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성은 전근대 시대 수도에 위치한 성을 의미하며, 현대의 도시와는 다른 개념이다. 한국의 도성은 삼국시대에는 군사적·실용적 기능을,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왕권 상징 기능을 주로 수행했다. 중국의 고대 도성제는 조선의 한양도성 축조에 영향을 미쳤으며, 왕궁을 중심으로 종묘, 사직, 조정, 시장의 배치를 중시하는 원칙이 부분적으로 반영되었다. 현재 풍납토성, 몽촌토성, 한양도성 등이 유적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도성 - 궁예도성
  • 대한민국의 도성 - 한양도성
    한양도성은 조선시대 서울의 도성으로, 북악산, 낙산, 남산, 인왕산 능선을 따라 축조된 약 18.6km의 포곡식 성곽이며 514년간 수도의 역할을 수행한 세계 최장기간 도성으로, 일부 훼손되었으나 상당 부분 남아 복원되어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유적이다.
  • 성 - 요새
    요새는 적의 침략으로부터 영토와 인구를 보호하기 위해 역사적으로 건설된 방어 시설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술로 발전해 왔으며, 군사적 중요성이 감소하면서 현재는 유적이나 관광지로 활용된다.
  • 성 - 해자
    해자는 성이나 요새와 같은 방어 시설의 바깥쪽에 굴착된 도랑 형태의 장애물로, 공성 무기의 접근을 어렵게 하고 굴착을 방해하며 필요에 따라 물을 채워 사용하기도 한다.
도성

2. 한국의 도성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도성'을 전근대 수도에 위치한 성으로 정의한다.[4] 여기서 '도(都)'는 왕도(王都) 또는 도읍지(都邑地)처럼 한 나라의 수도(首都)를 의미하며, 현대의 '도시'(都市)와는 다르다. 지방의 성곽은 평지의 읍성(邑城)과 산지의 산성(山城)으로 구분되었다.[5]

한국의 도성은 삼국시대에는 군사적·실용적 기능이 강조되었으나,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왕권 상징 기능이 더 중요해졌다. 고려·조선시대에는 외적이 수도 근처에 오더라도 도성 방어전 대신 피난을 가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남아있는 도성 유적으로는 백제풍납토성, 몽촌토성과 조선의 한양도성 등이 있다.[5]

2. 1. 삼국시대

한국의 도성은 삼국시대에는 주로 군사적·실용적 기능이 강조되었으나, 고려와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군사적 기능보다 왕권을 나타내는 상징적 기능이 강조되었다.[5] 고려·조선시대에는 외적이 수도 가까이에 쳐들어오더라도 도성에서 방어전을 펼치는 것이 아니라, 도성을 비우고 피난을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현재 남아 있는 유적으로서 한국 문명에서 도성에 해당하는 것은 삼국시대 백제의 도성인 풍납토성, 몽촌토성과 조선의 도성인 한양도성 등을 들 수 있다.[5]

2. 2. 고려시대

고려시대에는 도성이 군사적 기능보다는 왕권을 나타내는 상징적 기능이 강조되었다. 이에 따라 외적이 수도 가까이 쳐들어오더라도 도성에서 방어전을 펼치는 것이 아니라, 도성을 비우고 피난을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5]

2. 3. 조선시대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도성'은 전근대 수도에 위치한 성을 의미한다.[4] '도(都)'는 왕도(王都) 또는 도읍지(都邑地)로서 한 나라의 수도(首都)를 뜻하며, 현대의 지리학적 개념인 '도시'(都市)와는 다르다. 한국에서 수도 서울이 아닌 지방 고을의 성곽은 평지의 경우 읍성(邑城), 산지의 경우 산성(山城)으로 불렸다.[5]

한국의 도성은 삼국시대에는 주로 군사적·실용적 기능이 강조되었으나, 조선시대에는 왕권을 상징하는 기능이 더 중요해졌다. 따라서 외적이 수도 근처에 오더라도 도성에서 방어전을 치르기보다는 도성을 비우고 피난 가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남아있는 유적으로는 백제의 도성인 풍납토성, 몽촌토성과 조선의 도성인 한양도성 등이 있다.[5]

3. 중국 도성제의 영향

한국의 도성은 삼국시대에는 주로 군사적, 실용적 기능이 강조되었으나, 고려와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왕권을 나타내는 상징적 기능이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이는 중국 도성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외적이 수도 가까이 쳐들어오더라도 도성에서 방어전을 펼치기보다 왕실의 안전을 위해 도성을 비우고 피난을 가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 남아있는 도성 유적으로는 백제풍납토성, 몽촌토성과 조선의 한양도성 등이 있다.[5]

3. 1. 주례 고공기의 원리

중국의 고대 도성제는 주례(周禮) 고공기에 의해 확립된 것으로 전해진다. 주례 고공기가 제시한 것으로 널리 알려진 도성 축조의 중요한 원칙 중 하나는 왕궁의 왼편에 종묘, 오른편에 사직을 두고, 앞에는 조정을, 뒤에는 시장을 두도록 하는 "좌조우사 면조후시(左祖右社 面朝後市)"였다.[6] 이 원칙은 조선시대에 수도 한성도심부를 축조함에 있어 부분적으로 반영되었는데, 예를 들어 법궁인 경복궁 동쪽(왼쪽)에 종묘, 서쪽(오른쪽)에 사직단, 남쪽(앞쪽)에 육조가 위치한 것은 '좌조우사'와 '면조'의 원칙을 준수한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경복궁은 북악산을 주산으로 뒤에 두고 있어 시장을 마련할 공간을 궁궐의 뒷편에서 마련하기 어려웠으므로, 조선은 15세기에 시전을 현재의 종각 근처에 건설함으로써 '후시'의 원칙에 예외를 두었다.[7]

3. 2. 한양도성의 사례

중국의 고대 도성제는 주례 고공기에 의해 확립된 것으로 전해진다. 주례 고공기가 제시한 것으로 널리 알려진 도성 축조의 중요한 원칙 중 하나는 왕궁의 왼편에 종묘, 오른편에 사직을 두고, 앞에는 조정을, 뒤에는 시장을 두도록 하는 "좌조우사 면조후시(左祖右社 面朝後市)"였다.[6] 이 원칙은 조선시대에 수도 한성도심부를 축조함에 있어 부분적으로 반영되었는데, 예를 들어 법궁인 경복궁 동쪽(왼쪽)에 종묘, 서쪽(오른쪽)에 사직단, 남쪽(앞쪽)에 육조가 위치한 것은 '좌조우사'와 '면조'의 원칙을 준수한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경복궁은 북악산을 주산으로 뒤에 두고 있어 시장을 마련할 공간을 궁궐의 뒷편에서 마련하기 어려웠으므로, 조선은 15세기에 시전을 현재의 종각 근처에 건설함으로써 '후시'의 원칙에 예외를 두었다.[7]

4. 현대 한국 사회와 도성

현대 한국 사회에서 도성은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지닌 중요한 유산으로 인식된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별 도성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한국 역사와 함께해왔다.

4. 1. 도성 유적의 보존과 활용

한국의 도성은 삼국시대에는 주로 군사적·실용적인 기능을 강조하였으나,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군사적 기능보다 왕권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기능을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고려·조선시대에는 외적이 수도 가까이에 쳐들어오더라도 도성에서 방어전을 펼치는 것이 아니라, 도성을 비우고 피난을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현재 남아 있는 유적으로 한국 문명에서 도성에 해당하는 것은 삼국시대 백제의 도성인 풍납토성, 몽촌토성과 조선의 도성인 한양도성 등을 들 수 있다.[5]

참조

[1] 간행물 橿原考古学研究所創立70年記念秋季特別展「宮都 飛鳥」図説
[2] 논문 京の和訓 -[みやこ]と[みさと]- 吉川弘文館 2007
[3] 서적 王朝時代の実像2 京職と支配 平安京の行政と住民 臨川書店 2021
[4] 웹인용 "도성4(都城)"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24-03-08
[5] 저널 서울 한양도성의 기능과 방위체제 https://www.kci.go.k[...] 서울역사편찬원 2024-03-08
[6] 저널 방향성 네트워크를 이용한 통합도 및 피통합도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 중국 도성제 변천을 사례로 https://www.kci.go.k[...] 국토연구원 2024-03-08
[7] 서적 서울도시계획사 1 현대 이전의 도시계획 (서울역사총서 12) https://lib.seoul.go[...] 서울역사편찬원 2021-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