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빙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빙궈는 중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구이저우성 출신의 투자족이며, 쓰촨 대학교에서 러시아어를 전공했다. 그는 1973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헝가리 주재 대사, 외교부 부부장을 거쳐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국제부 부장을 역임했다. 2008년 국무위원에 임명되었으며, 후진타오 주석을 대신하여 G8 정상회담에 참석하고 미중 전략 및 경제 대화 특별 대표를 지냈다. 2013년 국무위원에서 물러난 후 지난 대학교 회장을 역임했으며, 시진핑 주석을 대표하여 자크 시라크 전 대통령 추모식에 참석했다. 후진타오 행정부 시절 중국의 핵심 이익 개념을 발전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자족 사람 - 선충원
중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 문학 연구가인 선충원은 후난성 출신으로 향토색 짙은 작품들을 통해 중국 시골 문학의 한 흐름을 형성했으며, 《변성》 등의 소설과 수많은 단편, 장편 소설을 남겼고, 후에는 미술 및 문화 역사 연구에 매진하다 1990년대에 재평가되었다. - 투자족 사람 - 마상린
마상린은 조선 시대 무신으로, 태창제 시기부터 군사 활동을 시작하여 후금과의 전투 및 여러 반란 진압에 공을 세웠으나, 숭정 15년 샹양 방어전에서 전사하였다. - 쓰촨 대학 동문 - 천원칭
천원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고위 공산당 관리이자 법률 전문가로, 국가안전부장과 중앙정법위원회 서기를 역임하며 시진핑 주석의 반부패 운동을 주도하고 중국 내부 안보 강화에 힘쓰고 있다. - 쓰촨 대학 동문 - 바진
중국의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바진은 5·4운동의 영향으로 아나키즘 사상에 심취하여 사회 비판적인 작품을 발표했으며, 대표작인 '격류 3부작'과 '애정 3부작'을 통해 봉건적 가족 제도와 부조리를 비판했고, 문화대혁명 기간 탄압 이후 복권되어 수상록을 통해 문화대혁명을 반성하고 현대문학관 및 문혁 박물관 건립을 제창하는 등 사회 활동을 펼치며 중국 문학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다이빙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다이빙궈 |
원어 이름 | 戴秉国 |
로마자 표기 | Dai Bingguo |
출생일 | 1941년 3월 31일 |
출생지 | 중화민국 귀주성 인장 투자족 먀오족 자치현 |
국적 | 중화인민공화국 |
직업 | 외교관, 정치인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
학력 | 쓰촐 대학 러시아어 전공 중국 외교학원 |
주요 경력 | |
지난대학교 이사장 | 시작: 2013년 11월 15일 종료: 2019년 11월 15일 총장: 후쥔 → 쑹셴중 전임: 첸웨이창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위원 | 시작: 2008년 3월 17일 종료: 2013년 3월 16일 총리: 원자바오 |
중앙외사공작위원회판공실 주임 | 시작: 2005년 4월 종료: 2013년 8월 총서기: 후진타오 → 시진핑 외교부장: 리자오싱 → 양제츠 전임: 류화추 후임: 양제츠 |
2. 생애
다이빙궈는 구이저우성 인장 현 출신의 투자족으로, 쓰촨 대학교와 외교학원에서 러시아어를 전공했다. 1973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외교 분야에서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헝가리 대사, 외교부 부부장,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국제부 부장 등을 역임하며 외교 전문가로 성장했다. 특히 북한 핵 위기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국무위원으로 임명되어 중국 외교 정책 결정에 참여했다.
2009년에는 후진타오 주석을 대신해 G8 정상회담에 참석했고, 미국-중국 전략 및 경제 대화에서 중국 측 특별 대표를 맡는 등 국제 무대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2013년 정계 은퇴 후에는 지난 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다이빙궈는 구이저우성 인장 현의 한 마을에서 태어났으며, 투자족 소수 민족 출신이다. 쓰촨 대학교 외국어과를 졸업하고 러시아어를 전공했으며, 이후 외교학원에서 공부했다. 1964년 쓰촨 대학교를 졸업한 후 1965년 외교부에 입부했고, 1973년 6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1]2. 2. 외교 경력
다이빙궈는 1973년 6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89년부터 1991년까지 헝가리 주재 중국 대사를 지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에서 여러 해 동안 근무했다. 1993년 12월 부외교부장으로 승진했고, 1995년 6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의 "외교 시스템"에서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국제 연계 시스템"으로 전출되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국제부 부부장이 되었다. 1997년 8월, 중국 공산당 제15차 전국대표대회 직전에 국제부 부장으로 승진했다. 2003년 5월, 외교부로 복귀하여 2008년 4월까지 부부장으로 재직하면서 북한 핵 위기를 처리했다. 2008년 3월, 국무위원 겸 국무원 당 그룹 멤버로 임명되었다.
2009년 7월 8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을 대신하여 이탈리아 라퀼라에서 열린 G8 정상회담에 참석했다.[1] 후진타오는 2009년 7월 우루무치 폭동으로 인해 정상회담을 떠나야 했다.

2012년 10월 7일, 개인 자격으로 중국 본토를 방문한 셰창팅 전 중화민국 행정원 원장을 베이징에서 만나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2013년 3월, 임기 만료로 국무위원에서 물러났고 중국 정치에서 은퇴했다.
2019년 9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대표하여 프랑스 정부가 자크 시라크 전 대통령을 위해 파리에서 개최한 추모식에 참석했다.
다이빙궈의 외교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65년 | 외교부 입부 |
1973년 6월 | 중국 공산당 입당, 소련 동유럽국 국원, 구 소련 대사관원을 거쳐 다시 소동유럽국으로 돌아와 국장 역임 |
1989년 ~ 1991년 | 헝가리 주재 중국 대사 |
1991년 | 부장조리(차관보) |
1994년 ~ 1995년 | 외교부 부부장 |
1995년 7월 |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외 연락부 부부장 |
1999년 7월 ~ 2003년 4월 | 대외 연락부장 |
2005년 |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외사판공실 주임, 중일 종합 정책 대화에서 일본의 야치 쇼타로 외무차관(당시)과 교섭 |
2006년 | 아베 신조 총리의 첫 외유인 전격 방중을 야치와 협상하여 선글라스로 변장하고 "사장"의 이름으로 극비리에 방일[4] |
2008년3월 17일 |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외교 담당 국무위원 (부총리급)으로 선출 |
2012년 10월 7일 | 베이징에서 개인적으로 중국 대륙을 방문했던 대만의 셰창팅 전 행정원장과 회담, 쌍방의 관심사에 대해 의견 교환 |
2012년11월 14일 | 제18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지 않아 중앙위원에서 퇴임[5] |
2013년 3월 | 국무위원 퇴임 |
2. 3. 주요 외교 활동
2009년 7월 우루무치 폭동으로 인해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이 G8 정상회담을 떠나야 했기 때문에, 2009년 7월 8일 다이빙궈는 후진타오를 대신하여 이탈리아 라퀼라에서 열린 G8 정상회담에 참석했다.[1]다이빙궈는 2009년 후진타오에 의해 미국-중국 전략 및 경제 대화 전략 트랙을 주재하는 중국 측 특별 대표로 임명되었다.
2012년 10월 7일, 다이빙궈는 개인 자격으로 중국 본토를 방문한 셰창팅 전 중화민국 행정원 원장을 베이징에서 만났다. 다이와 셰는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2019년 9월, 다이빙궈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대표하여 프랑스 정부가 자크 시라크 전 대통령을 위해 파리에서 개최한 추모식에 참석했다.
2. 4. 은퇴 이후
2012년 10월 7일, 다이빙궈는 개인 자격으로 중국 본토를 방문한 셰창팅 전 중화민국 행정원 원장을 베이징에서 만나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2013년 3월, 다이빙궈는 임기 만료로 국무위원에서 물러나 중국 정치에서 은퇴했다.
2013년 11월 지난 대학교 회장이 되었고[2], 2019년 11월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2019년 9월, 다이빙궈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대표하여 프랑스 정부가 자크 시라크 전 대통령을 위해 파리에서 개최한 추모식에 참석했다.
3. 핵심 이익 개념 발전
후진타오 행정부 시절, 다이빙궈는 중국의 "핵심 이익" 개념을 발전시켜 중국 외교 정책 결정의 주요 목표를 정의했다.[3] 핵심 이익은 중국 공산당의 권력 유지, 중국의 지속적인 사회 경제적 성장, 그리고 중국의 주권과 영토 보전이다.[3] 중국은 이러한 핵심 이익을 다른 국가가 넘어서는 안 되는 레드라인으로 간주한다.[3]
- 2010년 12월, "중국 공산당에 의한 통치를 유지하는 것은 국가의 핵심 이익"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4. 개인
다이빙궈의 장인은 전 중화인민공화국 문화부 부장 황전이다.
참조
[1]
뉴스
Chinese President Hu Jintao cancels G8 attendance
http://www.marketwat[...]
MarketWatch
2009-07-10
[2]
서적
China's Rising Foreign Ministry: Practices and Representations of Assertive Diplomacy
Stan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Contemporary China: a New Superpower?
Routledge
[4]
뉴스
サングラスで変装 「社長」と呼ばせ極秘来日 安倍氏訪中めぐる秘話明かす 中国元外交トップ回顧録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6-04-20
[5]
간행물
習近平指導部の人事と発足時の基本方針
http://www.jri.co.jp[...]
日本総合研究所
[6]
웹사이트
'中특사' 다이빙궈는 누구인가
http://www.yonhapnew[...]
2010-11-28 # 추정 날짜. 더 정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7]
웹사이트
다이빙궈 국무위원 전격 방한
http://news.mk.co.kr[...]
2010-11-28 # 추정 날짜. 더 정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8]
웹사이트
김정일, 다칭서 다이빙궈와 회동(종합2보)
http://www.yonhapnew[...]
2011-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