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은 1956년 광고 애니메이션으로 시작되어, 1967년 신동헌 감독의 《홍길동》을 시작으로 장편 애니메이션 시대를 열었다. 1970년대에는 《로보트 태권 V》의 성공으로 활기를 되찾았으나, 표절 문제와 침체기를 겪기도 했다. 1980년대에는 《떠돌이 까치》, 《달려라 하니》 등 TV 애니메이션이 인기를 얻었으며, 1990년대에는 장편 애니메이션의 침체와 함께 《아기공룡 둘리》가 흥행에 성공했다. 2000년대에는 《마당을 나온 암탉》, 《뽀롱뽀롱 뽀로로》등의 성공으로 전환점을 맞았으며, 2020년대에는 웹툰 기반 애니메이션 제작이 활발해지고 있다.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시장은 2013년 세계 5위를 기록했으며, 캐릭터 산업 또한 성장하여 다양한 캐릭터들이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 검정고무신
    검정고무신은 1960년대 한국 사회와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1999년 설날 특집으로 처음 방영되었으며, TV 시리즈와 극장판으로 제작되었고, 원작자와 제작사 간의 지적 재산권 분쟁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 태권왕 강태풍
    태권왕 강태풍은 2000년에 방영된 대한민국의 태권도 애니메이션으로, 주인공 강태풍이 아버지의 죽음에 얽힌 비밀을 풀고 성장하는 과정을 그리며, 라이벌 마도천, 악당 블랙 스톰 팀과의 대결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 정보
조선 중산층
조선 중산층
유형애니메이션 산업
다른 이름애니
만화영화
로마자 표기aeni
manhwa yeonghwa

2. 용어

'애니'는 영어 단어 "animation"에서 유래되었으며, 한글로 애니메이션(animation|애니메이션영어)으로 표기된다. 이는 일본어 アニメーション (animēshon)과 유사하다. ''anime''와 마찬가지로, ''aenimeisyeon''은 ''aeni''로 줄여졌다. 하지만, ''aeni''는 구어체에서 일반적으로 일본 애니메이션을 지칭한다.[1] 물론, 한국 애니메이션 또는 일반적인 애니메이션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일본 애니메이션과 구별하기 위해, 한국 애니메이션은 ''hanguk aeni'' (한국 애니|한국 애니한국어) [2] 또는 ''guksan aeni'' (국산 애니|국산 애니한국어)라고 불린다.[3]

한자어 용어인 ''만화영화'' (만화영화|만화영화한국어)는 만화와 영화를 뜻하는 한국어 단어의 합성어로, 모든 애니메이션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도 사용된다.[4]

3. 역사

1970년대부터 외국 애니메이션 수입이 늘어나고 제작사와 감독사 간의 갈등이 잦아지면서, 대한민국 애니메이션은 1972년 《괴수대전쟁》 이후 잠시 침체기에 빠졌다. 하지만 1976년 김청기 감독의 《로보트 태권 V》가 개봉하면서 다시 활기를 찾았다. 이후 1977년에는 임정규 감독의 《태권동자 마루치 아라치》, 1978년에는 《77단의 비밀》이 개봉했다. 《태권동자 마루치 아라치》는 그해 대한민국 영화 흥행 3위를 기록했다.[30] 김청기 감독은 《로보트 태권 V》에 이어 1982년 《슈퍼태권브이》, 1984년 《84 태권브이》를 제작했다.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에는 《미래소년 쿤타 - 버뮤다 5000년》, 《마린엑스》 같은 거대 메카닉물과 《간첩잡는 똘이장군》, 《해돌이 대모험》 같은 반공 애니메이션이 개봉했다.[31] 당시 대한민국에 불었던 야구 붐은 독고탁 - 태양을 향해 던져라의 성공에 영향을 주었다.[30]

한편, 이 시기에는 침체기 이후 늘어난 애니메이션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제작자들이 외국 애니메이션을 표절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1976년 《로보트 태권 V》는 일본의 《마징가 Z》를, 1978년 개봉한 《달려라 마징가-X》는 일본의 《그랜다이저》(UFOロボ グレンダイザー|UFO로보 그렌다이자일본어)를 표절했다. 1980년대 개봉한 《독수리 5형제》나 《비디오 레인저 007》은 하청 과정에서 얻은 자료를 무단으로 사용했다.[30]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국내 제작 애니메이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KBS는 1987년 이현세 원작의 《떠돌이 까치》를 방영했다. 이어서 《독고탁의 비둘기 합창》이 방영되었다. 1988년에는 KBS가 국내 최초의 시리즈물인 《달려라 하니》를 방영하였으며 이듬해엔 후속작 《천방지축 하니》를 방영했다.[30]달려라 하니》 는 대한민국 내에서 국민적인 인기를 누렸다.[32] 1989년 MBC에서 방영한 《머털도사》는 시청률 54.9%를 달성했으며,[33] 1990년 KBS에서 방영한 《날아라 슈퍼보드》는 42.8%의 시청률을 기록했다.[34] 1990년대 TV 애니메이션으로는 《영혼기병 라젠카》, 《녹색전차 해모수》, 《검정 고무신》 등이 있다.[30]

대한민국 장편 애니메이션은 1980년대 말부터 다시 침체를 겪었다.[30] 1993년 김영삼 정부가 문화 산업을 지원하면서 1994년 《블루시걸》이 나왔으나 흥행에 실패했다. 《슈퍼차일드》,[35]아마게돈》도 흥행에 실패했다.[36] 하지만 1996년 《아기공룡 둘리-얼음별 대모험》은 흥행에 성공했다.[37] 이후 《난중일기》, 《임꺽정》, 《또또와 유령친구들》, 《청해진 호랑이 - 해상왕 장보고》, 《성춘향뎐》 등은 특별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38]

2002년 《마리 이야기》와 2003년 《오세암》은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지만, 흥행은 좋지 않았다. 2003년에는 《원더풀 데이즈》가 개봉했으나 낮은 완성도를 보였다. 하지만 2011년에 개봉한 《마당을 나온 암탉》은 200만 관객을 동원하여 흥행에 성공했으며,[30] 역대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중 가장 많은 관객을 동원했다. 2012년 《점박이 : 한반도의 공룡》은 100만 명,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은 93만 명을 동원하며 흥행했다.[39] 2011년 연상호 감독의 《돼지의 왕》은 성인 관객을 타겟으로 주목받았다.[30] 2013년 연상호 감독의 《사이비》는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했다.[40]

TV 애니메이션은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시청률이 하락하면서 주 고객층을 어린이·유아로 변경했다. 2003년 《뽀롱뽀롱 뽀로로》를 시작으로, 《냉장고 나라 코코몽》, 《또봇》 등이 주로 3D로 제작되어 영유아에게 인기를 끌었다.[41] 2011년 《라바》는 4년 만에 1,000여 가지의 캐릭터 상품을 출시하고, 매출 90억을 달성했다.[42] 2015년 《터닝메카드》는 장난감 품귀 현상이 일어날 정도로 인기를 끌어, 애니메이션, 모바일 게임, 뮤지컬 등으로 제작되며 많은 수익을 냈다.[43][44] 하지만 이러한 아동용 애니메이션들의 높은 성적에도 불구하고 다양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41]

2020년에는 EBS에서 히어로 써클을 방영했다.

2014년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매출액은 약 5200억, 수출액은 약 1.1억달러였다.[45] 2013년 기준,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시장은 세계 시장에서 4.5%를 차지하며 미국, 일본, 중국, 호주에 이어 5위였다.[46] 주요 수출국은 6000만달러 규모의 북미, 2500만달러 규모의 유럽, 2000만달러 규모의 일본 등이었다.[47]

2000년대 중반부터 창작 애니메이션 제작 규모가 증가하여 2007년에는 하청 제작 규모를 추월했다. 2013년에는 창작 애니메이션과 하청 애니메이션 제작 비율이 7:3이었다.[46][48]

1987년은 대한민국에서 TV 애니메이션이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해이다. KBS1에서 김수정아기공룡 둘리이현세떠돌이 까치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여 방영했고, 2003년에 투니버스에서 재방영했다. 아기공룡 둘리는 큰 인기를 끌어 후속편이 제작되었다. 이후 MBC도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경쟁에 들어갔다. 1995년에는 만화 전문 채널인 투니버스가 개국한 후 여러 유료 방송에서 만화 채널이 개국하여 경쟁에 뛰어들었다. 2017년에는 EBS와 카툰 네트워크 코리아에서 우리는 비트몬스터를, 대원씨아이에서 반지의 비밀일기를, 2011년에는 EBS와 KBS 1TV에서 라바를 방영하였다.

제작 및 방영년도KBSMBC민영방송(SBS) 및 교육방송
1987년아기공룡 둘리, 떠돌이 까치, 동화나라 ABC달려라 호돌이
1988년까치의 날개, 아기공룡 둘리 2, 달려라 하니, 아리수변의 꿈나무, 동화나라ABC 2독고탁의 비둘기 합창, 태권동자 마루치
1989년천방지축 하니, 2020년 우주의 원더키디머털도사
1990년옛날 옛적에, 날아라 슈퍼보드, 영심이머털도사와 108요괴, 머털도사와 또매
1991년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날아라 슈퍼보드 2, 햇살나무장독대, 심청, 요정 핑크, 흙꼭두장군, 도단이
1992년날아라 슈퍼보드 3, 은비까비의 옛날옛적에 2, 지구는 초록별, 외계소년 위제트꿀벌의 친구, 펭킹 라이킹, 꿈돌이
1993년마법사의 아들 코리, 만화인물 한국사 초롱이의 옛날여행빛돌이 우주 2만리 (SBS)
1994년사랑의 학교
1995년꼬비꼬비, 무궁이의 미래여행
1996년두치와 뿌꾸, 꼬비꼬비2내일은 월드컵 (SBS)
1997년꼬비꼬비3, 녹색전차 해모수, 짱이와 깨모 (KBS)콩딱쿵! 이야기 주머니, 영혼기병 라젠카영혼기병 라젠카 (투니버스, MBC 공동제작)
1998년날아라 슈퍼보드 4바이오캅 윙고스피드왕 번개 (SBS)
1999년레스톨 특수 구조대, 검정고무신, 붕가부, 마일로의 대모험짱이와 깨모 (SBS), 토치와 부기 (SBS)
2000년삐까뽀 친구들, 보리와 짜구, 태권왕 강태풍, 환상마을 토포토포, 검정 고무신 1, 2알렉스의 모험, 귀여운 쪼꼬미트렉시티 (SBS), 하얀마음 백구 (SBS)
2001년무지개요정 통통, 바스토프 레몬, 미루의 환상여행, 탱구와 울라숑, 그린캅스, 날아라 슈퍼보드 5, 아장닷컴, 모험왕 장보고가이스터즈, 미래전사 런딤, 지구조난자 마룬, 기파이터 태랑탑블레이드 (SBS)
2002년바다의 전설 장보고, 우정의 그라운드, 채채퐁 김치퐁, 스페이스 힙합덕쥬라기 원시전해로와 토레미 (SBS), 큐빅스 (SBS), 올림포스 가디언 (SBS), 탑블레이드 V(SBS)
2003년수호요정 미셸, 요랑아 요랑아, 내 친구 우비소년열대팽귄 페닝, 스피어즈뽀롱뽀롱 뽀로로 (EBS), 포트리스 (SBS), 미래전사 그레이트 건더(SBS), 세계명작동화(SBS), 팽이대전 G블레이드(SBS)
2004년우리사이 짱이야, 애플캔디걸, 로보짱 큐빅스, 검정고무신 3, 네티비 구슬대전 배틀비드맨레카 삼국지, 별나라 슈퍼 쭈리, 뚜루뚜루뚜 나롱이범퍼킹 재퍼(SBS), 우비소년(SBS), 파닥파닥 비행선(SBS)
2005년트라이킹덤, 출동! 유니온 킹, 마스크맨, 너구리와 숲속 친구들, 재동아 학교가자, 내 친구 우비소년 2, 명탐정 빠셰, 천하통일 파이어비드맨, 동글동글 짝짝, 카드왕 믹스마스터이야기여행, 장금이의 꿈, 섀도우파이터영리한 너구리(SBS), 마법신화 라그나로크(SBS), 고미의 만화 호기심 천국(SBS), 두근두근 비밀친구(SBS), 틴 타이탄(SBS, 동우에이앤이, 러프 드래프트 코리아, 카툰 네트워크)
2006년꾸루꾸루와 친구들, 기상천외 오드패밀리, 렛츠댄스, 아이언 키드, 토리 고고, 애플 캔디걸 2, 찾아라 파워스톤, 요랑아 노래하자, 쿵야쿵야, 인조곤충 버그파이터쾌걸롱맨 나롱이, 동화 읽어주는 TV, 포포의 이야기 나라, 세 나라 영웅전, 싸이킥스접지전사(SBS),서바이벌 만화 과학상식(SBS),아이 삼국유사(SBS), 라즈베리 타임즈(SBS)
2007년요리조리 맛술사, 라라의 스타일기, 태극천자문, 도야지봉, 그린나이츠, 다오배찌 붐힐대소동, 도라독스장금이의 꿈 시즌2, 먹티와 잼잼,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 트리팡파이터, 짜장소녀 뿌까, 페콜라, 페이퍼월드, 한자왕 주몽슈퍼 코리언(SBS)
2008년쁘띠쁘띠 뮤즈, 제트레인저, 브리스톨 탐험대, 라라의 스타일기 2, 파워퀀텀맨, 알록달록 크레용, 팡팡 자연 탐험대, 삼국쥐 전, 매직키드 마수리, 내꿈은 온에어, 치카치카 폼폼이흑장미 부인의 문방구, 그리피, 세게를 빛낸 어린위인들, 꼬치의 해양영웅탐험, 칠칠단의 비밀, 슈퍼슬레이, 위대한 왕 세종, 우리는 명탐정기가 트라이브(SBS)
2009년천하무적 크래쉬비드맨, 꼬마 신선 타오, 유후와 친구들, 메타제트, 롤링스타즈, 와글와글 꼬꼬맘, 파워에이전트 세븐, 쿵푸 공룡 수호대, 엘리먼트 헌터먹티와 잼잼 시즌2, 동물나라 샤코롱, 천방지축 건.현.진, 곰탱이와 함께하는 TV동화, 은하의 일기, 슈퍼햄스밴드NEW 아기공룡 둘리 (SBS, 둘리나라, 투니버스) 그린세이버(SBS)
2010년로봇 찌빠, 최강 합체 믹스마스터, 도기 파라다이스, 쥬로링 동물탐정, 볼츠와 블립, 뛰뛰빵빵 구조대바람이의 모험, 외계인 붐, 보글보글 쿡, 벼리의 시간여행, 내친구 자루, 아랑의 노래, 햄콩이 음악대내 친구 해치 (SBS), 변신자동차 또봇 (JEI)(13기는 KBS, 투니버스 방영)(8기는 EBS 방영)(또봇 V는 KBS 미디어), 꼬마버스 타요(EBS)
2011년구름빵, 마법전사 라이너, 부루와 숲속친구들, 딸기가 좋아, 우당탕탕 캐릭터 극장, 무무와 푸푸, 오후의 초록가방, 구름빵 2, 파워마스크, 어리 이야기매직테일즈, 싸이킥히어로, 에그보이 코루, 안녕 토토비, 마법천자문, 보글보글 쿡2, 와라! 편의점와라! 편의점 (네이버 웹 & 투니버스), 안녕 자두야
2012년키오카, 두리둥실 뭉게공항,.프랭키와 친구들, 구름빵 3, 바다소년 오대양, 빠뿌야 놀자, 알록달록 종이마을, 피쉬와 칩스, 상상친구 꾸메푸메로봇알포, 키즈 CSI 과학수사대, 내사랑 뚱, 아웅다웅 동화나라
2013년꼬마 신선 타오 2, 못말리는 라바와 비트파티, 꼬마 신랑 쿵 도령, 마스크 마스터즈, 뛰뛰빵빵 구조대 2, 키오카 2, 아기종벌레 포포, 두리둥실 뭉게공항 2, 동화나라 포인포, 유후와 친구들 2도비도비, 또르르 방울이 친구들, 라이스맨, 보글 쿡 원정대신 머털도사 (EBS), 라바 2기(EBS), 미앤마이로봇 (EBS), 두다다쿵 (EBS)
2014년꾸러기 케라톱스 코리요, 꼬마 신랑 쿵 도령 2, 외계돼지 피피, 아스타를 향해 차구차구, 그라미의 서커스쇼, 놓지마 정신줄, 헬로 카봇, 외계가족 졸리폴리, 꼬마기차 추추수빈스토리, 응까소나타, 아웅다웅 동화나라 시즌 2, 내사랑 뚱 시즌 2, 과학마술단
2015년유후와 친구들 3, 어리 이야기 2, 터닝메카드, 헬로 카봇 2, 헬로 카봇 3, 검정고무신 4기, 놓지마 정신줄 2, 로보텍스, 두리둥실 뭉게공항 3바다의 금동이, 보름달공장, 타스의 풀이풀이 사자성어, 꼬마돌 도도, 마법천자문 시즌 2, 프리파라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와 블랙캣 (EBS)
2016년파파독, 터닝메카드 W, 그라미의 서커스쇼 2, 안녕! 괴발개발, 파파독 플러스, 매직어드벤처, 생일왕국의 프린세스 프링, 헬로 카봇 시즌 4, 캡슐보이, 꼬마 어사 쿵 도령, 꼬마농부 라비, 좀비덤타스의 풀이풀이 사자성어 시즌 2, 아그레츠코, 아빠 어릴 적엔, 모두모두쇼, 파워배틀 와치카, 깨미탐험대, 파워배틀 와치카 시즌 2, 프리파라 시즌 2, 내일은 언제나 푸름, 내친구 마카다마음의 소리(네이버 웹툰, 애니맥스), 다이노코어 (SBS)
2017년터닝메카드 W 2, 터닝메카드 R, 반지의 비밀일기, 엉뚱발랄 콩순이와 친구들 4, 스톤에이지-전설의 펫을 찾아서, 뱅글스쿨, 타오르지마 버스터, 토이캅, 젤리고, 헬로 카봇 시즌 5, 공룡메카드, 드래곤 에그, 느릿느릿 나무늘보 늘지오메카 비스트가디언, 텔레몬스터,수빈스토리 시즌 2, 뽀글아 사랑해, 샤이닝 스타, 지오메카 캡틴다이노우리는 비트몬스터(EBS, 카툰 네트워크, 시너지미디어,스튜디오 고인돌), 다이노코어 2 (SBS), 다이노코어 3 (SBS), 런닝맨 (SBS)
2018년생일왕국의 프린세스 프링 2, 안녕! 괴발개발2, 토이캅 시즌 2, 헬로 카봇 6, 좀비덤 2, 쥐라기캅스, 스페이스벅스, 또봇V, 타오르지마 버스터 2, 보토스 패밀리에어로버, 프리파라 시즌 3, 판다랑, 에어로버 시즌 2, BBB 삼총사의 모험, 뿌까, 꼬마돌 도도 시즌 2다이노코어 에볼루션 (SBS), 다이노코어 에볼루션 파트 2 (SBS)
2019년브레드 이발소, 꼬마탐정 토비와 테리, 꼬마 어사 쿵 도령 2, 시노스톤, 출동! 애니멀 레스큐, 파파독2, 쥐라기캅스 - 쥬라킹, 핑크퐁 원더스타, 반지의 비밀일기 2, 쉿! 내 친구는 빅파이브, 콩순이의 율동교실, 또봇V-갤럭시웨폰 4호의 비밀, 롱롱죽겠지?, 버추얼 가디언즈, 엉뚱발랄 콩순이와 친구들 시즌 5, 숲 속 친구 스토니즈아이돌타임 프리파라, 빠샤메카드, 벅스봇 이그니션, 뿌까 시즌 2, 빠샤메카드 S, 호기심 대장 카토런닝맨 시즌 2 (SBS)
2020년테테루-테디페어 마을의 비밀, 시노스톤 프라임, 비밀의 바람숲, 또봇 V 시즌 2, 캐치! 티니핑, 출동! 유후 구조대, 아기상어 올리 뚜루루뚜루, 시간여행자 루크, 브레드 이발소 시즌 2,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마법소녀 디디,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X의 탄생 두번째 이야기, 명탐정 핑크퐁과 호기, 엉뚱발랄 콩순이와 친구들 시즌 6, 인:앱, 꽉 잡아!,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 X 6개의 예언, 린다의 신기한 여행반짝이는 프리☆채널, 뚝딱맨, 동해수호대, 치치핑핑, 치치핑핑 시즌2히어로 써클(EBS), 마음의 소리 2(네이버 웹툰, 애니맥스)
2021년시간여행자 루크 시즌 2, 쉿! 내 친구는 빅파이브 시즌 2,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 X 수상한 의뢰, 마카앤로니, 콩순이의 율동교실 시즌 5, 몬스터 탑, 반짝반짝 달님이, 출동! 유후 구조대 시즌 2, 마법소녀 디디 시즌 2, 신비와 금비의 도깨비 전래동화 깹,팡팡다이노, 또봇 V: 우주수호대,쫑알쫑알 똘똘이, 반짝반짝 캐치! 티니핑, 렛츠 고릴라!,엉뚱발랄 콩순이와 친구들 시즌 7.주디세이.반지의 비밀일기 시즌2, 브레드 이발소 시즌3, 도깨비언덕에 왜 왔니?시크릿 쥬쥬: 별의 여신 시즌 3, 와우와우 롤링프렌즈, 치치핑핑 시즌 3, 토몬카, 반짝이는 프리☆채널 시즌 2, 메카드볼, 쥬라기캅스 시즌 3, 뚝딱구조대
2022년신비아파트 고스트볼Z: 어둠의 퇴마사,티티 체리,콩순이의 율동교실 시즌6,,상상꾸러기 꾸다, 똘똘이의 그림일기 동요,고둥둥심포니, 뱀파이어 소녀 달자, 뾰족뾰족 포크가족, 다이노 파워즈,신비아파트: 고스트볼Z: 귀도퇴마사,니니 뭐하니?,보토스패밀리 시즌2,브레드 이발소 시즌3 파트2,,내 비밀친구 햄찌, 마카앤로니 시즌2,엉뚱발랄 콩순이와 친구들 시즌8,좀비덤 시즌3,반짝반짝 달님이 시즌2,브레드와 윌크의 세계여행,구르곰 구르닭,알쏭달쏭 캐치!티니핑,시크릿 쥬쥬 베스트 프렌즈,린다의 신기한 여행 시즌2반짝이는 프리채널 시즌3,뚝딱구조대 시즌2,메카드볼 시즌2,프린세스 바리,와츄 프리매직!,시간탐험대 다이노맨.메카드볼 메가뒤죽박죽섬의 빅풋패밀리 (EBS), 레벨업! 명탐정 피트 (EBS)
2023년내 친구 반인반어,꼬마공룡 크앙,프라몬 원정대,쫑알쫑알 똘똘이 두번째이야기,소스리아-사라진 레시피카드를 찾아서,상상꾸러기 꾸다 시즌2,매직팬던트 대모험,내 비밀친구 햄찌 파트2,메탈카드봇,도깨비 캡처 보물산의 전설,크앙과 게임해요,코드네임 X,시크릿 쥬쥬 베스트 프렌즈 시즌2,뾰족마을의 수상한 이웃들,신비아파트 고스트볼 ZERO,다이노 파워즈 시즌2,스페이스 동의보감 시즌2,슈퍼트론,브레드와 윌크의 세계여행 시즌2,캡슐세이버,카비온,마카앤로니 시즌3,씰룩.거멍숲을 지켜라! 버디프렌즈,내 친구 미소,신비아파트 고스트볼 ZERO 두번째 이야기크리켓팡 시즌2,프린세스 바리 파트2,팬티히어로,차징 탑스피너,주니토니이야기
2024년매지컬 팡,내 마음은 무지,린다의 신기한 여행 시즌2 파트2마카앤로니 시즌3 파트2,새콤달콤 캐치! 티니핑,니니 뭐하니? 시즌2,엉뚱발랄 콩순이와 친구들 시즌9,또봇: 대도시의 영웅들.캐리야! 학교가자,브레드와 윌크의 세계여행 시즌3,모양새 친구들,히어로 인사이드,핑크퐁과 호기: 새 친구 니니모,바바프렌즈,부탁해요! 포코타 이장님,하얀곰 하푸뚝딱구조대 시즌3,차징 탑스피너 BX,토닥토낙 꼬모 새로운 탐혐,차징 탑스피너 BX 시즌2,시크릿 쥬쥬: 별의 보석,퐁당패밀리


3. 1. 1960년대

1956년 대한민국 최초의 애니메이션 광고인 HLKZ TV 방송국의 〈OB시날코〉 음료 광고가 제작되었다. 이전에는 〈럭키 치약〉 광고가 최초로 알려졌으나, 제작자 문달부 감독이 〈OB시날코〉가 두 달 먼저 제작되었음을 밝히면서 대한민국 최초의 애니메이션으로 인정받게 되었다.[20] 이후 신동헌의 〈진로소주 파라다이스〉(1960)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 광고가 제작되었다.[21] 상업 광고가 아닌 첫 애니메이션은 1961년에 제작된 단편 애니메이션 〈개미와 베짱이〉이다. 1963년에는 〈나는 물이다〉라는 캠페인 애니메이션도 제작되었다.[22][23]

1967년 1월 21일, 대한민국 최초의 장편 애니메이션인 신동헌 감독의 《홍길동》이 개봉되었다. 2년간 5400만을 들여 제작되었으며, 약 1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24] 같은 해 8월 15일에는 속편 《호피와 차돌바위》가 개봉했다.[25] 1968년에는 《선화공주와 손오공》,[26] 《황금철인》,[27] 1969년에는 《홍길동 장군》,[28] 《보물섬》[29] 등이 개봉되었다.

3. 2. 1970~1980년대

1970년대부터 외국 애니메이션 수입이 늘어나고 제작사와 감독사 간의 갈등이 잦아지면서, 대한민국 애니메이션은 1972년 《괴수대전쟁》 이후 잠시 침체기에 빠졌다. 하지만 1976년 김청기 감독의 《로보트 태권 V》가 개봉하면서 다시 활기를 찾았다. 이후 1977년 7월에는 임정규 감독의 《태권동자 마루치 아라치》가, 1978년 7월에는 《77단의 비밀》이 개봉했다. 《태권동자 마루치 아라치》는 그해 대한민국 영화 흥행 3위를 기록했다.[30] 김청기 감독은 《로보트 태권 V》에 이어 1982년 《슈퍼태권브이》, 1984년 《84 태권브이》를 제작했다.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에는 《미래소년 쿤타 - 버뮤다 5000년》, 《마린엑스》 같은 거대 메카닉물과 《간첩잡는 똘이장군》, 《해돌이 대모험》 같은 반공 애니메이션이 개봉했다.[31] 이 시기에는 《독고탁 - 태양을 향해 던져라》가 개봉했는데, 당시 대한민국에 불었던 야구 붐이 이 애니메이션의 성공에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된다.[30]

한편, 이 시기에는 침체기 이후 늘어난 애니메이션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제작자들이 외국 애니메이션을 표절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1976년 《로보트 태권 V》는 일본의 《마징가 Z》를, 1978년 개봉한 《달려라 마징가-X》는 일본의 《그랜다이저 - 시리즈》(UFOロボ グレンダイザー|UFO로보 그렌다이자일본어)를 표절했다. 1980년대 개봉한 《독수리 5형제》나 《비디오 레인저 007》은 하청 과정에서 얻은 자료를 무단으로 사용해 제작한 애니메이션이다.[30]

3. 3. 1987~1990년대

1988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대한민국에서는 자국 애니메이션 제작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 시기에는 여러 인기 TV 애니메이션이 등장했는데, 대표적으로 달려라 하니(1988), 머털도사(1989), 날아라 슈퍼보드(1990) 등이 있다.

1990년대 후반에는 성인용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 그러나 아기공룡 둘리-얼음별 대모험 (1996)은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3. 4. 2000년대~2010년대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2000년대에 위기를 겪었다. 서구권 애니메이션의 단순 하청 제작이 주를 이루면서 산업 성장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5] 그러나 2000년대 중반부터 창작 애니메이션 제작이 증가하여 2007년에는 하청 제작 규모를 넘어섰고, 2013년에는 창작 애니메이션과 하청 애니메이션 제작 비율이 7:3이 되었다.[46][48]

2011년은 한국 애니메이션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된 해였다. 마당을 나온 암탉[8]이 한국에서 흥행에 성공하면서, 한국 애니메이션도 자국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러프 드래프트 코리아와 같은 회사들은 해외 수출 계약을 체결하며 한국 애니메이션의 국제적 경쟁력을 입증했다.[6] 뽀롱뽀롱 뽀로로와 변신 자동차 또봇의 성공은 동아시아에서 한국 애니메이션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6]

일부에서는 한국 게임 산업의 급성장이 애니메이션 산업의 인재 유출을 야기했다고 지적하기도 한다.[7]

3. 5. 2020년대

2010년대 중반까지 웹툰을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은 제대로 제작되지 않았다. 그러나 2020년,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시장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하면서 웹툰을 기반으로 한 애니메이션 제작이 시작되고 있다.[14]

대한민국 애니메이션에서 아쉬운 점으로 꼽히던 청소년/성인 대상 애니메이션 부재 문제가 웹툰 IP를 통해 해결될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 2020년대에는 애니메이션, 대중문화에 영향을 받은 젊은 세대가 대부분 성인이 되어 소비할 만한 경제력을 갖추고 사회에 진출하면서 발판이 마련되었다고 평가된다. 즉, 어느 정도 기반이 잡힌 국가 경제 속에서 만화와 웹툰을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세대가 성인이 되면서, 소외되었던 애니메이션 산업이 다시 주목받게 된 것이다.

2020년 EBS에서 방영된 히어로 써클은 이러한 변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이다.

2022년 12월, 인기 웹툰 외모지상주의(Lookism)의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넷플릭스에서 공개되었으며, 현재 청춘블라썸(Seasons of Blossom), 더 복서(The Boxer),[15] 전자오락수호대(Guardians of the Video Game),[16] 테러맨(Terror Man), 나노리스트(Nano List), 고수(Gosu), House Keeper, 그리고 여신강림(True Beauty)의 애니메이션이 대한민국에서 제작되고 있다.[17]

4. 시장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100개 이상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있을 정도로 활발하게 돌아가고 있다.[9] 2010년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한국 시장에서 국내 캐릭터 점유율은 약 28%였고, 나머지 72%는 일본 및 미국 등 해외 캐릭터들이 차지했다. 2012년에는 전문가들이 전체 시장 규모가 곧 10조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18]

4. 1. 시장 규모

2014년,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시장 점유율은 40%를 기록했으며, 2013년에는 그 가치가 8조에 달했다.[18]

4. 2. 창작 애니메이션과 하청 애니메이션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 계약은 협업/단역 계약에서부터 대부분의 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산업은 100개 이상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있어 역동적이라고 할 수 있다. 서구 스튜디오와 계약을 맺는 것은 대부분 한국의 회사들이지만, 일부 작업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하청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5.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국내 제작 애니메이션 활성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KBS는 1987년 5월, 이현세 원작의 《떠돌이 까치》를 방영했다. 이어서 원작을 기반으로 한 《독고탁의 비둘기 합창》이 방영되었다. 1988년에는 KBS가 야심차게 기획한 국내 최초의 시리즈물인 《달려라 하니》를 방영하였으며 이듬해엔 후속작 《천방지축 하니》를 방영했다.[30] 당시 《달려라 하니》는 대한민국 내에서 국민적으로 인기를 누렸다.[32] 1989년 MBC에서 방영한 《머털도사》는 시청률 54.9%를 달성했으며,[33] 1990년 KBS에서 방영한 《날아라 슈퍼보드》는 42.8%의 압도적인 시청률을 기록했다.[34] 이후 1990년대 TV 애니메이션으로는 《영혼기병 라젠카》, 《녹색전차 해모수》, 《검정 고무신》 등이 제작되었다.[30]

차세대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시청률이 급락하면서 TV 애니메이션은 주 고객층을 청소년·어린이에서 어린이·유아로 변경했다. 이에 2003년 《뽀롱뽀롱 뽀로로》가 공개되었고, 이어서 《냉장고 나라 코코몽》, 《또봇》 등이 공개되었다. 이들은 영유아를 대상으로 해 주로 2D보다는 3D로 제작되었다.[41] 2011년 첫 방영을 시작한 《라바》는 공개 4년 만에 1,000여 가지의 캐릭터 상품을 출시하고, 매출 90억을 달성했다.[42] 2015년 공개된 《터닝메카드》는 관련 장난감의 품귀 현상이 일어날 정도로 인기를 끌어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모바일 게임, 뮤지컬 등으로도 제작되며 많은 수익을 냈다.[43][44] 하지만 이러한 아동용 애니메이션들의 높은 성적에도 불구하고 다양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41] 2020년에는 EBS에서 히어로 써클을 방영했다.

6. 시청률

순위제목시청률애니메이션 외주 제작사방송사제작년도출처
1머털도사54.9%신원 프로덕션, 동양동화MBC1989[33]
2날아라 슈퍼보드47.7%한호흥업KBS1990
3아기공룡 둘리38.4%AKOM, 신동헌 프로덕션, 삼영 애니메이션, 한호흥업KBS1987
4꼬비꼬비25%한신 코퍼레이션, 새한 프로덕션KBS1995
5녹색전차 해모수22%대원미디어, 아이코닉스KBS1997
6두치와 뿌꾸19.5%대원미디어KBS1996
7달려라 하니17.8%대원미디어KBS1988
8은비 까비의 옛날 옛적에16.7%세영동화, 한호흥업, 동우에이앤이KBS1991
9영심이15.2%대원미디어KBS1990
10마법사의 아들 코리14.8%대원미디어KBS1993
11영혼기병 라젠카12.8%코코 엔터프라이즈, 쏘울 크리에이티브투니버스, MBC1997


7. 캐릭터 산업

대한민국 내 캐릭터 시장은 한국 자체 캐릭터가 개발되기 전에는 미국이나 일본 캐릭터가 주로 주도하였다.[49] 그러나, 대한민국 캐릭터 산업은 자체적인 캐릭터 개발과 성장에 힘입어 국내 시장에서 자국 캐릭터의 선호도를 빠르게 확보하고, 전략적인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국제적인 산업으로 발전하였다.

7. 1. 국내 캐릭터 시장의 규모

대한민국의 캐릭터 산업은 자체적인 캐릭터 산업이 형성되고 성숙함에 따라 국내시장에서의 자국민 선호를 빠르게 선점함과 동시에 전략적인 해외시장으로의 진출로, 국제적인 산업으로 발전되었다.

국내 사업체 및 종사자 수 (단위: 개)
분류20142015증가율
사업체 수2,0182,0692.5%
종사자 수29,03930,1283.8%



매출액 및 부가가치액 (단위: 원)
분류20142015증가율
매출액90.527조100.807조11.4%
부가가치액37.944조39.875조5.1%



2010년,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캐릭터의 한국 시장 점유율은 약 28%였으며, 나머지 72%는 일본 및 미국 등 해외 캐릭터가 차지했다.[18] 2012년에는 전문가들이 전체 시장 규모가 조만간 10조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18] 2014년에는 국내 캐릭터 시장 점유율이 40%까지 급증했으며, 2013년에는 그 가치가 8조에 달했다.

7. 2. 대한민국 캐릭터 산업의 국제적 규모

한국의 자체적인 캐릭터가 개발되기 전 대한민국 내의 캐릭터 시장은 미국이나 일본의 캐릭터가 주로 주도하였다.[49] 하지만, 대한민국의 캐릭터 산업은 자체적인 캐릭터 산업이 형성되고 성숙함에 따라 국내시장에서의 자국민 선호를 빠르게 선점함과 동시에 전략적인 해외시장으로의 진출로, 국제적인 산업으로 발전되었다.

2015년 수출 및 수입액 현황 (단위: 달러)
분류액수증가율 (2014년 대비)
수출5.514600000000001억달러12.7%
수입1.6824000000000001억달러1.8%
수출입 차액3.8322000000000003억달러18.3%



지역별 수출액 (단위: 달러)
북미 (26.8%)중국 (21.5%)유럽 (21.3%)동남아 (11.6%)일본 (6.3%)기타 (12.5%)
1.4779억달러1.1856억달러1.1745999999999999억달러6397만달러3474만달러6893.000000000001만달러



2010년,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캐릭터의 한국 시장 점유율은 약 28%였으며, 나머지 72%는 일본 및 미국 등 해외 캐릭터가 차지했다. 2014년에는 국내 캐릭터 시장 점유율이 40%까지 급증했으며, 2013년에는 그 가치가 8조에 달했다.

국산 캐릭터가 등장하기 전에는 미국과 일본의 캐릭터가 주로 인기를 누렸다.[19]

7. 3. 국내 캐릭터 선호도 순위

대한민국의 캐릭터 산업은 자체적인 캐릭터 개발과 성장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 자국 캐릭터의 선호도를 높이고,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국제적인 산업으로 발전하였다.[49]

캐릭터 호감도 상위 10위 (2016)
순위이름비율
1엘사72.3%
2뽀롱뽀롱 뽀로로1.8%
3짱구는 못말려1.2%
4원피스0.9%
5아기공룡 둘리0.4%
6도라에몽0.2%
7라바0.8%
8포켓몬스터3.3%
9헬로키티0.1%
10타요0.0%
11기타22%


8. 영향력 있는 한국 캐릭터

한국의 자체적인 캐릭터가 개발되기 전 대한민국 내의 캐릭터 시장은 미국이나 일본의 캐릭터가 주로 주도하였다.[49] 하지만, 대한민국의 캐릭터 산업은 자체적인 캐릭터 산업이 형성되고 성숙함에 따라 국내시장에서의 자국민 선호를 빠르게 선점함과 동시에 전략적인 해외시장으로의 진출로, 국제적인 산업으로 발전되었다.

한국의 유명한 캐릭터들은 1983년 김수정 작가가 제작한 둘리에서 기원한다. 아기공룡 둘리1983년에 만화 잡지 <보물섬>에서 연재를 시작해 만화책으로 출간되었고, 1987년 TV 애니메이션, 1996년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며 OSMU를 통해 다양한 문화 콘텐츠로 확대되었다.[51]

8. 1. 아기공룡 둘리 (1983)

1983년 김수정 작가가 제작한 둘리는 대한민국 캐릭터 산업의 상징이다. 둘리는 만화 잡지<보물섬>에 연재를 시작해 만화책으로 출간되었고, 1987년 TV 애니메이션, 1996년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며 OSMU를 통해 다양한 문화 콘텐츠로 확대되었다.[51]

8. 1. 1. 배경 스토리

아기 공룡 둘리는 빙하기가 끝난 후 대한민국의 서울로 오게 된다. 둘리는 유난히 긴 빙하시대 동안 빙하에 갇혀 있었으며, 여러 곳에서 친구들을 만난다. 이들은 마법의 힘을 이용해 시간 여행을 하는 신비로운 힘을 발휘한다. 둘리는 엄마 공룡을 그리워하며 찾고 싶어 한다.[52]

8. 2. 호돌이 (1983)

88 서울 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


호돌이는 호랑이를 모티브로 하여 서울에서 개최된 1988년 하계 올림픽의 공식 마스코트였다.[53] 호돌이는 한국의 전통모인 상모를 쓰고 있고, 올림픽 링 모양의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다.[53] 공식 마스코트의 공식 디자인이 발표된 후 공모전에서 호돌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53] 여성 마스코트는 호순이라고 불렸다.[53] 호돌이와 호순이는 양궁, 승마, 골프, 배드민턴을 포함한 기본종목 외에 패럴림픽 경기에도 소개되었다.[53]

8. 3. 마시마로 (2000)

마시마로는 2000년 CLKO엔터테인먼트에서 만든 토끼 캐릭터이다. '엽기토끼'라는 별명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큰 인기를 얻어 캐릭터 상품, 해외 수출 등으로 성공을 거두었다.[54]

8. 3. 1. 배경 스토리

2000년에 CLKO엔터테인먼트에서 만든 귀여운 토끼 캐릭터 마시마로는 7부작 에피소드로 소개되었다. 당시 '엽기적인'이라는 단어가 유행하면서 마시마로는 '엽기토끼'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 캐릭터는 인터넷 사용자들 사이에서 널리 퍼졌고, 캐릭터 상품으로 개발되었으며, 해외 시장으로 수출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54]

마시마로 만화는 화장실 유머로 가득 차 있으며, 마시마로는 종종 자신의 머리에 뚫어뻥이 박힌 채로 묘사된다. 마시마로는 뚱뚱하고 둔하며 불쾌한 약자로 묘사되며, 종종 다른 사람들에게 의지하기 위해 폭력을 휘두른다.[55]

8. 4. 뿌까 (2000)

뿌까는 2000년 플래시 애니메이션 "푸카 퍼니러브"로 처음 등장했다. 캐릭터 상품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국내는 물론 150여 개 해외 시장에도 진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붉은색과 검은색의 강렬한 대비를 이루는 작은 중국 소녀 뿌까의 외형은 다른 캐릭터와 구별되는 개성을 부여했다.[56]

8. 4. 1. 배경 스토리

뿌까는 2000년에 플래시 애니메이션 "푸카 퍼니러브"로 처음 등장했다. 같은 시기에 나온 다른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비교했을 때, 캐릭터 상품 개발에 초점을 맞춘 점이 특징이다. "뿌까"는 국내는 물론 150여 개 해외 시장에도 진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붉은색과 검은색의 강렬한 대비를 이루는 작은 중국 소녀 뿌까의 외형은 다른 캐릭터와 구별되는 개성을 부여했다.[56]

뿌까는 중국 국수 전문가 3명의 10살 된 조카이다. 산속 작은 마을인 수가 마을에 있는 "고롱"이라는 국숫집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뿌까는 12살 닌자 "가루"와 사랑에 빠져 있으며, 특유의 유머를 통해 가루와의 대련이나 경쟁에서 항상 이기는 모습을 보여준다.[57]

8. 5. 뽀롱뽀롱 뽀로로 (2003)

LG 시네마 3D월드 페스티벌 중 뽀로로 인형


뽀로로는 2003년 EBS에서 처음 방영된 영유아용 애니메이션이다. 뽀로로는 기획 단계부터 캐릭터 머천다이징을 고려하여 만들어졌다.[49]

8. 5. 1. 전략

한국의 자체적인 캐릭터가 개발되기 전 대한민국 내의 캐릭터 시장은 미국이나 일본의 캐릭터가 주로 주도하였다.[49] 하지만, 대한민국의 캐릭터 산업은 자체적인 캐릭터 산업이 형성되고 성숙함에 따라 국내시장에서의 자국민 선호를 빠르게 선점함과 동시에 전략적인 해외시장으로의 진출로, 국제적인 산업으로 발전되었다.

뽀로로는 기획 단계부터 캐릭터 머천다이징을 고려한 미취학 아동을 위한 교육용 TV 애니메이션이었다.

뽀로로 개발 단계에서는 국내 최초로 해외 진출을 위한 OSMU(One Source Multi Use) 캐릭터 개발을 위해 초기 단계부터 이용 대상 분석과 시장 조사가 철저히 이루어졌으며, 뽀로로의 세계화 전략은 전 세계의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공통적인 캐릭터 이미지를 채택하고 교육적인 내용의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58]

8. 5. 2. 배경 스토리



뽀로로는 2003년에 EBS에서 처음 방영되었다. 뽀로로는 기획 단계부터 캐릭터 머천다이징을 고려한 미취학 아동을 위한 교육용 TV 애니메이션이다.

8. 6. 라바 (2011)

라바는 투바앤에서 2011년에 제작한 애벌레와 다른 곤충들이 상황을 스스로 해결하는 내용의 애니메이션으로, 시즌 4까지 나왔다.[49]

8. 6. 1. 배경 스토리

이 시리즈는 미국 뉴욕주 맨해튼을 배경으로 하였다. 라바 아일랜드에 등장하는 섬은 남아메리카에 있는 섬으로 설정되었으나,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다.

8. 7. 라인프렌즈 (2011)

캐릭터 박람회 중 라인 캐릭터 부스


라인프렌즈는 2011년 모바일 메신저 '라인'의 스티커 캐릭터로 탄생했다. 친근하고 공감 가는 모습으로 사용자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라인프렌즈 캐릭터들은 모바일이라는 탄생 배경을 넘어 일상생활에서 가깝게 만날 수 있다. 2,000여 가지의 캐릭터 제품, 애니메이션, 게임, 카페, 호텔, 테마파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는 브랜드가 되었다.

8. 8. 카카오프렌즈 (2012)

카카오프렌즈카카오톡의 스티커 이모티콘으로 처음 소개되었다.[49]

8. 8. 1. 배경 스토리

카카오프렌즈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카카오톡의 스티커 이모티콘으로 처음 소개되었다.

카카오프렌즈는 라이언, 무지, 어피치, 프로도, 네오, 튜브, 콘, 제이지 총 8명의 캐릭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마다의 개성과 인간적인 매력을 지니고 있다. 이들은 서로 다른 성격에 하나씩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독특하면서도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다양한 연령층의 사람들이 카카오프렌즈 캐릭터에 감정이입을 하며 많은 사랑을 보내고 있다. 카카오프렌즈의 위트 넘치는 표정과 행동은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유쾌한 웃음을 선사한다.[60]

9. 캐릭터 제작 형식의 변화

한국은 자체적인 캐릭터를 개발하기 전에는 미국이나 일본 캐릭터가 시장을 주도했다.[49] 그러나 한국 캐릭터 산업은 자체 캐릭터를 개발하고 성장하면서 국내 시장에서 한국 소비자들의 선호를 빠르게 얻고, 해외 시장에도 진출하여 국제적인 산업으로 발전했다.

한국 캐릭터 디자인은 미디어 형태가 바뀔 때마다 발전했다. 국산 캐릭터 시장은 마셜 매클루언의 의식 확장과 관련하여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61] 1980년대와 1990년대는 둘리 같은 출판 만화 캐릭터, 2000년대에는 인터넷 보급으로 마시마로, 뿌까 등 2차원 플래시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인기를 끌었다. 이후 3차원 애니메이션 캐릭터 시대가 열렸다.[61]

9. 1. 출판만화 시기의 캐릭터 (1980년대~1990년대)

한국의 유명한 캐릭터들은 1983년 김수정 작가가 제작한 둘리에서 기원한다. 둘리는 인쇄 매체에 출판된 만화 캐릭터로 등장했다. 1983년에 만화 잡지 보물섬에서 연재를 시작해 만화책으로 출간되었다. 1987년에는 TV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고, 1996년에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둘리는 OSMU를 통해 다양한 문화 콘텐츠 분야로 확대되었다.[51]

국산 캐릭터들의 시장 흐름은 마셜 맥루한의 의식 확장과 관련하여 3개의 기간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1980년대와 1990년대는 출판된 만화 캐릭터들의 시대였다.[61]

임학순(2002)은 이 시기에 만화 캐릭터들의 캐릭터 산업으로의 확장에 기인한 요소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62]

  • 1980년대는 인터넷의 확산을 보지 못했고, 만화책은 많은 사람들에게 주요 문화 콘텐츠 매체였다.
  • 이 시대의 캐릭터들은 창조자의 상상력과 배경 연구에서 유래된 탄탄한 줄거리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 이 만화 캐릭터들은 상징적인 비주얼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9. 2. 2D플래시기반 캐릭터 (2000년대 초)

2000년대에는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플래시를 이용한 플래시 애니메이션이 등장했다. 당시 개발된 플래시 프로그램은 벡터 기반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이 비교적 쉬웠다. 파일 크기가 작아 빠른 전송이 가능했고, 벡터 기반이라 이미지 깨짐 현상도 없었다. 또한 다양한 해상도의 그래픽을 생성할 수 있었고, 온라인 전송에 최적화되어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63]

이 시기 대표적인 캐릭터로는 마시마로, 뿌까, 졸라맨, 우비소년 등이 있다. 2000년에 CLKO엔터테인먼트에서 만든 마시마로는 귀여운 토끼 캐릭터로, 당시 유행하던 "엽기적인"이라는 단어와 함께 "엽기토끼"로 불리며 인기를 얻었다. 인터넷을 통해 확산되었고, 캐릭터 상품으로 개발되어 해외에서도 성공했다.[54] 뿌까는 2000년에 "뿌까 퍼니러브"라는 플래시 애니메이션으로 처음 등장했다. 캐릭터 상품 개발에 집중한 뿌까는 국내는 물론 150여 개국에 진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작은 중국 소녀와 붉은색, 검은색의 강렬한 대비를 이루는 독특한 외형을 가지고 있었다.[56] 졸라맨, 우비소년 외에도 '엘리베이터', '최고조', '조바우'와 같은 성인용 플래시 애니메이션도 만들어졌다.[63]

홍미희(2002)는 2000년대 국내 캐릭터 산업에서 플래시 애니메이션이 지배적이었던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첫째, 플래시는 벡터 기반이라 크기 변환이 화질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파일 크기가 작아 전송이 빨라 제작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었다. 또한 제작이 쉬워 누구나 만들 수 있었다. 둘째, 초고속 인터넷 보급으로 플래시 애니메이션이 빠르게 확산되었다. 셋째, "엽기", "코믹" 등 당시 사회적 이슈를 담은 이야기 구성으로 어른들에게도 공감을 얻었다.[64]

9. 3. 3D애니메이션 캐릭터 (2000년대 중반)

3D 애니메이션은 3차원 공간에서 움직이는 영상을 보여준다. 국내 시장에서 3D 애니메이션은 주로 3D STUDIO MAX 또는 MAYA 프로그램으로 제작된다. 최초의 3D 에로 애니메이션은 '러브@ 하우스'이며, 인터넷 엽기 플래시 애니메이션 중에는 '찌질이'라는 작품이 있다.[65] 전경란(2010)은 3D 애니메이션의 가장 독특한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65]

  • 첫째, 2D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X와 Y축을 사용하여 평평한 공간에 표시되는 반면, 3D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추가로 Z축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객체와 배경은 3차원으로 렌더링된다.
  • 둘째, 3D 문자는 모형화되고 3차원 공간에서 렌더링된 후 다른 제작 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현실적인 움직임과 질감을 얻을 수 있고, 라이브 액션 필름처럼 제작된다.
  • 셋째, 초기 단계부터 3D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은 OSMU를 고려하여 계획되었다. 2D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비교하면 3D 애니메이션 제작 비용은 매우 크다. 따라서, 3D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처음부터 다른 미디어 형식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가지고 개발되었다.[65]

참조

[1] 웹사이트 Laftel.net https://laftel.net
[2] 뉴스 "독창성 사라진 한국 애니…아쉽다" https://www.asiae.co[...] The Asia Business Daily 2017-09-12
[3] 뉴스 국산 애니 '바이트초이카', 18일 첫 방송 https://www.hankooki[...] Hankook Ilbo 2020-04-07
[4] encyclopedia 만화^영화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08-10-08
[5] 뉴스 '홍길동에서 뽀로로까지, 대한민국 애니메이션의 역사' https://mnews.jtbc.j[...] Korea JTBC 뉴스룸 2012-06-28
[6] 웹사이트 Korazy Art Exhibit http://www.korazy.co[...] Korazy.com.au 2012-05-23
[7] 뉴스 Animators gather as industry faces transition http://joongangdaily[...] Korea JoongAng Daily 2005-08-19
[8] 웹사이트 Finecut Sells Animated 'Leafie' to U.S., U.K., Australia http://www.hollywood[...] 2011-11-22
[9] 뉴스 US cartoons 'made in North Korea' http://www.atimes.co[...] Asia Times 2007-03-14
[10] 뉴스 지하철 2호선 '라바 열차', 이달 운행 종료 http://www.newsis.co[...] Newsis 2015-05-29
[11] 뉴스 서울시'타요버스', 이렇게 찾아요 http://www.businessp[...] Bloter 2014-04-02
[12] 뉴스 롯데월드몰, 그랜드 오픈 기념 이벤트 풍성 http://view.asiae.co[...] Asia Economy 2014-10-31
[13] 웹사이트 네이버 '웹툰', 애니메이션으로도 즐긴다 https://m.mt.co.kr/r[...] 2023-05-07
[14] 웹사이트 최대 500조원 규모 '덕심' 사로잡을 'K-애니' 선두주자는 http://www.newsprime[...] 2023-05-07
[15] 웹사이트 엑스톰 https://sites.google[...] 2023-05-07
[16] 웹사이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로커스, 인기 네이버웹툰 '전자오락수호대' 애니메이션 제작 발표 http://gamefocus.co.[...] 2023-05-07
[17] 웹사이트 웹툰 '테러맨' 애니메이션으로 나온다…티빙 오리지널로 제작 https://www.yna.co.k[...] 2023-05-07
[18] 뉴스 8조 캐릭터 시장, 도약하는 토종 캐릭터 http://www.businessp[...] Business Post 2014-12-28
[19] journal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Winter
[20] 뉴스 한국 최초 애니메이션 'OB시날코' 첫 공개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5-06-08
[21] 뉴스 ’광고가 애니메이션을 만났을 때’ https://news.naver.c[...] 헤럴드 POP 2016-01-27
[22] 웹인용 나는 물이다 http://www.ehistory.[...] e영상역사관
[23] 뉴스 최초 단편 애니메이션 ‘개미와 베짱이’ 주역 http://olv.moazine.c[...] 애니메이툰 2016-01-27
[24] 뉴스 최초 장편만화 ‘홍길동’ 기억나세요? http://www.hani.co.k[...] 한겨레 2016-01-27
[25] 서적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 호피와 차돌바위 https://terms.naver.[...] 마로니에 북스 2016-01-27
[26] 웹인용 손오공 http://www.kmdb.or.k[...]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2016-01-27
[27] 웹인용 황금철인 http://www.kmdb.or.k[...]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2016-01-27
[28] 웹인용 홍길동 장군 http://www.kmdb.or.k[...]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2016-01-27
[29] 웹인용 보물섬 http://www.kmdb.or.k[...]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2016-01-27
[30] 웹인용 한국 애니메이션 베스트 15 http://movie.naver.c[...] 네이버 영화 2016-01-27
[31] 뉴스 "[곡사의 아수라장] 부활하라! <초합금로보트 쏠라123>" http://www.cine21.co[...] 씨네21 2016-01-27
[32] 뉴스 "[빽투더88] 하니·둘리·에스테반, 우리 진주가 좋아한 추억의 만화" http://www.tvreport.[...] TV리포트 2015-01-27
[33] 뉴스 애니맥스, 12일 한가위 맞아 '머털도사' 시리즈 연속방송 http://www.tvreport.[...] TV리포트 2015-01-27
[34] 뉴스 "역대 만화 시청률 Top 20 ""뽀로로 따위! '날아라 슈퍼보드' 42.8%의 위엄"""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5-01-27
[35] 뉴스 "[M+기획…‘韓애니’①] 한국 애니메이션의 태동과 현재" http://star.mbn.co.k[...] MBN 2016-01-27
[36] 뉴스 한류열풍의 중심,'K-애니'가 온다 http://www.viva100.c[...] 브릿지경제 2016-01-27
[37] 뉴스 "[화통토크] 둘리아빠 김수정 \"창의성? 애들 입 막는데 그게 나오겠나\""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6-01-27
[38] 뉴스 2005 한국 장편애니메이션 기상도 [1] http://www.cine21.co[...] 씨네21 2016-01-27
[39] 뉴스 “‘굿 다이노’ 역대 15번째, 주말 애니메이션 1위의 조건은?” http://star.mk.co.kr[...] 스타투데이 2016-01-27
[40] 뉴스 "<사이비>, 프랑스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경쟁 부문 진출" http://news.maxmovie[...] 맥스무비 2016-01-27
[41] 웹인용 국가별 애니메이션의 특징 http://koreancontent[...] 상상발전소 2016-01-28
[42] 뉴스 "'라바', 한국 애니메이션 성공신화 꿈꾼다"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6-01-28
[43] 뉴스 너무한 터닝메카드 웃돈 장사…'성탄절 등골브레이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1-28
[44] 뉴스 최신규의 성공비결, 손오공의 '터닝메카드' 문화 구축 http://www.businessp[...] 비즈니스포스트 2016-01-28
[45] 웹인용 2014년 4분기 애니메이션/캐릭터산업 동향분석보고서 http://www.kocca.kr/[...]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01-31
[46] 웹인용 문체부, ‘캐릭터·애니메이션산업 육성 중장기계획’ 발표 http://www.mcst.go.k[...] 문화체육관광부 2016-02-01
[47] 웹인용 "['14 콘텐츠산업통계] 전체 ('13년 기준조사)" http://www.kocca.kr/[...]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02-03
[48] 뉴스 한국 애니메이션, 하청에서 창작파트너로 격상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6-02-03
[49]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50] 저널 2016 캐릭터 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51]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52]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53] 저널 한국의 생활 디자인 https://terms.naver.[...] 2009
[54]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55]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56]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57]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58]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59]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60] 웹인용 Korea NO.1 Character Kakao Friends https://www.kakaofri[...]
[61]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62]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63]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64]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65] 저널 Periodic Features of Korean Character Designs http://aodr.org/xml/[...]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