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가와 요시노부가는 에도 막부의 마지막 쇼군인 도쿠가와 요시노부를 초대 당주로 하는 가문이다. 1902년에 창설되었으며, 요시노부의 사후에도 일본 사회에서 중요한 상징적 존재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초대 당주 도쿠가와 요시노부 이후, 도쿠가와 요시히사, 도쿠가와 요시미츠, 도쿠가와 요시토모가 당주를 역임했으며, 2017년 요시토모의 사망 이후 그의 조카인 야마기시 미키가 5대 당주로서 절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 노부히토 친왕비 기쿠코
노부히토 친왕비 기쿠코는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외손녀로,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 친왕과 결혼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펼쳤으며, 여성 천황 옹호 등 자신의 의견을 표명하고 남편의 일기를 공개하기도 했다. -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 이케다 나카히로
이케다 나카히로는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아들로 태어나 이케다 후작가를 상속받았으며, 육군사관학교 졸업 후 귀족원 의원으로 활동하다 홋카이도에 농장을 개설하고 1948년에 사망했다. - 일본의 공작가 - 시마즈씨
시마즈씨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사쓰마, 오스미, 휴가 지역을 다스린 다이묘 가문으로, 미나모토 씨의 후손이며, 규슈 지역을 장악하고 임진왜란에 참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일본의 공작가 - 도쿠가와씨
도쿠가와 씨는 마쓰다이라 이에야스가 창시한 성씨로, 에도 시대에 도쿠가와 막부를 통해 일본을 통치했으며, 미나모토 씨의 후예를 자칭하며, 가문의 문장인 세 겹의 아욱 문장은 에도 시대를 상징한다.
|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 |
|---|---|
| 기본 정보 | |
| 본성 | 자칭 세이와 겐지 |
| 가문 | 도쿠가와 가문 |
| 창시자 | 도쿠가와 요시노부 |
| 창립 연도 | 1902년 |
| 작위 | 공작 |
| 폐지 연도 | 1947년 (작위 폐지) |
| 가문 문양 | 미츠바 아오이 |
| 출신지 | 에도 |
| 근거지 | 도쿄부도쿄시고이시카와구 고히나타 제6텐초 도쿄도 이바라키현 |
| 주요 인물 | |
| 인물 | 도쿠가와 요시노부 도쿠가와 요시히사 도쿠가와 요시미츠 도쿠가와 요시토모 야마기시 미키 |
| 분가 | |
| 분가 | 도쿠가와 아쓰시 가 (화족 (남작)) 도쿠가와 마코토 가 (화족 (남작)) 가쓰 가문 (화족 (백작)) |
2. 역사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1867년(게이오 3년) 대정봉환을 단행했으나, 도바·후시미 전투에서 패배하여 칩거 처분을 받았다. 1868년 (게이오 4년) 가메노스케(도쿠가와 이에사토)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슨푸(현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에서 은거 생활을 했다. 1880년(메이지 13년) 죄를 용서받고 대정봉환의 공으로 쇼군 시절의 정2위로 복위되었고, 이어 종1위에 올랐다. 1897년(메이지 30년) 도쿄부 기타토시마군 스가모정(현 도쿄도 도시마구 스가모 1초메), 1901년(메이지 34년) 도쿄시 고이시카와구 고휴가다이6텐초(현 분쿄구 가스가 2초메)로 이사했고, 1902년(메이지 35년) 도쿠가와 종가와는 다른 별도의 가문을 일으켜 공작을 수여받았다.
요시노부는 두 측실 사이에서 10남 11녀를 두었다. 이 중 4남 아쓰시는 도쿠가와 종가 분가, 9남 마코토는 요시노부 분가로서 각각 남작가를 일으켰다. 또한 이케다 후작가와 카츠 백작가에 양자를 보냈다. 2대 당주 요시히사의 장녀는 쇼와 천황의 둘째 동생인 타카마츠노미야에 시집간 키쿠코이다.
4대 당주 도쿠가와 요시모토, 2대 요시히사의 3녀 사카키바라 키사코, 2대 요시히사의 4녀 이데 쿠미코가 각각 요시노부가에 관한 서적을 출간했다.
도쿠가와 요시모토에게는 2남 1녀가 있었지만, 이혼 당시 친권이 모두 아내에게 넘겨졌다. 2017년 9월 25일 요시모토가 사망함에 따라 도쿠가와 요시노부가의 적류는 끊겼지만, 직계 후손은 계속되고 있다.[1]
2. 1. 요시노부가의 성립 (메이지 시대)
1867년(게이오 3년)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대정봉환을 했으나, 도바·후시미 전투에서 패하여 칩거 처분을 받았다.[1] 1868년(게이오 4년) 다야스 도쿠가와가의 가메노스케(도쿠가와 이에사토)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슨푸(현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에서 은거 생활을 했다.[1]1880년(메이지 13년) 죄를 용서받고 대정봉환의 공으로 쇼군 시절의 정2위로 복위되었고, 이어 종1위에 올랐다.[1] 1897년(메이지 30년) 도쿄부 기타토시마군 스가모정(현 도쿄도 도시마구 스가모 1초메), 1901년(메이지 34년) 도쿄시 고이시카와구 고휴가다이6텐초(현 분쿄구 가스가 2초메)로 이사했다.[1] 1902년(메이지 35년) 도쿠가와 종가와는 다른 별도의 가문을 일으켜 공작을 수여받았다.[1]
2. 2. 역대 당주 (메이지 유신 이후 ~ 현재)
|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 초대 | 도쿠가와 요시노부 | 1902년 ~ 1913년 | 1837년 출생, 1913년 사망. 1867년 대정봉환을 단행했으나, 조·후시미 전투에서 패배하여 은거했다. 1880년 죄를 용서받고, 대정봉환의 공로로 정2위에 복위, 이어서 종1위에 서임되었다. 1902년 도쿠가와 요시노부가를 일으켜 공작을 수여받았다. |
| 2대 | 도쿠가와 요시히사 | 1913년 ~ 1922년 | 1884년 출생, 1922년 사망.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은거에 따라 1910년 12월에 가독을 승계하였다. |
| 3대 | 도쿠가와 요시미쓰 | 1922년 ~ 1993년 | 1913년 출생, 1993년 사망. 도쿠가와 요시히사의 급서에 따라 1922년 1월, 10세로 습작하여 3대 당주가 되었다. |
| 4대 | 도쿠가와 요시토모 | 1993년 ~ 2017년 | 1950년 출생, 2017년 사망. 도쿠가와 요시미쓰의 사망에 따라 1993년 2월, 4대 당주가 되었다. |
| 5대 | 야마기시 미키 | 2017년 ~ 현재 | 1968년 출생. 도쿠가와 요시토모의 유언에 따라 2017년 9월, 5대 당주가 되었다. 2023년 1월에 자신이 5대 당주임을 표명했고, 도쿠가와 요시노부가의 당대 한정된 단절을 표명했다[2]. |
1867년(게이오 3년)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대정봉환을 단행했지만, 도바ㆍ후시미 전투에서 패하여 칩거했다. 1868년(게이오 4년) 타야스 도쿠가와 가의 카메노스케(도쿠가와 이에사토)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도쿠가와 종가는 신정부에 의해 봉해진 슨푸(현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에서 은거 생활을 했다.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측실 신무라 노부와 나카네 사치 사이에서 10남 11녀를 두었다. 4남 아쓰시와 9남 마코토는 각각 남작가를 세웠고, 5남 나카히로는 이케다 후작가에, 10남 세이는 가쓰 백작가에 양자로 들어갔다.
도쿠가와 요시노부가는 황실과도 인연이 깊다.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생모 요시코는 아리스가와노미야 오리히토 친왕의 12번째 왕녀였다. 요시노부의 9녀 게이코는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의 비였다. 2대 당주 도쿠가와 요시히사의 부인 사네코는 아리스가와노미야 타케히토 친왕의 2번째 왕녀였고, 요시히사의 2녀 기쿠코는 다카마쓰노미야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 친왕의 비였다.
4대 도쿠가와 요시토모, 2대 도쿠가와 요시미쓰의 부인 가즈코, 5대 야마기시 미키, 사카키바라 기사코, 이데 구미코는 각각 도쿠가와 요시노부가에 관한 서적을 출판했다.
도쿠가와 요시토모에게는 2남 1녀가 있었지만, 이혼 후 모두 도쿠가와 가문을 떠났다. 요시토모의 사망으로 도쿠가와 요시노부가의 적류는 단절되었지만, 직계 자손은 존속하고 있다[1].
3. 가계 및 인물
1880년(메이지 13년) 죄를 용서받고, 대정봉환의 공으로 쇼군 시절의 정2위로 복위되었고, 이어 종1위에 올랐다. 1897년(메이지 30년) 도쿄부 기타토시마군 스가모정(현 도쿄도 도시마구 스가모 1초메), 1901년(메이지 34년) 도쿄시 고이시카와구 고휴가다이6텐초(현 분쿄구 가스가 2초메)로 이사했다. 1902년(메이지 35년) 도쿠가와 종가와는 다른 별도의 가문을 일으켜 공작을 수여받았다.
요시노부는 측실 신무라 노부와 나카네 사치 사이에서 10남 11녀를 두었다. 이 중 넷째 아들 아츠시가 도쿠가와 종가 분가로서, 아홉째 아들 마코토가 요시노부의 분가로서 각각 남작가를 일으켰다. 이케다 후작가(옛 돗토리번주가)와 카츠 백작가(가쓰 가이슈의 집안)에 양자를 보냈다.
요시노부 가문은 황실과도 인연이 깊다. 요시노부의 생모 요시코는 아리스가와노미야 오리히토 친왕의 제12왕녀이다. 요시노부의 아홉째 딸 게이코는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왕의 비이다. 2대 당주 요시히사의 부인 사네코는 아리스가와노미야 타케히토 친왕의 제2왕녀이고, 둘째 딸 기쿠코는 다카마쓰노미야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 친왕의 비이다.
도쿠가와 요시모토(4대 당주, 3대 요시미츠의 장남, 요시노부의 증손), 사카키바라 키사코(2대 요시히사의 3녀, 요시노부의 손녀), 이데 쿠미코(2대 요시히사의 4녀, 요시노부의 손녀)는 각각 요시노부 가에 관한 서적을 출간했다.
요시모토는 2017년 9월 25일에 병으로 사망하여, 도쿠가와 요시노부 가의 적류는 끊겼지만, 직계 후손은 계속되고 있다.[1]
3. 1. 가계도
3. 2. 주요 인물
| 이름 | 출생 - 사망 | 당주 기간 | 비고 |
|---|---|---|---|
| 도쿠가와 요시노부 | 1837년 - 1913년 | 1902년 - 1913년 | 에도 막부의 마지막 쇼군. 대정봉환 단행, 토바ㆍ후시미 전투 패배 후 칩거. 1868년 타야스 도쿠가와 가의 카메노스케(도쿠가와 이에사토)에게 가독을 물려줌. 1880년 사면, 정2위 복위, 종1위 추서. 1902년 도쿠가와 요시노부 가문 창설, 공작 작위 수여.[1] 10남 11녀. |
| 도쿠가와 요시히사 | 1884년 - 1922년 | 1910년 - 1922년 | 1910년 요시노부 은거 후 습작. 장녀 키쿠코는 쇼와 천황의 동생 타카마츠노미야와 혼인. |
| 도쿠가와 요시미츠 | 1913년 - 1993년 | 1922년 - 1993년 | 1922년 요시히사 급서 후 10세에 습작. |
| 도쿠가와 요시모토 | 1950년 - 2017년 | 1993년 - 2017년 | 1993년 요시미쓰 사망 후 습작. 2017년 사망으로 요시노부 가문 적류 단절.[1] |
| 야마기시 미키 | 1968년 - | 2017년 - | 요시모토 유언으로 당주 지명. 2023년 5대 당주임을 표명, 요시노부 가문 당대 한정 단절 표명.[2] |
- 그 외: 요시노부의 넷째 아들 아츠시와 아홉째 아들 마코토는 각각 남작가를 일으킴. 요시노부가는 황실과 인척 관계, 2대 당주 요시히사의 둘째 딸 키쿠코는 다카마쓰노미야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 친왕과 혼인.
4. 논란 및 사건
- 1933년 (쇼와 8년) 7월 7일, 나고야 지방재판소에서 문서 위조 행사 및 사기로 11만 엔을 갈취한 혐의로 도쿠가와 키요시(카스가 키요시)에게 징역 2년 형이 선고되었다. 도쿠가와 키요시는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손자이자 도쿠가와 아츠시의 셋째 아들이며, 후작도쿠가와 요시치카의 조카였다.[3] 이 사기 사건에는 키요시의 어머니 사토코와 형 키요히로(노부모토)도 연루된 것으로 알려졌다.[3] 센다 미노루는 "요시노부의 자손 중에는 사건이나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이 적지 않다. 아버지 아츠시는 뺑소니 사건, 숙부 카츠세이는 정사 사건, 아츠시의 차남 요시토미의 아내는 불륜 사건을 일으켰다."라고 언급했다.[3] 또한, 키요시의 아들 도쿠가와 야스아키도 회삿돈을 횡령한 사기 혐의로 체포된 전력이 있다.
- 요시노부의 후손을 자처하는 '''도쿠가와 미츠야스'''는 2002년 (헤이세이 14년) NPO 법인 "도쿠가와 아오이 에이회"를 설립하여 강연 활동을 하는 한편, 아오이 문장이 새겨진 에도 개부 400주년 기념 한정 회중시계[4]라고 칭하는 상품 판매에 협력했다. 그러나 그는 도쿠가와 가문의 혈통을 잇지 않았다는 사실이 『주간 신초』 2003년 12월 11일호에 보도되었다. 보도에 따르면, 미츠야스는 이바라키현 나메가타군 이타코마치 출신 여의사와 러시아인 사이에서 태어나 '모로호시 니콜라스'라는 이름을 가졌으나, 도쿠가와 토요하루(요시노부의 증손, 도쿠가와 아츠시의 차녀 키와코와 토다 토요타로의 차남)와 미국에서 친분을 쌓은 후 1995년 (헤이세이 7년) 10월, 토요하루의 양자가 되어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했다. 미츠야스가 양자로 입적될 당시, 토요하루는 알코올 중독으로 의식 불명 상태였다고 한다. 미츠야스는 도쿠가와 가문의 보리사인 다이주지의 관주로부터 450만엔을 빌렸지만, 50만엔만 변제하고 나머지는 갚지 않았다고 보도되었다. 보도 이후에도 빚은 변제되지 않았고, 관주는 해임되어 하와이로 좌천되었다. 다이주지 측은 소송을 검토했으나 단념했다. 최근 문화재 수리 등으로 막대한 비용이 필요한 상황에서 예산 부족에 시달리는 다이주지는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주간 신초』 2004년 6월 24일호에는 "요시노부 직계 후손 '''도쿠가와 요시쿠니'''"를 자칭하며 결혼 사기나 촌차쿠 사기를 저지른 남성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
- 2009년 (헤이세이 21년) 1월 19일에는 "롯폰기의 IT 회사 사장이자 궁내청 장전직 '''도쿠가와 요시타카'''"라고 사칭하며 현금 약 420만엔을 가로챈 남자가 경시청아카사카 경찰서에 체포되었다.
참조
[1]
뉴스
徳川慶朝さん死去 67歳 写真家、将軍慶喜のひ孫
http://ibarakinews.j[...]
茨城新聞クロスアイ
2017-09-26
[2]
웹사이트
徳川慶喜の玄孫が「家系の断絶」を決意した理由とは…120年以上続く名家の「家じまい」事情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23-05-20
[3]
서적
明治・大正・昭和華族事件録
신인물왕래사
[4]
웹사이트
江戸開府400年記念懐中時計販売サイト(アーカイブ)
https://web.archive.[...]
[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