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위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위구는 유클리드 공간에서 중심으로부터 특정 거리 이내에 있는 점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노름 벡터 공간 및 거리 공간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n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단위구는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1인 점들의 집합인 단위 구면, 거리가 1보다 작은 점들의 집합인 열린 단위구, 거리가 1 이하인 점들의 집합인 닫힌 단위구로 구분된다. 단위구의 부피와 표면적은 감마 함수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짝수 차원과 홀수 차원에서 팩토리얼과 이중 팩토리얼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노름 벡터 공간에서 단위구는 노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가지며, Lp 공간에서의 단위구는 p 값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거리 공간과 이차 형식으로도 일반화가 가능하다.
''n''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n''−1)차원 단위 구면(unit sphere)은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1인 점 들의 집합으로, 다음 등식을 만족시킨다:
2. 유클리드 공간에서의 단위구와 구면
:
''n''차원 열린 단위 공(open unit ball)은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1보다 작은 점들의 집합이며, 다음 부등식을 만족시킨다:
:
''n''차원 닫힌 단위 공(closed unit ball)은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1 이하인 점들의 집합이며, 다음 부등식을 만족시킨다:
:
2. 1. 일반적인 넓이와 부피 공식
단위구의 고전적인 방정식은 반지름이 1이고 ''x''-, ''y''-, ''z''-축에 대해 중심이 원점인 구의 방정식이다:
:
''n''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단위구의 부피와 그 경계인 (''n''−1)차원 구면의 넓이는 여러 해석학 공식에 등장한다. ''n''차원 단위구의 부피 ''V''''n''은 감마 함수 Γ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여기서 ''n''
(''n''−1)차원 단위 구면의 초부피(즉, ''n''차원 단위구의 표면적) ''A''''n''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여기서 마지막 등식은 ''n'' > 0일 때만 성립한다. ''A''''n'' 역시 ''n''이 짝수인지 홀수인지에 따라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
몇몇 낮은 차원 ''n''에 대한 표면적과 부피 값은 다음과 같다.
| (표면적) | (부피) | |||
|---|---|---|---|---|
| 0 | 0 | 1 | ||
| 1 | 2 | 2 | ||
| 2 | 6.283 | 3.141 | ||
| 3 | 12.57 | 4.189 | ||
| 4 | 19.74 | 4.935 | ||
| 5 | 26.32 | 5.264 | ||
| 6 | 31.01 | 5.168 | ||
| 7 | 33.07 | 4.725 | ||
| 8 | 32.47 | 4.059 | ||
| 9 | 29.69 | 3.299 | ||
| 10 | 25.50 | 2.550 |
표에서 ''n'' ≥ 2일 때 소수점 아래 값은 표시된 정밀도로 반올림한 근사값이다.
2. 1. 1. 재귀
표면적 ''A''''n''과 부피 ''V''''n''은 다음과 같은 재귀적인 관계를 갖는다.표면적 ''A''''n''의 값은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
: (일 때)
부피 ''V''''n''의 값은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 (일 때)
2. 1. 2. 분수 차원
하우스도르프 측도와 관련하여, 단위구의 표면적 ''A''''n''과 부피 ''V''''n'' 공식은 음이 아닌 정수 ''n''뿐만 아니라, ''n'' ≥ 0인 임의의 실수 ''n''에 대해서도 계산할 수 있다. 이는 분수 차원에서의 표면적과 부피를 고려할 수 있게 한다.
''n''차원 유클리드 ''n''-공간에서 단위 공의 부피 ''V''''n''은 감마 함수 Γ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여기서 ''n''!!는 이중 계승이다.
(''n''−1)차원 단위 구면의 초부피(즉, ''n''차원 단위 공의 경계의 "넓이")를 ''A''''n-1''로 표기하며 (때로는 ''n''차원 공의 표면적이라는 의미에서 ''A''''n''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는 1차원 단위 공 의 경계인 두 점 {−1, 1}의 개수를 나타낸다. 는 2차원 단위 공(단위 원판)의 경계인 원주의 길이이다. 는 3차원 단위 공 의 경계인 구면의 표면적이다.
일부 ''n'' 값에 대한 (''n''−1)차원 표면적과 ''n''차원 부피는 다음과 같다.
| ((n-1)차원 표면적) | (n차원 부피) | |||
|---|---|---|---|---|
| 0 | 0 | 1 | ||
| 1 | 2 | 2 | ||
| 2 | 6.283 | 3.141 | ||
| 3 | 12.57 | 4.189 | ||
| 4 | 19.74 | 4.935 | ||
| 5 | 26.32 | 5.264 | ||
| 6 | 31.01 | 5.168 | ||
| 7 | 33.07 | 4.725 | ||
| 8 | 32.47 | 4.059 | ||
| 9 | 29.69 | 3.299 | ||
| 10 | 25.50 | 2.550 |
여기서 ''n'' ≥ 2에 대한 소수 값은 표시된 정밀도로 반올림된 근사값이다.
비음수 실수 ''n''에 대해 값은 하우스도르프 측도의 정규화 상수로 사용되기도 한다.[1][2]
2. 1. 3. 다른 반지름
반지름이 인 차원 구면의 표면적은 이고, 반지름이 인 차원 공의 부피는 이다. 여기서 은 단위 -구면의 표면적, 은 단위 -공의 부피를 의미한다.예를 들어, 3차원 공간에서 반지름이 인 공의 경우, 그 경계인 2차원 구면의 표면적은 이고, 공의 부피는 이다.
3. 노름 벡터 공간에서의 단위구
노름 을 갖는 노름 벡터 공간 에서, '''열린 단위구'''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이는 의 '''닫힌 단위구'''의 위상 내부이다. 닫힌 단위구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닫힌 단위구는 열린 단위구와 그것들의 공통 경계인 '''단위 구면'''(또는 단순히 '''단위구''')의 서로소 합집합으로 구성된다. 단위 구면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단위구의 '모양'은 어떤 노름을 선택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유클리드 거리에 기반한 일반적인 힐베르트 공간 노름에서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둥근' 구 모양이 된다. 하지만 다른 노름을 사용하면 다른 모양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노름에서는 단위구가 각진 모서리를 가지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모든 노름 공간의 단위구는 삼각 부등식 때문에 반드시 볼록 집합이어야 한다.
3. 1. Lp 공간에서의 단위구
Lp 공간에서 벡터 의 -노름은 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 노름을 사용하여 정의된 단위구 의 모양은 값에 따라 달라진다.
- 일 때, 는 일반적인 유클리드 거리에 해당하며, 단위구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둥근' 구가 된다. 이는 힐베르트 공간 노름에 해당한다.
- 일 때, (해밍 노름 또는 맨해튼 거리)이며, 2차원에서는 꼭짓점이 축 위에 있는 마름모 모양이 된다.
- 일 때, (최대 노름 또는 체비쇼프 거리)이며, 2차원에서는 변이 축에 평행한 정사각형 모양이 된다. 즉, '모서리'를 가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노름의 정의에서 이라는 조건은 중요하다. 이는 삼각 부등식 이 성립하기 위한 조건이며, 이 부등식 때문에 모든 노름 공간의 단위구는 반드시 볼록 집합이 된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이면 단위구는 오목한 모양을 가지게 되어 노름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2차원 공간에서의 단위구의 둘레 길이 는 값에 따라 변하며,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최솟값)
- (최댓값)
4. 일반화
단위구와 구면의 정의는 선택된 원점을 기준으로 하는 거리 공간으로 직접 일반화할 수 있다.
4. 1. 거리 공간
단위구와 구면의 정의는 선택된 원점을 기준으로 거리 공간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하지만 위상적인 개념(내부, 폐포, 경계)은 일반적인 유클리드 공간에서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거리 공간에서는 단위구와 구면 모두 열린 집합이면서 동시에 닫힌 집합이다. 또한 어떤 거리 공간에서는 단위구가 공집합일 수도 있다.4. 2. 이차 형식
선형 공간 에 실수 이차 형식 가 주어졌을 때, 집합 은 의 '''단위 구'''[3][4][5][6], '''단위 준구''' 또는 '''단위 구면'''이라고 불린다. 예를 들어, 이차 형식 을 1로 설정하면 분할 복소수 평면에서 "단위원"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단위 쌍곡선이 생성된다. 마찬가지로, 이차 형식 은 쌍대수 평면에서 단위 구에 해당하는 한 쌍의 직선을 생성한다.이차 형식 가 음의 값을 가질 수 있을 때, 집합 을 '''반구'''(counter-sphere)라고 부른다.
참조
[1]
간행물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Math 5011, Chapter 3, Lebesgue and Hausdorff Measures
https://www.math.cuh[...]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
논문
The notion of dimension in geometry and algebra
https://www.ams.org/[...]
2021-12-17
[3]
서적
Variations on a Theme of Euler: quadratic forms, elliptic curves, and Hopf maps
Plenum Press
1994
[4]
서적
Spinors and calibrations
Academic Press
1990
[5]
서적
Variations on a Theme of Euler: quadratic forms, elliptic curves, and Hopf maps
Plenum Press
1994
[6]
서적
Spinors and calibrations
Academic Press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