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니구치 요시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니구치 요시로는 일본의 건축가로, 1904년 가나자와에서 태어나 1979년 사망했다. 도쿄 제국대학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도쿄공업대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문화공로자와 문화훈장을 수훈했다. 그는 일본 전통 건축과 서구 모더니즘의 조화를 추구하며, 도쿄 국립 근대 미술관, 도쿄 국립 박물관 동양관 등 다수의 건축물을 설계했다. 또한, 메이지 시대 건축물 보존을 위해 메이지무라 마을 건설에 기여했으며, 아들 다니구치 요시오 또한 저명한 건축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건축학회원 - 마에카와 구니오
일본의 건축가 마에카와 구니오는 르 코르뷔지에와 안토닌 레이몬드에게 건축을 배우고 일본 모더니즘 건축 발전에 기여했으며, 기술적 완성도와 인간적 감성을 담아낸 도쿄 문화회관, 가나가와 현립 음악당 등의 작품을 남겼고 단게 겐조를 비롯한 많은 건축가에게 영향을 주었다. - 현대 건축 - 타슈켄트 타워
타슈켄트 타워는 라디오 및 TV 송신을 주 목적으로 하며, 전망 데크와 정원을 갖춘 타워이다. - 현대 건축 -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은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티타늄 외관의 현대미술 미술관으로, 도시 재생의 성공 사례로 평가받지만 젠트리피케이션 논란과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하며, 다양한 현대 미술 작품을 소장하고 대중적 인지도를 높였다. - 정원사 - 이사무 노구치
이사무 노구치는 동서양 융합을 추구하며 조각, 무대 디자인, 가구 디자인, 조경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일본계 미국인 조각가이다. - 정원사 - 무소 소세키
무소 소세키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에서 남북조 시대에 걸쳐 활약한 선승이자 정원 디자이너로, 고다이고 천황과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신임을 받아 겐무 신정과 무로마치 막부의 성립에 기여했으며, 유서 깊은 사찰의 주지를 역임하며 선종을 알리고 독창적인 정원 디자인으로 일본 조경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니구치 요시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다니구치 요시로 |
국적 | 일본 |
출생일 | 1904년 6월 24일 |
출생지 | 일본 제국 이시카와현 가나자와시 |
사망일 | 1979년 2월 2일 |
사망지 | 도쿄도 미나토구 |
자녀 | 다니구치 요시오 |
경력 | |
직장 | 다니구치 요시로 건축 설계 연구소 |
출신 학교 | 도쿄 대학 |
주요 건축물 | |
건축물 | 후지무라 기념당 지치부 시멘트 제2공장 동궁어소 도쿄 국립 박물관 동양관 도쿄 국립 근대 미술관 메이테쓰 버스 터미널 빌딩 |
수상 | |
수상 내역 | 일본 건축 학회상 작품상 (1949년, 1956년) 마이니치 출판 문화상 (1957년) 일본 예술원상 (1961년) 문화 훈장 (1973년) |
2. 약력
연도 | 사건 |
---|---|
1904년 | 가나자와시에서 출생 |
1928년 | 도쿄제국대학 건축학과 졸업 |
1929년 | 도쿄 공업대학 강사[8] |
1930년 | 도쿄 공업대학 조교수 |
1938년-1939년 | 주독일대사관 신축의 일환으로 일본정원 조성을 위해 베를린 출장 |
1942년 | "건조물에 작용하는 풍압의 연구"로 일본건축학회상 학술상 수상 |
1943년 | 도쿄 공업대학 교수, 공학 박사 학위 취득(논문: "건축물의 풍압에 관한 연구") |
1949년 | 후지무라 기념당, 게이오기주쿠 대학 4호관·학생 홀 설계로 일본건축학회상 작품상 수상 |
1956년 | 지치부 시멘트 제2공장 설계로 일본건축학회상 작품상 수상 |
1957년 | 저서 "슈가쿠인 이궁"으로 마이니치 출판 문화상 수상 |
1961년 | "도구 궁어소" 설계 등의 업적으로 일본예술원상 수상[9] |
1965년 | 도쿄 공업대학 정년퇴임, 명예교수 |
1973년 | 문화공로자 현창, 문화훈장 수훈 |
1978년 | 가나자와시 명예 시민[10] |
1979년 | 사망 (향년 74세). 종3위 훈1등 서보장 추증. 묘소는 가나자와시 노다야마 묘지 |
다니구치 요시로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3. 주요 작품
명칭 년도 소재지 비고 도쿄공업대학 수력 실험실 1932년 도쿄도메구로구 현존하지 않음 자택 1935년 도쿄도시나가와구 게이오기주쿠 유치사 1935년 도쿄도시부야구 게이오기주쿠 대학 히요시 기숙사 1938년 가나가와현요코하마시코호쿠구 후지무라 기념당 1947년 기후현나카쓰가와시 DOCOMOMO JAPAN 선정 작품 게이오기주쿠 대학 제3교사(4호관)・대학 학생 홀 1949년 도쿄도 미나토구 현존하지 않음, 일본 건축 학회상 작품상 게이오기주쿠 대학 제2연구실(신만라이샤) 1951년 도쿄도 미나토구 이시카와현 섬유 회관 1952년 이시카와현가나자와시 현・니시마치 교육 연수관 지치부 시멘트 제2공장 1956년 사이타마현지치부시 현・지치부 태평양 시멘트 지치부 공장, 일본 건축 학회상 작품상 도쿄공업대학 창립 70주년 기념 강당 1958년 도쿄도 메구로구 DOCOMOMO JAPAN 선정 작품, 등록 유형 문화재(건축물) 후지무라 기념관 1958년 나가노현고모로시 하라 게이 기념관 1958년 이와테현모리오카시 이시카와현립 미술관 1959년 이시카와현가나자와시 현・이시카와현립 전통 산업 공예관 지도가후치 전몰자 묘원 1959년 도쿄도지요다구 도궁 어소 1960년 도쿄도 미나토구 아오모리현청 1961년 아오모리현아오모리시 분쿄구립 오가이 기념 혼고 도서관 1962년 도쿄도분쿄구 호텔 오쿠라 도쿄 본관 메인 로비[16] 1962년 도쿄도 미나토구 현존하지 않음 나고야 대학 후루카와 도서관 1964년 아이치현나고야시지쿠사구 현・나고야 대학 후루카와 기념관 조센지 1965년 도쿄도 시부야구 료칸 기념관 1965년 니가타현이즈모자키마치 제국 극장 (로비・객석) 1966년 도쿄도 지요다구 야마타네 미술관 1966년 도쿄도주오구 현존하지 않음 이데미쓰 미술관 1966년 도쿄도 지요다구 사이토 모키치 기념관 1967년 야마가타현가미노야마시 메이테쓰 버스터미널 빌딩 1967년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무라구 도쿄 국립 박물관 동양관 1968년 도쿄도 다이토구 도호 트윈 타워 빌딩 1969년 도쿄도 지요다구 현존하지 않음 도쿄 국립 근대 미술관 1969년 도쿄도 지요다구 하치오지 조센지 영원 1971년 도쿄도하치오지시 게이힌칸 일본식 별관 1974년 도쿄도 미나토구 일본 학사원 회관 1974년 도쿄도 다이토구 국립 아스카 자료관 1974년 나라현아스카촌 요시카와 에이지 기념관 1976년 도쿄도오메시 구리모토 도서관 1978년 나가노현 스와군 후지미정 아이치현 도자기 자료관 1978년 아이치현세토시 오키나와 전몰자 위령비 1979년 오키나와현이토만시 가나자와 시립 다마가와 도서관 1979년 이시카와현가나자와시 다니구치 요시오와 공동 설계
4. 저서
권 | 내용 |
---|---|
1 | 건축 기행 |
2 | 건축 평론 |
3 | 건축 수필 |
4 | 작품편 1 |
5 | 작품편 2 |
5. 가계
다니구치 요시로 가계도 | |
---|---|
아버지 | 다니구치 요시지로 - 에도 시대에 선대가 일으킨 구타니 도자기 가마 "킨요도"의 주인. 두 차례 유럽을 방문, 구타니야키를 각지 만국 박람회에 출품하여 수상. 일본 도자 업계를 대표하여 런던 방문.[11] "스이엔"이라는 아호로 그림, 노, 시, 바둑 등을 즐겼으며, 화가와 공예가를 지원.[11] |
아내 | 키누코 (1911년생) - 건축가 마츠이 키요아시(1877-1948)의 둘째 딸.[12] 마츠이 키요아시는 나고야 출신, 1903년 도쿄 제국대학 공과대학 건축학과 (현 도쿄대학 공학부 건축학과) 졸업, 타츠노 킨고 밑에서 도쿄역 설계 주임, 해군 기술자로 전직, 오바야시구미 도쿄 지점장 및 일본 건축 학회 부회장 역임.[11] |
장녀 | 마미코 (1933년생) - 센 소시츠 (14대)의 둘째 아들 나야 요시하루(탄코샤 사장)의 아내. 여자미술대학 졸업. |
장남 | 다니구치 요시오 (1937년생) - 건축가 |
차녀 | 마키코 (1943년생) - 스기야마 야스시의 둘째 아들 스스무 (유니멕스 사장)의 아내. 게이오기주쿠 대학 문학부 철학과 미학미술사 전공 졸업, 도쿄 예술대학 대학원 미술학부 박사 과정 수료.[14][11] |
남동생 | 요시지 - 도쿄 제국대학에서 경제를 공부했지만 병사.[15] |
매형 | 고이 타카오 - 여동생의 남편. 건축가.[11] |
6. 일화
메이지 시대 건축의 대표작인 로쿠메이칸이 해체되는 모습을 야마노테선 열차 안에서 보고 유감스럽게 생각한 것이, 이후 박물관 메이지무라의 구상으로 이어졌다고 한다.[17] 당시 나고야 철도 사장이었던 쓰치카와 모토오와 의견이 맞아 메이지무라 개관을 위해 노력했다. 다니구치와 쓰치카와는 가나자와 제4고등학교 동급생이자 친구였다.
7. 사상과 영향
다니구치 요시로는 전통적인 일본 건축과 서구 모더니즘 사이의 과도기적 시대에 활동하며, 두 양식의 조화를 추구한 건축가이다. 1923년 간토 대지진을 겪으면서, 지진에 강한 새로운 건축 방식을 모색하게 되었다. 유럽의 건축 기술과 독일의 국제 양식에 영향을 받았지만, 동시에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의 고전주의 건축에도 깊은 감명을 받았다.[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니구치는 서구 모더니즘 건축이 일본의 상황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 일본 전통 건축의 미학과 고대 그리스의 고전주의, 국제 양식의 이상적인 순수 미학 등 다양한 요소들을 융합하여 일본에 맞는 새로운 건축을 만들고자 했다. 그는 마에카와와 단게 겐조와 같은 모더니스트들과는 달리, 일본 전통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건축의 가능성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4][5]
그의 작품은 주로 공공 영역의 프로젝트 형태를 취했으며, 중요한 실용적 기능을 수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잃어버린 비극적인 역사와 새로운 이상과 미래에 대한 약속을 심어주는 일본의 문화적 지혜를 전달해야 하는 문화적 실체에 초점을 맞췄다.
7. 1. 모더니즘과 전통의 조화
다니구치 요시로는 전통적인 일본 건축과 서구 모더니즘 사이의 전환기에 활동한 건축가이다. 1923년 간토 대지진 이후, 유럽의 건축 기술과 국제 양식에 주목했다. 특히 독일의 현대 건축 운동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알베르트 슈페어의 지도 아래 일본 대사관 정원을 설계하기도 했다.[2]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니구치는 현대 유럽 건축의 "스타일"이 일본의 문화적 맥락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했다. 그는 일본 전통 건축의 미학, 고대 그리스 고전주의, 르 코르뷔지에와 미스 반 데어 로에로 대표되는 국제 양식의 순수 미학, 바우하우스 건축의 이상 등 다양한 요소들을 융합하여 새로운 건축 방식을 모색했다. 그는 강철과 콘크리트라는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여, 지진에 강한 도시를 건설하는 데 집중했다.[4]
다니구치는 마에카와 구니오, 단게 겐조와 같은 모더니스트들과는 다른 길을 걸었다. 그의 작품은 일본 전통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건축의 가능성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5] 그는 전통과 현대의 연결 고리로 여겨지기도 한다.[6]
다니구치는 주로 공공 건축물 설계에 참여했으며, 교육 시설, 박물관, 극장, 문화 센터 등 다양한 건물을 통해 일본의 문화적 가치를 전달하고자 했다. 또한, 1952년부터 역사 보존 운동에 참여하여 일본 문화재 전문가 위원회와 일본 문화청에서 활동했다.[7] 1965년에는 메이지 무라 마을 건설에 참여하여,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제국 호텔을 포함한 메이지 시대 건축물들을 보존하는 데 기여했다.
7. 2. 역사 보존 운동
메이지 시대 건축의 대표작인 로쿠메이칸이 해체되는 모습을 야마노테 선 차 안에서 보고 유감스럽게 생각한 것이, 이후 박물관 메이지무라의 구상으로 연결되었다고 한다.[17] 당시 메이테쓰 사장 쓰치카와 모토오와 의견이 맞아 메이지무라 개관을 위해서 노력했다. 다니구치와 쓰치카와는 가나자와 제4고등학교의 동급생으로 친구였다.1952년에는 역사 보존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일본 문화재 전문가 위원회와 일본 문화청에 합류했다.[7] 1965년에는 메이지무라 마을을 건설했는데, 이곳은 그에게 영감을 준 일본의 메이지 시대 건축과 서양 건축에 대한 일본적 해석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현대 작품의 대규모 재건 및 구조를 위한 나고야 북쪽에 위치한 거대한 단지이며, 여기에는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제국 호텔이 포함되어 있으며, 1968년에 해체되어 다니구치의 지휘 아래 메이지 무라에서 조심스럽게 조각조각 재건되었다.
참조
[1]
서적
New Japanese Architecture
Praeger
1960
[2]
간행물
Yoshiro Taniguchi and His Work
Shinkenchiku-sha
1966-05
[3]
서적
Banraisha : Taniguchi Yoshirō to Isamu Noguchi no kyōsōshi
Kajima Shuppankai
2006
[4]
서적
Contemporary Architects
The Macmillan Press LTD
1980
[5]
간행물
Yoshiro Taniguchi and His Work
Shinkenchiku-sha
1966-05
[6]
간행물
The Architects: Japan
EMAP Publishing LTD
1962-09
[7]
서적
Banraisha : Taniguchi Yoshirō to Isamu Noguchi no kyōsōshi
Kajima Shuppankai
2006
[8]
뉴스
私の履歴書 谷口吉生(4)父設計の自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6-04
[9]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東京本社
1961-04-15
[10]
웹사이트
名誉市民
https://www4.city.ka[...]
2022-07-21
[11]
뉴스
私の履歴書 谷口吉生(2)芸術と縁深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6-02
[12]
문서
松井清足
https://jahis.law.na[...]
1928-07
[13]
웹사이트
永谷園ホールディングス役員構成
http://www.ullet.com[...]
[14]
웹사이트
萬來舎―谷口吉郎とイサム・ノグチの協奏詩
https://www.kinokuni[...]
2021-08-19
[15]
뉴스
私の履歴書 谷口吉生(3)疎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6-03
[16]
뉴스
柔らかな光を生む、そろばん玉のように連なる「切子玉形」の照明は古墳時代の首飾りを模した。テーブルと椅子は上から見ると梅の花のよう
日本経済新聞
2014-08-18
[17]
뉴스
明治建築の何に彼はひかれたのだろう。▼れんが造りのなかは天井に竹のすのこが組まれ、窓の光を反射し伸びやかな空間をつくっている教会堂。石造りの壁に花の文様をいくつも刻み、雰囲気を和らげている電話交換局――。明治村に集めたものは、日本で育まれた素材や意匠を西洋建築に上手に織り込んでいる。そこに谷口の視線は注がれていたのではないか
日本経済新聞
2014-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