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캅카스 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캅카스 제어는 캅카스 지역에서 사용되는 여러 언어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크게 남캅카스어족, 북서캅카스어족, 북동캅카스어족으로 분류된다. 이 세 어족은 일반적으로 캅카스어족으로 묶이며, 약 1,120만 명의 화자가 사용한다. 캅카스 지역의 언어들은 파열음, 교착어적 구조, 능격성 등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 캅카스 제어의 계통 관계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 중이며, 북캅카스어족 가설, 이베리아-캅카스어족 가설 등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었다. 이 외에도 인도유럽어족, 튀르크어족, 신아람어, 몽골어족 언어 등 다양한 언어들이 캅카스 지역에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캅카스 - 북캅카스
    북캅카스는 대캅카스산맥 북쪽 사면과 캅카스산맥 북쪽 스텝 지대를 포함하는 지리적 명칭으로, 아조프해, 흑해, 카스피해에 접하며 비옥한 흑토 지대에서 농경과 목축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언어와 종교를 가진 민족들이 거주하며 러시아에서는 높은 생명 기대 수명을 보이는 지역이다.
  • 캅카스 - 남캅카스
    남캅카스는 코카서스 산맥 남쪽에 위치하며 아르메니아, 조지아, 아제르바이잔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자원이 풍부하며 정치적 긴장이 높은 곳이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캅카스 제어
지리적 위치
언어 정보
사용 지역코카서스 지역
언어 계통불확실
하위 언어카르트벨리어족
북캅카스어족
나흐다게스탄어족
언어 통계
총 사용자 수약 1200만 명
문자 체계
주요 문자조지아 문자, 키릴 문자, 라틴 문자
역사
연구 역사기원과 계통에 대한 다양한 가설 존재
추가 정보
언어적 특징복잡한 자음 체계
다양한 문법적 특징

2. 카프카스 제어의 분류

카프카스 지역에는 고유하게 존재하는 세 개의 어족이 있다. 이들은 보통 '''카프카스어족'''으로 묶이며, 약 1,120만 명의 화자가 사용한다.[3] 이 세 어족은 다음과 같다.


  • '''카르트벨리어족''': 남캅카스어족 또는 이베리아어족이라고도 불리며, 총 화자 수는 약 430만 명이다.
  • '''북동카프카스어족''': 나흐-다게스탄어족 또는 카스피어족이라고도 불리며, 총 화자 수는 약 430만 명이다.
  • '''북서캅카스어족''': 아브카스-아디게어족, 체르케스어족 또는 폰토스어족이라고도 불리며, 총 화자 수는 약 200만 명이다.


이 세 어족이 하나의 조상 언어에서 갈라져 나왔는지(이베리아-카프카스어족 가설)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논의가 있었지만 아직 명확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북동카프카스어족과 북서캅카스어족 사이에는 계통적인 관계가 있다는 견해(북카프카스어족 가설)가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카프카스 제어는 문법적으로 교착어의 특징을 보이며, 능격 언어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주변의 인도유럽어족이나 튀르크어족과는 뚜렷한 연관성이 보이지 않아 언어섬으로 간주된다.

한편, 카프카스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피레네 산맥 부근의 바스크어 역시 계통이 불분명한 언어인데, 카프카스 제어와 같은 어족을 이룬다는 가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고대 그리스인로마인이 카프카스 지역을 "이베리아"라고 불렀다는 점을 근거로, 이곳에서 스페인으로 이주한 민족이 바스크인의 조상이 되었고 이베리아 반도라는 명칭도 여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지만, 아직 두 언어 집단 간의 연관성은 명확히 증명되지 않았다.

2. 1. 카프카스 고유어족

카프카스 지역에는 고유하게 존재하는 세 개의 어족이 있다. 이들은 보통 '''카프카스어족'''으로 묶이며, 약 1,120만 명의 화자가 사용한다.[3]

  • '''카르트벨리어족''' (남캅카스어족 또는 이베리아어족): 총 화자 약 430만 명.
  • 조지아어: 조지아의 공용어. 약 400만 명.
  • 스반어: 약 1만 4천 명.
  • 밍그렐리아어: 약 34만 5천 명.
  • 라즈어: 약 2만 2천 명.
  • '''북동카프카스어족''' (나흐-다게스탄어족 또는 카스피어족): 총 화자 약 430만 명.
  • 체첸어: 약 170만 명.
  • 아바르어: 약 100만 명.
  • 다르긴어: 약 59만 명.
  • 인구시어: 약 50만 명.
  • 레즈긴어: 약 80만 명.
  • '''북서캅카스어족''' (아브카스-아디게어족, 체르케스어족 또는 폰토스어족): 총 화자 약 200만 명.
  • 카바르디나어: 약 100만 명.
  • 아디게어: 약 61만 명.
  • 압카스어: 약 19만 명.
  • 아바자어: 약 8만 5천 명.


북동캅카스어족과 북서캅카스어족은 자음 음소가 매우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우비크어는 최대 80~84개의 자음을 가진다. 반면, 남캅카스어족의 자음 음소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으로, 조지아어는 28개, 라즈어는 30개 정도이다. 이는 러시아어 (최대 37개), 아랍어 (28개), 서유럽 언어들(보통 20개 이상)과 비슷한 수준이다.

카프카스의 토착 언어들은 몇 가지 지역적 특징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파열음을 사용하고, 고도로 교착적인 구조를 가지며, 밍그렐리아어를 제외하면 대부분 어느 정도 능격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 중 일부는 오세티아어처럼 오랫동안 카프카스 지역에서 사용된 다른 언어들과도 공유된다 (오세티아어는 파열음은 있지만 능격성은 없다).[1]
체첸어
잉구시어

  • * 아발-안디어군
  • ** 아발어
  • ** 안디어군

안디어
아흐바흐-틴디어
* 아흐바흐어
* 카라타-틴디어
** 카라타어
** 보틀리흐-틴디어
*** 보틀리흐어
*** 고도베리어
*** 차마랄어
*** 바그발랄-틴디어
바그발랄어
틴디어

  • * 체즈어군
  • ** 체즈-히누흐어

체즈어
히누흐어

  • ** 베지타-훈지브-크발시어

베지타어
훈지브어
크발시어

  • * 라크어
  • * 다르긴어군
  • ** 다르긴어
  • ** 카이타그어
  • ** 쿠바치어
  • ** 이차리어
  • ** 치라그어
  • * 히날루그어
  • * 레즈기어군
  • ** 아르치어
  • ** 사무르어군

동사무르어군
* 타바사란어
* 레즈기어
* 아굴어
* 우디어
남사무르어군
* 크리츠어
* 부두흐어
서사무르어군
* 루툴어
* 차훌어

2. 2. 기타 어족

캅카스 지역에서 역사적으로나 현재 사용되는 언어 중에는 캅카스 고유 어족 외에 더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이 있다.

가장 널리 퍼진 어족은 인도유럽어족이다. 이 중 아르메니아어가 가장 널리 쓰이며, 아르메니아인 약 670만 명이 사용한다. 오세트인이 사용하는 오세티아어는 약 70만 명의 화자를 가진 또 다른 주요 언어 집단이다. 그 외에도 그리스어(폰토스 그리스어), 페르시아어(타트 페르시아어 포함), 쿠르드어, 탈리시어, 유대계 타트어 등이 쓰인다. 또한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와 같은 슬라브어파 언어 사용자도 상당수 있으며, 이들 인도유럽어족 언어 사용자들은 캅카스 전체 인구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셈어족에 속하는 두 가지 신아람어 방언도 쓰인다. 약 3만 명이 사용하는 아시리아 신아람어와 약 1,000명이 사용하는 보흐탄 신아람어가 있다. 이 두 방언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아시리아인 학살을 피해 캅카스 지역으로 이주한 아시리아인들에 의해 전파되었다.

시르바니 아랍어로 알려진 아랍어 방언은 중세부터 20세기 초까지 아제르바이잔과 다게스탄 일부 지역에서 모어로 쓰였다.[7][8] 19세기에는 다게스탄 산악 지대에서 가장 수준 높은 문어 아랍어가 사용되었다고 여겨진다.[9]

여러 튀르크어족 언어들도 쓰인다. 이 중 아제르바이잔어가 가장 널리 쓰이는데, 아제르바이잔에 약 900만 명, 이란 북서부에 1천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다. 그 외 카라차이-발카르어, 쿠믹어, 노가이어, 튀르키예어, 투르크멘어, 우룸어 등이 쓰인다.

동아시아에서 온 오이라트 사용자의 후손들이 사용하는 칼미크어몽골어족에 속한다.

3. 카프카스 제어 간의 계통 관계

19세기 비교언어학이 탄생한 이래, 외견상 고립된 캅카스 제어의 수수께끼는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이들은 캅카스 제어끼리 또는 캅카스 지역 외부의 언어와의 관계를 밝히려고 노력해왔다.[3][4] 특히 북동캅카스어족북서캅카스어족 상호 간의 관계, 또는 고대 아나톨리아와 북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와의 관련성을 밝히려는 시도가 주목받고 있다.[4][5]

캅카스 지역의 세 주요 어족(남캅카스어족, 북서캅카스어족, 북동캅카스어족)이 모두 하나의 조상 언어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이베리아-캅카스어족 가설'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지만 아직 학계의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 반면, 북동캅카스어족북서캅카스어족 사이에 계통적 관계가 있다는 '북캅카스어족 가설'은 상대적으로 더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캅카스 제어의 전체 화자 수는 약 500만에서 600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 중 조지아어 화자가 약 400만 명을 차지한다. 문법적으로는 교착어, 능격 언어의 특징을 보이며, 지리적으로 인접한 인도유럽어족이나 튀르크어족과는 계통적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아 언어섬으로 간주된다.

한편, 캅카스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피레네 산맥 부근의 바스크어 역시 계통이 불분명한 언어인데, 일부에서는 캅카스 제어와 같은 어족을 형성한다는 가설을 제기하기도 한다. 고대 그리스인로마인들이 캅카스 지역을 '이베리아'라고 불렀다는 사실과 연관지어, 이곳에서 스페인으로 이주한 민족이 바스크인의 조상이며 이베리아 반도라는 명칭도 여기서 유래했다는 설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들은 아직 언어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

3. 1. 북캅카스어족 가설

19세기 비교언어학이 탄생한 이래, 외견상 고립된 캅카스 지역 언어들의 관계는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학자들은 캅카스 지역 언어들끼리, 또는 지역 외부 언어와의 관계를 밝히려고 노력해왔다.[3][4] 여러 제안 중 북동캅카스어족북서캅카스어족 사이의 관계, 또는 고대 아나톨리아나 북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된 언어와의 관련성 연구가 비교적 유망한 것으로 여겨진다.[4][5]

세르게이 스타로스틴(Sergei Starostin)과 같은 일부 언어학자들은 북동캅카스어족(나흐-다게스탄어족)과 북서캅카스어족(압하스-아디게어족)이 서로 관련이 있다고 보고, 이 둘을 하나의 북캅카스어족(때로는 캅카스어족 또는 단순히 캅카스어라고도 함)으로 통합할 것을 제안했다. 이 가설은 남캅카스어족을 제외하고 북캅카스 지역의 두 어족만을 묶는다는 특징이 있다.[6] 실제로 이 두 어족은 여러 유사점을 공유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형태소가 단 하나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독특한 형태론적 구조 때문에 두 어족을 비교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아직까지 이들의 계통 관계를 명확하게 증명하지는 못했다.[5]

캅카스 지역의 세 어족(남캅카스어족, 북서캅카스어족, 북동캅카스어족)이 모두 하나의 조상 언어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이베리아-캅카스어족 가설'도 오랫동안 논의되었지만, 아직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결론은 없다. 반면, 북동캅카스어족과 북서캅카스어족 사이에 계통적 관계가 있다는 북캅카스어족 가설은 상대적으로 더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편, 캅카스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피레네 산맥 부근의 바스크어 역시 계통이 불분명한 고립된 언어인데, 일부에서는 캅카스 제어와 같은 어족을 형성한다는 가설을 제기하기도 한다. 고대 그리스인로마인들이 캅카스 지역을 '이베리아'라고 불렀다는 사실과 연관지어, 이곳에서 스페인으로 이주한 민족이 바스크인의 조상이며 이베리아 반도라는 명칭도 여기서 유래했다는 설도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들은 아직 언어학적으로나 역사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

3. 2. 이베리아-카프카스어족 가설

남캅카스어족(카르트벨리어족), 북서캅카스어족, 북동캅카스어족은 캅카스 지역의 주요 어족들이다. 19세기 비교언어학이 등장한 이후, 이들 고립된 언어들의 관계는 많은 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어 왔다. 학자들은 캅카스 지역 내 어족들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아나톨리아나 북부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언어들과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노력해왔다.[3][4][5]

이러한 연구 과정에서 일부 학자들은 모든 캅카스 언어(남부와 북부 모두)를 하나의 어족으로 묶으려는 시도로 '''이베리아-카프카스어족'''이라는 가설을 제안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남캅카스어족과 북캅카스어족(북서캅카스어족과 북동캅카스어족) 사이에는 뚜렷한 연관성이 밝혀지지 않았다.[5] 반면, 북동캅카스어족과 북서캅카스어족 사이의 계통적 관계를 설정하는 북캅카스어족 가설은 상대적으로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캅카스 제어의 전체 화자 수는 약 500만에서 600만 명으로 추산되며, 이 중 조지아어 화자가 약 400만 명을 차지한다. 문법적으로는 교착어와 능격 언어의 특징을 보이며, 지리적으로 인접한 인도유럽어족이나 튀르크어족과는 계통적 연관성이 없어 언어섬으로 간주된다.

한편, 캅카스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피레네 산맥 부근의 바스크어 역시 계통이 불분명한 언어로, 캅카스 제어와 같은 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고대 그리스인로마인들이 캅카스 지역을 '이베리아'라고 불렀다는 사실과 연관지어, 이곳에서 스페인으로 이주한 민족이 바스크인의 조상이 되었고 이베리아 반도의 명칭도 여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지만, 이러한 연관성은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3. 3. 기타 가설

19세기 비교언어학이 등장한 이래, 외견상 고립된 캅카스 제어의 기원은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어왔으며, 이들은 캅카스 제어 내부 또는 외부 언어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노력해왔다.[3][4] 가장 주목받는 가설 중 하나는 북동캅카스어족북서캅카스어족 사이의 관계, 또는 이들 언어가 과거 아나톨리아나 북부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된 언어들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4][5]

몇 가지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

캅카스 제어의 세 어족(남캅카스, 북서캅카스, 북동캅카스)이 단일한 어족을 이룬다는 이베리아-캅카스어족 가설은 오랫동안 논의되었으나 아직 학계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하지만 북동캅카스어족북서캅카스어족 사이에 계통적 관계가 있다는 북캅카스어족 가설은 비교적 유력하게 받아들여진다.

한편, 캅카스 지역에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피레네 산맥 부근의 바스크어 역시 계통이 불분명한 고립어로, 캅카스 제어와 같은 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고대에 캅카스 지역이 그리스인로마인에게 '이베리아'로 불렸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이곳에서 스페인 지역으로 이주한 민족이 바스크인의 조상이며 '이베리아 반도'라는 명칭도 여기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캅카스 제어와 바스크어 사이의 연관성은 아직 언어학적으로 증명되지 않았다.

4. 어휘 비교

아래는 코카서스어족의 세 어족 모두에 대한 기본 어휘 항목을 선별한 것이다.

원시 북동 코카서스어[10]원시 북서 코카서스어[11]원시 카르트벨리어[12]조지아어
*(b)ul, *(b)al*b-la*twal-tvalikat
이빨*cVl-*ca원시 조지아-잔어 *ḳb-il-k’bilikat
*maʒ-i*bza*nena-enakat
손, 팔*kV, *kol-*q’a*qe-xelikat
등(몸의)*-uqq’*pxázurgikat
심장*rVk’u / *Vrk’u*g°ə*gul-gulikat
고기*(CV)-(lV)ƛƛ’*Lə원시 조지아-잔어 *qorc-xorcikat
*bVrVg*dəɣa*mz₁e-mzekat
*baʒVr / *buʒVr*məʒa*tute-mtvarekat
*(l)ončči*č’ə-g°ə (원시 체르케스어)dedamiʦ’akat
*ɬɬin*psə (원시 체르케스어)원시 조지아-잔어 *c̣q̣a-ʦ’q’alikat
*c’ar(i), *c’ad(i)*məć’°a원시 조지아-잔어 *ʓec₁xl-cecxli; xanʒarikat
*rV-uqq’ / *rV-uƛƛ’*tq°a*ṭuṭa-perplikat
*-eqq’ / *-aqq’*məʕ°á원시 조지아-잔어 *gza-gzakat
이름*cc’Vr, *cc’Vri*(p’)c’a*ʓ₁ax-e-saxeli; gvarikat
죽이다*-Vƛ’*ƛ’ə́k’vlakat
태우다*-Vk’*ca; *bla/ə*c₁x-ʦ’vakat
알다*(-)Vc’*ć’acodnakat
검은색*alč’i- (*ʕalč’i-)*ć’°ašavikat
둥근*goRg / *gog-R-mrgvalikat
마른*-aqq’(u) / *-uqq’*ʕ°ə́*šwer-, *šwr-mšralikat
얇은*(C)-uƛ’Vl-*č’°a원시 조지아-잔어 *ttx-el-txelikat
무엇*sti-*sə-tʰə; *śə-da (원시 체르케스어)*ma-rakat
하나*cV (*cʕV ?)*za원시 조지아-잔어 *ert-ertikat
다섯*(W)-ƛƛi / *ƛƛwi*txᵒə*xut-xutikat


참조

[1] 논문 The myth of the Caucasian Sprachbund: The case of ergativity
[2] 서적 Languages of the World: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Origin of Vedas https://books.google[...] Notion Press 2019-08-12
[4] 논문 11. The comparative method in Caucasian linguistics De Gruyter Mouton
[5] 논문 Grammaticalization in the North Caucasian languages
[6] 서적 North Caucasian Etymological Dictionary http://starling.rine[...] Asterisk Press
[7] 서적 Arabic As a Minority Language Walter de Gruyter
[8] 서적 In Quest for God and Freedom: The Sufi Response to the Russian Advance in the North Caucasus C. Hurst & Co.
[9] 서적 The North Caucasus Barrier: The Russian Advance Towards the Muslim World C. Hurst & Co.
[10] 논문 The Nakh-Daghestanian consonant correspondences John Benjamins
[11] 서적 Common West Caucasian: The Reconstruction of its Phonological System and Parts of its Lexicon and Morphology Research School CNWS, School of Asian, African, and Amerindian Studies
[12]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Kartvelian Languages Mouton de Gruy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