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로, 1949년 10월 1일 설립되었다. 초대 외교부장은 저우언라이 총리가 겸임했으며, 이후 국무원 산하 부서로 개편되었다.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혼란을 겪었으나, 덩샤오핑 집권 이후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개혁을 단행했다. 외교부는 외교부장(장관급)을 중심으로 29개의 부서를 두고 있으며, 홍콩 및 마카오 특별행정구에 주재판공처를 운영한다. 또한 중국인민외교학회와 중국외교대학을 통해 민간 외교 및 외교 인력 양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 중화인민공화국 수리부
중화인민공화국 수리부는 중국의 수자원 관리를 담당하는 중앙 정부 기관으로, 용수 허가, 관개 시설 관리, 수자원 보전, 홍수 및 가뭄 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주요 강 유역별 위원회를 지휘·감독한다.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 중화인민공화국 교통운수부
중화인민공화국 교통운수부는 중국의 철도, 도로, 수로, 항공 등 교통 시스템 발전과 정책 집행을 총괄하는 국무원 산하 부처로, 여러 기관 통합과 기능 이관을 통해 영향력이 확대되었으나,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 정보 공개 부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외무부 - 미국 국무부
미국 국무부는 1789년에 설립되어 외교 정책을 담당하며, 현재는 세계 각국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유지하며, 조약 협상 및 국제기구 활동 등을 수행한다. - 외무부 - 외무·영연방부
영국의 외무·영연방부는 국가 안보를 최우선으로 외교 정책과 국제 개발을 책임지며, 경제적 이익 증진, 지속가능한 성장, 영사 서비스 제공 등을 주요 정책 목표로 하는 정부 부처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 6자 회담
6자 회담은 북한 핵무기 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6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회담으로, 2003년부터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나 2009년 북한의 탈퇴 선언 이후 재개되지 못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대외 관계 -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
주부산 중국 총영사관은 중화인민공화국이 부산광역시에 설치한 영사관으로, 1993년 설립되어 부산, 울산, 대구, 경상북도, 경상남도를 관할하며, 국민의 여권 및 비자 발급 업무를 수행한다.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
로마자 표기 |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Wàijiāobù |
약칭 | 외교부 |
로마자 표기 | Wàijiāobù |
설립일 | 1954년 9월 |
전신 | 중앙인민정부 외교부 |
관할권 | 중화인민공화국 정부 |
소재지 | 베이징 차오양구 차오양먼난따제 2호 |
웹사이트 | mfa.gov.cn/eng/ |
조직 | |
소속 | 국무원 |
주요 산하 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재외공관 홍콩 특파원공서 / 마카오 특파원공서 중국외교학원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 |
주요 담당자 | |
외교부장 | 왕이 |
부부장 | 마자오쉬 (집행 부부장) 덩리 쑨웨이둥 천샤오둥 화춘잉 |
부 당위원회 서기 | 치위 (장관급) |
조직 구조 | |
본청 조직 | 변공청 (총무국) 정책연구국 아시아국 서아시아·북아프리카국 아프리카국 유럽아시아국 유럽국 북미·대양주국 라틴아메리카국 국제국 군축국 조약법률국 신문국 의전국 영사국 홍콩·마카오국 번역실 외사관리국 대외안전행정국 간부국 퇴직간부국 행정국 재무국 문서국 기관당위 감찰국 국외공작국 복무국 |
대변인 | 화춘잉 (신문국장) 왕원빈 (신문국 부국장) 마오닝 (신문국 부국장) |
부장 조리 | 쉬페이홍 화춘잉 농룽 |
2. 역사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선포와 함께 중앙인민정부 외교부가 설립되었다.[3] 저우언라이는 총리 겸 초대 외교부장을 맡았으며[3], 1954년 9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이후 국무원 산하 부서로 개편되었다. 1958년 2월 11일, 천이가 저우언라이의 뒤를 이어 외교부장이 되었다.[3]
1966년 문화대혁명 당시 외교부 직원들은 처음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으나 점차 문화대혁명에 참여하게 되었다.[2] 천이는 외교 의례 개혁을 지시했고, 해외 외교 사절단은 마오쩌둥 사상(마오이즘)을 홍보해야 했다.[2] 1971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유엔에 가입하면서 중국 외교는 정상화되기 시작했다.[2] 천이는 1972년 1월 6일에 사망했고, 지펑페이가 외무부장으로 뒤를 이었다.[2]
마오쩌둥 사망과 사인방 몰락 이후, 황화가 외교부장이 되었다.[1] 덩샤오핑 집권 후, 해외 외교 사절단은 4대 현대화 운동에 집중하라는 지시를 받았다.[2]
1982년, 후야오방 당시 중공 서기장은 외교부 "개혁"을 요구하며 이념성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3] 이후 외교부는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개혁되었다.[4]
중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외교부 역할과 중요성도 커졌다. 2009년 이후, 외교부는 중국 외교 정책 결정에 더 큰 역할을 맡으며 국내외적으로 높은 위상을 가지게 되었다.[3]
2. 1.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중국 공산당은 1947년 5월 1일 설립된 외교 집단을 통해 외교 관계를 처리했으며, 이 집단은 1949년 9월 30일 폐지되었다.[3]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선포와 함께 중앙인민정부 외교부가 설립되었다.[3] 저우언라이는 총리 겸 초대 외교부장을 맡았다.[3] 1949년 11월 8일, 외교부가 정식으로 개원하였다.[3]초기 외교부는 170명의 직원으로 시작하여 1960년에는 약 2,000명으로 증가했다.[3] 1949년 10월부터 1952년 사이에 해외로 파견된 17명의 대사 중 12명은 고위 군관이었고, 9명은 장정 생존자였으며, 해외 경험이 있는 사람은 3명에 불과했다.[3] 또한, 중화인민공화국에 남기로 한 국민당 출신 외교관들을 채용하지 않고 완전히 새로운 외교 사절단을 구성했다.[3]
1954년 9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이후 외교부는 국무원 산하 부서로 개편되었다. 1956년에는 서아시아 및 아프리카 담당 부서가 신설되었다.[3] 저우언라이는 외교부의 전문화 및 공식화를 감독했다.[3] 1957년 마오쩌둥이 시작한 반우경운동으로 외교부도 영향을 받았다.[3] 1958년 2월 11일, 천이가 저우언라이의 뒤를 이어 외교부장이 되었다.[3]
1949년 10월 2일, 중화인민공화국은 건국 다음 날 소비에트 연방과 최초로 국교를 수립했다.
2. 2. 문화대혁명 시기
1966년 문화대혁명이 시작되었을 때, 외교부 직원들은 처음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고 정치 학습 모임을 몇 차례 여는 정도였다.[2] 그러나 문화대혁명은 점차 외교부의 주목을 받게 되었고, 마오쩌둥이 오스트리아 공산당원으로부터 중국 외교관들의 행동과 사치에 대한 항의 편지를 받은 후, 천이에게 "혁명을 하라, 그렇지 않으면 위험할 것이다"라고 지시했다.[2] 이는 천이로 하여금 외교 의례 개혁을 지시하게 만들었고, 해외 외교 사절단은 마오쩌둥 사상(마오이즘)을 홍보하고, 마오쩌둥 제복(마오 정장)과 마오쩌둥 배지(마오 주석 배지)를 착용하며 정치 학습 모임을 강화해야 했다.[2]1966년 후반, 외교부 내 반란 세력들은 "외교부 혁명 반란 기지"를 설립하고 외교부 내 중국 공산당 위원회를 전복하려는 의도를 밝혔다.[2] 1967년 외교부는 문화대혁명에 참여하기 위해 해외 직원들을 베이징으로 소환하기 시작했고, 이는 중국 외교 사절단에 큰 부담을 주었다.[2] 반란 세력들은 1967년 8월 외교부 장악을 시도하여 외교부 정치부를 2주간 마비시켰다.[2] 중국 외교관들은 1968년 5.7 간부학교가 설립된 후 1971년 해체될 때까지 5.7 간부학교에 파견되었다.[2] 1968년 말 마오쩌둥이 국가 질서 회복을 결정한 후, 저우언라이는 외교부의 정상화를 계획하기 시작했고,[2] 일부 외교관들은 1969년 말부터 해외로 돌아가기 시작했다.[2] 외교부 산하 중국인민외교학원도 다시 문을 열었다.[2]
1971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유엔에 가입함에 따라 중국의 외교는 정상화되기 시작했다.[2] 그러나 외교부는 특히 "조공(Lord Qiao)" 즉, 조관화의 측근들과 마오쩌둥의 측근인 왕해롱과 탕원성을 지칭하는 "젊은 여성(young girl)"파벌 간의 당파 싸움이 심해졌다.[2] 천이는 1972년 1월 6일에 사망했고, 지펑페이가 외무부장으로 뒤를 이었다.[2]
2. 3. 덩샤오핑 시대
마오쩌둥 사망과 사인방의 몰락 이후, 황화가 외교부장이 되었다.[1] 덩샤오핑 집권 후, 해외 외교 사절단은 4대 현대화 운동에 집중하라는 지시를 받았다.[2]1982년, 당시 중공 서기장이었던 후야오방은 고위 외교관들과 회의를 열어 외교부의 "개혁"을 요구하며, 이념성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3] 외교부는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개혁되었는데, 1982년 차관의 수는 10명에서 6명으로 줄었으며, 1983년부터 차관급 이하 외교관은 60세가 넘으면 자동으로 퇴직하게 되었다. 전문 외교관들이 기존의 군 출신 베테랑들을 점차 대체하며 선호되었다. 임금 또한 개혁되어 고위직에게 더 많은 보상을 제공하고 해외 외교관의 소득을 증가시켰다.[4] 임금과 관료 개혁은 1990년대에도 계속되어 많은 외교 사절단이 직원을 감축하고 현지인을 고용하기 시작했으며, 직무 설명도 명확해졌고, 승진 제도도 표준화되었다.[5]
2. 4. 21세기
중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외교부의 역할과 중요성도 커졌다. 2004년에는 해외에 있는 중국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 안전 업무국을 신설했고,[3] 2007년에는 영사 보호 센터를 설립했다.[3] 외교부는 상무부, 공안부 등 다른 기관과 외교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협력하거나 경쟁하기도 했다.[3]2009년 이후, 외교부는 중국의 외교 정책을 결정하는 데 더 큰 역할을 맡게 되었고, 국내외적으로 더 높은 위상을 가지게 되었다.[3]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외교 예산은 두 배로 증가했다.[3] 2019년부터는 트위터 계정을 늘리고 외교관들이 소셜 미디어 활동을 활발히 하면서 외국인들에게 외교부가 더 많이 알려지게 되었다.[3]
이전에는 중국 대사관이 여러 부처의 영향을 받았지만, 2019년 개혁 이후 외교부는 중국 대사관의 재정 및 인사 결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다.[3]
2022년 10월, 외교부가 홍콩 주재 영사관에 건물 평면도, 임대 계약 세부 정보, 직원 거주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직원들이 입주하기 전에 새로운 건물을 검사하도록 요청했다는 보도가 있었다.[4]
2023년 9월, 미국 국무부는 중국 외교부가 "이 판(Yi Fan)"이라는 가상의 칼럼니스트를 이용하여 국가적 주장을 "자발적인 여론"으로 보이게 하여 정보 세탁을 했다고 비난했다.[5]
3. 조직
외교부는 외교부장(장관급)이 이끌며, 총리의 추천을 받아 전국인민대표대회 또는 상무위원회에서 임명한다.[6] 외교부 산하에는 특정 지역, 정책 분야, 행정 등을 담당하는 29개의 부서(司)가 있다. 각 부서는 국장 1명과 차장 2명 이상으로 구성된다.[9][10] 주요 부서는 다음과 같다.
부서명 | 주요 업무 |
---|---|
사무처(办公厅) | 외교부 내부 소통, 정보기술 시스템 관리, 위기 발생 시 외국 당국과의 조율 |
정책기획국(政策规划司) | 국제 문제 관련 연구, 분석 및 정책 수립, 연설문 및 기타 주요 외교 정책 문서 작성, 중국 외교사 관련 업무 |
아시아국(亚洲司) | |
서아시아·북아프리카국(西亚北非司) | |
아프리카국(非洲司) | |
유럽·중앙아시아국(欧亚司) | |
유럽국(欧洲司) | |
북미·대양주국(北美大洋洲司) | |
중남미국(拉丁美洲司) | |
국제기구·회의국(国际司) | |
국제경제국(国际经济司) | |
군비통제국(军控司) | |
조약법률국(条约法律司) | |
국경해양사무국(边界与海洋事务司) | |
정보국(新闻司) | 중국 외교 정책에 대한 언론 관계 및 대외 홍보 (화춘잉 대변인)[11][12] |
의전국(礼宾司) | 외교 행사 및 의식의 의전 관련 업무 |
영사국(领事司) | |
홍콩·마카오·타이완사무국(港澳台司) | |
번역통역국(翻译司) | 국제 행사 및 국가 외교 행사와 문서의 영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통역 및 번역 업무 관리 및 교육 (지역 부서는 각 지역 내 일반 통역 및 번역 업무 담당) |
외교관리국(外事管理司) | 지방 정부, 국영 기업 및 기타 국무원 산하 기관과 같은 하위 국가 단위의 외교 관련 규정 초안 및 감독 |
섭외안전사무국(涉外安全事务司) | |
인사국(干部司) | |
퇴직인사국(离退休干部局) | |
행정국(行政司) | 해외 공관의 계획, 건설, 부동산, 귀중한 자산(골동품 및 유물), 주택, 인프라 및 전반적인 관리 감독 |
재정국(财务司) | |
해외공관국(国外工作局) 및 당무국(机关委员会) | 이름이 두 개인 하나의 기관 |
외교부 순시업무지도소조판공실(外交部巡视工作领导小组办公室) | 중국 공산당 규정에 따라 징계 조사 및 정책 감독 |
기록보관소(档案馆) | |
외교부 국내외 사무소 서비스국(服务局) | 해외 공관의 물류 감독 |
외교부는 홍콩과 마카오 특별행정구(SAR)에 주재판공처를 두고 있으며, SAR의 외교 업무를 담당한다.[13][14] 또한 외교부는 "민간 외교" 활동을 위해 중국인민외교학회(CPIFA)를 운영하고 있으며,[15] 교육부와 함께 중국외교대학을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다.[16]
4. 외교 공관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는 2024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 274개의 외교 공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8] 여기에는 173개의 대사관, 91개의 영사관, 8개의 상주대표부 및 기타 2개의 대표부가 포함된다.[8]
대한민국에는 서울특별시에 대사관을,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 일본에는 도쿄도 미나토구 모토아자부에 대사관을 두고 있으며, 삿포로시, 니가타시, 나고야시, 오사카시, 후쿠오카시, 나가사키시에 총영사관을 설치하고 있다.
5. 역대 외교부장
대수 | 이름 | 사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비고 |
---|---|---|---|---|---|
1 | 저우언라이 | -- | 1949년 | 1958년 | 국무원 총리 겸임 |
2 | 천이 | -- | 1958년 | 1972년 | 국무원 부총리 겸임 |
3 | 지펑페이 | 1972년 | 1974년 | ||
4 | 차오관화 | 1974년 | 1976년 | ||
5 | 황화 | 1976년 | 1982년 | ||
6 | 우쉐첸 | 1982년 | 1988년 | ||
7 | 첸치천 | 1988년 | 1998년 | ||
8 | 탕자쉬안 | -- | 1998년 | 2003년 | |
9 | 리자오싱 | -- | 2003년 | 2007년 | |
10 | 양제츠 | -- | 2007년 | 2013년 | |
11 | 왕이 | -- | 2013년 | 2022년 | |
12 | 친강 | -- | 2022년 | 2023년 | |
13 | 왕이 | -- | 2023년 | 현재 |
6. 사건
2021년 6월 28일, 중국 외교부 정문 앞에서 한 남성이 방화를 시도하다가 경비 관계자에게 연행되는 영상이 중국 인터넷에 퍼졌다. 다음 날, 왕원빈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이 사건이 있었다고 인정했다.[19]
참조
[1]
웹사이트
The Minister
https://www.fmprc.go[...]
2020-12-02
[2]
서적
People's Diplomacy: How Americans and Chinese Transformed US-China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Cornell University Press
2024
[3]
서적
China's Rising Foreign Ministry: Practices and Representations of Assertive Diplomacy
Stan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China demands foreign diplomats provide floor plans of Hong Kong missions: FT
https://www.thestand[...]
2022-10-04
[5]
뉴스
China Uses 'Deceptive' Methods to Sow Disinformation, U.S. Says
https://www.nytimes.[...]
2023-09-29
[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npc.gov.c[...]
2022-08-08
[7]
뉴스
The Law on Foreign Relation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english.news[...]
2023-07-06
[8]
웹사이트
Global Diplomacy Index – Country Rank
https://globaldiplom[...]
2024-02-26
[9]
웹사이트
Home > The Ministry > Departments
https://www.mfa.gov.[...]
2020-03-03
[10]
웹사이트
Organizational Structure
https://www.fmprc.go[...]
2020-03-03
[11]
웹사이트
British homegrown conspiracies get Beijing's stamp of approval
https://www.codastor[...]
2022-08-10
[12]
웹사이트
COVID Conspiracies, Hashtag Suppression, and a Broadside Aimed at the "Great Translation Movement"
https://chinadigital[...]
2022-12-24
[13]
웹사이트
Main Functions
http://hk.ocmfa.gov.[...]
2023-07-06
[14]
웹사이트
Main Functions of the Commissioner's Office
http://mo.ocmfa.gov.[...]
2023-07-06
[15]
웹사이트
France's "influence diplomacy" under CCP influence
https://sinopsis.cz/[...]
2023-05-22
[16]
웹사이트
王毅出席外交学院第四届董事会首次会暨签约仪式
https://www.gov.cn/g[...]
2023-07-06
[17]
서적
The Latecomer's Rise: Policy Banks and the Globalization of China's Development Financ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4
[18]
웹사이트
Home
http://www.fmprc.gov[...]
2010-10-27
[19]
웹사이트
中国外務省前で放火騒ぎ、動画が拡散…絶叫する男が連行される様子
https://www.yomiuri.[...]
2021-06-29
[20]
웹인용
Home > The Ministry > Departments
https://www.mfa.gov.[...]
2020-03-03
[21]
웹인용
Organizational Structure
https://www.fmprc.go[...]
2020-03-03
[22]
웹인용
British homegrown conspiracies get Beijing's stamp of approval
https://www.codastor[...]
2022-08-10
[23]
웹인용
COVID Conspiracies, Hashtag Suppression, and a Broadside Aimed at the "Great Translation Movement"
https://chinadigital[...]
2022-12-24
[24]
웹인용
Main Functions
http://hk.ocmfa.gov.[...]
2023-07-06
[25]
웹인용
Main Functions of the Commissioner's Office
http://mo.ocmfa.gov.[...]
2023-07-06
[26]
웹인용
France's "influence diplomacy" under CCP influence
https://sinopsis.cz/[...]
2023-05-22
[27]
웹인용
王毅出席外交学院第四届董事会首次会暨签约仪式
https://www.gov.cn/g[...]
2023-07-06
[28]
서적
The Latecomer's Rise: Policy Banks and the Globalization of China's Development Financ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