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은 1959년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및 에큐메니컬 운동 수용 문제로 분립된 대한예수교장로회의 보수 교단이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대소요리문답을 표준 문서로 삼고, 정통 개혁주의 신학 노선을 따른다. 1912년 대한예수교장로회로 시작하여, 1959년 WCC 가입 반대 입장을 가진 박형룡 목사 측이 분리되어 독립하였다. 주요 활동으로는 복음 전파, 해외 선교, 교역자 양성이 있으며, 총신대학교 등 교육기관과 기독신문을 운영한다. 2020년 기준 161개 노회, 11,758개 교회, 약 255만 명의 성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기독교총연합회에 가입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9년 설립된 종교 단체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은 1959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리된 장로교 교단으로,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문제로 분열되었으며 에큐메니칼 운동에 참여하고 칼 바르트의 변증법 신학에 기초한 복음주의적 성경 해석을 따르며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을 채택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공보, 한국장로교출판 등의 기관과 새문안교회, 영락교회, 소망교회 등을 산하에 두고 2024년에는 교회 세습 금지법 폐지 시도 등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 1959년 설립된 종교 단체 - 레이크우드 교회
    레이크우드 교회는 1959년 존 오스틴 목사 부부가 설립한 텍사스주 휴스턴 소재의 초교파 교회로, 조엘 오스틴 목사 부임 후 교인 수가 크게 증가하여 미국에서 가장 큰 교회 중 하나가 되었으며, 방송 사역과 사회 봉사 활동을 하지만 번영신학 논란과 자연재해 대응 미흡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대한민국의 장로교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은 1959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리된 장로교 교단으로,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문제로 분열되었으며 에큐메니칼 운동에 참여하고 칼 바르트의 변증법 신학에 기초한 복음주의적 성경 해석을 따르며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을 채택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공보, 한국장로교출판 등의 기관과 새문안교회, 영락교회, 소망교회 등을 산하에 두고 2024년에는 교회 세습 금지법 폐지 시도 등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 대한민국의 장로교 - 총신대학교
    총신대학교는 1901년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교 후 재건, 1975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개혁주의 신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 사립대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종교에 관한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은 1959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리된 장로교 교단으로,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문제로 분열되었으며 에큐메니칼 운동에 참여하고 칼 바르트의 변증법 신학에 기초한 복음주의적 성경 해석을 따르며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을 채택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공보, 한국장로교출판 등의 기관과 새문안교회, 영락교회, 소망교회 등을 산하에 두고 2024년에는 교회 세습 금지법 폐지 시도 등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 대한민국의 종교에 관한 - 성공회대학교
    성공회대학교는 1914년 대한성공회가 설립한 성 미카엘 신학교에서 시작되어 서울 구로구에 위치하며, 1994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면서 현재의 교명을 갖게 되었고, 민주주의, 사회 운동, 사회적 경제 분야 연구에 힘쓰는 대학교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지도
기본 정보
명칭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한글 명칭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한자 명칭大韓예수敎長老會(合同)
가타카나 명칭テハン イェスギョ チャンノフェ(ハプトン)
히라가나 명칭だいかんイエスきょうちょうろうかい(ごうどう)
영어 명칭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약칭예장합동
총회
총회 명칭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한자 총회 명칭大韓예수敎長老會總會
가타카나 총회 명칭テハン イェスギョ チャンノフェ チョンフェ
히라가나 총회 명칭だいかんイエスきょうちょうろうかいそうかい
영어 총회 명칭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관련 정보
웹사이트대한예수교장로회
관련 단체재일대한기독교회

2. 역사

1912년 대한예수교장로회가 설립된 이후, 1959년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및 에큐메니컬 운동 수용 문제를 둘러싸고 한경직 목사 중심의 통합측과 박형룡 목사 중심의 합동측이 대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연동교회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은 승동교회에서 각각 총회를 열고 분립하였다.[1]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의 소재지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330(대치동)이며, 설립 목적은 예수 그리스도복음 전파이다. 주요 활동으로는 복음 전파, 해외 선교, 교역자 양성 등이 있다.

2. 1. 대한예수교장로회 분열 이전 (1912년 이전)

장로교 교단 중 두 번째로 오래된 교단은 1912년에 설립된 대한예수교장로회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는 이후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조선에서 장로교회의 역사는 1884년 미국의 H. N. 아렌 목사가 입국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듬해인 1885년에는 미국장로교회(북장로교회, PCUSA) 소속 H. G. 언더우드 목사가 조선에 들어왔다. 조선에서 장로파 교단 조직은 1912년 평양에서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로 결성되었다.[1]

2. 2. 대한예수교장로회 분열 과정 (1912년 ~ 1959년)

장로교 교단 중 두 번째로 오래된 1912년 설립된 대한예수교장로회의 분파 중 하나로, 1959년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및 에큐메니컬 운동 수용 문제로 찬성측 (한경직 목사 중심의 통합측)과 반대측 (박형룡 목사 중심의 합동측)이 대립하였다. 이때 찬성하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연동교회에서, 반대하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은 승동교회에서 각각 단독총회를 열고 분립하였다.[1]

2. 3. 분열 이후 (1959년 ~ 현재)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및 에큐메니컬 운동 수용 문제로 찬성측 (한경직 목사 중심의 통합측)과 반대측 (박형룡 목사 중심의 합동측)이 대립하였는데, 이때 찬성하는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연동교회에서, 반대하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은 승동교회에서 각각 단독총회를 열고 분립하였다.[1] 한국의 대표적인 보수교단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1647년 판)과 대소요리문답을 표준문서로 제정했다.[1] 합동의 신학노선은 정통 개혁주의이자 청교도적 개혁주의이다.[1] 2013년 한국기독교총연합회에서 탈퇴했다.[1]

3. 신학

합동파 신학은 정통적인 개혁주의 (청교도적인 개혁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웨스트민스터 대교리문답,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을 표준으로 삼는다.

4. 조직 및 기관

예장합동은 161개의 노회와 11,758개의 교회, 37,983명의 교역자와 2,556,182명의 성도로 구성되어 있다. 교단 본부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다. 주요 기관으로는 기독신문총신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신학대학교, 그리고 총회세계선교회(GMS) 등이 있다.

4. 1. 교단 현황 (2020년 기준)

구분내용
노회161개
교회11,758개
교역자총 37,983명 (목사: 24,855명, 강도사: 747명, 전도사: 12,381명, 선교사: 2,557명)
성도총 2,556,182명 (장로: 21,580명)
파송 군목육군 33명, 해군 9명, 공군 5명
교류 현황PCA (미국장로교회)[4], INPM (멕시코민족장로교회), OPC (미국정통장로교회), IPB (브라질장로교회)[5], IEPRP (페루복음개혁장로교단) 등


4. 2. 주요 기관

예장합동의 교단신문은 기독신문이다. 교단 소속 교육기관으로는 총신대학교를 비롯한 5개 직영 총회신학원(총신대학교, 총신대학원, 신학대학원, 교육대학원, 선교대학원)이 있으며, 지방대학으로는 칼빈대학교, 대신대학교, 중부대학교, 광신대학교가 있다. 그 외에도 칼빈신학교, 광주신학교, 대전신학교, 부산신학교, 서울신학교, 수원신학교, 인천신학교, 전북신학교, 청주신학교 등 9개의 지방 신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특히, 국내 교단 중 가장 큰 규모의 선교기관인 총회세계선교회(약칭 GMS)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0년 현재 2,579명의 선교사를 파송하였다.[2]

4. 3. 교육 기관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의 교단 신문은 기독신문이다. 교단 소속 교육기관으로는 총신대학교를 비롯한 5개의 직영 총회신학원, 칼빈대학교, 대신대학교, 중부대학교, 광신대학교 등 4개의 지방 대학교, 그리고 9개의 지방 신학교가 있다.[2]

4. 3. 1. 총회 직영 신학원

총신대학교를 비롯한 5개의 직영 총회신학원(총신대학교, 총신대학원, 신학대학원, 교육대학원, 선교대학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방대학으로는 칼빈대학교, 대신대학교, 중부대학교, 광신대학교가 있다. 그 외에도 칼빈신학교, 광주신학교, 대전신학교, 부산신학교, 서울신학교, 수원신학교, 인천신학교, 전북신학교, 청주신학교 등 9개의 지방 신학교를 운영하고 있다.[2]

4. 3. 2. 지방 대학교

칼빈대학교, 대신대학교, 중부대학교, 광신대학교가 있다.[2]

4. 3. 3. 지방 신학교

칼빈신학교, 광주신학교, 대전신학교, 부산신학교, 서울신학교, 수원신학교, 인천신학교, 전북신학교, 청주신학교 등 9개의 지방 신학교를 운영하고 있다.[2]

5. 대외 관계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은 한국기독교총연합회에 가입되어 있다. 미국의 Presbyterian Church in America(PCA)와 정통장로교회(OPC)와 교류하고 있다.

5. 1. 국내 교류

한국기독교총연합회에 가입되어 있다.

5. 2. 해외 교류

한국기독교총연합회에 가입되어 있다.

미국의 Presbyterian Church in America(PCA)와 정통장로교회(OPC)와 교류하고 있다.

6. 연혁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은 1912년에 설립된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리된 교단 중 하나이다. 1959년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및 에큐메니컬 운동 수용 문제로 한경직 목사 중심의 통합측과 박형룡 목사 중심의 합동측이 대립하였고, 그 결과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연동교회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은 승동교회에서 각각 총회를 열고 분리되었다.[1] 합동 측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1647년 판)과 대소요리문답을 표준문서로 채택하여 정통 개혁주의 신학 노선을 따르고 있다.[1] 2013년에는 한국기독교총연합회에서 탈퇴했다.[1]

다음은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의 주요 연혁이다.

연도장소총회장출신노회주요 결의 사항
44회1959. 9. 24.~9. 29.
1959. 11. 24.~11. 29.
대전중앙교회
서울 승동교회
양화석대전노회세계 교회 협의회 가입 문제로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분립
1960년 3월 대한예수교장로회(보수) 분립
45회1960. 9. 22.~9. 24.서울 승동교회고성모경북노회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재결합
46회1961. 9. 21.~9. 27.부산남한상동경남노회대한예수교장로회(대신) 분립
47회1962. 9. 20.~9. 24.승동교회이환수경기노회
48회1963. 9. 19.~9. 24.이수현군산노회신학교 통폐합 등에 대한 의견 대립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분립
49회1964. 9. 24.~9.~29.서울성도교회김윤찬평양노회목사, 장로의 정년제 폐지
50회1965. 9. 23.~9. 28.서울승동정규오전남노회
51회1966. 9. 22.~9. 27.광주중앙박찬목경기노회
52회1967. 9. 21.~9. 26.
1968. 3. 1.
서울평안교회
대전중앙교회
김윤찬평양노회
53회1968. 9. 19.~9. 24.부산초량손계웅경북노회
54회1969. 9. 25.~9. 30.서울장충문재구순천노회
55회1970. 9. 24.~9. 28.대구서현김창인경기노회
56회1971. 9. 23.~9. 28.대전중앙정규선경서노회
57회1972. 9. 21.~9. 27.서울충현박성겸황해노회
58회1973. 9. 20.~9. 24.인천제이박요한대전노회
59회1974. 9. 19.~9. 23.서울평안교회최동진부산노회
60회1975. 9. 25.~9. 27.
1976. 2. 9.~2. 13.
서울승동교회
총신대학교 대강당
장성칠서울노회
61회1976. 9. 23.~9. 28.총신대학교 대강당황금천
62회1977. 9. 22.~9. 26.총신대학교 대강당이기하군산노회
63회1978. 9. 21.~9. 25.부산부전교회한병기부산노회
64회1979. 9. 20.~9. 24.대구동부교회한석지함남노회
65회1980. 9. 25.~9. 29.부산부전교회이영수 (목사)경기노회
66회1981. 9. 24.~9. 28.대전중앙교회최성원전북노회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분립
67회1982. 9. 23.~9. 27.군산개복교회김현중수도노회
68회1983. 9. 28.~10. 3.서울평안교회배재운안주노회
69회1984. 9. 18.~9. 21.대구서현최훈동평양노회
70회1985. 9. 17.~9. 21.서울청량박명수경기노회
71회1986. 9. 23.~9. 26.서울승동안중섭수원노회
72회1987. 9. 22.~9. 25.서울신림동교회김길현군산노회
73회1988. 9. 20.~9. 23.대구서문교회이성헌강북노회
74회1989. 9. 19.~9. 22.서울평안교회이성택동평양노회
75회1990. 9. 18.~9. 21.김제증앙교회유인식김제노회
76회1991. 9. 24.~9. 27.대구동신교회이봉학전남노회
77회1992. 9. 22.~9. 25.인천제이교회이삼성인천노회
78회1993. 9. 21.~9. 24.광주동명교회최기채전남노회
79회1994. 9. 27.~9. 30.대구동부교회김덕신대구노회
80회1995. 9. 19.~9. 22.서울충현교회정석홍서울노회
81회1996. 9. 17.~9. 22.청주중앙교회김준규충북노회
82회1997. 9. 23.~9. 26.서울충현교회신세원서울남노회
83회1998. 9. 22.~9. 25.서울왕성교회길자연동평양노회
84회1999. 9. 28.~10. 1.정읍성광교회김도빈전서노회
85회2000. 9. 26.~9. 29.진주교회김동권진주노회
86회2001. 9. 18.~9. 21.서울충현교회예종탁동서노회
87회2002. 9. 24.~9. 27.창훈대교회한명수수원노회
88회2003. 9. 23.~9. 26.대구동신교회임태득남대구노회
89회2004. 9. 21.~9. 24.서울충현교회서기행수도노회
90회2005. 9. 26.~9. 30.대전중앙교회황승기대전노회
91회2006. 9. 19.~9. 22.부산온천제일교회장차남동부산노회
92회2007. 9. 11.~9. 14.김제연정교회김용실황동노회
93회2008. 9. 22.~9. 26.제주국제컨벤션센터최병남대전노회
94회2009. 9. 21.~9. 25.울산우정교회서정배울산노회
95회2010. 9. 27.~10. 1.홍천군 대명비발디파크김삼봉한서노회
96회2011. 9. 19.~9. 23.전북대학교 삼성문화센터이기창전주노회
97회2012. 9. 17.~9. 21.대구성명교회정준모서대구노회
98회2013. 9. 23.~9. 27.수원과학대학교 라비돌리조트안명환황해노회
99회2014. 9. 22.~9. 26.광주겨자씨교회백남선광주노회
100회2015. 9. 14.~9. 18.대구반야월교회박무용대구수성노회
101회2016. 9. 26.~9. 30.충현교회김선규성현노회
102회2017. 9. 18.~9. 22.포항 기쁨의 교회전계헌이리노회
103회2018. 9. 10.~9. 12.대구반야월교회이승희동대구노회
104회2019. 9. 23.~9. 27.서울충현교회김종준동한서노회
105회2020. 9. 21.~9. 22.용인새에덴교회소강석경기남노회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총회 기간 축소, 비대면으로 진행
106회2021. 9. 13.~9. 17.우정교회배광식남울산노회
107회2022. 9. 20.~9. 23.주다산교회권순웅평서노회
108회2023. 9. 18.~9. 22.새로남교회오정호서대전노회
109회2024. 9. 23.~9. 27.우정교회김종혁울산노회


참조

[1] 웹사이트 大韓イエス教長老会(合同GAPCK) http://kccj.jp/archi[...] 在日大韓基督教会 2013-11-28
[2] 웹사이트 현교단현황 http://www.gapck.org[...]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13-11-28
[3] 웹인용 오시는 길 http://gapck.org/sub[...] 2021-04-16
[4] 웹인용 교류 가능 세계개혁교회 명단 작성 http://www.kidok.com[...] 2019-03-16
[5] 웹인용 총회, 브라질장로교와 교류 본격화 http://www.kidok.com[...] 2019-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