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더듬이다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듬이다리는 절지동물 중 협각류의 부속지 중 하나로, 턱수염류의 제1촉각, 갑각류의 제2촉각에 상동한다. 협각류 내에서 더듬이다리는 투구게류에서는 다리와 거의 동일한 형태를 보이며, 수컷은 생식 행동에 사용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다전갈류는 다리와 구분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거미류는 감각, 포식 등 보행 이외의 기능을 담당하는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바다거미류의 더듬이다리는 감각이나 섭식에 사용되며, 퇴화되어 소실된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절지동물 - 대하 (생물)
    대하는 서해안과 중국에 서식하며 20~30cm까지 자라는 큰 새우로, 한국 서해안에서 가장 큰 새우 종이며, 다양한 요리법으로 즐겨 먹고, 일본에서 "다이쇼 에비"라고도 불리며, 중국에서는 개체 수 감소에 대응하여 어린 대하 방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절지동물 - 더듬이
    더듬이는 절지동물, 유조동물, 엽족동물, 연체동물의 머리에 위치한 감각 기관으로, 접촉, 기류, 냄새, 미각 등을 감지하며, 분류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 동물해부학 - 아가미
    아가미는 수생 동물이 물속에서 산소를 흡수하도록 돕는 다양한 형태의 호흡 기관이며, 얇은 구조와 역류 교환 메커니즘을 통해 효율적인 기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 동물해부학 - 외골격
    외골격은 다양한 생물에서 발견되는 외부 보호막 또는 지지 구조로, 포식 방어, 근육 부착, 탈수 방지 등의 역할을 하며, 화석 연구에 기여하고 신소재 개발에 영감을 주지만, 화석 기록 편향과 해양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더듬이다리
개요
유형절지동물 부속지
기능감각
포획
섭식
교미
방어
이동
위치입 앞
동물군협각류
구조분절됨
상세 정보
특징협각류의 두 번째 부속지
걷는 다리 (다리) 뒤에 위치
다양한 형태로 진화
곤충의 더듬이와 유사
기능별 종류
집게발 형태먹이 잡기, 방어
걷는 다리 형태이동 보조
감각 기관 형태환경 감지
교미 기관 형태정자 전달
예시
전갈큰 집게발
거미작은 다리 모양, 수컷은 정자 전달에 사용
진드기다양한 형태, 먹이 섭취 및 감각 기능 수행
추가 정보
진화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형태와 기능이 변화
중요성협각류의 생존과 번식에 필수적인 역할 수행

2. 절지동물문에서의 상동 관계

더듬이다리가 절지동물 내 다른 부속지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즉 상동 관계를 밝히는 것은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과거 20세기에는 협각류의 협각이 제2체절에서 유래하고 더듬이다리는 제3체절에서 유래한다고 보아, 턱수염류(다지류, 갑각류, 육각류)의 큰턱과 상동이라고 여기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27]. 이는 협각류의 제1체절 촉각이 퇴화했다고 가정한 데 따른 해석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호메오틱 유전자 발현 연구[27][28][29][30][31]를 비롯하여 발생학[32], 신경해부학[32][33] 등 다양한 분야의 증거들이 축적되면서 기존의 해석은 수정되었다. 새로운 연구 결과들은 협각류 역시 제1체절을 가지며, 협각은 제1체절(중대뇌성), 더듬이다리는 제2체절(후대뇌성)에서 유래한다는 것을 강력히 시사한다. 이에 따라 더듬이다리는 턱수염류의 큰턱이 아닌, 갑각류의 두 번째 더듬이(제2촉각)와 상동 관계에 있다는 견해가 현재 학계의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지류와 육각류의 경우, 제2촉각에 해당하는 부속지는 퇴화한 것으로 본다.

아래 표는 현재 받아들여지는 절지동물 머리 부분의 체절과 부속지 상동 관계를 비교하여 보여준다.

절지동물 머리 부분 체절과 부속지 상동 관계 비교
분류군 / 체절전절
(전대)
1
(중대뇌)
2
(후대뇌)
3456
턱수염류윗입술제1촉각제2촉각 / (퇴화)큰턱제1작은턱제2작은턱 / 아랫입술다리
협각류윗입술협각더듬이다리다리다리다리다리


2. 1. 협각류 내의 비교

협각류의 더듬이다리(촉지)는 협각 바로 뒤, 근처에서 자라는 한 쌍의 부속지이다. 발생학적으로는 의 뒤쪽 부분에 해당하는 두 번째 체절에서 유래한다[13]. 협각류 내에서 더듬이다리는 분류군에 따라 형태와 기능이 매우 다양하다[13]. 예를 들어 말발굽게류에서는 걷는 다리와 거의 같은 형태로 보행에 쓰이지만, 거미류에서는 다리와 뚜렷이 구별되며 보행 외의 감각, 먹이 포획, 교접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13]. 입과 협각에 가까운 더듬이다리의 밑마디(기절, coxa)에는 섭식을 돕는 내돌기(endite)가 발달한 경우가 많다[7].

검갑류(투구게류)나 바다전갈류 같은 일부 그룹에서는 더듬이다리가 다리와 크게 다르지 않아 형태학적으로 다리의 일부로 취급되기도 한다. 이 경우, 몸 전체 부속지 구성을 '협각 1쌍, 다리 5쌍'으로 기술한다 (일반적인 거미류는 '협각 1쌍, 더듬이다리 1쌍, 다리 4쌍'으로 기술)[8]. 이들의 내돌기는 다리의 턱기부(gnathobase)와 유사하게 톱니 모양의 저작기 역할을 한다[7].

집게 또는 아집게(가위 모양) 형태의 더듬이다리는 Ricinulei, Uropygi, 전갈, 가짜전갈 등 여러 거미류에서 발견되지만, 이들 구조가 모두 상동 관계인지는 불확실하다. Amblypygi, Uropygi, Schizomida, 그리고 일부 장님거미(laniatorid 그룹)에서는 먹이를 잡기 좋게 변형된 뚜렷한 포획형(raptorial) 더듬이다리를 가진다.

과거 20세기에는 절지동물협각류의 제1체절 촉각이 퇴화하고, 협각은 제2체절, 더듬이다리는 제3체절에서 유래하여 턱수염류(다지류, 갑각류, 육각류)의 큰턱과 상동이라고 해석했다[27]. 그러나 1990년대 이후 호메오틱 유전자 발현[27][28][29][30][31], 발생학[32], 신경해부학[32][33] 등 여러 증거를 통해 협각류도 제1체절을 가지며, 협각은 제1체절, 더듬이다리는 제2체절에서 유래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협각은 턱수염류의 제1촉각과, 더듬이다리는 갑각류의 제2촉각과 상동 관계로 재검토되었다 (다지류와 육각류에서는 제2촉각에 해당하는 부속지가 퇴화됨).

절지동물 머리 부분 체절과 부속지 상동 관계 비교
분류군 / 체절전절
(전대)
1
(중대뇌)
2
(후대뇌)
3456
턱수염류윗입술제1촉각제2촉각 / (퇴화)큰턱제1작은턱제2작은턱 / 아랫입술다리
협각류윗입술협각더듬이다리다리다리다리다리


2. 1. 1. 투구게류 (검미류)

검갑류 (Xiphosura)의 더듬이다리는 첫 번째부터 네 번째 다리까지와 거의 같은 모양이며, 걷는 데 사용된다[13].

그러나 투구게과에서는 성적 이형성이 나타나는데, 수컷의 더듬이다리만 또는 그 다음 한 쌍의 다리와 함께 끝부분이 갈고리 모양으로 변형되어 짝짓기 시 암컷을 붙잡는 데 쓰인다[9][10].

2. 1. 2. 바다전갈류 (광익류)



바다전갈류(광익류)와 카스마타스피스류의 더듬이다리는 마디 수(끝 발톱 포함 7마디)를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다리(8-9마디)와 같은 형태이다. 하지만 바다전갈류 중에는 더듬이다리만 특화된 종류(스리모니아, 엘레토프테루스 등)나, 더듬이다리와 바로 뒤의 다리 한 쌍 이상이 함께 특화된 종류(믹소프테루스, 메갈로그라프투스 등)도 있다. 또한, 투구게류처럼 더듬이다리에서 성적 이형성을 보이는 종류(유리프테루스 등)도 존재한다.[11][12]

2. 1. 3. 거미류 (Arachnida)

확대된 Zoropsis spinimana 수컷의 더듬이다리


거미강(Arachnida)의 더듬이다리는 협각류의 앞몸(전체, Prosoma)에 위치하며, 협각 바로 뒤에 있는 한 쌍의 부속지이다. 이는 발생학적으로 의 뒤쪽 부분에 해당하는 제2 체절에서 유래한다.[13] 일반적으로 몸통 쪽에서부터 밑마디(coxa), 돌기(trochanter), 넙적다리(femur), 무릎마디(patella), 정강이(tibia), 발마디(tarsus)의 6개 마디로 구성된다. 다리에는 있는 발목마디(metatarsus)가 없어, 보통 7개 이상의 마디로 이루어진 다리와는 명확히 구별된다.[13] 밑마디에는 섭식을 돕는 내돌기(endite, 때로는 턱 또는 턱기부라 불림)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7], 많은 거미류에서 이 내돌기는 입 주변 구조의 일부를 형성한다.[7][14]

거미류의 더듬이다리는 보행 외에 감각, 먹이 포획, 섭식 보조, 번식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13] 그 형태는 분류군에 따라 매우 다양하여, 단순한 다리 모양부터 먹이를 잡기 위한 집게나 낫 모양까지 여러 형태로 분화했다. 다리 모양의 더듬이다리가 거미류의 원시적 형태일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검미류의 집게 형태가 원시적이라는 대안적 견해도 있다. 과거에는 더듬이다리가 갑각류곤충의 턱(mandible)과 상동이라고 여겨졌으나, 최근의 Hox 유전자 등을 이용한 연구는 갑각류의 두 번째 더듬이와 상동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여러 거미류(Ricinulei, Uropygi, 전갈, 가짜전갈)에서 집게 또는 아집게(subchelate) 형태의 더듬이다리가 발견되지만, 이들 집게가 모두 상동기관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Amblypygi, Uropygi, Schizomida 및 장님거미 중 긴발이아목 그룹에서는 먹이를 잡기 좋게 변형된 뚜렷한 포획형(raptorial) 더듬이다리를 가진다.

거미류 분류군별 더듬이다리 형태와 기능
분류군형태주요 기능비고
거미 (Araneae)짧은 다리 모양감각, 섭식 보조 (아래턱 형성), 수컷은 교미 기관 (촉지기)성적 이형성[15][13]
전갈 (Scorpiones)집게 모양 포획기먹이 포획기절이 구기(stomotheca) 일부 형성[16]
가짜전갈 (Pseudoscorpiones)집게 모양 포획기먹이 포획, 독 주입기절이 부리 모양 구기(rostrum) 형성, 집게에 독샘[14][17]
채찍거미 (Amblypygi)낫 모양 포획기먹이 포획안쪽에 가시 발달[13]
채찍전갈 (Uropygi)낫 모양 포획기 (끝은 작은 집게)먹이 포획[13]
야이토무시 (Schizomida)낫 모양 포획기먹이 포획
히요케무시 (Solifugae)발달된 다리 모양감각, 포식, 등반 보조끝에 수납 가능한 흡반, 기절이 rostrum 형성[14][18], 강모로 덮여 있음[1]
장님거미 (Opiliones)기본은 다리 모양, 일부는 포획기 특화감각, 먹이 포획 (일부)긴발이아목은 낫 모양, Nemastomatidae과는 점모[19][20], 기절이 악엽(stomotheca 일부) 형성[21]
쿠츠콤시 (Ricinulei)짧은 낫 모양 (끝은 작은 집게)감각, 물건 잡기몸 아래로 접힘[22]
진드기 (Acari)짧은 다리 모양감각, 섭식 보조기절이 고도로 유합하여 앞다리(gnathosoma) 형성[23][14]
더듬이다리류 (Palpigradi)다리 모양보행, 감각?겉보기 9개 마디, 보행에 사용 (예외적)[24]



''Unicorn catleyi''의 더듬이다리 또는 교접구


거미의 더듬이다리는 다리와 마디 구성은 같지만, 발목마디(tarsus)가 분할되지 않고 측면 발톱이 없다. 민감한 화학 감각기를 포함하여 맛과 냄새를 감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 특히 성적으로 성숙한 수컷 거미의 경우, 마지막 마디인 발목마디가 복잡한 구조의 촉지기(palpal organ)로 발달한다. 이 기관은 짝짓기 시 암컷의 생식기 개구부(epigyne)로 정자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그 구조는 종을 식별하는 중요한 특징이 된다.[3][4] 촉지기는 심비움(cymbium)이라는 숟가락 모양 구조에 의해 지지되며,[3] 때로는 구애 시 소리를 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6] 촉지기에는 자루(embolus)라는 좁고 채찍 또는 잎 모양의 돌출부가 있다. 수컷은 구애 행동 시 더듬이다리를 이용해 거미줄을 진동시키거나, 소리 신호, 시각적 과시 등을 하기도 한다.[5]

히요케무시의 다리 모양 더듬이다리

2. 1. 4. 바다거미류 (Pycnogonida)

바다거미류(거미강, Pycnogonida)의 촉지는 다리와 뚜렷하게 구별되며, 협각과 난포지 사이에 있는 한 쌍의 부속지이다[13]. 일반적으로 단순한 다리 모양이며 4-9개의 마디로 나뉜다[25]. 주로 감각이나 섭식에 사용된다[26]. 일부 바다거미류에서는 촉지가 완전히 퇴화하여 없는 경우도 있다[26].

영어 등의 경우, 바다거미류의 촉지는 일반적으로 "palp"라고 불리며, 다른 협각류(진협각류)의 촉지 "pedipalp"와 구별된다[13][8].

3. 추가 정보

더듬이다리의 형태학적 비교 연구는 다리 모양의 더듬이다리가 거미류에서 원시적 형태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른 견해로는 검미류의 더듬이다리가 원시적인 형태를 반영하며, 이 부속지가 원래 협각 형태였다고 보는 관점도 있다. 더듬이다리는 전통적으로 갑각류곤충의 턱과 상동이라고 여겨졌으나, 최근의 Hox 유전자 등을 이용한 연구는 더듬이다리가 갑각류의 두 번째 더듬이와 상동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거미의 더듬이다리는 다리와 동일한 분절을 가지고 있지만, 발목은 분할되지 않고 앞발목에는 측면 발톱이 없다. 더듬이다리는 민감한 화학 감지기를 포함하며 다리의 감각을 보완하여 맛과 냄새를 감지하는 기관으로 기능한다.[2] 성적으로 성숙한 수컷 거미의 경우, 더듬이다리의 마지막 마디인 발목은 짝짓기 중에 정자를 암컷의 정낭으로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복잡한 구조(때로는 더듬이 구 또는 더듬이 기관이라고 함)를 발달시킨다. 이 구조의 세부 사항은 거미의 다른 그룹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종을 식별하는 데 유용하다.[3][4] 더듬이다리는 수컷 거미가 구애 활동에서 사용하여 거미줄 흔들림, 음향 신호 또는 시각적 디스플레이의 진동 패턴에 기여하기도 한다.[5]


  • '''심비움'''(Cymbium|심비움영어)은 거미 더듬이 끝에 위치한 숟가락 모양의 구조로, 더듬이 기관을 지지한다.[3] 심비움은 거미 구애 활동에서 발성 기관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6]
  • '''자루'''(Embolus|엠볼루스영어)는 더듬이 구의 좁고 채찍 모양 또는 잎 모양의 확장이다.


더듬이다리(촉지)는 협각류의 전체(prosoma, 머리가슴)에 특유하며, 협각과 바로 뒤에서 자란 한 쌍의 부속지이다. 발생학적으로는 후대에 대응하는 제2 체절 유래이며, 분류군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다[13]. 예를 들어 말발굽게 등에서는 바로 뒤의 다리와 같은 형태이며, 보행지의 일부로 사용된다. 한편, 거미류에서는 현저하게 다리와 구별되며, 보행 이외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전갈에서는 포식용 집게, 거미수컷에서는 교접용 기관이 된다[13]. 또한, 입과 협각에 인접한 촉지의 뿌리, 이른바 기절(coxa)이 섭식을 보조하는 내돌기 (endite)를 갖는 경우가 많다[7].

=== 협각강 (Merostomata) ===

검갑류와 바다전갈류 등이 속하는 협각강(Merostomata)의 촉지는 특화되지 않아 다리와 뚜렷한 구분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협각강의 촉지는 형태학적으로 다리로 취급되며, 전신 부속지 구성이 "협각 1쌍·다리 '''5쌍'''"으로 기술되기도 한다(일반적으로 거미류의 경우에는 "협각 1쌍·촉지 '''1쌍'''·다리 '''4쌍'''"이 된다)[8]. 내돌기도 원칙적으로 직후의 다리와 마찬가지로 턱기부 (gnathobase)라는 톱니 모양의 저작기가 된다[7]

  • 검갑류(Xiphosura)의 촉지는 적어도 제1-4다리와 거의 동일한 형태이다[13]。그러나 투구게과의 경우 성적 이형성으로, 수컷의 촉지만, 혹은 다음 한 쌍의 다리와 함께 끝이 갈고리 모양으로 특화되어 생식 행동에서 암컷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9][10]

  • 바다전갈류 (Eurypterida)와 카스마타스피스류 (Chasmataspidida)의 촉지는, 지절 수 (선단의 발톱을 포함하여 7절) 이외에는 원칙적으로 다리(8-9절)와 동일한 형태이다. 다만 바다전갈류에서는 촉지만 (스리모니아, 엘레토프테루스 등), 혹은 촉지와 직후 1쌍 이상의 다리(믹소프테루스, 메갈로그라프투스 등)가 함께 특화된 종류나, 투구게류처럼 촉지가 성적 이형성인 종류도 있다 (유리프테루스 등)[11][12]


=== 거미강 (Arachnida) ===

거미강(Arachnida)의 촉지는 매우 다양하며, 분류군에 따라 단조로운 보행 다리 모양에서부터 여러 형태로 변형되었다. 더듬이다리목을 제외하고, 거미강의 촉지는 형태(다리와는 확실히 다름)와 겉보기 6개의 지절 수(발마디 metatarsus가 없고, 7개 이상인 다리보다 적음)로 명확하게 다리와 구별되며, 감각이나 포식 등 보행 이외의 기능을 담당한다[13]. 협각류와는 달리, 많은 거미강은 촉지 기절만 내돌기를 갖는다[7]. 기절은 종종 입의 좌우를 덮어씌우고, 바로 앞의 협각・순판 (labrum)・입술돌기 (epistome) 등과 함께 복합체를 구성하는 경우도 있다[7][14]

아래는 거미강 내 주요 분류군의 촉지 특징이다.

분류군촉지 특징비고
거미짧은 보행 다리 모양, 감각/섭식 보조기절의 내돌기는 아래턱(maxilla|막실라영어) 형성. 수컷은 끝에 촉지기(palpal organ) 발달 (교접용)[15][13]
전갈포획용 집게 모양기절은 구기(stomotheca|스토모테카영어) 구성[16]
가짜전갈전갈과 유사한 집게 모양기절은 부리(rostrum|로스트룸영어) 구성[14], 집게에 독샘[17]
채찍 채찍거미낫 모양 포획기 (안쪽에 가시)[13]
채찍 전갈, 야이토무시낫 모양 포획기 (덜 극단적)채찍 전갈은 끝 2개 지절이 집게 모양[13]
히요케무시발달된 보행 다리 모양, 끝에 흡반기절은 부리(rostrum|로스트룸영어) 구성[14], 감각/포식/등반 보조[18]
긴발이기본적으로 보행 다리 모양일부는 포획 특화 (긴발이아목: 낫 모양[19], Nemastomatidae: 점모[20][19]). 기절은 악엽(구기(stomotheca|스토모테카영어) 구성)[21]
쿠츠콤시짧은 낫 모양, 작은 집게와 감각기감각/파악 기능 추정[22]
진드기짧은 보행 다리 모양기절이 고도로 유합하여 앞다리(gnathosoma|그나토소마영어) 구성[23][14]
더듬이다리목보행 다리 모양, 9개 지절보행에 사용[24]



=== 상동성 재논의 ===

20세기 주류 견해에 따르면, 절지동물 중에서 협각류는 제1체절(중대뇌성)의 촉각이 퇴화하고, 그 협각은 제2체절 유래(후대뇌성)로 여겨졌기 때문에, 그 직후에 있는 촉지는 제3체절 유래이며, 턱수염류(다지류갑각류육각류)의 큰턱과 상동이라고 해석되어 왔다[27]。그러나 1990년대 이후 호메오틱유전자 발현[27][28][29][30][31], 발생학[32], 신경해부학[32][33] 등 다방면의 증거에 의해, 협각류는 항상 제1체절을 가지고 있으며 협각과 촉지는 각각 제1체절과 제2체절 유래(중대뇌성과 후대뇌성)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협각은 턱수염류의 제1촉각에, 촉지는 갑각류의 제2촉각(다지류와 육각류의 경우는 해당 부속지가 퇴화)에 상동이라고 재검토하게 되었다.

절지동물 주요 분류군의 앞쪽 체절과 부속지 상동 관계 (현대적 해석)
분류군체절 1
(중대뇌)
체절 2
(후대뇌)
체절 3체절 4체절 5체절 6
턱수염류제1촉각제2촉각/(퇴화)큰턱제1작은턱제2작은턱/아랫입술다리
협각류협각촉지다리다리다리다리


참조

[1] 논문 Preliminary survey of the setal and sensory structures on the pedipalps of camel spiders (Arachnida: Solifugae) https://bioone.org/j[...] 2012
[2] lesson plan Spider specifics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Institution
[3] 서적 The Spider Book Doubleday, Page & Company
[4] 서적 Biology of Spider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 논문 Patterning mechanisms and morphological diversity of spider appendages and their importance for spider evolution https://www.scienced[...] 2010-11
[6] 논문 Seismic signal production in a wolf spider: Parallel versus serial multi-component signals 2006-03-15
[7] 논문 The evolution of feeding within Euchelicerata: data from the fossil groups Eurypterida and Trigonotarbida illustrate possible evolutionary pathways https://peerj.com/ar[...] 2020-08-13
[8] 논문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pycnogonids: A deeper look inside https://www.scienced[...] 2018-05-01
[9] 논문 A 3D anatomical atlas of appendage musculature in the chelicerate arthropod Limulus polyphemus https://journals.plo[...] 2018-02-14
[10] 논문 On the appendicular anatomy of the xiphosurid Tachypleus syriacus and the evolution of fossil horseshoe crab appendages https://doi.org/10.1[...] 2019-06-17
[11] 논문 The oldest described eurypterid: a giant Middle Ordovician (Darriwilian) megalograptid from the Winneshiek Lagerstätte of Iowa https://doi.org/10.1[...] 2015-09-01
[12] 논문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prosoma of Baltoeurypterus tetragonophthalmus (Fischer) (Chelicerata: Eurypterida) https://www.research[...] 1981
[13] 논문 Segmentation and tagmosis in Chelicerata https://www.academia[...]
[14] 논문 Comparative anatomy of the rostrosoma of Solifugae, Pseudoscorpiones and Acari https://doi.org/10.1[...] 2022-03-01
[15] 논문 Biology of Spiders https://www.academia[...]
[16] 논문 Exploring the evolution and terrestrialization of scorpions (Arachnida: Scorpiones) with rocks and clocks https://doi.org/10.1[...] 2019-03-01
[17] 논문 Venom collection and analysis in the pseudoscorpion Chelifer cancroides (Pseudoscorpiones: Cheliferidae) http://www.sciencedi[...] 2019-04-15
[18] 논문 The suctorial organ of the Solifugae (Arachnida, Solifugae) https://www.scienced[...] 2005-10-01
[19] 논문 The evolution of pedipalps and glandular hairs as predatory devices in harvestmen (Arachnida, Opiliones) https://doi.org/10.1[...] 2016-07-01
[20] 논문 Gluing the ‘unwettable’: soil-dwelling harvestmen use viscoelastic fluids for capturing springtails http://jeb.biologist[...] 2014-10-01
[21] 서적 Danmarks fauna; illustrerede haandbøger over den danske dyreverden.. https://archive.org/[...] København, G.E.C. Gad 1907
[22] 논문 The pedipalp of Pseudocellus pearsei (Ricinulei, Arachnida) – ultrastructure of a multifunctional organ https://linkinghub.e[...] 2008-11
[23] 논문 Proteonematalycus wagneri Kethley reveals where the opisthosoma begins in acariform mites https://journals.plo[...] 2022-02-25
[24] 논문 Report on a Fossil Palpigrade from the Tertiary of Arizona, and a Review of the Morphology and Systematics of the Order (Arachnida: Palpigradida) https://www.jstor.or[...] 1980
[25] 논문 Basal articulation of the palps and ovigers in Antarctic Colossendeis (Pycnogonida; Colossendeidae) https://doi.org/10.1[...] 2016-12-15
[26] 논문 Feeding ecology in sea spiders (Arthropoda: Pycnogonida): what do we know? https://doi.org/10.1[...] 2018-03-15
[27] 논문 Expression of homeobox genes shows chelicerate arthropods retain their deutocerebral segment https://www.pnas.org[...] 1998-09-01
[28] 논문 Parasegmental organization of the spider embryo implies that the parasegment is an evolutionary conserved entity in arthropod embryogenesis https://dev.biologis[...] 2002-03-01
[29] 논문 Homology of arthropod anterior appendages revealed by Hox gene expression in a sea spider https://www.nature.c[...] 2006-05
[30] 논문 Hox genes in sea spiders (Pycnogonida) and the homology of arthropod head segments https://doi.org/10.1[...] 2006-07-01
[31] 논문 The chelifores of sea spiders (Arthropoda, Pycnogonida) are the appendages of the deutocerebral segment https://pubmed.ncbi.[...] 2008-11
[32] 논문 Development of the nervous system in the "head" of Limulus polyphemus (Chelicerata: Xiphosura): morphological evidence for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segments of the chelicerae and of the (first) antennae of Mandibulata https://doi.org/10.1[...] 2003-02-01
[33] 논문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neurotransmitters in the nervous system of larval Limulus polyphemus (Chelicerata, Xiphosura): evidence for a conserved protocerebral architecture in Euarthropoda http://www.sciencedi[...] 2005-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