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포르티보 라코루냐는 1906년 창단된 스페인의 축구 클럽으로, 프리메라리가 우승 1회, 코파 델 레이 우승 2회,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우승 3회 등 국내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수페르 데포르' 시대를 열며 UEFA 챔피언스리그 4강에 진출하는 등 유럽 무대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이후 재정 위기와 선수진 노쇠화로 인해 하락세를 겪었다. 현재는 2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루카스 페레즈, 프란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 에스타디오 데 리아소르
    에스타디오 데 리아소르는 스페인 아 코루냐에 위치한 축구 경기장으로,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의 홈 구장이며 1982년 FIFA 월드컵 경기를 개최했고, 여러 차례 개보수를 거쳐 34,600명을 수용하며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 A매치 경기도 개최했으며, 2017년에는 명명권 계약으로 이름이 변경되기도 했다.
  •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 트로페오 테레사 에레라
    트로페오 테레사 에레라는 스페인 아 코루냐에서 빈민 구호를 위해 시작된 축구 토너먼트이며, 18세기 빈민 구호에 헌신한 여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1961년부터 국제적인 대회로 발전하여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 여자 축구 트로피도 개최한다.
  • 갈리시아주의 축구단 - 셀타 비고
    셀타 비고는 1923년 창단되어 비고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유럽 무대에서 활약하며 챔피언스리그 16강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 갈리시아주의 축구단 - CD 루고
    1953년에 창단된 스페인의 축구 클럽 CD 루고는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시작하여 세군다 디비시온에 승격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프리메라 페데라시온에서 안소 카로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왕실 후원을 받는 스페인의 단체 - 레알 사라고사
    레알 사라고사는 1932년 창단된 스페인 사라고사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로스 마그니피코스" 시대 코파 델 레이와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 UEFA컵 위너스컵 우승 등의 흥망성쇠를 거듭하며 현재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활동 중이다.
  • 왕실 후원을 받는 스페인의 단체 - 스페인 왕립 학술원
    스페인 왕립 학술원은 스페인어의 표준을 정립하고 보존하기 위해 1713년에 설립된 기관으로, 스페인어의 연구와 보급에 기여하며, 스페인어 아카데미 협회와 협력하여 활동한다.
데포르티보 라코루냐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로고
로고
전체 이름레알 클루브 데포르티보 데 라 코루냐, S.A.D.
별칭오스 브랑코아수이스 (푸른색과 흰색)
헤르쿨리노스 (헤라클레스)
투르코스 (터키인)
짧은 이름데포르티보
데포르
창단일1906년 12월 8일 (클루브 데포르티보 데 라 살라 칼베트)
경기장리아소르
수용 인원32,490명
회장후안 카를로스 에스코테트
구단주아방카 코르포라시온 방카리아, S.A. (80%)
감독오스카르 길산스
리그프리메라 페데라시온
웹사이트rcdeportivo.es
유니폼 정보
홈 유니폼pattern_la1: _depor2425h
pattern_b1: _depor2425h
pattern_ra1: _depor2425h
pattern_sh1:
pattern_so1: _blacktop
leftarm1: 003CFF
body1: FFFFFF
rightarm1: 003CFF
shorts1: 003CFF
socks1: 003CFF
어웨이 유니폼pattern_la2: _depor2425a
pattern_b2: _depor2425a
pattern_ra2: _depor2425a
pattern_sh2: _depor2425a
pattern_so2:_depor2425al
leftarm2:
body2:
rightarm2:
shorts2:
socks2:
세 번째 유니폼pattern_la3: _depor2425t
pattern_b3: _depor2425t
pattern_ra3: _depor2425t
pattern_sh3: _depor2425t
pattern_so3:
leftarm3: FFFFFF
body3: FFFFFF
rightarm3: FFFFFF
shorts3: FFFFFF
socks3: FFFFFF

2. 역사

1906년 창단된 데포르티보 라코루냐는 이듬해 클럽명에 "레알(Real)" 칭호를 부여받았다. 갈리시아 지방의 아 코루냐를 연고로 하며, 홈 구장은 34,600명을 수용하는 에스타디오 데 리아소르이다. 전통적으로 파란색과 흰색 세로 줄무늬 셔츠, 파란색 바지, 흰색 양말을 착용한다. 같은 갈리시아 지방의 셀타 데 비고와 라이벌 관계이며, 이들의 경기는 갈리시아 더비로 불린다.

1928년 라리가 출범 이후 대부분을 1부 또는 2부 리그에서 보냈다. 1999-2000 시즌 리그 우승, 5번의 준우승, 코파 델 레이 2회 우승(1994-95, 2001-02),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3회 우승을 기록했다. 1990년대 이후 1부 리그 상위권에 자리 잡았고, 2000-01 시즌부터 5시즌 연속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 2003-04 시즌에는 준결승에 진출했다.

아우구스토 세사르 렌도이로 회장 시절 전성기를 맞았으나, 1억 유로에 달하는 부채와 분식 회계 사실이 드러나며 2014년 렌도이로는 사임했다. 이후 재정 문제로 선수 보강에 어려움을 겪으며 팀 성적이 하락, 2017-18 시즌 강등 이후 하위 리그에 머물고 있다.


  • '''1992-93''': 베베토가 29골을 넣어 시즌 3위를 기록,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득점왕을 배출했다.[1]
  • '''1994-95''': 코파 델 레이에서 우승하며 클럽 역사상 첫 타이틀을 획득했다. 리그에서는 1993-94 시즌에 이어 2년 연속 준우승을 차지했다.
  • '''1999-2000''': 프리메라리가에서 사상 첫 우승을 차지했다.[1]
  • '''2001-02''': 코파 델 레이에서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1]
  • '''2003-04''': 챔피언스 리그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1]

2. 1. 창단 초기 (1906년 ~ 1940년대)

1908년의 데포르티보 살라 칼베트


1912년 콘쿠르소 에스파냐의 레알 클루브 데포르티보의 1군


1927년의 레알 클루브 데포르티보 데 라 코루냐


이베리아 반도의 다른 지역과 달리, 아 코루냐에 축구가 전파된 것은 영국인을 통해서가 아니었다. 잉글랜드 유학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온 호세 마리아 아발로가 축구를 도입했다. 축구는 빠르게 인기를 얻었고, 비공식적인 팀들이 여럿 결성되었다.

1906년 12월, 살라 칼베트 체육관 회원들은 루이스 코르니데를 초대 회장으로 추대하고 데포르티보 데 라 코루냐를 창단했다.[5] 1907년 5월, 알폰소 13세는 클럽에 "레알"("왕립") 칭호를 부여했다. 데포르티보는 코랄 데 라 가이테이라에서 경기를 시작했지만, 곧 리아소르 해변 근처의 구 리아소르로 경기장을 옮겼다.

데포르티보는 정기적으로 친선 경기를 치르고 지역 리그에서 경쟁했지만, 초창기에는 코파 델 레이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1912년, 데포르티보는 단명한 콘쿠르소 에스파냐에서 첫 공식 우승을 차지했다.[8][9][10]

1920년,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19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안트베르펜에 데뷔했다. 스페인의 좋은 성적은 축구의 인기를 높였고, 그 결과 많은 팀들이 프로 지위를 얻게 되었으며, 1928–29 시즌부터 리그 대회가 시작되었다.

데포르티보는 전국 선수권 창설 첫 해에 프리메라 디비시온(1부)에 참가하지 못하고, 세군다 디비시온(2부)에서 첫 시즌을 10개 팀 중 8위로 마쳤다. 다음 시즌에도 같은 디비전에서 활동하며 많은 구조적, 지리적 변화를 겪었다. 1932년, 데포르티보는 코파 델 레이에서 리그 무패의 레알 마드리드를 꺾었다. 1936년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여 1939-40 시즌까지 리그가 중단되었다. 리그 재개 후, 데포르티보는 프리메라 디비시온 승격을 두고 셀타 데 비고와 플레이오프를 치렀으나 0-1로 패배하여 승격이 좌절되었다. 1940-41 시즌, 데포르티보는 다시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레알 무르시아를 2-1로 꺾고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 승격을 이루었다.

2. 2. 프리메라리가 승격과 부침 (1940년대 ~ 1970년대)

1928년 데포르티보 라코루냐는 최초의 프리메라 디비시온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10개 팀 중 8위를 기록했다. 1932년에는 컵 대회에서 리그 무패를 기록했던 레알 마드리드를 꺾기도 했다.

스페인 내전으로 인해 1939-40 시즌까지 모든 공식 대회가 중단되었다. 리그 재개 후, 데포르티보는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숙적 셀타 비고에게 1-0으로 패하며 승격이 좌절되었지만, 다음 시즌인 1940-41 시즌에 무르시아를 2-1로 꺾고 팀 역사상 처음으로 라리가 승격을 달성했다.

1941-42 시즌에 4위를 기록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으나, 이후 성적이 하락하여 1944-45 시즌에는 14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다. 1944년 10월 28일, 데포르티보는 발렌시아와의 리그 경기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홈 구장으로 사용되는 리아소르를 개장했다. 이 시기 팀의 핵심 선수로는 골키퍼 후안 아쿠냐가 있었는데, 그는 1942년부터 1951년까지 4번의 사모라 트로피를 획득하며 활약했다.

데포르티보는 1946-47 시즌과 1947-48 시즌에 각각 강등과 승격을 반복하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1948-49 시즌에 10위를 기록한 후, 알레한드로 스코펠리 감독 체제 하에서 1949-50 시즌에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단 1점 뒤진 준우승을 차지하며 구단 역사상 첫 번째 주요 업적을 달성했다. 스코펠리 감독은 훌리오 코르쿠에라, 오스왈도 가르시아, 라파엘 프랑코, 다고베르토 몰 등 남아메리카 선수들을 영입하여 팀의 경쟁력을 높였고, 데포르티보는 1956-57 시즌까지 9시즌 연속으로 1부 리그에 잔류했다. 이 기간 동안 엘레니오 에레라 감독, 파이뇨, 루이스 수아레스 등의 유명 선수들이 데포르티보에서 활약했다.

2. 3. 암흑기와 재도약 (1970년대 ~ 1990년대)

1973년 프리메라리가에서 강등된 후, 데포르티보는 2부 리그에서 고전하며 3부 리그로 강등될 위기에 처했으나, 곧바로 승격하여 2부 리그에 잔류했다. 1980년에는 새로 창설된 3부 리그로 다시 강등되었지만, 다음 시즌에 바로 승격했다. 특히, 데포르티보는 라이벌인 셀타 데 비고와 함께 강등과 승격을 반복했는데, 셀타 데 비고는 1980–81 시즌에 스페인 3부 리그에서 역대 최다 관중을 기록하는 경기를 펼쳤다.[1]

1987–88 시즌, 데포르티보는 라싱 산탄데르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비센테 셀레이로의 추가 시간 골로 간신히 강등을 면했다. 이는 클럽의 암흑기가 끝나고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여겨진다.[1]

이 시기 동안 클럽은 재정난과 잦은 감독 교체 등 내부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1988년 여름, 아우구스토 세사르 렌도이로가 이끄는 새로운 이사회가 선출되었다. 당시 데포르티보는 6억 페세타의 부채를 안고 있었고, 15년 동안 1부 리그에 진출하지 못했으며, 경제적, 스포츠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이었다.[1]

1992-93 시즌, 베베토가 29골을 기록하며 리그 3위를 차지했고,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득점왕을 배출했다. 1994-95 시즌에는 코파 델 레이에서 우승하며 클럽 역사상 첫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또한, 1993-94 시즌에 이어 2년 연속으로 리그 준우승을 차지했다.

2. 4. 수페르 데포르 시대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1991-92 시즌 1부 리그로 복귀한 데포르티보는 강등 플레이오프를 거쳐 잔류에 성공했다. 1992년, 아르세니오 이글레시아스 감독 체제에서 베베투, 마우루 실바 등 유망주들이 합류했다.

1992-93 시즌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에 이어 3위를 차지하며 클럽 역사상 처음으로 유럽 대회에 진출했다. 베베투는 29골로 피치치 트로피를 수상하며 클럽 역사상 첫 득점왕이 되었고, 파코 리아뇨는 사모라 트로피를 수상했다.[1]

1993-94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페널티킥 실축으로 아쉽게 리그 우승을 놓쳤지만, 파코 리아뇨는 38경기 18실점으로 두 번째 사모라 트로피를 수상했다.[1] UEFA 컵 16강에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 패했다.[1]

1994-95 시즌 코파 델 레이 결승전에서 발렌시아를 꺾고 클럽 역사상 첫 우승을 차지했다.[1] UEFA 컵 16강에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에 패했다.[1]

1995-96 시즌 컵 위너스 컵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PSG에 패했다.[1] 1997-98 시즌 리그 12위, UEFA 컵 1라운드 탈락, 코파 델 레이 조기 탈락으로 부진했다.[1]

1998-99 시즌 하비에르 이루레타 감독 부임 후 리그 6위를 기록하며 UEFA 컵 진출권을 획득했다.[1]

1999-2000 시즌, 데포르티보는 프리메라리가에서 사상 첫 우승을 차지했다.[1] 2001-02 시즌에는 코파 델 레이에서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1] 2003-04 시즌에는 챔피언스 리그 4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1]

베베투는 수페르 데포르의 상징이었다.


마우루 실바

2. 5. 재정 위기와 하락세 (2000년대 후반 ~ 현재)

데포르티보는 2000년대 초반까지 전성기를 누렸으나, 2000년대 후반부터 재정 위기와 함께 하락세를 겪었다. 2006-07 시즌에는 리그 13위를 기록하며 1992년 이후 최악의 성적을 거두었고, 호아킨 카파로스 감독은 시즌 종료 후 사임했다.[20] 2007-08 시즌에는 미겔 앙헬 로티나 감독 아래 9위로 약간 개선되었지만, 2008-09 시즌 UEFA컵 32강에서 덴마크 클럽 AaB에게 합계 6-1로 패하며 탈락했다.

2010-11 시즌에는 18위로 마감하며 강등되었으나, 2015년 7월 레반테와 레알 사라고사의 승부 조작 스캔들이 불거지면서 레알 사라고사가 데포르티보를 대신하여 리그 잔류가 확정된 것으로 의심되었다. 그러나 이 사건은 2020년 12월까지 법원에 계류되었고, 지방 법원에서 승부 조작 혐의를 기각했다.[21]

2011-12 시즌에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91점을 기록하며 우승, 즉시 1부 리그로 복귀했다. 그러나 2012-13 시즌에 다시 19위로 강등되었다가, 2013-14 시즌 2위를 차지하며 1부 리그로 승격했다.

2014-15 시즌에는 빅토르 페르난데스 감독 아래에서 레알 마드리드에게 홈에서 8-2로 패하는 등 좋지 않은 경기력을 보였고, 결국 16위로 시즌을 마감하며 강등을 면했다.[22]

이러한 황금기를 이끌었던 아우구스토 세사르 렌도이로 회장은 1억 유로에 육박하는 부채와 20년 가까이 이어진 분식 회계 사실이 밝혀지면서 2014년에 사임했다. 이후 데포르티보는 부정으로 인한 페널티와 빚 상환으로 인해 선수 보강에 어려움을 겪으며 성적이 악화되었고, 2017-18 시즌 프리메라에서 강등된 이후 하위 리그에서 경쟁하고 있다.

시즌리그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코파 델 레이유럽 클럽 대항전기타비고감독
2006-07프리메라 디비시온13위38121115324547준결승 탈락호아킨 카파로스
2007-08프리메라 디비시온9위381571646475232강미겔 앙헬 로티나
2008-09프리메라 디비시온7위3816101248475816강UEFA 컵 32강rowspan="2"|rowspan="2"|미겔 앙헬 로티나
인터토토컵 우승
2009-10프리메라 디비시온10위38138173549478강 탈락미겔 앙헬 로티나
2010-11프리메라 디비시온18위381013153147438강 탈락강등미겔 앙헬 로티나
2011-12세군다 디비시온1위42294976459132강승격호세 루이스 올트라
2012-13프리메라 디비시온19위388111947703532강강등페르난도 바스케스
2013-14세군다 디비시온2위4219121148366932강승격페르난도 바스케스
2014-15프리메라 디비시온16위387141735603532강빅토르 페르난데스, 빅토르 산체스
2015-16프리메라 디비시온15위388181245614216강빅토르 산체스
2016-17프리메라 디비시온16위388121843613616강가이스카 가리타노, 페페 멜
2017-18프리메라 디비시온18위386112138762932강강등페페 멜, 크리스토발 파랄로, 클라렌스 세도르프
2018-19세군다 디비시온6위42171784931682라운드 탈락나초 곤살레스, 호세 루이스 마르티
2019-20세군다 디비시온19위421215154360512라운드 탈락강등후안 안토니오 안케라, 루이스 세사르 삼페드로, 페르난도 바스케스
2020-21세군다 디비시온 B4위/2위2411672213392라운드 탈락페르난도 바스케스, 루벤 데 라 바레라
2021-22프리메라 RFEF2위3822885929742라운드 탈락보르하 히메네스
2022-23연맹 1부4위38181375329671라운드 탈락보르하 히메네스, 오스카르 카노, 루벤 데 라 바레라


3. 경기장

2023년 리아소르 경기장

  • '''명칭''' – 아방카-리아소르
  • '''도시''' – 아 코루냐
  • '''수용 인원''' – 32,490명
  • '''개장''' – 1944년
  • '''경기장 크기''' – 105m x 68m

4. 선수



2023-24 시즌 명단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헤르만 룩스
4MF알렉스 베르간티뇨스
5MF페드로 모스케라
7MF루카스 페레스
8MF하리스 메두냐닌
9FW오리올 리에라
10MF후안 도밍게스
11DF후안프란 모레노
12DF시드네이
13GK파브리시오 아고스토
14DF알레한드로 아리바스
15DF라우레
16DF루이지뉴
17MF페데 카르타비아
18DF사울 가르시아
19MF파이살 파히르
25GK마누 페르난데즈



데포르티보 라코루냐에서 뛰었던 주요 선수들의 출장 경기 수와 골 기록은 다음과 같다.

순위이름출장 경기 수
1 프란435
2 후안 카를로스 발레론422
3 마우루 실바369
4 마누엘 파블로341
5 도나토303
6 세르히오294
7 누레딘 나이베트260
8 아쿠냐231
9 로메로218
10/ 미로슬라브 주키치212



순위이름
1 로이 마카이96
2 디에고 트리스탄87
3 베베투86
4 파이뇨46
5 프란44
6 프랑코42
7 티노39
8 자우미냐38
9 리키38
10 도나토38



데포르티보 라코루냐를 거쳐간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데포르티보 소속으로 FIFA 월드컵에 출전한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데포르티보에서 활약했던 선수들 중 주요 국제대회 우승자는 다음과 같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2일 기준 현재 선수 명단[36]
번호포지션이름국적
1GK헤르만 파레뇨 스페인
4DF파블로 마르티네스 프랑스
5DF다니 바르시아 스페인
6DF알렉스 페차로만 스페인
7FW루카스 페레스 스페인
8MF디에고 비야레스 스페인
9FW이반 바르베로 스페인
10MF예레마이 에르난데스 스페인
11FW다보 스페인
12MF오메누케 음풀루 콩고 민주 공화국
13GK에릭 푸에르토 스페인
14FW크리스티안 에레라 스페인
15DF파블로 바스케스 스페인
16MF후안 가우토 아르헨티나
17MF다비드 멜라 스페인
18DF세르히오 에스쿠데로 스페인
19DF하이메 산체스 스페인
20MF호세 앙헬 스페인
21MF마리오 소리아노 스페인
22MF우고 라마 스페인
23DF시모 나바로 스페인
24FW모하메드 볼디니 모로코
25GK헬통 레이치 브라질
28MF찰리 파티뇨 잉글랜드
33DF라파엘 오브라도르 스페인


4. 2. 역대 주요 선수

순위이름출장 경기 수
1 프란435
2 후안 카를로스 발레론422
3 마우루 실바369
4 마누엘 파블로341
5 도나토303
6 세르히오294
7 누레딘 나이베트260
8 아쿠냐231
9 로메로218
10/ 미로슬라브 주키치212



순위이름
1 로이 마카이96
2 디에고 트리스탄87
3 베베투86
4 파이뇨46
5 프란44
6 프랑코42
7 티노39
8 자우미냐38
9 리키38
10 도나토38



다음은 데포르티보 소속으로 FIFA 월드컵에 자국을 대표하여 출전한 선수들이다.

데포르티보에서 활약한 경험이 있는 주요 국제대회 우승자는 다음과 같다.

5. 역대 감독

기간이름
1906–1927미상
1927–1928펠릭스 길라
1928–1929뵈겐후벨 페렌츠
1929–1933펠릭스 길라
1933호세 플라나스
1933페르난도 파리냐
1933–1936호세 토레스
1939–1941일라리오
1941년 6월 – 1941년 12월 15일셀소 마리뇨
1941년 12월 15일 – 1942년 11월 23일차초
1942년 11월 24일 – 1943년 6월 30일셀소 마리뇨
1943년 7월 1일 – 1945년 6월 30일라몬 데 라 푸엔테
1945년 7월 1일 – 1947년 6월 30일일라리오
1947년 7월 1일 – 1947년 11월후안 아우레
1947년 11월 – 1948년 6월루이스 우르킬리
1948년 7월 1일 – 1948년 12월 6일사비노 안포네기
1948년 12월 7일 – 1949년 6월 30일아나스타시오 비엔소바스
1949년 7월 1일 – 1950년 6월 30일알레한드로 스코펠리
1950년 7월 1일 – 1951년 6월 30일헤로니모 디아스
1951년 7월 30일 – 1952년 6월 30일차초
1952년 7월 1일 – 1953년 6월 30일프란시스코 카잘 레이
1953엘레니오 에레라
1953년 7월 30일 – 1954년 6월 30일카를로스 이투라스페 쿠에바스
1954년 7월 1일 – 1955년 6월 30일에두아르도 토바 무이뇨
1955년 7월 1일 – 1956년 1월 30일로드리고 가르시아 비소소
1956년 1월 31일 – 1956년 2월 20일파이뇨
1956년 2월 21일 – 1957년 2월 4일앙헬 수비에타
1957년 2월 4일 – 1957년 6월 30일디에고 비야롱가
1957년 7월 1일 – 1958년로베르토 로드리게스 오소레스
1958카를로스 이투라스페 쿠에바스
1958년 7월 1일 – 1958년 10월 6일에두아르도 토바 무이뇨
1958년 10월 6일 – 1959년 1월 12일에르네스토 폰스
1959년 1월 12일 – 1959년 6월 30일일라리오
1959년 7월 1일 – 1961년 6월 30일헤수스 바리오 알바레스
1961년 7월 1일 – 1962년 6월 30일후안 오초안토사나 밀리쿠아
1962년 7월 1일 – 1962년 11월 20일엔리케 라바사
1962년 11월 20일 – 1963년 1월 14일로드리고 가르시아 비소소
1963년 1월 14일 – 1963년 6월 30일로헬리오 산티아고
1963년 7월 1일 – 1964년 6월 30일로케 올센
1964년 7월 1일 – 1964년 11월 9일후안 오초안토사나 밀리쿠아
1964년 11월 10일 – 1965년 6월 30일루이스 카르닐리아
1965년 7월 1일 – 1967년 2월 6일엔리케 오리사올라 벨라스케스
1967년 2월 7일 – 1967년 6월 30일다고베르토 몰
1967년 7월 1일 – 1968년 6월 30일페드로 에길스 라마르카
1968년 7월 1일 – 1970년 6월 30일호세 마리아 마르틴 로드리게스
1970년 7월 1일 – 1970년 12월 28일로케 올센
1970년 12월 28일 – 1973년 6월 30일아르세니오 이글레시아스
1973년 7월 1일 – 1973년 10월 29일페르난도 리에라
1973년 10월 30일 – 1974년 1월 7일카를로스 토레스 바라호브레
1974년 1월 8일 – 1974년 4월 22일엔리케 오리사올라 벨라스케스
1974년 4월 22일 – 1975년 6월 30일호세 이르레기 헤르마디아
1975년 7월 1일 – 1976년 4월 26일호세 나달라 메야
1976년 4월 26일 – 1976년 6월 30일호세 마리아 마르틴 로드리게스
1976년 7월 1일 – 1976년 11월 29일엑토르 리알
1976년 11월 30일 – 1977년 3월 14일호세 마리아 마르틴 로드리게스
1976년 3월 14일 – 1976년 4월 11일호세 세르투차
1976년 4월 12일 – 1978년 6월 30일후안 아르사
1978년 7월 1일 – 1978년 11월 13일엔리케 마테오스
1978년 11월 13일 – 1979년 6월 30일루이스 수아레스
1979년 7월 1일 – 1980년 4월 7일프란시스코 가르시아 베르두고
1980년 4월 7일 – 1980년 6월 30일호세이토
1980년 7월 1일 – 1981년 11월 16일호세 마르티네스 팔로마르
1981년 11월 17일 – 1982년 6월 30일루이스 로드리게스 바스
1982년 7월 1일 – 1985년 6월 30일아르세니오 이글레시아스
1985년 7월 1일 – 1986년 6월 30일헤수스 아랑고렌 메리노
1986년 7월 1일 – 1987년 10월 19일에우세비오 리오스
1987년 10월 19일 – 1988년 2월 21일루이스 로드리게스 바스
1988년 2월 22일 – 1991년 6월 30일아르세니오 이글레시아스
1991년 7월 1일 – 1992년 4월 13일마르코 안토니오 보로나
1992년 4월 13일 – 1995년 6월 30일아르세니오 이글레시아스
1995년 7월 1일 – 1997년 2월 10일존 토샥
1997년 2월 10일 – 1997년 2월 17일호세 마누엘 코랄
1997년 2월 17일 – 1997년 10월 16일카를루스 알베르투 시우바
1997년 10월 17일 – 1998년 6월 30일호세 마누엘 코랄
1998년 7월 1일 – 2005년 6월 30일하비에르 이루레타
2005년 7월 1일 – 2007년 6월 30일호아킨 카파로스
2007년 7월 1일 – 2011년 6월 30일미겔 앙헬 로티나
2011년 7월 1일 – 2012년 12월 30일호세 루이스 올트라
2012년 12월 30일 – 2013년 2월 10일도밍고스 파시엔시아
2013년 2월 11일 – 2014년 7월 10일페르난도 바스케스
2014년 7월 10일 – 2015년 4월 8일빅토르 페르난데스
2015년 4월 8일 – 2016년 5월 29일빅토르 산체스
2016년 6월 10일 – 2017년 2월 27일가이스카 가리타노
2017년 2월 27일 – 2017년 10월 24일페페 멜
2017년 10월 24일 – 2018년 2월 4일크리스토발 파랄로
2018년 2월 6일 – 2018년 5월 22일클라렌스 세이도르프
2018년 6월 15일 – 2019년 4월 7일나초 곤살레스
2019년 4월 8일 – 2019년 6월 27일호세 루이스 마르티
2019년 7월 2일 – 2019년 10월 7일후안 안토니오 안케라
2019년 10월 7일 – 2019년 12월 27일루이스 세사르 삼페드로
2019년 12월 29일 – 2021년 1월 11일페르난도 바스케스
2021년 1월 12일 – 2021년 5월 26일루벤 데 라 바레라
2021년 5월 26일 – 2022년 10월 11일보르하 히메네스
2022년 10월 12일 – 2023년 5월 15일오스카르 카노
2023년 5월 16일 – 2023년 6월 14일루벤 데 라 바레라
2023년 7월 1일 – 2024년 10월 28일이마놀 이디아케스
2024년 11월 5일 – 현재오스카르 길산스


6. 우승 기록

데포르티보 라코루냐는 프리메라리가 우승 1회(1999-2000 시즌), 코파 델 레이 우승 2회(1994-95 시즌, 2001-02 시즌),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우승 3회(1995, 2000, 2002)를 기록했다. UEFA 챔피언스리그에서는 2003-04 시즌에 4강에 진출한 것이 최고 성적이다.[43][44][45]

6. 1. 국내 대회

대회우승 횟수우승 시즌
라리가11999-2000
세군다 디비시온51961-62, 1963-64, 1965-66, 1967-68, 2011-12
테르세라 디비시온11974-75
프리메라 페데라시온12023-24
코파 델 레이21994-95, 2001-02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31995, 2000, 2002
콘쿠르소 에스파냐11912


6. 2. 지역 대회

갈리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1926-27, 1927-28, 1930-31, 1932-33, 1936-37, 1939-40 시즌에 우승하여 총 6번의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갈리시아 컵에서는 1945-46 시즌에 우승하였다.[37]

6. 3. 친선 대회

테레사 에레라 트로피[38]

우승 횟수연도
우승251955, 1962, 1964, 1969, 1995, 1997, 1998,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12, 2014, 2015, 2016, 2017, 2019, 2020, 2022, 2023
준우승111966, 1971, 1987, 1991, 1994, 2009, 2010, 2011, 2013, 2018, 2021


6. 4. 개인 수상

선수시즌
피치치베베투|베베투pt1992–93
피치치디에고 트리스탄|디에고 트리스탄es2001–02
피치치로이 마카이|로이 마카이nl2002–03
사모라후안 아쿠냐|후안 아쿠냐es1941–42
사모라후안 아쿠냐|후안 아쿠냐es1942–43
사모라후안 아쿠냐|후안 아쿠냐es1949–50
사모라후안 아쿠냐|후안 아쿠냐es1950–51
사모라후안 이그나시오 오테로|후안 이그나시오 오테로es1953–54
사모라프란시스코 리아뇨|프란시스코 리아뇨es(산티아고 카니자레스와 공동 수상)1992–93
사모라프란시스코 리아뇨|프란시스코 리아뇨es1993–94
사모라자크 송고|자크 송고프랑스어1996–97
유러피언 골든슈로이 마카이|로이 마카이nl2002–03



; 데포르티보에서 활약한 경험이 있는 대표팀 타이틀 수상자

대회선수비고
1994년 FIFA 월드컵베베투|베베투pt
1994년 FIFA 월드컵마우루 실바|마우루 실바pt
2002년 FIFA 월드컵히바우두|히바우두pt
2010년 FIFA 월드컵알바로 아르벨로아|알바로 아르벨로아es
2010년 FIFA 월드컵주앙 카프데빌라|주앙 카프데빌라es
1964년 UEFA 유럽 선수권 대회루이스 수아레스|루이스 수아레스es
1964년 UEFA 유럽 선수권 대회아만시오 아마로|아만시오 아마로es
1964년 UEFA 유럽 선수권 대회호세 비센테 트레인|호세 비센테 트레인es
1964년 UEFA 유럽 선수권 대회세베리노 레이하|세베리노 레이하es
2000년 UEFA 유럽 선수권 대회실뱅 윌토르|실뱅 윌토르프랑스어
2008년 UEFA 유럽 선수권 대회알바로 아르벨로아|알바로 아르벨로아es
2008년 UEFA 유럽 선수권 대회주앙 카프데빌라|주앙 카프데빌라es
1989년 코파 아메리카베베투|베베투pt
1995년 코파 아메리카세르히오 다니엘 마르티네스|세르히오 다니엘 마르티네스es
1997년 코파 아메리카세자르 삼파이우|세자르 삼파이우pt
1997년 코파 아메리카자우마 페이토사 지아스|자우미냐pt
1997년 코파 아메리카마우루 실바|마우루 실바pt데포르티보에서 활약 당시
1997년 코파 아메리카플라비우 콘세이상|플라비우 콘세이상pt데포르티보에서 활약 당시
1999년 코파 아메리카플라비우 콘세이상|플라비우 콘세이상pt
1999년 코파 아메리카히바우두|히바우두pt
198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자크 송고|자크 송고프랑스어
199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페터 루파이|페터 루파이영어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자크 송고|자크 송고프랑스어
2003년 CONCACAF 골드컵오마르 브라보|오마르 브라보es데포르티보에서 활약 당시
2009년 CONCACAF 골드컵오마르 브라보|오마르 브라보es데포르티보에서 활약 당시
2011년 CONCACAF 골드컵안드레스 과르다도|안드레스 과르다도es데포르티보에서 활약 당시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베베투|베베투pt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세자르 삼파이우|세자르 삼파이우pt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플라비우 콘세이상|플라비우 콘세이상pt데포르티보에서 활약 당시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히바우두|히바우두pt
200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실뱅 윌토르|실뱅 윌토르프랑스어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실뱅 윌토르|실뱅 윌토르프랑스어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호세 에밀리오 아마비스카|호세 에밀리오 아마비스카es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하비에르 만하린|하비에르 만하린es
2004년 아테네 올림픽파브리시오 콜로치니|파브리시오 콜로치니es


7. 유럽 대항전 기록

'''경기''' = 경기 수; '''승''' = 승리; '''무''' = 무승부; '''패''' = 패배; '''득점''' = 득점; '''실점''' = 실점; '''득실차''' = 골득실.

데포르티보는 UEFA 챔피언스 리그에 2000-01 시즌부터 5시즌 연속 출전했으며, 2003-04 시즌에는 준결승에 진출했다.

참조

[1] 웹사이트 Why are RC Deportivo de La Coruña players called 'herculinos'? https://www.laliga.c[...] 2015-07-18
[2] 서적 World Football Club Crests Bloomsbury Sport 2018
[3] 서적 The Palgrave International Handbook of Football and Politics Palgrave Macmillan 2018
[4] 웹사이트 Estadio ABANCA-RIAZOR https://www.rcdeport[...]
[5] 서적 The Ball is Round: A Global History of Football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07-08-30
[6] 뉴스 Primera División All-time league table https://www.worldfoo[...]
[7] 웹사이트 ABANCA-RIAZOR {{!}} Página Oficial del R.C. Deportivo de La Coruña https://www.rcdeport[...]
[8] 웹사이트 ACUERDOS ADOPTADOS, POR UNANIMIDAD, EN REUNIÓN DE LA JUNTA DIRECTIVA DE LA RFEF CELEBRADA EL DÍA 25 DE MARZO DE 2023 https://rfef.es/site[...]
[9] 웹사이트 La RFEF reconoce al Levante como campeón de la Copa de la República de 1937; y al Deportivo, del Concurso de España 1912 https://rfef.es/es/n[...]
[10] 웹사이트 Luis Rubiales entregará este viernes la Copa de la República de 1937 al Levante https://rfef.es/es/n[...] 2023-03-29
[11] 웹사이트 Primera División 1999/2000 – 38. Round https://www.worldfoo[...]
[12] 웹사이트 How Deportivo toppled Barcelona, Real Madrid to win La Liga in 1999-2000 https://www.espn.com[...] 2020-05-18
[13] 웹사이트 Real Madrid 1–2 Deportivo: el 'Centenariazo' https://www.marca.co[...]
[14] 웹사이트 Spain Cups 2001/02 https://www.rsssf.or[...]
[15] 웹사이트 UEFA Champions League, UEFA Cup 2003–04 https://www.rsssf.or[...]
[16] 웹사이트 Monaco-Deportivo {{!}} UEFA Champions League 2003/04 https://www.uefa.com[...] 2003-11-05
[17] 웹사이트 El Depor humilla al campeón https://www.elmundo.[...] 2004-04-06
[18] 웹사이트 Greatest Comebacks: Deportivo La Coruna 4-0 AC Milan https://bleacherrepo[...] 2008-10-20
[19] 뉴스 Irureta deja el Deportivo tras siete años como entrenador https://elpais.com/d[...] 2005-05-31
[20] 뉴스 Caparros resigns at Depor https://www.eurospor[...]
[21] 웹사이트 No hubo amaño en el Levante-Zaragoza https://www.levante-[...] 2020-12-30
[22] 뉴스 Deportivo La Coruna 2–8 Real Madrid https://www.bbc.com/[...] 2014-09-19
[23] 뉴스 Deportivo La Coruna 2–4 Barcelona https://www.bbc.com/[...] BBC Sport 2018-04-29
[24] 웹사이트 2018–2019 La Liga 2 Stats https://fbref.com/en[...]
[25] 웹사이트 El Deportivo regala el ascenso al Mallorca https://www.lavozdeg[...] 2019-06-23
[26] 웹사이트 Deportivo to launch legal challenge against controversial relegation to third tier https://talksport.co[...] 2020-07-21
[27] 웹사이트 Summary – Primera División RFEF – Spain – 2020/2021 https://int.soccerwa[...]
[28] 웹사이트 El Depor está de vuelta (1–0) https://www.dxtcampe[...] 2024-05-12
[29] 웹사이트 Lucas Pérez devuelve al Deportivo a Segunda https://as.com/futbo[...] 2024-05-12
[30] 웹사이트 Estrella Galicia renueva como patrocinador del Deportivo https://www.laopinio[...] 2015-05-14
[31] 웹사이트 DISTRIBUCIONES DE FRECUENCIA MARGINALES DEL ESTUDIO 2705 CUESTIONARIO 0 MUESTRA 0 https://www.cis.es/c[...] Centro de Investigaciones Sociológicas
[32] 웹사이트 El Deportivo alcanza los 25.001 socios y augura una buena entrada para recibir al Castilla https://www.riazor.o[...] 2023-03-07
[33] 웹사이트 La afición del Deportivo lo vuelve a hacer: Riazor entra en el top 5 de estadios con mayor afluencia https://www.riazor.o[...] 2023-03-14
[34] 웹사이트 Riazor es de récord: 28.828 personas asisten al Deportivo–Castellón https://www.elespano[...] 2023-06-04
[35] 웹사이트 Deportivo: El Estadio de Riazor, el cuarto con mayor asistencia el fin de semana en España https://www.elespano[...] 2023-06-06
[36] 웹사이트 Official RC Deportivo staff in 2024/25 https://www.laliga.c[...] 2024-09-21
[37] 웹사이트 El Celta venció por 4–3, pero la Copa Galicia se fue para La Coruña http://biblioteca.ga[...] El pueblo gallego nº 7.287 2014-02-05
[38] 웹사이트 Trofeo Teresa Herrera (La Coruña-Spain) 1946–2012 https://www.rsssf.or[...] 2014-05-09
[39] Webarchive Karbo Deportivo http://canaldeportiv[...] CanalDeportivo 2014-07-31
[40] 웹사이트 ABANCA-RIAZOR https://www.rcdeport[...] 2022-10-17
[41] 문서 In isolation, ''Deportivo'' and ''de'' are pronounced, respectively, {{IPA-es|depoɾˈtiβo|}} and {{IPA-es|de|}}.
[42] 웹사이트 デポルティーボはなぜ消え、今何をしているのか?――スーペル・デポールの虚構と現実。未来へ逃げ続けた会長が先送りしたもの https://www.football[...] フットボリスタ 2024-03-24
[43] 웹사이트 Spain, final tables 1939-1949 http://www.rsssf.com[...]
[44] RSSSF Spain - Promotion league 1950/51-1955/56 http://www.rsssf.com[...] RSSSF
[45] RSSSF Spain - List of champions of Galicia http://www.rsssf.com[...] RSSSF
[46] 웹사이트 Entrenadores http://www.canaldepo[...] Canaldeportivo.com 2008-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