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카자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돈 코사크는 '자유로운 사람'을 의미하는 튀르크어에서 유래한 명칭으로, 돈 강 유역에 정착한 코사크 군을 지칭한다. 16세기 돈 강 유역에 모여 공동체를 형성했으며, 뛰어난 기마술과 무력을 바탕으로 용병으로 활동했다. 돈 코사크 군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자치권을 누렸으나, 19세기에는 민중 탄압에 가담하며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백군의 주요 세력으로 볼셰비키에 저항하다가 탄압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에 가담하기도 했다. 현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등지에 거주하며 전통과 문화를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군사사 - 캅카스 전쟁
캅카스 전쟁은 캅카스 지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전쟁과 분쟁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며,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다양한 세력 간의 무력 충돌, 민족, 종교, 문화 간의 갈등, 강대국의 개입, 영토 분쟁 등 복잡한 원인과 결과를 보인다. - 러시아의 군사사 - 러시아 제국의 크림반도 합병
러시아 제국의 크림반도 합병은 예카테리나 2세 시대에 그리고리 포툠킨의 주도하에 1783년 러시아 제국이 크림 칸국을 병합한 사건으로, 이후 크림반도는 러시아 제국의 타우리다 현으로 편입되어 크림 타타르인들이 대규모 이주와 차별 정책을 겪었다. - 돈 카자크 - 푸가초프의 난
푸가초프의 난은 1773년부터 1775년까지 예멜리얀 푸가초프가 표트르 3세를 사칭하며 농노제에 불만을 품은 농민과 코사크를 규합하여 일으킨 대규모 반란으로, 정부군의 진압으로 푸가초프가 처형되며 종결되었다. - 돈 카자크 -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는 16세기 후반 시베리아 칸국을 정복한 코사크 지도자로, 스트로가노프 가문의 지원을 받아 시베리아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러시아의 동방 확장에 기여했으나, 이르티시 강 전투에서 전사했고 정복 과정에서의 폭력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돈 카자크 | |
---|---|
일반 정보 | |
![]() | |
인구 | 0.2–2백만 명 |
거주 지역 | 러시아: 로스토프 및 볼고그라드 |
인구 (2010년) | 14만 명 |
인구 (1918년) | 150만 명 |
언어 | 돈 구타르 (남부 러시아 방언) 돈 발라치카 (동부 우크라이나 방언) |
종교 | 주로 동방 정교회 |
소수 종교 | 구의식파 |
관련 민족 |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부자바 |
군사 정보 | |
명칭 | 돈 카자크 군 |
러시아어 명칭 | ru |
창설 | 1570년 |
해체 | 1918년 |
재편성 | 1936년 (소련의 적(赤) 카자크 군) |
소속 | 코사크군 |
규모 (1916년) | 150만 명 |
위치 | 남동부 우크라이나, 남서부 러시아 |
담당 지역 | 돈강의 중·하류 지역 |
주요 참전 | 프랑스-러시아 전쟁 크림 전쟁 러시아-튀르크 전쟁 러시아 내전 |
2. 어원
'''코사크'''(러시아어: казак, kazak, 우크라이나어: козак, kozak)는 봉건 사회에서 농민, 귀족, 성직자 등과 달리 "자유로운 사람들"을 칭하는 말이었다. 이는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튀르크어 계열의 카자흐(qazaq)에서 유래했다.[4] "코사크"라는 이름은 이주민, 약탈자 및 도적에게도 사용되었다.[4]
돈 코사크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다. 현대적 견해에 따르면, 돈 코사크는 볼가 지역, 노브고로드 공화국, 랴잔 공국과 같은 러시아 지역과 드니프로 고지대와 같은 우크라이나 지역과 관련된 슬라브계 민족들과 스텝 지역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유목민 부족들의 후손이다. 고트-알란[7] 또한 북카프카스 서부에서 기원한 돈 코사크 문화 형성에 역할을 했을 수 있다.[8]
16세기 돈 강 유역에는 유목민, 땅 없는 사람들, 여러 곳의 압제를 피해 온 사람들(도망친 농노 등)이 모여들었다. 이들은 점차 공동체를 구성하며 코사크로 불리게 되었고, 무장 집단을 형성하여 오스만 제국, 크림 칸국과의 무장 투쟁에 나섰다. 이들은 뛰어난 승마술과 무력을 바탕으로 용병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 명칭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인 카자흐와 어원이 같다.[5][6]
일본어 문헌에서는 "돈 코사크 병", "돈 카자크 군", "돈 카자르키 군", "돈 코자크 군" 등으로도 표기되는데, 이는 모두 번역상의 문제이며 의미는 같다.
3. 기원
러시아 역사학자 A. M. 오를로프(Orlov)의 이론에 따르면 코사크 군대는 튀르크계 유목민들 사이에서 형성되었다. 그는 돈 코사크들이 원래는 금장군 아래에 있던 "메셰라 타타르인들"에 의해 주로 형성되었다고 생각하며, 이를 후대의 미샤르 타타르인들과 연결짓는다.[9]
A. V. 미르토프(Mirtov)는 돈 코사크들의 삶과 언어가 "메셰라 타타르인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기술했다. 반면 G. 슈테클(Shtekl)은 최초의 러시아 코사크들은 단순히 "러시아화된 타타르인들"이었다고 주장했다. V. N. 타티셰프(Tatishchev)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그들 중 일부는 메셰라의 작은 도시들에 살았고, 그들의 수도는 현재 돈스코이 수도원이 있는 돈스코이였다."[9] A. A. 고르데예프(Gordeyev)는 이들을 금장군과 연결짓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들은 오르다의 칸들 아래에 있지 않았고, 농노제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온갖 사회적 불의에 시달렸고, 봉건 지배에 반항했다."[10]
4. 역사
16세기에 돈 코사크 군사 조직이 성립되었으며, 명칭은 돈 강에서 유래한다. 초기에는 모스크바 대공국이나 러시아 제국에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라진의 난(1670년-1671년), (1707년-1709년), 푸가초프의 난(1773년-1775년)은 돈 코사크의 봉기였다. 그러나 점차 제국 체제에 편입되어 갔다.
돈보이코 주(현재의 로스토프 주, 볼고그라드 주, 보로네시 주, 루한스크 주, 도네츠크 주)에 위치해 있었다. 1916년 돈보이코는 150만 명 이상의 카자크 사병을 보유했다. 1918년 해산되었고, 러시아 혁명 이후 돈 코사크는 백군에 참가했다.
백군이 붉은 군대에 패하자, 많은 러시아 카자크들이 라스카자치바니예를 내걸고 집단 학살을 일으켰다. 소비에트 대기근과 추축국 가담을 이유로 카자크 강제 소환이 이어지는 등 돈 코사크의 라스카자치바니예는 계속되었고, 반소련 투쟁은 미미해졌으나 그 형태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4. 1. 초기 역사 (15세기 ~ 17세기)
15세기 후반, 셸론 전투(1471년) 이후 노브고로드 공화국[14]과 인접한 랴잔 공국[15]에서 온 식민지 개척자들이 돈 강 유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16] 16세기 말까지 돈 코사크들은 독립적인 자유 지역에 거주하며, 주로 사냥과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주변 튀르크인과 타타르족의 공격에 맞서 끊임없이 투쟁했다.
최초의 코사크 마을인 "스타니차"에 대한 기록은 1549년에 등장한다. 1552년, 아타만 수사르 페도로프 휘하의 돈 코사크는 이반 뇌제의 카잔 공방전에 참전했다. 1556년에는 아타만 랴푸니 필리모노프의 코사크 연대가 스트렐치로 구성된 모스크바 군대와 함께 아스트라한 칸국을 정복하고 합병하는 데 기여했다.
이반 뇌제 통치 시기, 아타만 예르막 티모페예비치는 시베리아 정복 원정을 떠났다. 1582년 가을, 쿠춤 칸을 무찌르고 이스케르(시베리아 칸국의 수도)를 점령했다. 1583년 겨울, 보그단 브랴즈가(혹은 코사크 지도자 니키타 판)가 이끄는 코사크 부대는 콘다-펠림 보굴의 땅을 지나 오스티야크들이 항복한 사마로보 마을까지 진출했다. 1585년 가을, 예르막의 죽음 직후, 이반 만수로프 총독(군 사령관)이 이끄는 코사크들은 오브 강 우안, 이르티시 강 어귀에 시베리아 최초의 러시아 요새 도시인 옵스코이를 건설했다. 이로써 만시족과 한티족의 땅은 러시아의 영토가 되었고, 1592년 펠림과 베레조프, 1594년 수르구트 건설로 확고해졌다. 예르막의 원정으로 러시아는 시베리아를 합병할 수 있었다.
17세기에 돈 코사크는 오스만 제국 및 크림 칸국과 전쟁을 벌였다. 1637년, 돈 코사크는 자포로지야 코사크와 함께 돈 강 방어의 요충지인 오스만 제국의 아조프 요새를 함락시켰다.[17] 1641년 아조프 요새 방어는 돈 코사크 역사의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다. 이후 돈 코사크의 자유 영토는 모스크바의 통제 하에 편입되었고, 돈 코사크의 역사는 러시아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돈 코사크는 러시아 남부 국경 방어를 대가로 세금 면제 특권을 받았으며, 차르의 권력은 다른 지역보다 덜 절대적이었다.
이 시기, 러시아의 유명한 반란군 지도자 스텐카 라진, 콘드라티 불라빈, 예멜리안 푸가초프는 모두 돈 코사크 출신이었다.
4. 2. 러시아 제국 편입과 자치 (18세기 ~ 19세기)
1786년 이후 돈 코사크의 영토는 공식적으로 돈 호스트 땅(Don Host Land)으로 불렸으며, 1870년에는 돈 호스트 주(Don Host Oblast)로 개명되었다. 이 지역은 현재 로스토프, 볼고그라드(Volgograd), 보로네시(Voronezh) 주 (러시아 연방)와 루한스크 주 (우크라이나)의 일부 지역에 해당한다.
러시아 황제 표트르 1세의 조직 개혁에 반발하여 돈 코사크 군은 이반 마제파와 결탁하는 등 적대 행위를 하기도 했다. 표트르 1세에게 패한 후, 돈 코사크 군의 일부는 1737년부터 오스만 제국으로 탈출하여 쿠반 지방에 거처를 마련했고, 일부는 루마니아에 편입되었다.
러시아 제국 영내에 남은 돈 코사크 군은 남러시아부터 동우크라이나 일대에 이르는 지역(현재의 로스토프, 볼고그라드, 루한스크, 도네츠크, 보로네시, 칼미크 공화국 일대)을 영토로 인정받았다. 이들은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군무에 종사하는 대신, 이 지역에서 일정한 자치를 인정받았다. 중앙집권이 강한 러시아 제국에서 이러한 자치권 인정은 매우 드문 일이었으며, 돈 코사크는 반쯤 특권 계급이 되었다. 1805년 돈 코사크의 수도는 체르카스크(Cherkassk)에서 노보체르카스크(Novocherkassk, 신 체르카스크)로 옮겨졌다.[18]
돈 코사크는 나폴레옹(Napoleon)의 러시아 침공을 격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마트베이 이바노비치 플라토프(Matvey Ivanovich Platov) 백작의 지휘 아래, 돈 코사크들은 그랑 아르메(Grande Armée)와 여러 전투를 벌였다. 보로디노 전투(Battle of Borodino)에서 프랑스군 후방을 급습하기도 했으며, 플라토프는 모든 코사크 부대를 지휘하여 러시아군의 모스크바 후퇴를 성공적으로 지원했다. 돈 코사크들은 그 후의 전역에서도 두각을 나타냈고, 파리 함락에도 참여했다. 나폴레옹은 "코사크는 존재하는 모든 경기병 중 최고다. 만약 내 군대에 그들이 있다면, 나는 그들과 함께 전 세계를 정복할 것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188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돈 코사크의 남성 인구는 42만 명이었다. 돈 코사크는 당시 존재하던 10개의 코사크 군 중 가장 큰 규모였으며, 군 복무에 이용 가능한 총 코사크 병력의 3분의 1 이상을 제공했다.
4. 3. 러시아 혁명과 내전 (20세기 초)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돈 코사크 군은 17개의 정규 연대와 6개의 독립 소트니아(소대)로 구성되었다.[20] 1917년 2월 혁명 당시, 상트페테르부르크 주둔 돈 코사크 3개 연대(제1, 제4, 제14 연대)는 차르 정부에 대한 불만을 품고 시위 진압에 소극적으로 대처했다. 이는 차르 정권 붕괴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였다.[21]
러시아 혁명 이후, 돈 코사크 군은 백군의 주요 세력이 되어 볼셰비키에 저항했다. 알렉산드르 콜차크 제독은 돈 코사크 출신으로 러시아 내전 중 백군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러시아 내전에서 백군이 패배하면서, 돈 코사크는 '탈코사크화' 정책의 대상이 되어 탄압받았다.[22] 볼셰비키 정권은 1919년과 1920년 사이에 약 150만 명의 돈 코사크 인구 중 30만 명에서 50만 명을 학살하거나 추방했다는 주장이 있다.[23] 1932년-1933년 소비에트 기근(홀로도모르)으로 인해 많은 돈 코사크들이 희생되었다.
4. 4. 제2차 세계 대전
1936년 4월 20일, 코사크의 적군 복무 금지령이 해제되면서 기존의 적군 기병 사단 두 개가 돈 코사크 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25] 1939년까지 이들 연대 상당수는 의장용과 현장용 코사크 전통 군복을 지급받았는데, 여기에는 혁명 이전부터 돈 코사크를 구분해 온 넓은 붉은 줄무늬가 있는 감청색 바지가 포함되었다.[25] 돈 코사크 기병대는 1943년까지 활동하다 역할이 축소되었고, 다른 적군 기병 부대들도 마찬가지였지만,[25] 1945년 모스크바 승전 퍼레이드에 참가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돈 코사크들은 독일군 내에서 가장 큰 코사크 집단인 제15SS 코사크 기병 군단을 구성했는데, 그 대부분은 전 소비에트 시민들이었다. 이 군단에는 제1 코사크 사단과 제2 코사크 사단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대다수의 코사크들은 적군에 충성을 지켰다.[26] 초기 전투, 특히 벨로스토크 포위전에서 코사크 부대는 죽음을 무릅쓰고 싸웠다.[26] 전쟁 초반 독일군의 모스크바 진격 당시, 코사크들은 1941년 스몰렌스크 전투에서 레프 도바토르의 지휘 아래 적진 후방 급습에 투입되었다. 그의 제3기병 군단은 쿠반 코사크와 테렉 코사크 출신의 제50기병사단과 제53기병사단으로 구성되어 10일간 300km에 걸친 급습으로 독일 제9군의 후방을 파괴하고 탈출했다.[27] 파벨 벨로프 장군의 지휘 아래 돈, 쿠반, 스타브로폴 코사크로 구성된 제2기병 군단은 독일 제6군의 우익에 대한 역공을 주도하여 모스크바로의 진격을 지연시켰다.
도바토르와 벨로프(두 장군은 나중에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고, 부대는 근위병(정예) 지위로 승격) 휘하 코사크들의 전문성 덕분에 많은 신규 부대가 창설되었다. 독일군은 전쟁 내내 코사크 군단 두 개만 편성했지만, 적군은 1942년에만 17개를 편성했다.[26] 새로 편성된 부대 대다수는 민족적으로 코사크인 자원병들로 채워졌다. 니콜라이 키리첸코 장군이 지휘하는 제17 코사크 군단이 유명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 초반 독일군이 쿠반을 점령했을 때, 대다수의 코사크 주민들은 소비에트 파르티잔 활동에 참여했다.[29][30] 스탈린그라드에서 독일군이 패배한 후, 제4근위 쿠반 코사크 군단은 독일군 전선을 돌파하고 미네랄니예 보디와 스타브로폴을 해방시켰다.
4. 5. 현대 (20세기 후반 ~ 현재)
1990년대 초, 돈 코사크는 부활하여 1997년 러시아 정부의 공식 인정을 받았다.[31] 이때 돈 코사크의 아타만(атаман)은 원수의 계급, 휘장 및 군복을 갖추게 되었다.
돈 코사크는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1992년), 러시아-조지아 전쟁(2008년) 등 여러 분쟁에 참여했다.[31][32]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에서는 분리주의 세력에 합류했고, 러시아-조지아 전쟁 당시에는 남오세티야에서 싸우기 위해 수백 명이 자원했다.
2009년, 우크라이나 안보국은 우크라이나 영토에 불법적인 의회 조직이 생성되는 것을 막기 위해 돈 코사크 지도자의 우크라이나 입국을 금지했다.[33]
2014년 이후, 돈 코사크 대원들은 친러시아 도네츠크 민병대를 위해 독립적인 자원병으로 동부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여했다.[34][35] 여러 군사 부대가 구성되었다는 보도가 있었지만, 대부분 해산되어 DPR과 LPR 군대에 통합되었다.
현재 돈 코사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등지에 거주하며, 그들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하고 있다.
5. 문화 및 전통
돈 코사크는 민주적인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47] 가장 중요한 결정은 '''공동회의'''(Казачий Круг)에서 이루어졌다. 이 회의에서는 임시 당국인 아타만을 선출했다.
돈 코사크는 크림 칸국과 오스만 제국과의 오랜 갈등으로 인해 숙련된 기수이자 노련한 전사였다. 이들은 동유럽의 여러 세력에게 군사력을 제공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돈 코사크는 러시아 정교회 신자였지만,[43] 구교도도 상당수 존재했다.[44] 돈 코사크는 다른 종교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불교도, 무슬림, 구교도, 이교도 등을 공동체에 받아들였다.[46]
돈 코사크는 독특한 합창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검은 까마귀"(Chyorny Voron)와 "좋다, 형제들아, 좋다"(Lyubo, Bratsi, Lyubo)와 같은 많은 노래는 러시아 전역에서 인기를 얻었다. 이 노래들 중 상당수는 전쟁에서의 죽음을 다루고 있다. 돈 코사크 합창단 세르게 자로프는 러시아 제국 육군 장교 출신들로 구성된 단체로, 전 세계적으로 순회 공연을 하며 코사크 음악을 알렸다.
코사크 결혼식은 노래, 춤, 공연이 함께하는 복잡한 의식이었다. 신랑은 말을 타고 신부를 교회로 데려가고, 결혼 행렬이 뒤따랐다. 결혼식 후에는 신랑 집에서 부모의 축복과 함께 다양한 전통 의식이 진행되었다.
코사크 가정에서는 아들이 태어나면 부모가 화살, 활, 탄약, 총알, 총을 선물하는 전통이 있었다. 이 선물들은 소년의 침대 위 벽에 걸렸으며, 세 살 때부터 말을 타기 시작하고, 7~8세가 되면 어른들과 함께 낚시와 사냥을 할 수 있었다.
말 경주는 돈 코사크들에게 인기 있는 오락이었다. 기수들은 말을 타고 무기를 발사하여 표적을 맞추는 경쟁을 했고, 가장 능숙한 기수는 말 등에 서서 사격하기도 했다.
6. 상징
돈 카자크는 1918년 돈 공화국 시절 제정된 깃발, 문장, 그리고 특색있는 군복을 상징으로 사용했다.
돈 코사크의 깃발은 파란색, 노란색, 붉은색 세 가지 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18년 5월 4일 돈 공화국 노보체르카스크에서 열린 돈 코사크 집회에서 아타만 표트르 크라스노프(ru)의 주도로 제정되었다. 이 깃발은 당시 돈 공화국의 서쪽 국경을 맞대고 있던 우크라이나국의 깃발과 유사하다.[1] 돈 코사크 문장은 17세기부터 알려져 왔으며, 1918년 9월 15일 돈 공화국의 상징으로 채택되었다.[1]
1914년까지 돈 코사크 군의 특징적인 색상은 붉은색이었다. 이 붉은색은 감색 군복의 모자 띠와 넓은 바지 줄무늬에 사용되었다.[36] 때때로 흰색 레이스로 가장자리를 장식한 붉은 천으로 윗부분을 만든 키 큰 양가죽 모자를 착용했으며, 개별 연대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은색 금속 장식을 머리 장식에 달았다. 장교들은 칼라와 견장에 은색 견장을, 그리고 은색/검은색 허리띠를 착용했다.[36] 다른 계급의 어깨 끈은 카프탄(코트)과 같은 감색이었다.[37] 박차 대신 채찍을 사용했다.[38] 1908년에는 카키색 야전 튜닉이 채택되었지만, 붉은 줄무늬가 있는 파란색 승마 바지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모두에서 현역 복무 중에도 계속 착용되었다.[40] 황실 근위대의 돈 코사크 포병대는 군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어두운 색조인 "황제의 녹색" 군복을 착용했으며, 부대의 특징인 검정색과 붉은색을 사용했다.[41]
6. 1. 깃발
돈 코사크의 깃발(3:4 비율)은 1918년 5월 4일, 아타만 표트르 크라스노프(ru)의 주도하에 돈 공화국 노보체르카스크에서 열린 돈 코사크 집회에서 제정되었다. 이 깃발은 파란색, 노란색, 붉은색의 세 가지 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깃발은 1918년에 수립되어 돈 공화국의 서쪽 국경을 맞대고 있던 우크라이나국의 깃발과 유사하다.[1]
6. 2. 문장
돈 코사크 문장은 17세기부터 알려져 왔으며, 1918년 9월 15일 돈 공화국의 상징으로 채택되었다.[1]6. 3. 군복
1914년까지 돈 코사크 군의 특징적인 색상은 붉은색이었다. 이 붉은색은 스텝 코사크에게 흔한 헐렁한 감색 군복의 모자 띠와 넓은 바지 줄무늬에 사용되었다.[36] 때때로 흰색 레이스로 가장자리를 장식한 붉은 천으로 윗부분을 만든 키 큰 양가죽 모자를 착용했으며, 개별 연대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은색 금속 장식을 머리 장식에 달았다. 장교들은 칼라와 견장에 은색 견장을, 그리고 은색/검은색 허리띠를 착용했다.[36] 다른 계급의 어깨 끈은 카프탄(코트)과 같은 감색이었다.[37] 박차 대신 채찍을 사용했다.[38]1908년 이전에는 모든 군의 개별 코사크들은 (말과 마구와 함께) 자신의 군복을 직접 준비해야 했다.[39] 하지만 돈 코사크 군의 규모와 상대적인 부유함 덕분에 공동 소유의 의류 공장을 설립할 수 있었다. 1908년에 카키색 야전 튜닉이 채택되어, 이전에 일반적인 임무를 위해 착용했던 감색 코트나 흰색(여름) 블라우스를 대체했다. 하지만 돈 군의 오랜 특징인 넓은 붉은 줄무늬가 있는 파란색 승마 바지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모두에서 현역 복무 중에도 계속 착용되었다.[40]
황실 근위대의 돈 코사크 포병대는 군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어두운 색조인 "황제의 녹색" 군복을 착용했으며, 부대의 특징인 검정색과 붉은색을 사용했다.[41]
7. 평가
돈 카자크는 초기에는 제정 러시아의 탄압을 피해 형성된 자유민 공동체였으나, 점차 체제에 편입되면서 특권 계급화되었다. 이들은 러시아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군무에 종사하는 대신, 돈 군관구 지역에서 일정한 자치를 인정받았다.[49] 이는 중앙집권이 강했던 러시아 제국에서는 매우 드문 일이었다.
러시아 혁명 이후, 돈 카자크는 백군의 주요 세력이 되어 볼셰비키에 저항했다. 이 때문에 소련 시기에는 '악당'으로 여겨지며 탄압받았다. 소비에트 대기근과 카자크 강제 소환 등으로 돈 카자크에 대한 탄압은 계속되었다.
현대 우크라이나에서는 돈 카자크를 '나쁜 러시아의 코사크'로 여기는 경향이 강하다. 반면, 돈 카자크와 관련된 사람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전통과 습관에 기반한 독자적인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에서는 돈 카자크가 러시아 혁명 당시 백군으로 활동한 역사 때문에 보수적인 집단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on Cossacks' flags (Russia)
https://www.fotw.inf[...]
[2]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5-04-23
[3]
서적
Russian History Dating Back to the Most Ancient Times Vol.1., Chapter 33:7
1739
[4]
웹사이트
В.О. Ключевский. Курс русской истории. Лекция 45
http://www.kulichki.[...]
2015-04-23
[5]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15-10-02
[6]
백과사전
Cossack | Russian and Ukrainian people
https://www.britanni[...]
2015-05-28
[7]
문서
Relations of Gothoalans (Goths-Tetraxits) and Russian colonists in region of North-East part of Black Sea and Sea of Azov
[8]
학술지
Lower Volga Region in V. N. Tatishchev's biography and scientific heritage
https://vietmag.org/[...]
2018-12-23
[9]
웹사이트
Нижегородские татары: этнические корни и исторические судьбы: Мещера – прародина нижегородских татар
http://kitap.net.ru/[...]
[10]
웹사이트
Нижегородские татары: этнические корни и исторические судьбы: Маджары и мещера – кипчакские племена
http://kitap.net.ru/[...]
[11]
학술지
Ancient DNA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history of south Siberian Kurgan people
2009
[12]
서적
Ukraine: A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0
[13]
웹사이트
Черные клобуки – так называли, русы предков донских казаков
http://www.donkazak.[...]
donkazak.com
[14]
웹사이트
Новгородские казаки – Казачий Порядник. О.Данкир
https://sites.google[...]
2015-04-23
[15]
웹사이트
Червленый Яр и рязанские казаки Воронеж
http://www.vantit.ru[...]
2015-04-23
[16]
웹사이트
Cossack as discussed in Don River (river, Russia)
https://www.britanni[...]
[17]
서적
Warfare, State and Society on the Black Sea Steppe
https://books.google[...]
2007
[18]
논문
In Defense of an Anachronism: the Cossack Question on the Don, 1861–1914
Georgetown University
2000
[19]
웹사이트
Talk Of Napoleon At St. Helena
https://archive.org/[...]
2015-04-23
[20]
서적
Russian Hussar
Long Riders' Guild Press
2007-05
[21]
서적
The Cossacks
[2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Cossacks: The Cossackdom
http://www.armymuseu[...]
Russian Imperial/Red/Soviet Army Museum
2015-04-23
[23]
서적
The Soviet Colossus: History and Aftermath
M.E. Sharpe
2001
[24]
학술지
"Conduct merciless mass terror": decossackization on the Don, 1919
https://www.persee.f[...]
1997
[25]
서적
The Cossacks
[26]
서적
Kazachestvo Istoriya Volnoy Rusi
Algorithm Expo, Moscow
2007
[27]
학술지
General Dovator
2005
[28]
웹사이트
От А до Я - Действия казаков во время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http://ot-a-do-ya.or[...]
[29]
간행물
В годы суровых испытаний
Kuban Today
1998-05-06
[30]
웹사이트
Anthology of various historians of the Partisan Activity in the Krasnodar Kray
https://archive.toda[...]
2007-10-15
[31]
서적
Ethnicity and territory in the former Soviet Union: regions in conflict
Taylor & Francis
2002
[32]
뉴스
Armed Cossacks pour in to fight Georgian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08-09
[33]
뉴스
Cossack Leader Barred From Entering Ukraine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09-10-07
[34]
뉴스
Russians Find Few Barriers to Joining Ukraine Battl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06-09
[35]
뉴스
Ukraine: Common history pulls in aid from west Russia
https://www.bbc.com/[...]
BBC News
2014-06-23
[36]
서적
The Russian Imperial Cavalry in 1914
Winged Hussar
2013-04-02
[37]
서적
Uniforms of Imperial & Soviet Russia in Color
Schiffer
[38]
백과사전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
[39]
서적
The Russian Imperial Cavalry in 1914
Winged Hussar
2013-04-02
[40]
서적
Uniforms of Imperial & Soviet Russia in Color
Schiffer
[41]
서적
The Russian Imperial Cavalry in 1914
Winged Hussar
2013-04-02
[42]
웹사이트
Anthem of Don Cossacks in Russian Civil War
http://a-pesni.org/g[...]
[43]
웹사이트
Don Cossacks in defiance of Old Faith
http://www.apocalyps[...]
[44]
보고서
Report of Antiraskol and antiheretic mission of Don Eparchy for 1903
[45]
서적
Old Believing
Moscow
[46]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13-12-09
[47]
백과사전
Cossacks
https://www.britanni[...]
[48]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D-K
[49]
영화
전함 포템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