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하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하에는 고대 페르시아어 'Dahā'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고대 유목 민족을 지칭한다. 기원전 1세기에 스키타이 다하에로 불렸으며, 현재 투르크메니스탄 지역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하에는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에 사카족과 함께 가우가멜라 전투에 참여했고, 파르니 부족은 파르티아를 침공하여 파르티아 제국을 건국하는 등 역사적으로 다양한 활동을 했다. 다하에는 아파르노이, 크산티오이, 퓌스루이의 세 종족으로 구성되었으며, 독특한 장례 풍습과 유목 생활 방식을 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르크메니스탄의 역사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역사 - 니사 (투르크메니스탄)
니사는 기원전 3세기경 파르티아 왕국의 주요 무역 중심지이자 초기 수도였던 유적으로, 지진으로 파괴되었으나 발굴을 통해 헬레니즘 미술품과 유물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스키타이 - 스키타이족
스키타이족은 기원전 7세기부터 3세기까지 흑해 북쪽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이란계 유목민족으로, 뛰어난 기마 궁술과 유격전 전술, 흑해 지역 무역 장악 등으로 번성했으나 사르마티아인의 침입으로 쇠퇴했으며, 그 문화적 영향은 유라시아 대초원과 그리스-로마, 동아시아 지역까지 미쳤다. - 스키타이 - 박트리아
박트리아는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타지키스탄 서부 일대에 해당하는 중앙아시아의 역사적 지역으로, 아케메네스 제국, 셀레우코스 제국,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치며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 동서양 문물 교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다양한 종교가 융성했던 곳이다. - 파르티아 제국 - 니사 (투르크메니스탄)
니사는 기원전 3세기경 파르티아 왕국의 주요 무역 중심지이자 초기 수도였던 유적으로, 지진으로 파괴되었으나 발굴을 통해 헬레니즘 미술품과 유물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파르티아 제국 - 엑바타나
엑바타나는 고대 메디아 왕국의 수도로서, 여러 제국을 거치며 동서 문명 교류에 기여했고, 현재 하마단 지역에 위치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적인 도시이다.
| 다하에 | |
|---|---|
| 다하에 | |
| 위치 | |
| 기본 정보 | |
| 유형 | 민족 |
| 별칭 | 다아이, 다이, 다사이 |
| 하위 부족 | 파르니, 크산티이, 피수리 |
| 역사 | |
| 시대 | 고대 |
| 기타 | |
| 관련 민족 | 고대 이란 민족 |
2. 명칭
다하에라는 이름은 고대 고대 페르시아어 형태인 Dahā에서 유래했다. 이는 여러 민족이 자신을 "사람"이라고 부르는 일반적인 관행에 따라 "사람"을 의미하는 사카어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코탄어 형태인 daha로도 확인된다.[7]
데이비드 고든 화이트는 다하에의 이름이 "교살자"를 의미하며, 다키아인의 이름도 파생시킨 인도유럽조어 어근 *dhau에서 왔다고 주장한다.[8] 다하에는 유목 민족이었으며, 정착한 곳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2. 1. 어원
다하에의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어 형태인 Dahā로, 여러 민족들이 자국어로 스스로를 "사람"이라고 부르는 일반적인 관행에 따라 "사람"을 의미하는 사카어에서 파생되었다고 한다. 이 용어는 코탄어 형태인 daha로 증명되었다.[7]데이비드 고든 화이트는 다하에의 이름이 "교살자"를 의미하며, 다키아인의 이름도 파생시킨 인도유럽조어 어근 *dhau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했다.[8]
2. 2. 표기
다하에의 이름은 고대 페르시아어 형태로 Dahā이며, 이는 여러 민족들이 자국어로 스스로를 "사람"이라고 부르는 일반적인 관행에 따라 "사람"을 의미하는 사카어에서 파생되었다. 이 용어는 코탄어 형태로 daha로 확인된다.[7]데이비드 고든 화이트는 다하에의 이름이 "교살자"를 의미하며, 다키아인의 이름도 파생시킨 인도유럽조어 어근 *dhau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했다.[8]
3. 역사
다하에의 역사는 유목 동맹의 기원과 이동 경로,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시대 순으로 살펴볼 수 있다.
기원과 초기 기록다하에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크세르크세스 1세의 다이바 비문에 나타나는 나라 목록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비문에서 다하에는 고대 페르시아의 '다하'로 기록되어 있으며, 그 뒤를 사카족이 잇고 있다.[9] 스트라본은 기원전 1세기에 다하에를 '스키타이 다하에'로 언급하며, 역사지리학자들은 이들의 위치를 현재의 투르크메니스탄 근방으로 추정한다.
헤로도토스는 다하에(Daoi)를 아마르디인, 드로피칸, 사르티아인과 함께 페르시아 유목 민족 중 하나로 기록하기도 했다. 다하에는 북쪽의 호라즘과 남쪽의 파르티아, 히르카니아 사이의 교통로를 장악하며 중요한 역할을 했다.[9]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다하에는 사카족과 함께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아케메네스 제국 군대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알렉산더 대왕의 군대에 맞섰다.[9] 베로소스에 따르면, 아케메네스 제국의 창시자인 키루스 2세는 다하에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고 한다.[9] 일부 학자들은 다하에를 마사게타이와 동일시하거나 그들의 하위 집단으로 보기도 한다.[9]
기원전 331년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다하에는 박트리아인, 사카인과 함께 아케메네스 군대의 좌익을 맡아 알렉산더 대왕에 맞서 싸웠다.[9]
알렉산드로스 제국 시대아케메네스 제국이 함락된 후 다하에는 알렉산더의 인도 원정에도 참여했다. 기원전 4세기 말에서 3세기 초, 다하에는 마르기아나와 아레이아를 침략하여 알렉산드레이아와 헤라클레이아 마을을 파괴했을 가능성이 있다.[9]
기원전 329년경, 마케도니아의 왕 알렉산드로스 3세(재위: 기원전 336년 - 기원전 323년)가 이 지역을 침공하자, 다하에족(다아이)과 코라스미족(코라스미오이)은 마케도니아군에 신종했다.[14]
파르티아 제국 건국3세기에 다하에의 한 분파인 파르니가 추장 아르사케스 1세의 지휘 하에 두각을 나타냈다. 파르니는 파르티아를 침공하여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아르사케스는 파르티아 왕을 폐위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파르티아 제국이 건국되었다. 한편, 셀레우코스 시대에는 사카족이 주화를 주조하여 다하에에 공급하기도 했다.
한나라와의 관계기원전 2세기에는 다하에(Dayi/大益중국어)가 파르티아 제국Anxi/安息중국어, 호라즘Huanqian/驩潛중국어, 소그디아나Suxie/蘇薤중국어와 함께 한 무제에게 사절단을 보내기도 했다.
기타흥미로운 점은 고대 다하에의 영토가 현재 카자흐스탄의 망기스타우 주로 알려져 있으며, 카자흐인 부족 중 하나인 아다이족이 거주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3. 1. 초기 기록
유목 동맹 다하에에 대한 기록은 크세르크세스 1세의 다에바 비문에 처음 등장한다. 비문에 따르면 다하에는 고대 페르시아의 다하로 확인되며, 사카족과 함께 언급된다.[13]기원전 1세기에 스트라본은 다하에를 스키타이 다하에로 칭했으며, 역사지리학자들은 이들을 현재의 투르크메니스탄 근방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한다.
다하에는 사카족과 함께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아케메네스 군대에 합류하여 싸웠으며, 아케메네스 제국이 몰락한 후에는 알렉산더 대왕의 인도 정벌에 참여하기도 했다. 셀레우코스 제국 시대에는 사카족이 주화를 주조하여 다하에에 공급했다.
3세기에 다하에의 한 분파인 파르니가 추장 아르사케스 1세의 지휘 아래 세력을 키워 파르티아를 침공했다. 당시 파르티아는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상태였으며, 아르사케스는 왕을 폐위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다하에는 초기 이란 고원을 횡단하여 남서부에 거주하던 페르시아인들과 합류했을 가능성이 있다. 헤로도토스는 이들을 '''다오이'''라고 기록하며, 아마르디인, 드로피칸, 사르티아인과 함께 페르시아 유목 민족 중 하나로 언급했지만, 확실한 근거는 없다.[13]
다하에는 북쪽의 코라즘과 남쪽의 파르티아 및 히르카니아 사이의 교통로를 장악했다.
바빌론 역사가 베로소스에 따르면,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의 창시자인 키루스 2세는 다하에와의 전투에서 전사했다.[9] 이란학자 무하마드 단다마예프는 베로소스가 다하에를 키루스의 살해자로 지목한 이유가 다하에가 베로소스 시대 훨씬 이전부터 중앙 아시아에서 가장 유명한 유목 민족으로서 마사게타이의 위상을 대체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9]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다하에를 마사게타이와 동일시하거나 그 하위 집단으로 간주하기도 한다.[2][3]
다하에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아케메네스 왕 크세르크세스 1세의 다이바 비문에 등장하며, 및 와 함께 언급된다.
기원전 331년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다하에는 박트리아인 및 사카인과 함께 아케메네스 군대의 좌익에서 알렉산더 대왕에 맞서 싸웠다.
다하에는 기원전 300년경 마르기아나와 아레이아를 침략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두 지역에 위치한 알렉산드레이아와 헤라클레이아 마을을 파괴했다.
기원전 4세기 말과 3세기 초에 다하에, 특히 파르니 부족은 카라쿰 사막의 남부 및 남서부 가장자리에 정착했으며, 기원전 3세기 중반까지 서쪽으로 이동하여 카스피 해 남동부 해안, 히르카니아 북쪽 지역에 자리를 잡았다. 다하에의 다른 두 부족인 크산티오이와 피소우로이는 아레이아 북쪽 지역까지 더 동쪽에 거주했다.
3세기 중반에 파르니는 히르카니아로 이동하여 오쿠스 강을 따라 거주했으며, 그들의 지도자 아르사케스 1세는 파르티아 제국을 건설했다.
기원전 2세기에는 여전히 스텝 지역에 거주하던 다하에(), 파르티아 제국(安息, 안시), 호라즘인(驩潛, 환첸), 소그디아인(蘇薤, 쑤시에)이 모두 한 무제에게 사절단을 보냈다. 당시 중국을 다스리던 왕조는 한나라였다.
고대 다하에의 영토는 현재 카자흐스탄의 망기스타우 주로 알려져 있으며, 카자흐인 부족 중 하나인 아다이족이 거주하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헤로도토스는 『역사』에서 다하에를 '''다오이'''로 기록하며, 마르도이, 도로피코이, 사갈티오이 등의 여러 부족과 함께 아케메네스 왕조의 키루스 2세의 소집에 따라 메디아 왕국에서 이반했다고 기록했다.[13]
3. 2.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
다하에는 크세르크세스 1세의 다이바 비문에 등장하는 나라 목록에서 처음 확인되며, 이는 다하에가 아케메네스 제국과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 목록에서 다하에는 고대 페르시아의 다하로 기록되어 있으며, 그 뒤를 사카족이 따랐다.[9]스트라본은 기원전 1세기에 다하에를 스키타이 다하에로 언급했는데, 이는 다하에가 스키타이 문화권과도 관련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역사지리학자들은 다하에의 위치를 현재의 투르크메니스탄 근방으로 추정한다.
다하에는 사카족과 함께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아케메네스 군대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알렉산더 대왕의 군대에 맞섰다.[9] 아케메네스 제국이 함락된 후, 다하에는 알렉산더의 인도 원정에도 참여했다. 셀레우코스 시대에는 사카족이 주화를 주조하여 다하에에 공급하기도 했다.
바빌론 역사가 베로소스에 따르면, 아케메네스 제국의 창시자인 키루스는 다하에와 싸우다 사망했다.[9] 이란학자 무하마드 단다마예프는 베로소스가 다하에를 키루스의 살해자로 지목한 이유가, 다하에가 베로소스 시대 훨씬 이전부터 중앙 아시아에서 가장 유명한 유목 민족으로서 마사게타이의 지위를 대체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9]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다하에를 마사게타이와 동일시하거나 그들의 하위 집단 중 하나로 간주하기도 한다.
다하에는 기원전 331년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박트리아인, 사카인과 함께 아케메네스 군대의 좌익을 맡아 알렉산더 대왕에 맞서 싸웠다.[9]
기원전 4세기 말에서 3세기 초 사이에 다하에는 마르기아나와 아레이아를 침략하여 그곳에 위치한 알렉산드레이아와 헤라클레이아 마을을 파괴했을 가능성이 있다.[9]
3. 3. 알렉산드로스 제국 시대
기원전 331년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다하에는 박트리아인 및 사카인과 함께 아케메네스 제국 군대의 좌익에서 알렉산더 대왕에 맞서 싸웠다.[14]기원전 329년경, 마케도니아의 왕 알렉산드로스 3세(재위: 기원전 336년 - 기원전 323년)가 이 지역을 침공하자, 다하에족(다아이)과 코라스미족(코라스미오이)은 마케도니아군에 신종했다.[14]
다하에는 기원전 300년경 마르기아나와 아레이아를 침략했을 수 있으며, 이 침략 동안 두 지역에 위치한 알렉산드레이아와 헤라클레이아 마을을 파괴했다.[14]
3. 4. 파르티아 제국 건국
다하에는 크세르크세스 1세의 다에바 비문의 나라 목록에 등장하며, 아케메네스 제국의 다하로 확인된다.[9] 스트라본은 다하에를 스키타이 다하에로 언급했으며, 역사지리학자들은 다하에를 현재의 투르크메니스탄 근방으로 본다.다하에는 사카족과 함께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아케메네스 군대에 합류했다. 아케메네스 제국 함락 후 그들은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의 인도 정벌에 참여했다. 사카는 셀레우코스 시대부터 주화를 주조하여 다하에에 공급했다.
3세기에 다하에의 한 분파인 파르니가 추장 아르사케스 1세의 지휘 하에 두각을 나타냈다. 파르니는 파르티아를 침공하여 셀레우코스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아르사케스 1세는 파르티아 왕을 폐위하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이란 고원을 가로질러 이동한 다하에는 남서부에 거주하던 페르시아인과 합류했을 가능성이 있다. 헤로도토스는 다오이를 마르디안, 드로피칸, 사르티아인과 함께 페르시아 유목 민족 중 하나로 언급했지만, 확실하지 않다.[9]
다하에는 북쪽의 호라즘과 남쪽의 파르티아 및 히르카니아 사이의 교통을 통제했다.[9]
베로소스에 따르면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의 창시자인 키루스 2세는 다하에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9] 무하마드 단다마예프는 베로소스가 다하에를 키루스의 살해자로 지목한 이유가 다하에가 베로소스 시대 훨씬 이전부터 중앙 아시아에서 가장 유명한 유목 민족으로서 마사게타이의 지위를 대체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9] 일부 학자들은 다하에를 마사게타이와 동일시하거나 그들의 하위 집단으로 간주한다.[9]
다하에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아케메네스 왕 크세르크세스 1세의 다이바 비문에 등장한다.[9]
기원전 331년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다하에는 박트리아인 및 사카인과 함께 아케메네스 군대의 좌익에서 알렉산더 대왕에 맞서 싸웠다.[9]
다하에는 기원전 300년경 마르기아나와 아레이아를 침략하여 알렉산드레이아와 헤라클레이아 마을을 파괴했을 수 있다.[9]
기원전 4세기 말과 3세기 초에 다하에, 특히 파르니 부족은 카라쿰 사막의 남부 및 남서부 가장자리에 정착했고, 기원전 3세기 중반까지 서쪽으로 이동하여 카스피 해 남동부 해안, 히르카니아 북쪽 지역에 정착했다. 다하에의 다른 두 부족인 크산티오이와 피소우로이는 아레이아 북쪽 지역까지 더 동쪽에 거주했다.[9]
3세기 중반에 파르니는 히르카니아로 이동하여 오쿠스 강을 따라 거주했다. 그들의 지도자 아르사케스 1세는 파르티아 제국을 건설했다.[9]
기원전 2세기, 스텝에 거주하던 다하에, 파르티아, 호라즘인, 소그디아인은 한 무제에게 사절단을 보냈다. 당시 중국을 다스리던 왕조는 한나라였다.
고대 다하에의 영토는 현재 카자흐스탄의 망기스타우 주로 알려져 있으며, 카자흐인 부족 중 하나인 아다이족이 거주하고 있다.
3. 5. 한나라와의 관계
기원전 2세기, 다하에(Dayi/大益중국어)는 파르티아 제국Anxi/安息중국어, 호라즘Huanqian/驩潛중국어, 소그디아나Suxie/蘇薤중국어와 함께 한 무제에게 사절단을 보냈다. 당시 중국을 다스리던 왕조는 한나라였다.4. 위치
다하에는 원래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의 북동부, 카라쿰 사막의 스텝 지대인 마르기아나 근처에 거주하며, 사카, 소그디아나인, 호라즘과 함께 히르카니아 북쪽에 인접해 있었다.
기원전 4세기 말에서 3세기 초, 다하에, 특히 그들을 구성하는 부족인 파르니는 카라쿰 사막의 남쪽과 남서쪽 가장자리에 정착했다. 기원전 3세기 중반에는 서쪽으로 이동하여 카스피해 남동부 해안을 따라 히르카니아 북쪽 지역에 정착했다. 다른 두 다하에 부족인 크산티오이와 피소우로이는 아레이아 북쪽 지역까지 더 동쪽에 살았다.
4. 1. 초기 거주지
다하에는 원래 페르시아의 아케메네스 제국 북동쪽, 카라쿰 사막의 스텝 지대인 마르기아나 인근에 거주했다. 이들은 사카, 소그디아나인, 호라즘과 함께 히르카니아 북쪽에 인접하여 살았다.기원전 4세기 말에서 3세기 초, 다하에, 특히 그 구성 부족인 파르니는 카라쿰 사막의 남쪽과 남서쪽 가장자리에 정착했다. 기원전 3세기 중반에는 서쪽으로 이동하여 카스피해 남동부 해안을 따라 히르카니아 북쪽 지역에 자리 잡았다. 크산티오이와 피소우로이, 다른 두 다하에 부족은 아레이아 북쪽 지역까지 더 동쪽에 거주했다.
4. 2. 이동 및 정착
다하에는 원래 페르시아의 아케메네스 제국 북동쪽, 카라쿰 사막의 스텝 지대인 마르기아나 근처에 거주했다. 그들은 사카, 소그디아나인, 호라즘과 함께 히르카니아 북쪽에 인접해 있었다.기원전 4세기 말에서 3세기 초, 다하에, 특히 파르니 부족은 카라쿰 사막의 남쪽과 남서쪽 가장자리에 정착했다. 기원전 3세기 중반에는 서쪽으로 이동하여 카스피해 남동부 해안을 따라 히르카니아 북쪽 지역에 정착했다. 크산티오이와 피소우로이, 다른 두 다하에 부족은 아레이아 북쪽 지역까지 더 동쪽에 살았다.
5. 다하에계 종족
다하에의 종족은 아파르노이, 크산티오이, 퓌스루이의 세 종족으로 나뉜다. 아파르노이는 히르카니아 지방과 카스피해 인근, 특히 카스피해 동해안을 따라 거주했다.[10] 크산티오이와 퓌스루이는 아리아 지방과 마주보는 지역에 함께 살았다.[11] 이들은 늙거나 병든 사람을 산 채로 매장하는 독특한 장례 풍습을 가지고 있었다.
5. 1. 아파르노이
히르카니아(Hyrcania) 지방과 카스피해(Caspian Sea) 인근에 거주했던 부족인 아파르노이(Aparnoi)는 다하에(Dahae)족의 한 갈래였다. 기원전 3세기 초, 이들은 파르티아(Parthia)를 침략하여 정복했다. 이후 파르티아인들은 아파르노이라는 이름 대신 파르티아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5. 2. 크산티오이와 퓌스루이
아리아 지방과 인접한 지역에는 크산티오이와 퓌스루이라는 부족이 살았다. 이들은 특이한 장례 풍습을 가지고 있었는데, 늙거나 병든 사람을 산 채로 매장했다.6. 습속
다하에는 고유한 습속을 지니고 있었다. 그들은 머리를 땋아 늘어뜨렸으며, 수염을 길렀다. 옷은 주로 가죽으로 만들어 입었으며, 무기는 활과 칼을 사용했다. 다하에인들은 기마술에 능숙하여 말을 타고 생활하는 데 익숙했으며, 이 능력은 전투에서도 큰 장점으로 작용했다. 그들의 사회는 여러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각 부족은 고유한 지도자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다하에인들은 유목 생활을 하며 가축을 기르고 농사를 짓는 등 다양한 생업에 종사했다. 그들의 문화는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그들의 생활 방식과 예술, 종교 등 다양한 측면에서 드러난다.
6. 1. 스트라본의 기록
다하에족은 자신들의 거주지에서 넓은 사막을 지나 남쪽의 히르카니아, 네사이아 지역과 파르티아족의 평원을 약탈하며 생활했다.[17] 이로 인해 약탈을 당한 종족들은 다하에족에게 정해진 기간 동안 공물을 바치는 조건으로 약탈을 허용하기도 했으나, 다하에족이 약탈을 계속하자 전쟁이 발생했다. 이러한 전쟁과 화해의 반복은 유목민들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습관이었다.[18]7. 유산
3세기경 히르카니아 북쪽에 정착한 다하족의 땅은 그들을 따라 데헤스탄(페르시아어: )과 Dahistān(페르시아어: )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7. 1. 데헤스탄
3세기경 히르카니아 북쪽에 정착한 다하족의 땅은 그들을 따라 데헤스탄(페르시아어: دهستان)과 Dahistān(페르시아어: داهستان)으로 알려지게 되었다.참조
[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Iranian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
간행물
Alexander the Great in Central Asia
https://akjournals.c[...]
2022-07-04
[3]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UNESCO
1994
[4]
서적
Collectanea Celto-Asiatica Cracoviensia
Księgarnia Akademicka
2000
[5]
서적
Early Arsakid Parthia (ca. 250-165 B.C.): At the Crossroads of Iranian, Hellenistic, and Central Asian History
Brill
2021
[6]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8]
서적
Myths of the Dog-Ma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9]
서적
A Political History of the Achaemenid Empire
Brill
1989
[10]
문서
カスピ海
[11]
문서
アフガニスタン
[12]
문서
飯尾 1994,p60(ストラボン『地理誌』第11巻第8章2)
[13]
문서
松平 1988,p44-45(ヘロドトス『歴史』1巻125)
[14]
문서
京都大学学術出版会 1998,p198(トログス『ピリッポス史』第12巻6)
[15]
문서
カラクム砂漠
[16]
문서
トルクメニスタン
[17]
문서
イラン・イスラム共和国
[18]
문서
飯尾 1994,p60(ストラボン『地理誌』第11巻第8章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