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르기어는 북동부 코카서스어에 속하는 언어이며, 다르긴어군에 속하는 방언 연속체이다.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을 중심으로 칼미크 공화국, 한티-만시 자치구, 체첸 공화국 등 러시아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며,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42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40개 이상의 자음을 포함하는 풍부한 음소 목록이 특징이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동캅카스어족 - 인구시어
잉구시어는 북동카프카스어족 나흐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잉구셰티야 공화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러시아어와 함께 공용어이고, 복잡한 음운 및 문법 구조, 20진법 수 체계, 동사-두 번째 어순(V2)이 특징적이다. - 북동캅카스어족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 다게스탄 공화국 - 쿠미크인
쿠미크인은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등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북카프카스 지역 최대 튀르크계 민족이며, 킵차크어족에 속하는 쿠미크어를 사용하고, 19세기부터 러시아의 재정착 정책과 1944년 강제 이주 등 민족 말살 정책의 피해를 입었다. - 다게스탄 공화국 - 레즈기어
레즈기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와 아제르바이잔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레즈기어파에 속하며 54개의 자음과 18개의 격을 갖는 특징을 보인다.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다르기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다르와어 |
원어 이름 | дарган мез |
로마자 표기 | dargan mez |
아랍 문자 표기 | دارگان مەز |
사용 지역 | 북캅카스 |
사용 국가 |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
민족 | 다르긴족 |
사용자 수 (2020년) | 587,391명 (다르긴 제어 전체) |
언어 계통 | 북동캅카스어족 다르긴어파 북-중앙 (미번역) (미번역) 및 Urakhi |
문자 | 키릴 문자 |
ISO 639-2 | dar |
ISO 639-3 | dar |
Glottolog | darg1241 (North-Central Dargwa) sout3261 (Southwestern Dargwa) |
언어 활력 | 취약 |
방언 | |
주요 방언 | (미번역) (표준 문어) (미번역) (미번역) (미번역) (미번역) (미번역) (미번역) (미번역) (미번역) |
2. 분류
다르긴어군에 속하는 북동부 코카서스어의 방언 연속체이다. 카이탁어, 쿠바치어, 이차리어, 치라그어 등은 종종 다르기어의 변종으로 간주되지만, 일부 학자들은 별개의 언어로 보기도 한다. 코랴코프(2012)는 남서 다르기어가 북중 다르기어보다 카이탁어에 더 가깝다는 결론을 내렸다.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다게스탄 공화국에는 429,347명, 칼미크 공화국에는 7,188명, 한티-만시 자치구에는 1,620명, 체첸 공화국에는 680명의 다르기어 사용자가 있으며, 러시아의 다른 지역에도 수백 명의 다르기어 사용자가 있다.[5] 다게스탄 중부에서 사용되는 라크 방언의 사용자는 다게스탄에 142,523명,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에 1,504명, 한티-만시에 708명이 있다.
다르기어는 다른 캅카스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40개 이상의 자음을 포함하는 방대한 음소 목록을 가지고 있으며, 정확한 자음 수는 방언에 따라 다르다.[6] 유성음, 성문 폐쇄음화(방출음으로), 강화(겹자음으로 나타남), 마찰음은 다르기어 자음의 몇 가지 뚜렷한 특징이다. 특히 메흐웨브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서 후두개 방출음을 포함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한데, 이는 음소적으로 사용하는 세계 유일의 언어일 수 있다.[6]
3. 지리적 분포
4. 음운론
다르기어는 5개의 홀소리(/i/, /e/, /ə/, /a/, /u/)를 가진다. 홀소리 /i/, /u/, /a/는 /iˤ/, /uˤ/, /aˤ/로 인두화될 수 있다. 또한 메흐웨브(Mehweb) 방언에서는 /uˤ/가 인두화된 중후설 홀소리 [oˤ]로 나타나기도 한다.[6]
4. 1. 닿소리 (자음)
다른 캅카스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다르기어는 40개 이상의 자음을 포함하는 방대한 음소 목록으로 유명하며, 정확한 개수는 방언에 따라 다르다.[6] 유성음, 성문 폐쇄음화(방출음으로), 강화(겹자음으로 나타남), 마찰음은 다르기어 자음의 몇 가지 뚜렷한 특징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메흐웨브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서 후두개 방출음을 포함한다는 점인데, 이는 음소적으로 사용하는 세계 유일의 언어일 수 있다.[6] 다음 표는 다르기어의 문학 방언에 대한 것이다.
colspan="2" rowspan="2"| | 순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
---|---|---|---|---|---|---|---|---|---|---|
평음 | 치찰음 | |||||||||
비음 | ||||||||||
파열음/ 파찰음 | 무성음 | rowspan="3" | | rowspan="3" | | |||||||
방출음 | ||||||||||
유성음 | ||||||||||
마찰음 | 무성음 | 1 | ||||||||
유성음 | 2 | |||||||||
전동음 | ||||||||||
접근음 |
출처는 "유성" 및 "성문 폐쇄음화" 파열음을 모두 포함하는 자음 열에 "후두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소 모호하다. 유성 성문 파열음은 만들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성문이 닫혀 있어야 하고 방출 자음은 성도 위쪽에 추가적인 폐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명확해질 때까지, 이 행은 후두개음 열과 성문 파열음으로 기록되었으며, 이는 다른 많은 동캅카스 언어에서도 발견된다.
4. 2. 홀소리 (모음)
다르기어는 5개의 홀소리(/i/, /e/, /ə/, /a/, /u/)를 가진다. 홀소리 /i/, /u/, /a/는 /iˤ/, /uˤ/, /aˤ/로 인두화될 수 있다. 또한 Mehweb 방언에서는 /uˤ/가 인두화된 중후설 홀소리 [oˤ]로 나타나기도 한다.[6]
5. 문자
현재 다르기어 문자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
아 | 베 | 베 | 게 | 거 | 겨 | 그 | 데 | 예 | 요 | 제 | 제 |
---|---|---|---|---|---|---|---|---|---|---|---|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Гъ гъ | Гь гь | Гӏ гӏ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이 | 이 | 카 | 커 | 켜 | 크 | 엘 | 엠 | 엔 | 오 | 페 | 퍼 |
И и | Й й | К к | Къ къ | Кь кь | Кӏ кӏ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Пӏ пӏ |
에르 | 에스 | 테 | 터 | 우 | 에프 | 하 | 허 | 혀 | 흐 | 체 | 처 |
Р р | С с | Т т | Тӏ тӏ | У у | Ф ф | Х х | Хъ хъ | Хь хь | Хӏ хӏ | Ц ц | Цӏ цӏ |
체 | 쳐 | 샤 | 샤 | 트바르도즈나크 | 이 | 먀흐키즈나크 | 에 | 유 | 야 | ||
Ч ч | Чӏ чӏ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5. 1. 키릴 문자
현재 다르기어 알파벳은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아 | 베 | 베 | 게 | 거 | 겨 | 그 | 데 | 예 | 요 | 제 | 제 |
---|---|---|---|---|---|---|---|---|---|---|---|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Гъ гъ | Гь гь | Гӏ гӏ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이 | 이 | 카 | 커 | 켜 | 크 | 엘 | 엠 | 엔 | 오 | 페 | 퍼 |
И и | Й й | К к | Къ къ | Кь кь | Кӏ кӏ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Пӏ пӏ |
에르 | 에스 | 테 | 터 | 우 | 에프 | 하 | 허 | 혀 | 흐 | 체 | 처 |
Р р | С с | Т т | Тӏ тӏ | У у | Ф ф | Х х | Хъ хъ | Хь хь | Хӏ хӏ | Ц ц | Цӏ цӏ |
체 | 쳐 | 샤 | 샤 | 트바르도즈나크 | 이 | 먀흐키즈나크 | 에 | 유 | 야 | ||
Ч ч | Чӏ чӏ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최초의 다르기어 알파벳은 19세기 말 페터 폰 울라르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다르기어의 우라히 방언을 위한 문법인 Хюркилинский язык|label=noneru에 게재되었다.
1920년대의 라틴 알파벳은 유니코드에서 완전히 지원되지 않지만, 대략 다음과 같다.[7]
a ʙ c ç ꞓ d e ə f g ǥ ƣ h ħ ⱨ i j k ⱪ l m n o p ᶈ q ꝗ r s ş t ţ u v w x ҳ ӿ z ƶ ⱬ ƶ̧
(여기서 전사된 문자 ''ⱨ ⱪ ᶈ ҳ ⱬ''은 후크 대신 세디유가 있을 수 있다. 출처의 인쇄가 명확하지 않다.)
5. 2. 문자 체계 비교표
페터 폰 울라르가 19세기 말에 최초의 다르기어 알파벳을 만들었으며, 이는 우라히 방언을 위한 문법인 ''Хюркилинский язык|label=noneru''에 게재되었다.[7] 1920년대에는 라틴 알파벳이 사용되었고, 1920년부터 1928년까지는 아랍 문자가, 현재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알파벳이 사용된다.[8]현대 키릴 문자 | 1930년경 라틴 문자 | 우슬라르 | 아랍 문자 (1920–1928) | 아랍 문자 (1920년 이전) | IPA |
---|---|---|---|---|---|
А а | A a | а | ا ,آ | آ | a |
Б б | B b | б | ب | b | |
В в | V v | ԝ | و | w | |
Г г | G g | г | گ | ڮ | g |
Гъ гъ | Ƣ ƣ | ӷ | غ | ʁ | |
Гь гь | H h | һ | ھ | ﻬ | h |
ГӀ гӀ | Ⱨ ⱨ | ꜧ | ع | ʕ | |
Д д | D d | д | د | d | |
Е е | E e, je | e | اە | - | e, je |
Ё ё | - | ɵ | |||
Ж ж | Ƶ ƶ | ж | ژ | ج | ʒ |
З з | Z z | з | ز | z | |
И и | I i | i | اى | - | i |
Й й | J j | j | ى | ي | j |
К к | K k | кᷱ | ک | k | |
Къ къ | Q q | к | ڠ | ق | q: |
Кь кь | Ꝗ ꝗ | q | ق | qʼ | |
КӀ кӀ | Ⱪ ⱪ | қ | گ | kʼ | |
Л л | L l | л | ل | l | |
М м | M m | м | م | m | |
Н н | N n | н | ن | n | |
О о | O o | о | او | - | o |
П п | P p | п | پ | ف | p |
ПӀ пӀ[9] | ԥ | ڢ | ب | pʼ | |
Р р | R r | р | ر | r | |
С с | S s | с | س | s | |
Т т | T t | т | ت | t | |
ТӀ тӀ | T̨ t̨ | ҭ | ط | t’ | |
У у | U u | у | او | و | u |
Ф ф | F f | - | ف | f | |
Х х | X x | х | خ | χ | |
Хъ хъ | Ӿ ӿ | k | څ | ق | q |
Хь хь | Ҳ ҳ | ؼ | x: | ||
ХӀ хӀ | Ħ ħ | ح | ħ | ||
Ц ц | Ꞩ ꞩ | ц | ڝ | ژ | ʦ |
ЦӀ цӀ | Ⱬ ⱬ | წ | ڗ | ژ | ʦ’ |
Ч ч | C c | ч | چ | tʃ | |
ЧӀ чӀ | Ç ç | ჭ | ج | چ | ʧ’ |
Ш ш | Ş ş | ш | ش | ʃ | |
Щ щ | şş | - | ʃː | ||
Ъ ъ | - | ء | - | ʔ | |
Ы ы | - | ɨ | |||
Ь ь | - | ||||
Э э | E e | - | اه | - | e |
Ю ю | ju | - | ju | ||
Я я | Ә ә, ja | ӕ | أ | - | ja |
- | Ⱬ̵ ⱬ̵ | ђ | ڞ | - | t͡s |
- | Ӡ ӡ | - | |||
- | є[10] | - | ڃ | چ | |
- | g̵[10] | гᷱ | ݢ | - |
6. 문법
다르기어는 문법적으로 복잡한 언어에 속한다.
6. 1. 동사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동사' 섹션의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참조
[1]
엑셀
1.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2]
엑셀
Том 5.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и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Таблица 7. Население наиболее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https://rosstat.gov.[...]
[3]
서적
A grammar of Sanzhi Dargwa
http://langsci-press[...]
Language Science Press
2019
[4]
학위논문
[5]
간행물
Lakkische Studien by Karl Bouda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1952-01-03
[6]
서적
The Mehweb language: Essays on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Berlin: Language Science Press
[7]
웹사이트
НЭБ - Национальная электронная библиотека
https://viewer.rsl.r[...]
[8]
서적
О формировании и развитии письменности народов Дагестана
[9]
문서
Introduced in the 1960s
[10]
문서
Excluded in 1932
[11]
서적
A Grammar of Icari Dargwa
Lincom GmbH
2003
[12]
웹사이트
Consonant Systems of the Northeast Caucasian Languages on TITUS DIDACTICA
http://titus.fkidg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