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형은 생물 분류에서 한 개의 분류군만을 포함하는 분류 단위를 의미한다. 단형 분류군은 계층적 생물 분류 시스템에서 "그레그의 역설"과 같은 이론적 문제를 제기하며, 진화적 관계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거나, 분류학적 정보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분지학적 관점에서는 공유 파생 형질을 통해 관계가 해결되지 않을 때만 정당화될 수 있으며, 무계통군 문제와 관련되기도 한다. 단형 분류군에 속하는 종들은 멸종 위험이 높으며, 석송류, 은행나무, 실러캔스 등과 같은 예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단형
분류학적 계급
정의단일 하위 분류군만을 포함하는 분류학적 그룹
특징속(Genus)이 단 하나의 종(Species)만을 포함하는 경우
속(Genus)이 여러 종(Species)을 포함하지만, 이들을 하위 속(Subgenus)으로 더 세분화하지 않는 경우
과(Family)가 단 하나의 속(Genus)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위 분류군이 하나의 하위 분류군만을 포함하는 경우
예시
식물은행나무속(Ginkgo)은 현존하는 유일한 종인 은행나무(Ginkgo biloba)만을 포함하는 단형 속임
벨벳자작나무속(Leitneria)은 벨벳자작나무(Leitneria floridana)만을 포함하는 단형 속임
규토리속(Sciadopitys)은 현존하는 유일한 종인 규토리(Sciadopitys verticillata)만을 포함하는 단형 속임
동물안경원숭이(Tarsius)는 안경원숭이과(Tarsiidae)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속임
오카피(Okapia johnstoni)는 오카피속(Okapia)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종임
인도들창고래(Platanista gangetica)는 인도강돌고래속(Platanista)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종임
중요성
정보 제공단형 그룹은 진화론적 고립과 고유한 특성을 나타냄
참고 문헌
추가 정보생물학 백과사전
국제 조류, 균류 및 식물 명명법 (멜버른 규칙) 제38조

2. 이론적 배경

단형 분류군은 생물 분류에서 여러 중요한 이론적 문제를 제기한다. 대표적인 문제로는 단일 종이 여러 분류 계층의 유일한 구성원일 때 발생하는 "그레그의 역설"이 있다.[3] 또한, 단형 분류군이 분류 체계의 정보량을 감소시킨다는 비판도 존재한다.[4] 분지학적 관점에서도 단형 분류군의 이론적 지위는 복잡하게 여겨지며,[5][6] 진화적 관계가 불확실한 경우를 다루는 무계통군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3] 때때로 단형 분류군은 실제 진화적 생식적 격리보다는 해당 생물과 다른 생물 간의 관계에 대한 불확실성을 반영하기도 한다.[3] 이러한 이론적 배경 속에서 용어 사용에 대한 새로운 제안도 나오고 있다.[7]

2. 1. 그레그의 역설

단형 분류군은 생물 분류에서 몇 가지 중요한 이론적 문제를 제기하는데, 그중 하나가 "그레그의 역설"이다. 이 역설은 어떤 단일 종이 여러 계층적 분류 수준(예: 속의 유일한 종이면서, 그 속이 과의 유일한 속인 경우)의 유일한 구성원일 때 발생한다. 이 경우 각 분류 수준은 논리적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명확히 구분되는 정의가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서로 다른 분류군 순위가 사실상 동일해져, 생물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3]

분류학자들이 단형 분류군을 설정하는 것은 진정한 진화적 생식적 격리를 의미하기보다는, 해당 생물과 다른 생물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불확실함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규조류의 일종인 ''Licmophora juergensii''는 과학자들이 아직 다른 종과의 명확한 관계를 밝혀내지 못했기 때문에 단형 속으로 분류되어 있다.[3]

일부 분류학자들은 단형 분류군이 생물 분류 체계가 담고 있는 정보의 양을 감소시킨다고 비판한다. 분류학자 백룬드(Backlund)와 브레머(Bremer)는 단형 분류군이 바로 아래 단계 분류군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4] 만약 단형 분류군이 하나의 더 큰 그룹의 자매군이라면 해당 그룹에 통합될 수 있지만, 여러 다른 그룹들과 자매 관계에 있다면 자연스러운 분류를 위해 독립된 분류군으로 유지해야 할 수도 있다.[4]

진화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공유 파생 형질에 초점을 맞추는 분지학적 관점에서 보면, 단형 분류군의 이론적 지위는 다소 복잡하다. 일부 학자들은 단형 분류군이 오직 공유 파생 형질을 통해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없을 때만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지 않으면 관련 종들을 필연적으로 배제하게 되어 측계통군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5] 반면, 다른 학자들은 대부분의 분류군이 단계통군(공통 조상의 모든 후손 포함) 또는 측계통군(일부 후손 제외)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구성원이 하나뿐인 단형 분류군에는 이러한 개념 자체가 적용되기 어렵다고 주장하기도 한다.[6]

단형 분류군은 진화적 관계가 명확한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는 분류군을 의미하는 '무계통군'이라는 더 넓은 문제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여기에는 단형 그룹뿐만 아니라, 기존의 분류 그룹이 인위적인 것으로 밝혀지는 경우도 포함된다. 단형 분류군이 이러한 큰 틀 안에서 어떻게 위치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3]

독일의 지의류학자 로버트 뤼킹은 "모든 분류군은 정의상 정확히 하나의 기준표본을 가지므로 그 자체로 '단형'"이라며, 현재 '단형'이라는 용어가 종종 오해의 소지가 있게 사용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단일 종만을 포함하는 속에는 "단일종 속"(unispecific genus영어)을, 단 하나의 하위 분류 단위만을 포함하는 분류군에는 "단일분류군 분류군"(unitemporal taxon영어)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7]

2. 2. 분류학적 정보 감소

일부 분류학자들은 단형 분류군이 생물 분류 체계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양을 줄인다고 비판한다. 분류학자 백룬드(Backlund)와 브레머(Bremer)는 이러한 비판에서 "'단형' 분류군은 바로 하위 분류군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4] 단형 분류군이 단일의 더 큰 그룹의 자매군이라면, 해당 그룹으로 통합될 수 있다. 하지만 여러 다른 그룹과 자매 관계에 있다면, 자연스러운 분류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분류군으로 남겨두어야 할 수도 있다.[4]

단형 분류군은 생물 분류에서 몇 가지 중요한 이론적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그레그의 역설"로 알려진 문제가 대표적인데, 이는 단일 종이 여러 계층 수준(예: 속의 유일한 종, 과의 유일한 속)에서 유일한 구성원일 경우 발생한다. 이 경우 각 분류 계급은 논리적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명확히 구분되는 정의가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서로 다른 분류 계급이 사실상 동일해져 생물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어려움이 생긴다.[3]

분류학자들이 어떤 분류군을 단형으로 지정할 때, 이는 진정한 진화적 생식적 격리를 의미하기보다는 해당 분류군과 다른 분류군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불확실함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규조류 ''Licmophora juergensii''는 과학자들이 아직 다른 종과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찾지 못했기 때문에 단형 속으로 분류된다.[3]

진화적 관계를 밝히기 위해 공유 파생 형질에 초점을 맞추는 분지학적 관점에서 보면, 단형 분류군의 이론적 위치는 더욱 복잡해진다. 일부 학자들은 공유 파생 형질을 통해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없을 때만 단형 분류군 설정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지 않으면 관련 종을 필연적으로 제외하게 되어 측계통군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5] 반면, 다른 학자들은 대부분의 분류군이 단계통군(공통 조상의 모든 후손 포함) 또는 측계통군(일부 후손 제외)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단 하나의 구성원만 포함하는 단형 분류군에는 이러한 개념 자체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6]

단형 분류군은 ''무계통군''이라고 알려진, 생물 분류에서 더 넓은 문제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무계통군은 진화적 관계가 증거에 의해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는 분류군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단형 그룹뿐만 아니라 기존의 그룹 분류가 인위적인 것으로 밝혀진 경우도 포함된다. 단형 분류군이 이러한 큰 틀 안에서 어떻게 위치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3]

독일의 지의류학자 로버트 뤼킹은 "모든 분류군은 정의상 정확히 하나의 기준표본을 포함하므로 총 단위 수와 관계없이 '단형'"이라는 점에서, '단형'이라는 용어의 일반적인 사용이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단일 종만을 포함하는 속에는 "단일종(unispecific)"이라는 용어를, 단 하나의 하위 단위만을 포함하는 분류군에는 "단일분류군(uniteminal)"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7]

2. 3. 분지학적 관점

분지학적 관점에서 단형 분류군의 이론적 지위는 복잡하다. 분지학은 진화적 관계를 결정하기 위해 공유 파생 형질(synapomorphy)에 초점을 맞추는데, 일부 학자들은 단형 분류군이 이러한 공유 파생 형질을 통해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없을 때만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만약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음에도 단형으로 남겨둔다면, 관련된 다른 종들을 필연적으로 제외하게 되어 측계통군(paraphyletic group)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5]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대부분의 분류군이 단계통군(monophyletic group, 공통 조상의 모든 후손을 포함) 또는 측계통군(일부 후손을 제외)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이러한 개념 자체가 단 하나의 구성원만을 포함하는 단형 분류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기도 한다.[6]

단형 분류군은 진화적 관계가 증거에 의해 제대로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하는 '무계통군(incertae sedis)'이라는 생물 분류의 더 넓은 문제의 일부로 여겨지기도 한다. 여기에는 단형 그룹뿐만 아니라, 기존의 분류가 인위적인 것으로 밝혀진 경우도 포함된다. 단형 분류군이 이러한 큰 틀 안에서 어떻게 위치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3]

2. 4. 무계통군 문제

단형 분류군은 생물 분류에서 몇 가지 중요한 이론적 문제를 제기한다. "그레그의 역설"이라 불리는 문제가 대표적인데, 이는 단일 종이 여러 계층 수준(예: 속의 유일한 종이면서, 그 속이 과의 유일한 속인 경우)의 유일한 구성원일 때 발생한다. 이 경우 각 수준은 논리적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명확히 구분되는 정의가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서로 다른 분류군 순위가 사실상 동일해져 생물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어려움이 생긴다.[3]

분류학자들이 특정 분류군을 단형으로 지정하는 것은 진정한 진화적 생식적 격리를 의미하기보다는, 해당 분류군과 다른 분류군 간의 관계에 대한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규조류 ''Licmophora juergensii''는 과학자들이 아직 다른 종과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증거를 찾지 못했기 때문에 단형 속으로 분류된다.[3]

일부 분류학자들은 단형 분류군이 생물 분류의 정보 내용을 감소시킨다는 이유로 사용에 반대한다. 분류학자 백룬드(Backlund)와 브레머(Bremer)는 "'단형' 분류군은 바로 하위 분류군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4] 만약 단형 분류군이 단일의 더 큰 그룹과 자매군 관계라면 해당 그룹으로 통합될 수 있지만, 여러 다른 그룹과 자매군 관계일 경우에는 자연스러운 분류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분리된 상태로 두어야 할 수도 있다.[4]

진화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공유 파생 형질에 초점을 맞추는 분지학적 관점에서 볼 때, 단형 분류군의 이론적 위치는 복잡하다. 일부 학자들은 단형 분류군이 오직 공유 파생 형질을 통해 관계를 명확히 밝힐 수 없을 때만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지 않으면 관련 종을 필연적으로 제외하게 되어 측계통군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5] 반면, 다른 학자들은 대부분의 분류군이 단계통군(공통 조상의 모든 후손을 포함) 또는 측계통군(일부 후손을 제외)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구성원이 하나뿐인 단형 분류군에는 이러한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6]

단형 분류군은 '무계통군'이라고 알려진 생물 분류상의 더 넓은 문제의 일부이다. 무계통군은 진화적 관계가 충분한 증거로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을 가리키며, 여기에는 단형 그룹뿐만 아니라 기존의 분류 그룹이 인위적인 것으로 밝혀진 경우도 포함된다. 단형 분류군이 이러한 큰 틀 안에서 어떻게 위치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3]

독일의 지의류학자 로버트 뤼킹은 단형이라는 용어의 일반적인 사용이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모든 분류군은 정의상 정확히 하나의 기준표본을 포함하므로, 총 단위 수와 관계없이 '단형'이다"라고 설명하며, 단일 종을 가진 속에는 "단일종"이라는 용어를, 하나의 단위만 포함하는 분류군에는 "단일분류군"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7]

2. 5. 용어 사용 제안

독일의 지의류학자 로버트 뤼킹은 '단형'이라는 용어의 일반적인 사용이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모든 분류군이 정의상 정확히 하나의 기준표본을 가지므로, 포함된 단위 수와 관계없이 '단형'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든다. 따라서 뤼킹은 단일 종만을 포함하는 속에는 '단일종'이라는 용어를, 단 하나의 하위 분류 단위만을 포함하는 분류군에는 '단일분류군'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7]

3. 보존 필요성

단형 속에 속하는 종들은 평균적인 종들보다 멸종의 위협을 더 많이 받는 경향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패턴은 특히 양서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단형 속의 약 6.56%가 심각한 위협에 처해 있는 반면, 조류포유류의 경우 단형 속의 약 4.54%와 4.02%가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8]

연구에 따르면 단형 속의 멸종은 특히 섬에 서식하는 종과 관련이 깊다. 연구된 25개의 기록된 멸종된 단형 속 중 22개가 섬에서 발생했으며, 날지 못하는 동물들이 인간의 영향에 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8]

단형이라는 것은 가까운 친척 관계에 있는 분류군, 즉 근연 분류군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생물은 진화 과정에서 종분화를 반복하며 다양성을 획득해 온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 근연한 군이 존재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로 여겨진다.

근연 분류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예를 들어 해당 군에 속했던 많은 분류군이 과거에 멸종한 경우이다. 석송류 등이 대표적인 예로, 이 군에는 석송류, 부처손류, 물부추류가 포함되는데, 각각 과 또는 속 수준까지 단형이다. 이들은 고생대에 크게 번성했지만 대부분 멸종했으며,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종들은 그 생존자로 여겨진다. 은행나무실러캔스 등도 각각 속한 분류군의 유일한 생존자이다. 이처럼 과거에 번성했으나 대부분 멸종하고 홀로 살아남은 단형 분류군은 흔히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불린다.

4. 예시

단형이라는 용어는 특정 분류 계급에서 하위에 단 하나의 분류군만을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어떤 가 단 하나의 만을 포함할 때 그 과를 단형 과라고 부르며, 그 속에 속하는 유일한 속 역시 해당 과 내에서는 단형 속으로 지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 속이 단 하나의 만을 포함할 경우 단형 속이라고 한다.

이처럼 '단형'이라는 용어는 , , , , 등 다양한 분류 계급에 적용될 수 있다. 분류 계급이 높을수록, 그 분류군에 속하는 유일한 생물 그룹이 다른 생물들과 진화적으로 상당히 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즉, 가까운 친척뻘 되는 분류군이 거의 없는 외톨이 상태인 경우가 많다.

단형이라는 것은 가까운 친척뻘 분류군이 드물다는 것을 의미한다. 생물진화 과정에서 종분화를 거치며 다양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어느 정도 유사한 그룹이 존재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단형 분류군이 존재하는 이유는 해당 그룹 내에서 종분화가 더 이상 활발히 일어나지 않았거나, 과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었으나 멸종으로 인해 대부분 사라지고 현재의 그룹만 남았기 때문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살아남은 유일한 분류군은 과거 번성했던 집단의 마지막 생존자로서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기도 한다.

4. 1. 식물

식물 분류에서도 여러 단형 분류군을 찾아볼 수 있다. 단형 분류군은 특정 분류 계급에서 하위에 단 하나의 분류군만을 포함하는 경우를 말한다.

  • 은행나무문: 단 하나의 인 은행나무강만을 포함하는 단형 이다. 은행나무강 역시 단 하나의 은행나무목만을 포함하며, 이 목 또한 하나의 , , (은행나무)만을 포함하는 대표적인 단형 분류군이다.[9] 은행나무고생대에 번성했던 분류군의 유일한 생존자로 여겨지며, 살아있는 화석의 예시 중 하나로 꼽힌다.
  • 별난풀목: 단형 목으로, 오직 별난풀과 하나만을 포함한다. 이 과 역시 단형 과로, 별난풀속(Amborellala) 하나만을 포함하며, 이 속 또한 Amborella trichopodala라는 단일 종만을 포함하는 단형 속이다.
  • 꼬깔원추꽃과: 단형 과로, 세팔로투스속(Cephalotusla) 하나만을 포함한다. 이 속에는 알바니 벌레잡이통풀(Cephalotus follicularisla)이라는 단일 종만이 속해 있다.
  • 칸나과: 칸나속(Cannala)이라는 단 하나의 속만을 포함하는 단형 과이다. 하지만 이 속 안에는 50종 이상의 다양한 종이 포함되어 있어, 속 수준에서는 단형이 아니다.
  • 에조기쿠속: 국화과에 속하는 속으로, 에조기쿠(Callistephus chinensisla) 한 종만을 포함하는 단형 속이다.
  • Breonadia: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속으로, 꽃식물인 Breonadia salicinala 한 종만을 포함하는 단형 속이다.
  • 석송강: 석송류, 부처손류, 물부추류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각각 과 또는 속 수준까지 단형인 경우가 많다. 이들은 고생대에 번성했으나 대부분 멸종하고 현재 일부만이 남아있는 분류군으로 여겨진다.


최근의 APG 식물 분류 체계에서는 새로운 과가 많이 설정되면서, 단 하나의 종만을 포함하는 단형 과가 수십 개에 이르게 되었다. 이는 분류학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단형 분류군이 새롭게 정의되거나 발견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2. 동물

동물 분류에서도 단형의 예는 다양하게 찾아볼 수 있다.

  • 땅돼지
  • 작은부레관해파리
  • 월리스뜸부기
  • 오지크티스
  • 프리스텔라
  • 히야신스 마카우 앵무새
  • 털납작벌레
  • 풀무치
  • 수염오목눈이는 단형 속인 ''Panurus''의 유일한 종이며, 이는 단형 과인 Panuridae의 유일한 속이다.[19]
  • 마드론 나비는 단형 속인 ''Eucheira''의 유일한 종이지만, 이 나비에는 ''E. socialis socialis''와 ''E. socialis westwoodi''라는 두 개의 아종이 존재하므로, 종 ''E. socialis'' 자체는 단형이 아니다.[11]
  • 유럽울새(''Erithacus rubecula'')는 해당 속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분류군이다.[12]
  • 흰고래(''Delphinapterus leucas'')는 해당 속의 유일한 구성원이며, 아종이 존재하지 않는다.[13]
  • 듀공(''Dugong dugon'')은 단형 속인 ''Dugong''의 유일한 종이다.[14]
  • 인류(''Homo sapiens'')는 현존하는 아종을 구분할 만큼 유전적 다양성이 크지 않아 단형으로 간주된다.[15]
  • ''Limnognathia maerski''는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한 동물로, 단형 문(門)인 Micrognathozoa의 유일한 종이다. 이 동물은 문, 강, 목, 과, 속 수준까지 모두 단형 분류군에 속한다.
  • 일각고래는 중간 크기의 고래류이며, 단형 속 ''Monodon''의 유일한 구성원이다.[16]
  • 오리너구리는 단형 속 ''Ornithorhynchus''의 유일한 구성원이다.
  • 비늘멸(salamanderfish)은 현존하는 진골어류의 자매 그룹으로 여겨지는 목(目) Lepidogalaxiiformes의 유일한 구성원이다.[17]
  • 호주 북부와 뉴기니 남부에서 발견되는 크림반점카디널피시(''Ozichthys albimaculosus'')는 단형 속 ''Ozichthys''의 모식종이다.[18]
  • 개아과Canidae 내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는 아과이다.
  • 섬모편형동물은 과거 판형동물문의 단형 종으로 취급되었으나, 최근 새로운 속과 종이 보고되고 있다.
  • 그 외에도 내항동물, 유조동물, 악구동물 등은 강(綱) 또는 목(目) 단계까지 단형 분류군을 형성한다.
  • 실러캔스는 해당 분류군의 유일한 현존 생물로, 살아있는 화석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참조

[1] 서적 Principles of Systematic Zoology McGraw-Hill
[2] 서적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Melbourne Code) adopted by the Eighteenth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 Melbourne, Australia, July 2011 A.R.G. Gantner Verlag KG
[3] 논문 Aphyly: A Systematic Designation for a Taxonomic Problem https://www.research[...]
[4] 논문 To Be or Not to B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and Monotypic Plant Families
[5] 논문 Are Monotypic Genera Possible?
[6] 논문 Character-based phylogenetic Linnaean classification: taxa should be both ranked and monophyletic
[7] 논문 Stop the abuse of time! Strict temporal banding is not the future of rank-based classifications in Fungi (including lichens) and other organisms
[8] 논문 Exploring 'endangered living fossils' (ELFs) among monotypic genera of plants and animals of the world 2023
[9] 논문 Chloroplast Phylogenomics Indicates that Ginkgo biloba Is Sister to Cycads 2013
[10] 논문 Picomonas judraskeda gen. et sp. nov.: the first identified member of the Picozoa phylum nov., a widespread group of picoeukaryotes, formerly known as 'picobiliphytes'
[11] 논문 The natural history, sociobiology, and ethnobiology of Eucheira socialis Westwood (Lepidoptera: Pieridae), a unique and little-known butterfly from Mexico
[12] 웹사이트 Glossary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https://research.amn[...]
[13] 보고서 Designatable Units for Beluga Whales (Delphinapterus leucas) in Canada https://www.cosewic.[...] Committee on the Status of Endangered Wildlife in Canada
[14] 서적 Marine Mammals of the World
[15] 논문 Culture, population structure, and low genetic diversity in Pleistocene hominins 2009-01-06
[16] 보고서 COSEWIC assessment and update status report on the narwhal Monodon monoceros in Canada https://www.sararegi[...] Committee on the Status of Endangered Wildlife in Canada
[17] 문서 A phylogenomic approach to reconstruct interrelationships of main clupeocephalan lineages with a critical discussion of morphological apomorphies https://bmcecolevol.[...]
[18] 논문 A new genus of cardinalfish from tropical Australia and southern New Guinea (Percomorpha: Apogonidae) 2014-08-14
[19] 웹사이트 ITIS - Report: Panurus biarmicus https://www.itis.gov[...]
[20] 서적 Principles of Systematic Zoology McGraw-Hi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