대교 등 어떤 주제도 금기시되지 않았으며, 래리 찰스 감독의 이 영화는 사회적 금기를 유쾌하게 짓밟으며, 뉴욕이라는 자본주의 놀이터에서 독재자가 날뛰면서 놓치는 것보다 더 많은 목표물을 맞춘다"고 덧붙였다.[37]
더 타임스는 "''독재자''에서 사샤 배런 코언은 이전 영화들의 코미디 스타일과 과감하게 결별한다. 사기꾼 코미디언으로서 허구의 인물로 유명인과 대중을 속이는 모습은 사라졌다. 보랏과 브루노, 그리고 이 영화에서 그와 감독 래리 찰스가 개척한 모큐멘터리 스타일도 사라졌다. ''독재자''는 피터 셀러스, 토니 핸콕, 또는 마이크 마이어스가 만들었을 법한 전통적인 서사 영화다"라고 분석했다. 또한 "성적으로나 정치적으로 올바른 사람들을 모두 불쾌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38]
워싱턴 포스트는 "다행히 코헨은 불쾌한 인터뷰를 위해 실제 사람들을 습격하는 것을 그만두었다. 하지만 1972년 뮌헨 올림픽을 기반으로 한 Wii 게임을 포함한 초기 개그들은 딱딱한 마초이즘보다 더 맥 빠지고, 할리우드 스타들이 성적인 호의를 파는 것을 다룬 반복적인 농담은 금방 지겨워지며, 강간 농담은 전혀 재미있지 않다는 점을 명확히 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39]
7. 2. 논란
이 영화는 독립국가연합(CIS)의 여러 회원국, 특히 실제 지도자들이 독재자로 자주 묘사되는 국가들에서 상영이 금지되었다. 벨라루스에서는 비공식적으로 영화 상영이 금지되었다고 알려졌으나,[40][41] 국가 관계자들은 디지털 형식으로 배포된 영화를 상영할 시설을 갖춘 영화관이 부족하다고 부인했다.[42] 타지키스탄 당국은 영화 ''독재자''가 자국의 "정신"과 맞지 않는다고 결론지었다.[43]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영화 상영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여겨졌고,[44] 우즈베키스탄에서는 검열을 거쳐 71분으로 단축 상영되었으며,[45] 카자흐스탄에서는 개봉 2주 만에 상영이 금지되었다.[46]CIS 외 지역에서는 파키스탄에서 검열된 버전만 개봉되었고, 말레이시아에서는 영화관 상영이 차단된 것으로 알려졌다.[47] 이탈리아에서는 메간 폭스가 등장하는 장면에서 "이탈리아 총리"라는 대사가 당시 총리였던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를 연상시키지 않도록 일반적인 "정치인"으로 수정되었다.[48]
일부 비평가들은 이 영화가 이슬람 혐오적이라고 비판하며, 특히 대부분 무슬림인 중동 독재자들에 대한 두드러진 고정관념을 지적했다.[49] 또한 등장인물과 배경의 시각적 상징을 통해 아랍인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퍼뜨린다는 지적도 있다. 주인공 알라딘은 상징적인 수염과 전통적인 중동의 특징을 통해 관객들이 그를 아랍인 및 무슬림과 연결 짓도록 유도한다. 영화 전반에 걸쳐 알라딘과 빈 라덴 사이에 시각적, 청각적 유사성을 암시하는 연출은 논란이 되었다.[50] 빈 라덴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입장과 부정적인 묘사는 아랍 독재자들이 테러리스트이고 "야만적"이라는 생각을 더욱 강화한다는 지적이 있다. 영화는 또한 서구와 동구의 시각적 대비를 통해 무슬림과 아랍인이 낙후되었다는 고정관념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알라딘이 뉴욕을 방문할 때 낙타를 타고 도착하는 장면은 자동차 등 현대적인 교통수단이 가득한 도시 배경과 대조를 이룬다.[50] 알라딘이 여러 여성으로 이루어진 "후궁"에 둘러싸여 있는 장면 등 그의 지나친 성욕 묘사는 아랍 여성에 대한 이국적이고 고정관념적인 이미지를 강화한다는 비판도 있다.[51]
일부 부정적인 비평은 가상의 국가 와디야를 묘사하는 방식에서 오리엔탈리즘적 시각, 즉 '타자'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시각적 요소들은 아랍 국가들을 낙후된 곳으로 묘사한다. 와디야는 사막 기후에 위치하며, 건축 디자인은 오스만과 이슬람 양식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그려진다. 이러한 시각적 단서들은 관객들이 "야만적인" 독재자들을 와디야와 유사한 아랍 및 무슬림 국가들과 연관 짓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51]
와디야의 국기는 이라크 국기와 유사하게 디자인되었는데, 이는 와디야를 "오리엔트", 즉 서구보다 열등한 곳으로 묘사하는 것이 할리우드와 서구 미디어가, 특히 정치적 의도가 개입될 때, 동양을 어떻게 바라보고 묘사하는지를 보여주는 또 다른 예라는 지적이다. 이는 알라딘이 서구 국가들과 이스라엘을 공격하기 위해 핵무기를 개발하려는 의도에도 반영되어 있으며, 일부 영화에 대한 부정적인 비평에 따르면 아랍 국가들을 더욱 악마화한다.[51]
7. 3. 이슬람 혐오 및 반아랍주의 논란
일부 평론가들은 이 영화가 이슬람 혐오적이라고 비판하며, 특히 대부분 무슬림인 중동 독재자들에 대한 두드러진 고정관념을 사용한다는 점을 지적한다.[49] 또한, 등장인물과 배경 속 시각적 상징을 통해 아랍인에 대한 고정관념적인 부정적 묘사를 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주인공 알라딘은 상징적인 수염과 전통적인 중동의 특징을 지닌 모습으로 그려져, 관객들이 그의 캐릭터를 아랍인 및 무슬림과 자연스럽게 연결짓도록 유도한다. 영화 전반에 걸쳐 알라딘과 빈 라덴 사이에 시각적, 청각적 유사성을 통해 친밀한 관계를 암시하는 듯한 연출은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50] 이러한 묘사는 빈 라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결합하여, 아랍 독재자들이 테러리스트이며 "야만적"이라는 고정관념을 강화한다는 비판을 받는다.영화는 또한 서구와 동구의 시각적 대비를 통해 무슬림과 아랍인이 낙후되었다는 일반적인 고정관념을 드러낸다. 예를 들어, 알라딘이 뉴욕을 방문하는 장면에서 그와 그의 부하들은 낙타를 타고 도착하는 반면, 도시 배경에는 자동차와 같은 현대적인 교통 수단이 묘사된다.[50] 더 나아가 알라딘이 여러 여성으로 둘러싸인 "후궁" 장면 등 그의 지나친 성욕에 대한 묘사는 아랍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적인 이국적 이미지를 강화한다는 지적을 받는다.[51]
일부 부정적인 비평은 가상의 국가 와디야의 묘사에서 "타자"에 대한 오리엔탈리즘적 시각을 발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와디야는 사막 기후에 위치하고, 건축 디자인은 오스만 및 이슬람 모티브에서 크게 영감을 받는 등 아랍 지역에서 발견되는 특징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 단서들은 관객들로 하여금 "야만적인" 독재자들을 와디야와 유사한 실제 아랍 및 무슬림 국가들과 연관짓도록 유도한다는 것이다.[51]
와디야의 국기가 이라크 국기와 유사하다는 점도 지적되는데, 이는 와디야를 "오리엔트", 즉 서구 국가들보다 열등한 존재로 묘사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할리우드와 서구 미디어가, 특히 정치적 의도가 개입될 때, 동구를 바라보고 묘사하는 방식의 한 예로 여겨진다. 알라딘이 서구 국가들과 이스라엘을 공격하기 위해 핵무기를 개발하려는 설정 역시 일부 비평가들에 의해 아랍 국가들을 더욱 악마화하는 요소로 지적받는다.[51]
참조
[1]
뉴스
The Dictator moves off Dark Shadows release date
https://www.latimes.[...]
2012-04-09
[2]
웹사이트
'The Dictator' (15)
https://www.bbfc.co.[...]
2023-12-15
[3]
웹사이트
The Dictator
http://www.allrovi.c[...]
AllRovi
2012-04-10
[4]
웹사이트
The Dictator
https://boxofficemoj[...]
2012-08-01
[5]
뉴스
'Battleship' Fallout: Lessons From a Box Office Sinking (Analysis)
https://www.hollywoo[...]
2012-05-23
[6]
뉴스
The Dictator: are we right to laugh?
https://www.theguard[...]
2012-05-15
[7]
뉴스
'The Dictator' (2012): Acting Credits
https://movies.nytim[...]
2013
[8]
뉴스
Kingsley joins Baron Cohen's 'Dictator'
https://variety.com/[...]
2011-04-28
[9]
웹사이트
The Dictator Nabs Ben Kingsley
http://www.hollywood[...]
Hollywood.com
2011-04-29
[10]
뉴스
Sacha Baron Cohen's 'The Dictator' to Open in May 2012
https://www.hollywoo[...]
2011-01-20
[11]
뉴스
Sacha Baron Cohen: UN was scared of my 'dictator'
https://www.independ[...]
2012-05-18
[12]
뉴스
Sacha Baron Cohen: Qaddafi inspired "Dictator"
https://www.cbsnews.[...]
CBS News
2012-05-18
[13]
웹사이트
Baron Cohen takes no prisoners as 'The Dictator'
http://www.wcvb.com/[...]
[14]
웹사이트
¿Distingue Fuerteventura en la película de Baron Cohen?
http://www.canarias7[...]
Canarias7
2012-01-13
[15]
뉴스
Comic Guerrilla Tries Sticking With the Script
https://www.nytimes.[...]
2012-05-03
[16]
뉴스
'The Dictator' Star Says UN Banned Him To Protect Dictators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 / Radio Liberty
2012-05-19
[17]
뉴스
'Spider-Man' sequel films at Grumman, Gold Coast Studios
http://www.newsday.c[...]
[18]
웹사이트
'The Dictator': Top Jewish moments
https://jewishjourna[...]
2012-05-11
[19]
뉴스
The Dictator trailer: does Sacha Baron Cohen rule OK?
https://www.theguard[...]
2011-12-15
[20]
저널
Academy: Sacha Baron Cohen Not 'Banned' From Oscars But 'Dictator' Stunt Unwelcome
https://www.hollywoo[...]
2012-02-22
[21]
잡지
Sacha Baron Cohen Dumps 'Ashes' on Ryan Seacrest at Oscars Red Carpet
https://newsfeed.tim[...]
2012-02-27
[22]
웹사이트
'The Dictator' tortures Martin Scorsese on 'SNL'
http://www.digitalsp[...]
2012-05-06
[23]
비디오
Félicitations officielles du Général Aladeen au nouveau président français
https://www.youtube.[...]
ParamountFrance via YouTube
2012-05-06
[24]
웹사이트
'The Dictator' Tells Jon Stewart About His New Bestie, Rick Santorum
http://www.hollywood[...]
[25]
뉴스
Sacha Baron Cohen tries to punk Washington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2-08-05
[26]
웹사이트
'The Dictator' dances to Bhangra tune Panjabi MC's 'Beware (Mundian To Bach Ke)'chosen as official movie song
http://www.theasiant[...]
The Asian Today Ltd.
[27]
웹사이트
The Dictator (2012)
https://www.rottento[...]
[28]
웹사이트
The Dictator
https://www.metacrit[...]
[29]
뉴스
'The Dictator': What the Critics Are Saying
https://www.hollywoo[...]
2012-05-19
[30]
뉴스
The Dictator
http://rogerebert.su[...]
2012-05-09
[31]
웹사이트
The Dictator
https://www.slantmag[...]
2012-05-12
[32]
웹사이트
The Dictator
https://www.timeout.[...]
Time Out New York
2012-05-17
[33]
웹사이트
'The Dictator' demands we taste the 'duck soup'
http://www.wtop.com/[...]
WTOP
2012-05-18
[34]
뉴스
Review: The Dictator
https://www.avclub.c[...]
2012-05-15
[35]
웹사이트
The Dictator's too gentle, but Sacha Baron Cohen may have Duck Soup in him yet
http://www.nashville[...]
2012-05-17
[36]
잡지
The Dictator: Movie Review
https://www.rollings[...]
2012-05-16
[37]
웹사이트
'The Dictator' full of belly laughs
https://www.irishexa[...]
2012-05-17
[38]
뉴스
The Dictator
https://www.thetimes[...]
[39]
뉴스
'The Dictator' movie review
https://www.washingt[...]
2012-05-15
[40]
웹사이트
Какой "Диктатор"?
https://news.tut.by/[...]
2012-05-22
[41]
뉴스
В Таджикистане, Туркмении и Беларуси запретили фильм "Диктатор"
https://www.dw.com/r[...]
2012-05-18
[42]
웹사이트
асилий Коктыш: "Никакой политики в непрокате "Диктатора" нет
https://news.tut.by/[...]
2012-05-22
[43]
뉴스
Tajikistan bans The Dictator
https://www.theguard[...]
2012-05-18
[44]
뉴스
Tajikistan bans The Dictator
https://www.theguard[...]
2012-05-18
[45]
웹사이트
The Dictator shortened after censorship in Uzbekistan
http://www.uznews.ne[...]
2012-05-25
[46]
웹사이트
The Dictator banned 2 weeks after premiere in Kazakhstan.
http://en.tengrinews[...]
[47]
웹사이트
Sacha Baron Cohen In Trouble With The Real Dictators
http://www.entertain[...]
[48]
웹사이트
Toylet | Blog personal
http://www.toylet.it[...]
toylet.it
[49]
학술지
"I haven't heard anything about religion whatsoever": Audience perceptions of anti-Muslim racism in Sacha Baron Cohen's The Dictator
2016-01-01
[50]
웹사이트
Orientalism Goes to the Movies: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Dictator". Cairo Studies in English. 2020 (1)
https://cse.journals[...]
2021-02-01
[51]
웹사이트
The Orientalism of Arabs in Larry Charles Film's ''The Dictator''
https://scholar.goog[...]
2019-09-16
[52]
웹사이트
問題児サシャ・バロン・コーエン主演最新作の日本公開が決定
https://eiga.com/new[...]
映画.com
2012-04-12
[53]
웹사이트
The Dictator
https://www.boxoffic[...]
Amazon.com
[54]
웹사이트
Sacha Baron Cohen's 'The Dictator' to Open in May 2012
http://www.hollywood[...]
2011-01-20
[55]
뉴스
Kingsley joins Baron Cohen's 'Dictator'
http://www.variety.c[...]
2011-04-28
[56]
뉴스
Sacha Baron Cohen: UN was scared of my 'dictator'
http://www.independe[...]
2012-05-18
[57]
웹사이트
¿Distingue Fuerteventura en la película de Baron Cohen?
http://www.canarias7[...]
Canarias7
2012-01-13
[58]
뉴스
Comic Guerrilla Tries Sticking With the Script
http://www.nytimes.c[...]
2012-05-03
[59]
뉴스
'I just bought NBC, I know the final score, enjoy the game': Sacha Baron Cohen stars in special Super Bowl film trailer for The Dictator
http://www.dailymail[...]
2012-02-02
[60]
웹사이트
The Dictator trailer: does Sacha Baron Cohen rule OK?
http://www.guardian.[...]
[61]
학술지
Academy: Sacha Baron Cohen Not 'Banned' From Oscars But 'Dictator' Stunt Unwelcome
http://www.hollywood[...]
2012-02-22
[62]
웹사이트
Sacha Baron Cohen Dumps ‘Ashes’ on Ryan Seacrest at Oscars Red Carpet
http://newsfeed.time[...]
2012-02-27
[63]
뉴스
'The Dictator' tortures Martin Scorsese on 'SNL'
http://www.digitalsp[...]
Digital Spy
2012-05-06
[64]
비디오
Félicitations officielles du Général Aladeen au nouveau président français
http://www.youtube.c[...]
ParamountFrance
2012-05-06
[65]
웹사이트
'The Dictator' Tells Jon Stewart About His New Bestie, Rick Santorum — VIDEO
http://www.hollywood[...]
[66]
뉴스
'The Dictator' Banned in Tajikistan
http://en.rian.ru/wo[...]
2012-05-18
[67]
뉴스
Tajikistan bans The Dictator
http://www.guardian.[...]
2012-05-18
[68]
웹사이트
The Dictator (2012)
https://www.rottento[...]
[69]
웹사이트
The Dictator
http://rogerebert.su[...]
2012-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