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연 (승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연(道然)은 대한민국의 승려이자 명상 지도자, 작가이다. 카이스트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고 경영과학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불교에 입문하여, 동국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봉은사에서 명상 지도법사로 활동하며, 유튜브 채널 '마음챙김 도연TV'를 운영하고 있다. 조계종 출가 전 결혼 및 출산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었으며, 2023년 조계종을 떠났다. 현재는 108배 기도 수행에 정진하고 있으며, 교육 활동, 저술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승려 - 허영호 (정치인)
허영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신간회 활동을 했으나, 중일전쟁 이후 친일로 전향하여 해방 후 혜화전문학교 교장과 동국대학교 학장을 역임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지만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후 친일 행적이 드러나 건국훈장이 취소되고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승려 - 학눌
학눌은 평양 출신으로 일본 유학 후 법관으로 활동하다가 승려가 되어 금강산 신계사에서 출가하여 대한불교조계종 종정 등을 역임하고 1966년 입적하였다. - 한국과학기술원 동문 - 이영 (1969년)
IT 및 보안 전문가 출신 정치인 이영은 KAIST 암호학 박사, 소프트웨어 벤처기업 운영,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사, 한국여성벤처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제21대 국회의원,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을 지내며 현재까지 국민의힘 소속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한국과학기술원 동문 - 김병관 (1973년)
대한민국의 기업인 출신 정치인인 김병관(1973년)은 서울대 경영학과와 카이스트 산업경영학과 석사 졸업 후 벤처기업 솔루션홀딩스 창업, NHN 대표이사, 웹젠 대표이사를 역임하며 IT 및 게임 산업에서 경험을 쌓았고, 더불어민주당 20대 국회의원, 국회의장 디지털혁신자문관 및 비서실장을 지냈다. - 대한민국의 작가 - 오연호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하여 시민 참여 저널리즘을 구현했으며 덴마크의 행복 사회 모델을 연구하여 행복한 삶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 및 사단법인 꿈틀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작가 - 이범
이범은 386 운동권 출신의 교육 평론가이자 전 정무직 공무원으로, 메가스터디 설립 후 공교육 정상화 운동에 참여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보좌관,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관련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도연 (승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법명 | 도연 |
출생일 | 1986년 10월 7일 |
출생지 | 대한민국 |
학력 | 카이스트 학사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박사 졸업 |
직업 | 작가 |
2. 생애
카이스트 출신으로 불교에 입문하여 17년간 수행자의 길을 걸었다. 명상 전문가로 활동하며 대중 강연과 저술, 유튜브 채널 운영 등으로 이름을 알렸다. 그러나 조계종 출가 전 결혼 및 자녀 문제 등 개인적인 논란이 불거져 2023년 7월 환속하였고, 이후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고 수행에 정진하고 있다.
2. 1. 출가 전
독실한 기독교 신앙을 가진 부모 밑에서 태어나 20세까지 신실한 신앙생활을 했다. 카이스트(KAIST)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던 중, 자신의 수행적 가치를 찾고자 불교에 입문했다. 2015년에는 카이스트에서 경영과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조계종에 출가하기 전에 결혼하여 자녀를 둔 사실이 확인되었다. 2023년 6월 1일 조선닷컴은 "A스님은 처음에는 결혼을 허용하는 작은 불교 종파에 들어가 같은 종파의 여성과 결혼해 첫 아이를 낳았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조계종에 들어오기 전에 이혼하고 자녀와의 관계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연은 종단 내 조사에서 "결혼 후 아이가 한 명 있었는데 그 후 이혼하고 출가했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2. 2. 출가 및 수행
독실한 신앙을 가진 부모 아래서 자랐으며, 카이스트(KAIST)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던 중 불교에 입문하였다. 2006년 2월 대한불교 법상종으로 출가하여 '석하(奭河)'라는 법명을 받고 사미계를 수지했다. 이후 서울, 대전, 아산 등지의 선원에서 참선, 위빠사나, 마음챙김 명상 등 다양한 수행법을 익혔다.2015년 2월에는 카이스트 기술경영학과를 졸업했으며, 졸업 논문 주제는 '과학기술연구원들에 대한 마음챙김 명상의 스트레스 감소 효과 연구'였다. 이듬해인 2016년 3월에는 대한불교 조계종으로 다시 출가하여 '도연(道然)'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학문적 탐구를 이어가 2017년 3월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석박사통합과정에 입학하였고, 2022년 8월 '현대 명상의 연원과 실용성 연구 (마음챙김과 요가를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2년부터는 카이스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연구기관과 서울의 명상센터 등에서 명상 지도를 시작했다. 또한 외교부 산하 NGO 단체 <세계시민학교>와 서울시교육청 위탁형 대안학교 <숲속작은학교> 등에서 청소년 대안교육 및 봉사활동에도 참여했다. 봉은사 명상 지도법사로 활동하고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등 대중과의 소통에도 힘썼다.
그러나 2023년 6월, 조계종에 입적하기 전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는 사실이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지며 논란이 일었다. 보도에 따르면 도연은 처음에는 결혼을 허용하는 작은 종파에서 결혼하여 첫 아이를 낳았으나, 조계종 입적 전 이혼하고 자녀와의 관계도 정리했다고 종단 내 조사에서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SNS 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자숙의 시간을 갖겠다고 밝혔으나, 같은 해 7월 초 조계종에 환속제적원을 제출하고 종단을 떠났다. 환속 후에는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둘째 아이의 존재와 자신의 과오를 인정했다. 이후 1000일간 108배 기도 수행에 정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이력'''
연도 | 내용 |
---|---|
2006년 2월 | 대한불교 법상종 출가 및 사미계 수지 (법명: 석하 奭河) |
2006년 | 서울(천화선원, 신농선원, 소따난다 선원), 대전(장태산 정심사), 아산(영인산 도솔암)에서 참선 수행. 위빠사나, 호흡법, 기공, 우슈(쿵후), 마음챙김 명상, 만트라 명상, 인도 명상 등 수행. |
2015년 2월 | 카이스트 기술경영학과 졸업 (논문: 과학기술연구원들에 대한 마음챙김 명상의 스트레스 감소 효과연구) |
2016년 3월 | 대한불교 조계종 출가 사미계 수지 (법명: 도연 道然) |
2017년 3월 |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입학 |
2022년 8월 |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박사 졸업 (논문: 현대 명상의 연원과 실용성 연구 - 마음챙김과 요가를 중심으로) |
2. 3. 논란 및 환속
2023년 6월, 언론 보도를 통해 도연이 조계종에 출가하기 전 결혼하여 자녀를 둔 사실이 알려졌다. 조선닷컴은 6월 1일 "A스님(도연 지칭)은 처음에는 결혼을 허용하는 작은 불교 종파에 들어가 같은 종파의 여성과 결혼해 첫 아이를 낳았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도연은 조계종에 들어오기 전에 이혼하고 자녀와의 관계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계종 종단 내 조사에서 도연은 "결혼 후 아이가 한 명 있었는데 그 후 이혼하고 출가했다"고 해명하며, "출가 후 둘째 아이를 얻었다는 것은 사실무근"이라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논란이 불거지자 도연은 2023년 6월 7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당분간 자숙하고 수행과 학업에 정진하겠다"며 SNS 활동 중단을 선언했다.이후 2023년 7월 초, 도연은 조계종에 환속제적원을 제출하고 종단을 떠났다. 환속 이후, 그는 이전에 부인했던 둘째 아이의 존재를 인정하며 자신의 과오에 대해 참회하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는 1000일 동안 108배를 하는 기도 수행에 정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3. 주요 활동
도연은 명상 지도, 강연 등 다양한 교육 활동을 펼쳐왔으며, 여러 권의 저서를 출간하여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 라디오 등 방송 출연, 유튜브 채널 운영, 신문 칼럼 기고 등 미디어를 통한 활동도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
3. 1. 교육 활동
2012년 카이스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연구기관에서 명상 교육을 진행하였다. 2014년에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위탁형 대안학교인 숲속작은학교를 운영하였고, 외교부 산하 NGO인 세계시민학교에서 봉사 활동을 하였다.2016년 8월부터 서울 강남 봉은사에서 대학생 지도법사를 맡았으며, 2018년부터는 봉은사에서 일반 대중을 위한 명상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2023년 5월까지 진행하였다. (2020년, 2022년 재개 포함)
이 외에도 2018년 SK 행복날개수련원에서 지도자 과정 명상 교육을 담당하였고, 신세계 아카데미에서는 2018년 명동 본점을 시작으로 2019년에는 강남점, 대구점, 의정부점, 부산 센텀시티점까지 확대하여 마음챙김 명상 강의를 진행했다. 2019년에는 요가 아누에서 에너지 힐링과 마음 치유 명상을 지도하기도 했다. 2022년에는 경희사이버대학교 한방건강관리학과 힐링페스티발에서 특강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교육 활동을 이어갔다.
3. 2. 저술 활동
- ''누구나 한 번은 집을 떠난다'', 판미동, 2017
- ''있는 그대로 나답게'', 특별한서재, 2018
- ''잠시 멈추고 나를 챙겨주세요'', 담앤북스, 2019
- ''혼자가 되었지만 홀로 설 수 있다면'', 디 이니셔티브, 2021
- ''내 마음에 글로 붙이는 반창고'', 스노우폭스북스, 2022
- ''빠르게 실패하기'' (번역), 스노우폭스북스, 2022
3. 3. 방송 및 기타 활동
주요 방송 출연 및 기타 활동은 다음과 같다.- 방송 출연
- 2012년: BBS 불교방송 라디오 '김혜옥의 아름다운 초대' 게스트
- 2013년: BBS 불교방송 라디오 '네 꿈을 펼쳐라' 게스트
- 2014년: BBS 불교방송 라디오 '행복한 두시' 진행자
- 2015년: KBS 라디오 '종교와 인생' (7회 출연), BBS 불교방송 '단박인터뷰', BTN 불교TV '열린법회_반야심경과 마음챙김명상' (4회 출연), BTN 불교TV '세상을 보는 눈 천안통' ('현대적 관점으로 본 불교' 1부, '이 시대 젊은 포교법' 2부)
- 2016년: BTN불교라디오 '도연스님과 김효선의 향기로운 만남' 진행자
- 2017년: KBS 1TV 아침마당 '고급정보열전', SBS 모닝와이드 ('카이스트 학생, 스님이 된 이유는?'), KTV 정책방송 '국민인터뷰', BBS 불교방송 '자용스님의 최고의 하루' 고정 게스트
- 2018년: SBS 스브스뉴스 ('서울의 중심에서 행복을 외치다 - 문명특급 Ep.02'), SBS 스페셜 ('인생 단어를 찾아서'), BBS 불교방송 '붓다의 향기', '아침저널'
- 2020년: SBS '톡톡 정보 브런치' 출연
- 2021년: MBC 생방송 오늘아침 ('부처님 오신 날 특집') 출연
- 2023년: KBS 1TV 아침마당 '도전 꿈의 무대'에 출연하여 '시절인연'을 불러 우승하였다.
- 온라인 콘텐츠 제작
- 2019년: 네이버 오디오 클립 채널을 개설하여 '도연 스님의 아침 명상', '생활 법문', '독경 소리', 'ASMR', '오디오북', '붓다의 삶'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 2021년: 유튜브 채널 '마음챙김 도연TV'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 2021년: 대학불교진흥원 유튜브 채널 '헬로붓다TV'에서 '당신의 삶에 명상이 필요할 때' (8부작) 시리즈를 진행했다.
- 2022년: 대학불교진흥원 유튜브 채널 '헬로붓다TV'에서 '도연 스님의 내 마음에 반창고' (5부작) 시리즈를 진행했다.
- 칼럼 기고
- 2017년: 현대불교 신문에 '도연스님의 청춘사이다' 칼럼을 연재했다.
- 2018년: e붓다에 '도연 스님의 에너지 사고법' 칼럼을 연재했다.
- 2019년: 법보신문에 '세심청심' 칼럼을 연재했다.
- 2020년: 불교신문에 '문화인' 칼럼을 연재했다.
- 2022년: 월간 불교문화에 '청년이 묻고 스님이 불교로 답하다'를 연재했다.
4. 학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