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024 시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2024 시즌에 걸쳐 다양한 국제 경기에 참여했다.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4강에 진출했으나 요르단에 패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과 3차 예선에도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또한, 여러 차례의 친선 경기를 치렀으며, 손흥민, 이강인 등 주요 선수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2024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이라크와의 친선 경기를 시작으로 2023년 AFC 아시안컵에 참가했다.
2.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결과
2024년 1월 6일, 대한민국은 뉴욕 대학 경기장에서 이라크와 친선 경기를 가졌고, 이재성의 골로 1-0 승리했다. 당시 선발 라인업은 다음과 같았다.
교체 선수로는 김민재, 이강인(69분 경고 누적 퇴장, 86분 다시 투입), 손흥민, 조규성, 황희찬, 김태환이 있었다. 감독은 위르겐 클린스만이었다.
이라크는 잘랄 하산(주장)이 골키퍼로 나섰고, 후세인 알리, 사드 나티크, 알리 아드난(61분 자이드 타흐신과 교체, 88분 경고), 메르차스 도스키(46분 아흐메드 야흐야와 교체, 86분 경고), 오사마 라시드(46분 지단 이크발과 교체), 이브라힘 바예슈, 아미르 알암마리, 몬타데르 마드제드(46분 다닐로 알사에드와 교체), 알리 자심(46분 바샤르 레산과 교체), 모하나드 알리(66분 아이멘 후세인과 교체)가 선발로 출전했다. 교체 선수로는 지단 이크발, 아흐메드 야흐야(86분 경고), 다닐로 알사에드, 바샤르 레산, 자이드 타흐신(88분 경고), 아이멘 후세인이 있었다. 감독은 Jesús Casas였다.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 대한민국은 E조에 속하여 바레인, 요르단, 말레이시아와 조별 리그를 치렀다. 1월 15일, 바레인과의 경기에서 3-1로 승리했으며 황인범, 이강인, 고재현이 득점했다. 1월 20일, 요르단과의 경기에서는 손흥민의 페널티킥 골과 상대 자책골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1월 25일, 말레이시아와의 경기에서는 정우영, 이강인, 손흥민이 득점했지만 3-3으로 비겼다.
16강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와 1-1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했다. 조규성이 후반 추가시간에 동점골을 넣었고, 조현우 골키퍼가 승부차기에서 선방했다. 8강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를 상대로 연장전 끝에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황희찬의 페널티킥 골과 손흥민의 프리킥 골이 승리를 이끌었다. 하지만 준결승에서 요르단에게 0-2로 패배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클린스만 감독의 전술 부재가 드러나며 비판을 받았다. 대한민국은 4강에서 탈락하며 아시안컵을 마무리했고, 손흥민 등 주축 선수들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클린스만 감독의 지도력 부족이 아쉬운 결과를 낳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2. 1. 친선 경기
친선 경기는 다음과 같다.2. 1. 1. vs 이라크
2024년 1월 6일, 대한민국은 이라크와 친선 경기를 가졌다. 경기는 뉴욕 대학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관중 수는 100명이었다. 주심은 야흐야 알물라(아랍에미리트)가 맡았다.
대한민국은 이재성의 골로 1-0 승리했다.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kor22h | pattern_b = _kor22h | pattern_ra = _kor22h | pattern_sh = _kor22h | pattern_so = | leftarm = F53737 | body = F53737 | rightarm = F53737 | shorts = F53737 | socks = F53737 | title = 대한민국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iraq24a | pattern_b = _iraq24a | pattern_ra = _iraq24a | pattern_sh = _adidasblack | pattern_so = _3_stripes_black | leftarm = FFFFFF | body = FFFFFF | rightarm = FFFFFF | shorts = FFFFFF | socks = FFFFFF | title = 이라크 |
- GK: 김승규
- RB: 설영우(66분 김태환와 교체)
- CB: 정승현(46분 김민재와 교체)
- CB: 김영권(주장)
- LB: 이기제
- DM: 박용우
- RM: 이재성(46분 손흥민과 교체)
- CM: 홍현석(46분 이강인과 교체, 69분 경고 누적으로 퇴장)
- CM: 황인범
- LM: 정우영(46분 황희찬과 교체)
- CF: 오현규(46분 조규성과 교체)
교체 선수:
감독은 위르겐 클린스만이었다.
이라크 선발 라인업은 다음과 같았다.
- GK: 잘랄 하산(주장)
- RB: 후세인 알리
- CB: 사드 나티크
- CB: 알리 아드난(61분 자이드 타흐신과 교체, 88분 경고)
- LB: 메르차스 도스키(46분 아흐메드 야흐야와 교체, 86분 경고)
- CM: 오사마 라시드(46분 지단 이크발과 교체)
- CM: 이브라힘 바예슈
- CM: 아미르 알암마리
- RW: 몬타데르 마드제드(46분 다닐로 알사에드와 교체)
- LW: 알리 자심(46분 바샤르 레산과 교체)
- CF: 모하나드 알리(66분 아이멘 후세인과 교체)
교체 선수:
감독은 Jesús Casas였다.
경기 부심은 아흐메드 알라쉬디와 사베트 알알리가 맡았으며, 대기심은 라시드 압둘라였다.
2. 2. 2023년 AFC 아시안컵
2023년 AFC 아시안컵에서 대한민국은 조별 리그에서 E조에 속하여 바레인, 요르단, 말레이시아와 경쟁했다.조별 리그
- 1월 15일: 대한민국은 바레인을 3-1로 이겼다. 황인범, 이강인, 고재현이 득점했다.
- 1월 20일: 대한민국은 요르단과 2-2로 비겼다. 손흥민의 페널티킥 골과 상대 자책골로 무승부를 기록했다.
- 1월 25일: 대한민국은 말레이시아와 3-3으로 비겼다. 정우영, 이강인, 손흥민이 득점했지만, 경기 막판에 페널티킥을 허용하며 무승부로 마무리했다.
16강
- 1월 31일: 대한민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1-1로 비긴 뒤, 승부차기에서 4-2로 승리했다. 조규성이 후반 추가시간에 극적인 동점골을 넣었고, 조현우 골키퍼가 승부차기에서 결정적인 선방을 보여줬다.
8강
- 2월 2일: 대한민국은 오스트레일리아를 연장전 끝에 2-1로 이겼다. 황희찬의 페널티킥 골과 손흥민의 환상적인 프리킥 골로 역전승을 거뒀다.
준결승
- 2월 7일: 대한민국은 요르단에게 0-2로 패배하여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의 전술 부재가 비판받으며, 졸전 끝에 탈락했다.
결과대한민국은 4강에서 탈락하며 아시안컵을 마무리했다. 손흥민 등 주축 선수들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의 지도력 부족이 뼈아픈 결과로 이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2. 3.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대한민국은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C조에 속하여 중국, 태국, 싱가포르와 경쟁한다.- 2023년 11월 16일, 대한민국 5 - 0 싱가포르 (서울)
대한민국은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싱가포르와의 홈경기에서 5-0으로 승리했다. 이강인은 국가대표팀 데뷔 후 처음으로 득점에 성공했다.
- 2023년 11월 21일, 중국 0 - 3 대한민국 (선전)
대한민국은 선전 유니버시아드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중국과의 원정경기에서 손흥민의 멀티골 활약에 힘입어 3-0으로 승리했다. 특히 손흥민은 전반전에 페널티킥으로 득점했고, 후반전에는 황희찬의 패스를 받아 추가 득점에 성공하며 팀 승리를 이끌었다.
- 2024년 3월 21일, 대한민국 1 - 1 태국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태국과의 홈경기에서 손흥민의 선제골에도 불구하고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태국은 후반전에 동점골을 넣으며 대한민국을 상대로 승점 1점을 가져갔다.
- 2024년 3월 26일, 태국 0 - 3 대한민국 (방콕)
라자망갈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태국과의 원정경기에서 이재성, 손흥민, 박진섭의 득점으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이 승리로 대한민국은 조 1위를 유지하며 월드컵 3차 예선 진출 가능성을 높였다.
- 2024년 6월 6일, 싱가포르 - 대한민국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에서 싱가포르와 경기를 펼친다.
- 2024년 6월 11일, 대한민국 - 중국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중국과 경기를 펼친다.
2. 3. 1. vs 태국
리포트 (AFC)|골1 =
|골2 =
- Suphanat
|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관중수 = 64,912명
|심판 = 칼리드 알투라이스 (사우디아라비아)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kor24h | pattern_b = _kor24h | pattern_ra = _kor24h | pattern_sh = _kor24h | pattern_so = _kor24h | leftarm = FF354F | body = FF354F | rightarm = FF354F | shorts = FF354F | socks = FF354F | title = 대한민국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Thaihome24 | pattern_b = _Thaihome24 | pattern_ra = _Thaihome24 | pattern_sh = _Thaihome24 | pattern_so = _Thaihome24 | leftarm = 1e488d | body = 34548a | rightarm = 1e488d | shorts = 34548a | socks = 34548a | title = 태국 |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21 | 조현우 | ||
RB | 22 | 설영우 | ||
CB | 4 | 김민재 | ||
CB | 19 | 김영권 | ||
LB | 3 | 김진수 | ||
CM | 8 | 백승호 | ||
CM | 6 | 황인범 | ||
CM | 10 | 이재성 | ||
RW | 17 | 정우영 | ||
LW | 16 | 주민규 | ||
CF | 7 | 손흥민 (주장) | ||
교체 선수: | ||||
MF | 18 | 이강인 | ||
MF | 13 | 홍현석 | ||
FW | 9 | 조규성 | ||
DF | 2 | 이명재 | ||
감독: | ||||
황선홍 (대행)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21 | 파티왓 캄마이 | ||
RB | 12 | 니콜라스 미켈손 | ||
CB | 16 | Suphan Thongsong | ||
CB | 17 | Pansa Hemviboon | ||
LB | 3 | 티라톤 분마탄 (주장) | ||
RM | 13 | Jaroensak Wonggorn | ||
CM | 8 | Peeradon Chamratsamee | ||
CM | 22 | Weerathep Pompha | ||
LM | 7 | 수파촉 사라찻 | ||
CF | 9 | 수파차이 차이뎃 | ||
CF | 18 | 차나팁 송끄라신 | ||
교체 선수: | ||||
FW | 10 | Suphanat Mueanta | ||
DF | 21 | Suphanan Bureerat | ||
MF | 6 | 사라츠 유옌 | ||
감독: | ||||
이시이 마사타다 |
|}
2. 3. 2. vs 태국 (2)
2024년 3월 26일 라차망칼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태국과의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3-0으로 승리했다. 45,458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아드함 마카드메 심판( 요르단)이 경기를 진행했다.대한민국의 득점은 이재성이 전반 19분, 손흥민이 후반 54분, 박진섭이 후반 82분에 기록했다.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Thaihome24 | pattern_b = _Thaihome24 | pattern_ra = _Thaihome24 | pattern_sh = _Thaihome24 | pattern_so = _Thaihome24 | leftarm = 1e488d | body = 34548a | rightarm = 1e488d | shorts = 34548a | socks = 34548a | title = 태국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kor24h | pattern_b = _kor24h | pattern_ra = _kor24h | pattern_sh = _kor24h | pattern_so = _kor24h | leftarm = FF354F | body = FF354F | rightarm = FF354F | shorts = FF354F | socks = FF354F | title = 대한민국 |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21 | 파티왓 캄마이 | |
RB | 12 | 니콜라스 미켈손 | |
CB | 16 | Suphan Thongsong | |
CB | 17 | Pansa Hemviboon | |
LB | 3 | 티라톤 분마탄 (주장) | |
CM | 8 | Peeradon Chamratsamee | |
CM | 18 | 차나팁 송끄라신 | |
CM | 22 | Weerathep Pompha | |
RW | 13 | Jaroensak Wonggorn | |
LW | 7 | 수파촉 사라찻 | |
CF | 9 | 수파차이 차이뎃 | |
교체 선수: | |||
DF | 21 | Suphanan Bureerat | |
MF | 6 | 사라츠 유옌 | |
FW | 19 | Poramet Arjvirai | |
FW | 10 | Suphanat Mueanta | |
감독: | |||
이시이 마사타다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21 | 조현우 |
RB | 15 | 김문환 |
CB | 4 | 김민재 |
CB | 19 | 김영권 |
LB | 3 | 김진수 |
CM | 6 | 황인범 |
CM | 8 | 백승호 |
CM | 10 | 이재성 |
RW | 18 | 이강인 |
LW | 7 | 손흥민 (주장) |
CF | 9 | 조규성 |
교체 선수: | ||
MF | 5 | 박진섭 |
FW | 16 | 주민규 |
DF | 22 | 설영우 |
MF | 11 | 송민규 |
MF | 14 | 정호연 |
감독: | ||
황선홍 (대행) |
|}
__NOTOC__
2. 3. 3. vs 싱가포르
2024년 6월 6일, 싱가포르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6년 FIFA 월드컵 2차 예선에서 대한민국은 싱가포르를 상대로 7-0 대승을 거두었다. 49,097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사둘로 굴무로디 (타지키스탄) 심판의 주관으로 경기가 진행되었다.경기 정보는 다음과 같다.
- 경기 결과: 싱가포르 0 – 7 대한민국
- 경기장: 싱가포르 국립경기장, 칼랑
득점 정보:
선발 라인업:
포지션 | 싱가포르 | 대한민국 |
---|---|---|
GK | Hassan Sunny | 조현우 |
RB | Harhys Stewart | 황재원 |
CB | Suphan Thongsong | 조유민 |
CB | Safuwan Baharudin | 권경원 |
LB | Christopher van Huizen | 김진수 |
DM | 하리스 하룬 (주장) | 정우영 |
RM | Ryhan Stewart | 황인범 |
CM | Hami Syahin | 이강인 |
CM | Shah Shahiran | 이재성 |
LM | 송의영 | 손흥민 (주장) |
CF | Ikhsan Fandi | 주민규 |
교체 선수:
싱가포르 | 대한민국 | |
---|---|---|
교체 선수 | Ilhan Fandi, Taufik Suparno, Amirul Adli, Faris Ramli, Glenn Kweh | 엄원상, 황희찬, 배준호, 박승욱, 오세훈 |
심판진:
2. 3. 4. vs 중화인민공화국
2024년 6월 11일, 대한민국은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을 상대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경기는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펼쳐졌으며, 64,935명의 관중이 운집했다.경기 정보/경기 정보한국어
- 날짜: 6월 11일
- 시간: 20:00 (UTC+9)
- 결과: 대한민국 1 – 0 중화인민공화국
- 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
- 관중수: 64,935명
- 심판: 모함메드 알호이쉬 (사우디아라비아)
득점 정보/득점 정보한국어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kor24h | pattern_b = _kor24h | pattern_ra = _kor24h | pattern_sh = _kor24h | pattern_so = _kor24h | leftarm = FF354F | body = FF354F | rightarm = FF354F | shorts = FF354F | socks = FF354F | title = 대한민국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chn24h | pattern_b = _chn24h | pattern_ra = _chn24h | pattern_sh = _chn24a | pattern_so = _chn24h | leftarm = FFFFFF | body = FFFFFF | rightarm = FFFFFF | shorts = 000000 | socks = FFFFFF | title = 중화인민공화국 |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21 | 조현우 | ||
RB | 22 | 박승욱 | ||
CB | 14 | 조유민 | ||
CB | 20 | 권경원 | ||
LB | 3 | 김진수 | ||
CM | 6 | 황인범 | ||
CM | 5 | 정우영 | ||
CM | 10 | 이재성 | ||
RW | 18 | 이강인 | ||
LW | 7 | 손흥민 (주장) | ||
CF | 11 | 황희찬 | ||
교체 선수: | ||||
DF | 2 | 황재원 | ||
FW | 9 | 주민규 | ||
MF | 13 | 홍현석 | ||
MF | 8 | 박용우 | ||
MF | 23 | 배준호 | ||
감독: | ||||
김도훈 (대행)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14 | 왕다레이 (주장) | ||
RB | 21 | 양 Ze샹 | ||
CB | 2 | 장광타이 | ||
CB | 5 | 주천제 | ||
LB | 19 | 류양 | ||
CM | 16 | 장성룽 | ||
CM | 6 | 왕상위안 | ||
CM | 20 | Xie 원넝 | ||
AM | 13 | 쉬하오양 | ||
CF | 17 | 페이난둬 | ||
CF | 23 | Behram Abduweli | ||
교체 선수: | ||||
FW | 9 | 장위닝 | ||
FW | 7 | 우레이 | ||
MF | 3 | 황정위 | ||
MF | 22 | 팡하오 | ||
DF | 4 | 리레이 | ||
감독: | ||||
브란코 이반코비치 |
|}
이날 경기에서 이강인은 후반 61분에 결승골을 터뜨리며 대한민국의 승리를 이끌었다. 한편, 중국은 브란코 이반코비치 감독의 지휘 아래 투지를 불태웠으나, 아쉽게 패배했다.
2. 4.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대한민국은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 다음과 같은 경기 결과를 기록했다.날짜 | 경기장 | 상대 | 결과 | 득점자 |
---|---|---|---|---|
2024년 9월 (미정) | (미정) | - | ||
2024년 9월 (미정) | 평양 김일성경기장 | - | ||
2024년 10월 (미정) | 서울 (미정) | - | ||
2024년 10월 (미정) | 서울 (미정) | - | ||
2024년 11월 (미정) | 사우디 아라비아 (미정) | - | ||
2025년 3월 (미정) | (미정) | - | ||
2025년 3월 (미정) | 이라크 (미정) | - | ||
2025년 6월 (미정) | 무스카트 | - | ||
2025년 6월 (미정) | (미정) | - | ||
2025년 6월 (미정) | 아랍에미리트 (미정) | - |
2. 4. 1. vs 팔레스타인
2024년 9월 5일, 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에서 대한민국은 팔레스타인과 0-0으로 비겼다. 경기는 서울에 위치한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렸으며, 59,579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심판은 알리레자 파가니(오스트레일리아)가 맡았다.대한민국 | 팔레스타인 | ||||||||||||||||||||||
---|---|---|---|---|---|---|---|---|---|---|---|---|---|---|---|---|---|---|---|---|---|---|---|
pattern_la = _kor24h | pattern_b = _kor24h | pattern_ra = _kor24h | pattern_sh = _kor24h | pattern_so = _kor24h | leftarm = FF354F | body = FF354F | rightarm = FF354F | shorts = FF354F | socks = FF354F | title = 대한민국 | pattern_la = _ple2425a | pattern_b = _ple2425a | pattern_ra = _ple2425a | pattern_sh = | pattern_so = | leftarm = FFFFFF | body = FFFFFF | rightarm = FFFFFF | shorts = FFFFFF | socks = FFFFFF | title = 팔레스타인 |
대한민국은 조현우가 골키퍼로 출전했고, 황문기, 김민재, 김영권, 설영우가 수비진을 구성했다. 미드필더는 황인범, 정우영, 이강인, 이재성이 맡았으며, 공격진은 손흥민(주장)과 주민규가 나섰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은 후반 시작과 함께 오세훈을 투입하며 공격에 변화를 꾀했고, 황희찬, 황재원, 이명재, 이동경을 교체 투입하며 승리를 노렸지만, 득점에는 실패했다.
팔레스타인은 라미 하마데가 골문을 지켰고, 무사브 알바타트(주장), Michel Termanini, 야세르 하메드, Camilo Saldaña가 수비라인을 구축했다. Jonathan Cantillana, 아타 자베르, 오다이 카루브, 타메르 세얌이 미드필더로 출전했으며, 오다이 다바그와 Wessam Abou Ali가 공격을 이끌었다. 팔레스타인은 마흐무드 아부 와르다, Samer Jondi, 자이드 쿤바르, 모함메드 라시드를 교체 선수로 활용했다. 마크람 다부브 감독이 이끄는 팔레스타인은 수비에 집중하며 무승부를 기록했다.
경기에서 황인범, Camilo Saldaña, Jonathan Cantillana, 타메르 세얌, 오다이 카루브, Samer Jondi가 경고를 받았다.
라미 하마데는 뛰어난 활약으로 최우수 선수에 선정되었다. 부심은 안톤 슈체티닌과 애쉴리 비참이 맡았으며, 대기심은 애덤 Kersey가 담당했다. 비디오 판독심은 무하맛 타키(싱가포르)가, 보조 비디오 판독심은 라킴베크 카리모프가 맡았다.
2. 4. 2. vs 오만
2024년 9월 10일, 대한민국은 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에서 오만을 상대로 3-1 승리를 거뒀다. 경기는 오만의 무스카트에 위치한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에서 펼쳐졌으며, 27,144명의 관중이 운집했다. 주심은 중국의 마닝이 맡았다.경기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날짜: 9월 10일
- 시간: 18:00 (UTC+4)
- 장소: 술탄 카부스 종합운동장, 무스카트
- 관중수: 27,144명
- 심판: 마닝 (중국)
득점 정보는 다음과 같다.
다음은 양 팀의 선발 라인업과 교체 선수이다.
오만 | 대한민국 |
---|---|
경기 최우수 선수로는 대한민국의 손흥민이 선정되었다. 부심은 저우페이, 장청이 맡았으며, 대기심은 왕디가 맡았다. 비디오 판독심은 푸밍, 보조 비디오 판독심은 선인하오가 맡았다.
대한민국은 어려운 경기 속에서도 손흥민, 황희찬 등 핵심 선수들의 활약과 주민규의 쐐기골로 승리하며 월드컵 예선을 순조롭게 시작했다. 홍명보 감독은 노련한 용병술로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2. 4. 3. vs 요르단 (3)
2024년 10월 10일, 요르단과 대한민국의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 경기가 암만 국제경기장에서 열렸다. 대한민국은 이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jor24H | pattern_b = _jor24H | pattern_ra = _jor24H | pattern_sh = | pattern_so = | leftarm = FFFFFF | body = FFFFFF | rightarm = FFFFFF | shorts = FFFFFF | socks = FFFFFF | title = 요르단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kor24h | pattern_b = _kor24h | pattern_ra = _kor24h | pattern_sh = _kor24h | pattern_so = _kor24h | leftarm = FF354F | body = FF354F | rightarm = FF354F | shorts = FF354F | socks = FF354F | title = 대한민국 |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1 | 야지드 아부 라이라 | ||
CB | 3 | 압달라 나시브 | ||
CB | 5 | 야잔 알아라브 | ||
CB | 4 | Hossam Abu Al-Dhahab | ||
RWB | 23 | 이흐산 하다드 (주장) | ||
LWB | 2 | 모함마드 아부 하시쉬 | ||
CM | 21 | 니자르 알라쉬단 | ||
CM | 8 | 누르 알라왑데 | ||
AM | 13 | 마흐무드 알마르디 | ||
AM | 20 | 모한나드 아부 타하 | ||
CF | 9 | 알리 올완 | ||
교체 선수: | ||||
FW | 11 | 야잔 알나이마트 | ||
DF | 16 | Mo Abualnadi | ||
FW | 7 | 아흐마드 에르산 | ||
MF | 15 | 이브라힘 사데 | ||
DF | 6 | Yousef Abu Al-Jazar | ||
감독: | ||||
Jamal Sellami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21 | 조현우 | |||
RB | 22 | 설영우 | |||
CB | 14 | 조유민 | |||
CB | 4 | 김민재 (주장) | |||
LB | 3 | 이명재 | |||
DM | 6 | 황인범 | |||
DM | 8 | 박용우 | |||
AM | 18 | 이강인 | |||
AM | 10 | 이재성 | |||
AM | 11 | 황희찬 | |||
CF | 9 | 주민규 | |||
교체 선수: | |||||
MF | 20 | 엄지성 | |||
MF | 17 | 배준호 | |||
FW | 23 | 오현규 | |||
MF | 5 | 백승호 | |||
MF | 7 | 홍현석 | |||
감독: | |||||
홍명보 |
|}
이재성은 대한민국의 핵심 미드필더로서 선제골을 기록하며 팀 승리를 이끌었고,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노련한 홍명보 감독은 적절한 선수 교체를 통해 팀의 공수 균형을 유지하며 승리를 확정지었다.
2. 4. 4. vs 이라크 (2)
2024년 10월 15일, 대한민국은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 이라크를 맞아 3-2로 승리했다. 경기는 용인의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35,198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주심은 루스탐 루트풀린(우즈베키스탄)이 맡았다.대한민국은 전반 41분 오세훈의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후반 50분 후세인에게 동점골을 허용했다. 후반 74분 오현규의 골로 다시 앞서갔지만, 후반 90+5분 바예쉬에게 또다시 동점골을 내주었다. 그러나 후반 83분 이재성이 결승골을 터뜨리며 힘겹게 승리했다. 이강인은 뛰어난 활약으로 최우수 선수에 선정되었다.
대한민국 | 이라크 |
---|---|
부심은 안드레이 차펜코 (우즈베키스탄)와 티무르 가이눌린 (우즈베키스탄)이 맡았으며, 대기심은 아스케르 나자리예프 (우즈베키스탄)가 맡았다. 비디오 판독심은 피르다프스 노르사로프(우즈베키스탄)가, 보조 비디오 판독심은 압두쉬드 쿠도이베르간노프 (우즈베키스탄)가 맡았다.
2. 4. 5. vs 쿠웨이트
2024년 11월 14일, 대한민국은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 쿠웨이트를 맞아 자베르 알아흐마드 국제경기장에서 경기를 펼쳤다. 경기 결과는 3-1, 대한민국의 승리였다.경기 정보는 다음과 같다.
- '''날짜:''' 2024년 11월 14일
- '''시간:''' 17:00 (UTC+3)
- '''경기장:''' 자베르 알아흐마드 국제경기장, 쿠웨이트시티
- '''관중수:''' 22,791명
- '''심판:''' 숀 에번스 (오스트레일리아)
득점 정보는 다음과 같다.
양 팀의 라인업은 다음과 같다.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adidascondivo22rbw | pattern_b = _adidascondivo22rbw | pattern_ra = _adidascondivo22rbw | pattern_sh = _adidascondivo22rbw | pattern_so = _color_3_stripes_white | leftarm = 0000FF | body = 0000FF | rightarm = 0000FF | shorts = 0000FF | socks = 0000FF | title = 쿠웨이트 | {{축구 유니폼 | pattern_la = _kor24h | pattern_b = _kor24h | pattern_ra = _kor24h | pattern_sh = _kor24h | pattern_so = _kor24h | leftarm = FF354F | body = FF354F | rightarm = FF354F | shorts = FF354F | socks = FF354F | title = 대한민국 |
{| width="100%"
|valign="top" width="40%"|
width=25| | width=25| | |||
---|---|---|---|---|
GK | 1 | Khaled Al-Rashidi (주장) | ||
RB | 2 | Sami Al-Sanea | ||
CB | 21 | Hassan Al-Enezi | ||
CB | 4 | Khalid El Ebrahim | ||
LB | 3 | Meshari Ghanem | ||
RM | 11 | Eid Al-Rashidi | ||
CM | 14 | Redha Abujabarah | ||
CM | 18 | Athbi Shehab | ||
LM | 19 | Muath Al-Enezi | ||
CF | 7 | 모함마드 다함 | ||
CF | 9 | Salman Al-Awadhi | ||
교체 선수: | ||||
FW | 15 | Ahmed Al-Dhefiri | ||
MF | 6 | Sultan Al Enezi | ||
DF | 16 | Ahmed Al-Dhefiri | ||
DF | 13 | Rashed Al-Dousari | ||
FW | 20 | Yousef Nasser | ||
감독: | ||||
후안 안토니오 피시 |
|valign="top"|
|valign="top" width="50%"|
width=25| | width=25| | |||
---|---|---|---|---|
GK | 21 | 조현우 | ||
RB | 2 | 설영우 | ||
CB | 14 | 조유민 | ||
CB | 4 | 김민재 | ||
LB | 3 | 이명재 | ||
DM | 6 | 황인범 | ||
DM | 8 | 박용우 | ||
AM | 18 | 이강인 | ||
AM | 10 | 이재성 | ||
AM | 7 | 손흥민 (주장) | ||
CF | 19 | 오세훈 | ||
교체 선수: | ||||
MF | 17 | 배준호 | ||
DF | 13 | 이태석 | ||
FW | 11 | 오현규 | ||
MF | 5 | 백승호 | ||
MF | 9 | 이현주 | ||
감독: | ||||
홍명보 |
|}
경기 최우수 선수는 선제골을 기록한 오세훈이 선정되었다. 대한민국의 젊은 공격수 오세훈은 쿠웨이트 수비진을 흔들며 팀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심판진은 다음과 같다.
- '''주심:''' 숀 에번스 (오스트레일리아)
- '''부심:''' 조지 라크린디스 (오스트레일리아), 오웬 골드릭 (오스트레일리아)
- '''대기심:''' 대니얼 Elder (오스트레일리아)
- '''비디오 판독심:''' 알렉스 킹 (오스트레일리아)
- '''보조 비디오 판독심:''' 케이트 야체위치 (오스트레일리아)
2. 4. 6. vs 팔레스타인 (2)
2024년 11월 19일,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 팔레스타인과 대한민국이 맞붙어 1-1 무승부를 기록했다.경기 정보 | 값 |
---|---|
날짜 | 11월 19일 |
시간 | 17:00 (UTC+3) |
팀 1 | 팔레스타인 |
득점 | 1 – 1 |
팀 2 | 대한민국 |
경기장 | 암만 국제경기장, 암만AFC는 2024년 이란-이스라엘 분쟁 관련 안보 문제로 인해 중립 경기장으로 변경했다. |
관중수 | 2,405명 |
심판 | 아라키 유스케 (일본) |
팔레스타인 | 대한민국 | ||||||||||||||||||||||
---|---|---|---|---|---|---|---|---|---|---|---|---|---|---|---|---|---|---|---|---|---|---|---|
pattern_la = _ple2425a | pattern_b = _ple2425a | pattern_ra = _ple2425a | pattern_sh = | pattern_so = | leftarm = FFFFFF | body = FFFFFF | rightarm = FFFFFF | shorts = FFFFFF | socks = FFFFFF | title = 팔레스타인 | pattern_la = _kor24h | pattern_b = _kor24h | pattern_ra = _kor24h | pattern_sh = _kor24h | pattern_so = _kor24h | leftarm = FF354F | body = FF354F | rightarm = FF354F | shorts = FF354F | socks = FF354F | title = 대한민국 |
팔레스타인 | 대한민국 |
---|---|
선발 라인업 | 선발 라인업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감독 | 감독 |
마크람 다부브 | 홍명보 |
경기 초반인 전반 12분, 팔레스타인의 자이드 쿤바르가 선제골을 넣으며 앞서나갔다. 대한민국은 후반 16분, 대한민국의 손흥민이 득점하며 1-1 동점을 만들었다.
손흥민은 이 경기에서 대한민국의 공격을 이끌며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경기 정보
- 최우수 선수: 손흥민 (대한민국)
- 부심: 미하라 준 (일본), 와타나베 고타 (일본)
- 대기심: 가사하라 히로키 (일본)
- 비디오 판독심: 기무라 히로유키 (일본)
- 보조 비디오 판독심: 이다 준페이 (일본)
3. 통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2024년 시즌 통계는 다음과 같다. 11월 19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포지션 | 선수 | 소속팀 | 경기 | 득점 | 도움 | |||
---|---|---|---|---|---|---|---|---|
GK | 김경민 | 광주 FC | 0 | 0 | 0 | 0 | 0 | 0 |
김승규 | 알샤바브 | 2 | -1 | 0 | 0 | 0 | 0 | |
김준홍 | 전북 현대 | 0 | 0 | 0 | 0 | 0 | 0 | |
송범근 | 쇼난 벨마레 | 0 | 0 | 0 | 0 | 0 | 0 | |
이창근 | 대전 하나 | 0 | 0 | 0 | 0 | 0 | 0 | |
조현우 | 울산 HD | 15 | -15 | 0 | 0 | 0 | 0 | |
황인재 | 포항 스틸러스 | 0 | 0 | 0 | 0 | 0 | 0 | |
DF | 권경원 | 코르 파칸 | 2 | 0 | 0 | 0 | 0 | 0 |
김민재 | 바이에른 뮌헨 | 14 | 0 | 2 | 2 | 0 | 0 | |
김영권 | 울산 HD | 9 | 0 | 0 | 1 | 0 | 0 | |
김문환 | 대전 하나 | 2 | 0 | 0 | 0 | 0 | 0 | |
김주성 | FC 서울 | 0 | 0 | 0 | 0 | 0 | 0 | |
김지수 | 브렌트퍼드 | 0 | 0 | 0 | 0 | 0 | 0 | |
김진수 | 전북 현대 | 5 | 0 | 1 | 0 | 0 | 0 | |
김태환 | 전북 현대 | 7 | 0 | 0 | 0 | 0 | 0 | |
박민규 | 콘사돌레 삿포로 | 0 | 0 | 0 | 0 | 0 | 0 | |
박승욱 | 김천 상무 | 2 | 0 | 1 | 0 | 0 | 0 | |
설영우 | 츠르베나 즈베즈다 | 15 | 0 | 3 | 1 | 0 | 0 | |
이기제 | 수원 삼성 | 3 | 0 | 0 | 1 | 0 | 0 | |
이기혁 | 강원 FC | 0 | 0 | 0 | 0 | 0 | 0 | |
이명재 | 울산 HD | 7 | 0 | 1 | 0 | 0 | 0 | |
이태석 | 포항 스틸러스 | 1 | 0 | 0 | 0 | 0 | 0 | |
이한범 | 미트윌란 | 0 | 0 | 0 | 0 | 0 | 0 | |
정승현 | 알와슬 | 7 | 0 | 0 | 1 | 0 | 0 | |
조유민 | 샤르자 | 6 | 0 | 1 | 1 | 0 | 0 | |
최우진 | 인천 유나이티드 | 0 | 0 | 0 | 0 | 0 | 0 | |
최준 | FC 서울 | 0 | 0 | 0 | 0 | 0 | 0 | |
하창래 | 나고야 그램퍼스 | 0 | 0 | 0 | 0 | 0 | 0 | |
황문기 | 강원 FC | 1 | 0 | 0 | 0 | 0 | 0 | |
황재원 | 대구 FC | 3 | 0 | 0 | 0 | 0 | 0 |
포지션 | 선수 | 소속팀 | 경기 | 득점 | 도움 | |||
---|---|---|---|---|---|---|---|---|
MF | 권혁규 | 하이버니언 | 0 | 0 | 0 | 0 | 0 | 0 |
김봉수 | 김천 상무 | 0 | 0 | 0 | 0 | 0 | 0 | |
문선민 | 전북 현대 | 2 | 0 | 0 | 0 | 0 | 0 | |
박용우 | 알아인 | 13 | 0 | 0 | 2 | 0 | 0 | |
박진섭 | 전북 현대 | 5 | 1 | 0 | 0 | 0 | 0 | |
배준호 | 스토크 시티 | 6 | 2 | 2 | 0 | 0 | 0 | |
백승호 | 버밍엄 시티 | 5 | 0 | 0 | 0 | 0 | 0 | |
손흥민 | 토트넘 홋스퍼 | 15 | 10 | 2 | 1 | 0 | 0 | |
송민규 | 전북 현대 | 1 | 0 | 0 | 0 | 0 | 0 | |
양민혁 | 강원 FC | 0 | 0 | 0 | 0 | 0 | 0 | |
양현준 | 셀틱 | 2 | 0 | 0 | 0 | 0 | 0 | |
엄원상 | 울산 HD | 1 | 0 | 0 | 0 | 0 | 0 | |
엄지성 | 스완지 시티 | 1 | 0 | 0 | 0 | 0 | 0 | |
이강인 | 파리 생제르맹 | 17 | 7 | 3 | 1 | 1 | 0 | |
이동경 | 김천 상무 | 1 | 0 | 0 | 0 | 0 | 0 | |
이순민 | 대전 하나 | 0 | 0 | 0 | 0 | 0 | 0 | |
이승우 | 전북 현대 | 1 | 0 | 0 | 0 | 0 | 0 | |
이재성 | 마인츠 05 | 16 | 4 | 3 | 2 | 0 | 0 | |
이현주 | 하노버 96 | 1 | 0 | 0 | 0 | 0 | 0 | |
정우영 | 울산 HD | 3 | 0 | 0 | 1 | 0 | 0 | |
정우영 | 우니온 베를린 | 7 | 1 | 0 | 0 | 0 | 0 | |
정호연 | 광주 FC | 1 | 0 | 0 | 0 | 0 | 0 | |
홍현석 | 마인츠 05 | 10 | 0 | 0 | 0 | 0 | 0 | |
황인범 | 페예노르트 | 17 | 1 | 3 | 3 | 0 | 0 | |
황희찬 | 울버햄프턴 원더러스 | 10 | 3 | 0 | 0 | 0 | 0 | |
FW | 오세훈 | 마치다 젤비아 | 6 | 2 | 0 | 0 | 0 | 0 |
오현규 | 헹크 | 8 | 2 | 0 | 1 | 0 | 0 | |
조규성 | 미트윌란 | 9 | 1 | 0 | 3 | 0 | 0 | |
주민규 | 울산 HD | 7 | 2 | 3 | 0 | 0 | 0 |
팀별 국가대표 차출 인원각 팀별 국가대표 차출 인원은 다음과 같다.
# | 소속팀 | 인원 | 선수 |
---|---|---|---|
1 | 전북 현대 | 7 | 문선민, 박진섭, 송민규, 김진수, 김태환, 김준홍, 이승우 |
2 | 울산 HD | 6 | 조현우, 이명재, 김영권, 주민규, 엄원상, 정우영 |
3 | 김천 상무 | 3 | 박승욱, 김봉수, 이동경 |
강원 FC | 3 | 황문기, 양민혁, 이기혁 | |
대전 하나 | 3 | 이창근, 이순민, 김문환 | |
4 | FC 서울 | 2 | 김주성, 최준 |
포항 스틸러스 | 2 | 황인재, 이태석 | |
광주 FC | 2 | 정호연, 김경민 | |
마인츠 05 | 2 | 이재성, 홍현석 | |
미트윌란 | 2 | 조규성, 이한범 |
리그별 국가대표 차출 인원K리그1과 K리그2에서 총 31명의 국가대표를 배출하며 대한민국 축구의 저력을 과시했다. 특히, 전북 현대, 울산 HD, 강원 FC, 김천 상무, 대전 하나 시티즌, FC 서울, 포항 스틸러스, 광주 FC, 대구 FC, 인천 유나이티드, 수원 삼성이 국가대표 배출에 크게 기여했다. K리그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자원 공급처로서 그 중요성을 입증했다.
2위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EFL 챔피언십, EFL 리그 원으로 총 6명을 배출했다. 토트넘 홋스퍼, 브렌트퍼드, 울버햄프턴 원더러스, 스완지 시티, 스토크 시티, 버밍엄 시티가 이름을 올렸다. 손흥민의 활약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3위는 독일 분데스리가와 2. 분데스리가로 5명의 선수를 배출했다. 1. FSV 마인츠 05, FC 바이에른 뮌헨, 1. FC 우니온 베를린, 하노버 96이 포함된다.
J1리그와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는 각각 4명의 국가대표를 배출하며 공동 4위를 기록했다. J1리그에서는 FC 마치다 젤비아, 나고야 그램퍼스, 쇼난 벨마레,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가, 걸프 리그에서는 샤르자 FC, 알아인 FC, 알와슬 FC, 코르 파칸 클럽이 기여했다.
스코티시 프리미어십과 덴마크 수페르리가는 각각 2명의 선수를 배출하며 공동 5위에 올랐다. 셀틱 FC, 하이버니언 FC, FC 미트윌란이 포함된다.
사우디 프로리그, 프랑스 리그 1, 네덜란드 에레디비시, 벨기에 프로 리그,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서는 각 1명의 국가대표를 배출했다. 알샤바브, 파리 생제르맹,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KRC 헹크, FK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이름을 올렸다.
# | 리그 | 인원 | 구단 |
---|---|---|---|
1 | K리그1/2 | 31 | '''전북, 울산, 강원, 김천, 대전, 서울, 포항, 광주, 대구, 인천/수원 |
2 | EPL/EFL/리그 원 | 6 | 토트넘, 브렌트퍼드, 울버햄프턴/스완지, 스토크/버밍엄 |
3 | 분데스리가/2. | 5 | 마인츠, 뮌헨, 우니온 베를린/하노버 96 |
4 | J1리그 | 4 | 마치다, 나고야, 쇼난, C.삿포로 |
걸프리그 | 샤르자, 알아인, 알와슬, 코르 파칸 | ||
5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 2 | 셀틱, 하이버니언 |
수페르리가 | 미트윌란 | ||
1 | 사우디 프로리그 | 1 | 알샤바브 |
리그 1 | 파리 | ||
에레디비시 | 페예노르트 | ||
벨기에 프로 리그 | 헹크 | ||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 즈베즈다 |
3. 1. 국가대표팀 기록
2024년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다음과 같은 기록을 세웠다.- 2023년 AFC 아시안컵: 1월 15일부터 2월 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조별 리그를 거쳐 준결승에서 탈락했다. 2승 3무 1패, 11득점 10실점을 기록했다.
- 2026년 FIFA 월드컵 2차 예선: 3월 21일부터 6월 1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2차 예선을 통과했다. 3승 1무, 12득점 1실점을 기록했다.
- 2026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 9월 5일부터 11월 1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4승 2무, 12득점 5실점을 기록했다.
- 친선 경기: 1월 6일 단 1경기만 치렀으며, 1승, 1득점, 무실점을 기록했다.
- 마지막 업데이트: 11월 19일*
https://kr.soccerway.com/teams/korea-republic/korea-republic/1385 Soccerway
3. 2. 개인 기록
포지션 | 선수 | 소속팀 | 경기 | 득점 | 도움 | |||
---|---|---|---|---|---|---|---|---|
GK | 김경민 | 광주 FC | 0 | 0 | 0 | 0 | 0 | 0 |
김승규 | 알샤바브 | 2 | -1 | 0 | 0 | 0 | 0 | |
김준홍 | 전북 현대 | 0 | 0 | 0 | 0 | 0 | 0 | |
송범근 | 쇼난 벨마레 | 0 | 0 | 0 | 0 | 0 | 0 | |
이창근 | 대전 하나 | 0 | 0 | 0 | 0 | 0 | 0 | |
조현우 | 울산 HD | 15 | -15 | 0 | 0 | 0 | 0 | |
황인재 | 포항 스틸러스 | 0 | 0 | 0 | 0 | 0 | 0 | |
DF | 권경원 | 코르 파칸 | 2 | 0 | 0 | 0 | 0 | 0 |
김민재 | 바이에른 뮌헨 | 14 | 0 | 2 | 2 | 0 | 0 | |
김영권 | 울산 HD | 9 | 0 | 0 | 1 | 0 | 0 | |
김문환 | 대전 하나 | 2 | 0 | 0 | 0 | 0 | 0 | |
김주성 | FC 서울 | 0 | 0 | 0 | 0 | 0 | 0 | |
김지수 | 브렌트퍼드 | 0 | 0 | 0 | 0 | 0 | 0 | |
김진수 | 전북 현대 | 5 | 0 | 1 | 0 | 0 | 0 | |
김태환 | 전북 현대 | 7 | 0 | 0 | 0 | 0 | 0 | |
박민규 | 콘사돌레 삿포로 | 0 | 0 | 0 | 0 | 0 | 0 | |
박승욱 | 김천 상무 | 2 | 0 | 1 | 0 | 0 | 0 | |
설영우 | 츠르베나 즈베즈다 | 15 | 0 | 3 | 1 | 0 | 0 | |
이기제 | 수원 삼성 | 3 | 0 | 0 | 1 | 0 | 0 | |
이기혁 | 강원 FC | 0 | 0 | 0 | 0 | 0 | 0 | |
이명재 | 울산 HD | 7 | 0 | 1 | 0 | 0 | 0 | |
이태석 | 포항 스틸러스 | 1 | 0 | 0 | 0 | 0 | 0 | |
이한범 | 미트윌란 | 0 | 0 | 0 | 0 | 0 | 0 | |
정승현 | 알와슬 | 7 | 0 | 0 | 1 | 0 | 0 | |
조유민 | 샤르자 | 6 | 0 | 1 | 1 | 0 | 0 | |
최우진 | 인천 유나이티드 | 0 | 0 | 0 | 0 | 0 | 0 | |
최준 | FC 서울 | 0 | 0 | 0 | 0 | 0 | 0 | |
하창래 | 나고야 그램퍼스 | 0 | 0 | 0 | 0 | 0 | 0 | |
황문기 | 강원 FC | 1 | 0 | 0 | 0 | 0 | 0 | |
황재원 | 대구 FC | 3 | 0 | 0 | 0 | 0 | 0 |
포지션 | 선수 | 소속팀 | 경기 | 득점 | 도움 | |||
---|---|---|---|---|---|---|---|---|
MF | 권혁규 | 하이버니언 | 0 | 0 | 0 | 0 | 0 | 0 |
김봉수 | 김천 상무 | 0 | 0 | 0 | 0 | 0 | 0 | |
문선민 | 전북 현대 | 2 | 0 | 0 | 0 | 0 | 0 | |
박용우 | 알아인 | 13 | 0 | 0 | 2 | 0 | 0 | |
박진섭 | 전북 현대 | 5 | 1 | 0 | 0 | 0 | 0 | |
배준호 | 스토크 시티 | 6 | 2 | 2 | 0 | 0 | 0 | |
백승호 | 버밍엄 시티 | 5 | 0 | 0 | 0 | 0 | 0 | |
손흥민 | 토트넘 홋스퍼 | 15 | 10 | 2 | 1 | 0 | 0 | |
송민규 | 전북 현대 | 1 | 0 | 0 | 0 | 0 | 0 | |
양민혁 | 강원 FC | 0 | 0 | 0 | 0 | 0 | 0 | |
양현준 | 셀틱 | 2 | 0 | 0 | 0 | 0 | 0 | |
엄원상 | 울산 HD | 1 | 0 | 0 | 0 | 0 | 0 | |
엄지성 | 스완지 시티 | 1 | 0 | 0 | 0 | 0 | 0 | |
이강인 | 파리 생제르맹 | 17 | 7 | 3 | 1 | 1 | 0 | |
이동경 | 김천 상무 | 1 | 0 | 0 | 0 | 0 | 0 | |
이순민 | 대전 하나 | 0 | 0 | 0 | 0 | 0 | 0 | |
이승우 | 전북 현대 | 1 | 0 | 0 | 0 | 0 | 0 | |
이재성 | 마인츠 05 | 16 | 4 | 3 | 2 | 0 | 0 | |
이현주 | 하노버 96 | 1 | 0 | 0 | 0 | 0 | 0 | |
정우영 | 울산 HD | 3 | 0 | 0 | 1 | 0 | 0 | |
정우영 | 우니온 베를린 | 7 | 1 | 0 | 0 | 0 | 0 | |
정호연 | 광주 FC | 1 | 0 | 0 | 0 | 0 | 0 | |
홍현석 | 마인츠 05 | 10 | 0 | 0 | 0 | 0 | 0 | |
황인범 | 페예노르트 | 17 | 1 | 3 | 3 | 0 | 0 | |
황희찬 | 울버햄프턴 원더러스 | 10 | 3 | 0 | 0 | 0 | 0 | |
FW | 오세훈 | 마치다 젤비아 | 6 | 2 | 0 | 0 | 0 | 0 |
오현규 | 헹크 | 8 | 2 | 0 | 1 | 0 | 0 | |
조규성 | 미트윌란 | 9 | 1 | 0 | 3 | 0 | 0 | |
주민규 | 울산 HD | 7 | 2 | 3 | 0 | 0 | 0 |
3. 3. 팀별 국가대표 차출 인원
# | 소속팀 | 인원 | 선수 |
---|---|---|---|
1 | 전북 현대 | 7 | 문선민, 박진섭, 송민규, 김진수, 김태환, 김준홍, 이승우 |
2 | 울산 HD | 6 | 조현우, 이명재, 김영권, 주민규, 엄원상, 정우영 |
3 | 김천 상무 | 3 | 박승욱, 김봉수, 이동경 |
강원 FC | 3 | 황문기, 양민혁, 이기혁 | |
대전 하나 | 3 | 이창근, 이순민, 김문환 | |
4 | FC 서울 | 2 | 김주성, 최준 |
포항 스틸러스 | 2 | 황인재, 이태석 | |
광주 FC | 2 | 정호연, 김경민 | |
마인츠 05 | 2 | 이재성, 홍현석 | |
미트윌란 | 2 | 조규성, 이한범 |
3. 4. 리그별 국가대표 차출 인원
K리그1과 K리그2에서 총 31명의 국가대표를 배출하며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전북 현대 모터스, 울산 HD FC, 강원 FC, 김천 상무 FC, 대전 하나 시티즌, FC 서울, 포항 스틸러스, 광주 FC, 대구 FC, 인천 유나이티드 FC, 그리고 수원 삼성 블루윙즈가 국가대표 배출에 기여했다. K리그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핵심 자원 공급처로서 그 중요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2위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EFL 챔피언십, EFL 리그 원에서 총 6명을 배출했다. 토트넘 홋스퍼 FC, 브렌트퍼드 FC, 울버햄프턴 원더러스 FC, 스완지 시티 AFC, 스토크 시티 FC, 버밍엄 시티 FC가 이름을 올렸다.
3위는 독일 분데스리가와 2. 분데스리가에서 5명의 선수를 배출했다. 1. FSV 마인츠 05, FC 바이에른 뮌헨, 1. FC 우니온 베를린, 하노버 96이 포함된다.
J1리그와 UAE 아라비안 걸프 리그는 각각 4명의 국가대표를 배출하며 공동 4위를 기록했다. J1리그에서는 FC 마치다 젤비아, 나고야 그램퍼스, 쇼난 벨마레,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가, 걸프 리그에서는 샤르자 FC, 알아인 FC, 알와슬 FC, 코르 파칸 클럽이 기여했다.
스코티시 프리미어십과 덴마크 수페르리가는 각각 2명의 선수를 배출하며 공동 5위에 올랐다. 셀틱 FC, 하이버니언 FC, FC 미트윌란이 포함된다.
사우디 프로리그, 프랑스 리그 1, 네덜란드 에레디비시, 벨기에 프로 리그, 세르비아 수페르리가에서는 각 1명의 국가대표를 배출했다. 알샤바브 FC (리야드), 파리 생제르맹 FC,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KRC 헹크, FK 츠르베나 즈베즈다가 이름을 올렸다.
# | 리그 | 인원 | 구단 |
---|---|---|---|
1 | K리그1/2 | 31 | '''전북, 울산, 강원, 김천, 대전, 서울, 포항, 광주, 대구, 인천/수원 |
2 | EPL/EFL/리그 원 | 6 | 토트넘, 브렌트퍼드, 울버햄프턴/스완지, 스토크/버밍엄 |
3 | 분데스리가/2. | 5 | 마인츠, 뮌헨, 우니온 베를린/하노버 96 |
4 | J1리그 | 4 | 마치다, 나고야, 쇼난, C.삿포로 |
걸프리그 | 샤르자, 알아인, 알와슬, 코르 파칸 | ||
5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 2 | 셀틱, 하이버니언 |
수페르리가 | 미트윌란 | ||
1 | 사우디 프로리그 | 1 | 알샤바브 |
리그 1 | 파리 | ||
에레디비시 | 페예노르트 | ||
벨기에 프로 리그 | 헹크 | ||
세르비아 수페르리가 | 즈베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