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돌림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돌림판은 도자기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회전 장치로, 기원전 6000년에서 2400년 사이에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중국 등지에서 발명된 것으로 추정된다. 초기에는 손이나 발로 돌리는 느린 물레가 사용되었고, 이후 플라이휠 원리를 이용한 빠른 물레가 개발되어 도자기 제작의 효율성을 높였다. 물레는 철기 시대를 거쳐 산업 혁명과 현대 사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수동, 발, 전동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물레는 도자기 생산의 산업화를 이끌었으며, 예술적 가치와 산업적 가치를 모두 지닌 중요한 도구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예 - 토기
    토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그릇으로, 일본에서는 구움 정도에 따라 도자기, 자기와 구분되며 인류 최초의 화학적 변화 응용 사례로 식생활과 문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다원설이 유력한 발상지와 일본 열도 1만 6500년 전 토기 발견이 특징이며, 일본어 관점에서 정의, 역사, 제작 과정, 용도, 세계 각지 토기 문화를 설명한다.
  • 도예 - 식기
    식기는 음식 섭취에 사용되는 다양한 용기와 도구를 총칭하는 용어로, 재료와 형태가 다양하며 각 문화권의 식사 문화를 반영하고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돌림판
기본 정보
발로 돌리는 물레
발로 돌리는 물레
용도원형 도자기 성형
역사
기원기원전 4천년기 (고대 근동)
종류
작동 방식손 물레
발 물레
전동 물레
재료나무
석고
금속

2. 역사

물레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기원전 6000년부터 기원전 2400년 사이에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중국 등지에서 발명된 것으로 추정된다.[2] 초기 도자기는 점토를 긴 실처럼 말아 핀칭하고 매끄럽게 하여 용기의 몸체를 만드는 코일링 기술을 사용하여 손으로 제작되었다. 코일링으로 제작된 초기 도자기는 작업 편의를 위해 매트나 큰 잎 위에 놓이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를 통해 도공은 제작 중에 용기를 회전시킬 수 있었다.[2]

가장 오래된 형태의 물레(''투르네이'' 또는 ''느린 물레'')는 이러한 절차의 연장선상에서 개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3500년경 근동에서 사용된 투르넷은 항아리를 코일링하는 동안 손이나 발로 천천히 돌렸다.[2] 느린 물레의 도입은 손으로 작동하는 도자기 생산의 효율성을 높였다.

기원전 3천년 중후반에는 플라이휠 원리로 작동하는 ''빠른 물레''가 개발되었다. 이 휠은 발로 차거나 막대기로 밀어 각운동량을 제공했다. 빠른 휠은 ''물레 성형''이라는 새로운 도자기 제작 과정을 개발할 수 있게 했다. 이 과정은 냄비 내부에 고리를 남기는 경향이 있으며 얇은 벽 조각과 줄기 용기를 포함한 더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데 사용되어, 물레로 던진 도자기는 수제 도자기와 구별된다.[2]

많은 현대 학자들은 최초의 물레가 고대 수메르인에 의해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 개발되었다고 주장한다.[3] 현대 이라크의 수메르 도시 우르에서 발견된 돌로 된 물레는 기원전 3129년경으로 추정되지만,[4] 같은 지역에서 훨씬 더 이른 시기에 물레로 던진 도자기 조각이 발견되었다.[4] 그러나 동남유럽[5]중국[6]도 기원지로 주장되어 왔다.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의 우크라이나 서부에서 발견된 물레는 기원전 5천년 중반으로 추정되며, 메소포타미아에서 물레가 처음 사용되기 수백 년 전에 만들어졌다.[7] 이집트는 "물레의 기원지로 여겨진다. 기원전 3000년경에 턴테이블 샤프트가 길어졌고 플라이휠이 추가되었다."[8] 따라서 물레의 정확한 기원은 아직 완전히 명확하지 않다.

철기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레가 바닥에서 약 1미터 위에 회전하는 플랫폼을 가지고 있었고, 긴 차축으로 지면의 무거운 플라이휠에 연결되어 있었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도공은 발로 플라이휠을 차서 회전하는 휠을 계속 회전시킬 수 있었고, 제작 중인 용기를 조작하기 위해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어느 시점엔가, 상하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축레버가 포함된 대안이 발명되었다.

일본에서는 물레가 아스카 또는 스에키 시대(서기 552~710년)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 시대에는 도자기가 더 정교하고 복잡해졌다.[9]

2. 1. 초기 역사

물레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기원전 6000년부터 기원전 2400년 사이에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중국 등지에서 발명된 것으로 추정된다.[2] 초기 도자기는 점토를 긴 실처럼 말아 핀칭하고 매끄럽게 하여 용기의 몸체를 만드는 코일링 기술을 사용하여 손으로 제작되었다. 코일링으로 제작된 초기 도자기는 작업 편의를 위해 매트나 큰 잎 위에 놓이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를 통해 도공은 제작 중에 용기를 회전시킬 수 있었다.[2]

가장 오래된 형태의 물레(''투르네이'' 또는 ''느린 물레'')는 이러한 절차의 연장선상에서 개발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3500년경 근동에서 사용된 투르넷은 항아리를 코일링하는 동안 손이나 발로 천천히 돌렸다.[2] 느린 물레의 도입은 손으로 작동하는 도자기 생산의 효율성을 높였다.

기원전 3천년 중후반에는 플라이휠 원리로 작동하는 ''빠른 물레''가 개발되었다. 이 휠은 발로 차거나 막대기로 밀어 각운동량을 제공했다. 빠른 휠은 ''물레 성형''이라는 새로운 도자기 제작 과정을 개발할 수 있게 했다. 이 과정은 냄비 내부에 고리를 남기는 경향이 있으며 얇은 벽 조각과 줄기 용기를 포함한 더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데 사용되어, 물레로 던진 도자기는 수제 도자기와 구별된다.[2]

많은 현대 학자들은 최초의 물레가 고대 수메르인에 의해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 개발되었다고 주장한다.[3] 현대 이라크의 수메르 도시 우르에서 발견된 돌로 된 물레는 기원전 3129년경으로 추정되지만,[4] 같은 지역에서 훨씬 더 이른 시기에 물레로 던진 도자기 조각이 발견되었다.[4] 그러나 동남유럽[5]중국[6]도 기원지로 주장되어 왔다. 쿠쿠테니-트리필리아 문화의 우크라이나 서부에서 발견된 물레는 기원전 5천년 중반으로 추정되며, 메소포타미아에서 물레가 처음 사용되기 수백 년 전에 만들어졌다.[7] 이집트는 "물레의 기원지로 여겨진다. 기원전 3000년경에 턴테이블 샤프트가 길어졌고 플라이휠이 추가되었다."[8] 따라서 물레의 정확한 기원은 아직 완전히 명확하지 않다.

철기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레가 바닥에서 약 1미터 위에 회전하는 플랫폼을 가지고 있었고, 긴 차축으로 지면의 무거운 플라이휠에 연결되어 있었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도공은 발로 플라이휠을 차서 회전하는 휠을 계속 회전시킬 수 있었고, 제작 중인 용기를 조작하기 위해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어느 시점에, 상하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축레버가 포함된 대안이 발명되었다.

일본에서는 물레가 아스카 또는 스에키 시대(서기 552~710년)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 시대에는 도자기가 더 정교하고 복잡해졌다.[9]

2. 2. 플라이휠의 발명

기원전 3천년 중후반, 플라이휠(회전 바퀴) 원리를 이용한 ''빠른 물레''가 개발되었다.[2] 무거운 돌 바퀴의 회전 에너지를 이용하여 더 빠르고 안정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했다.[2] 이 휠은 발로 차거나 막대기로 밀어 각운동량을 제공하여 에너지를 축적했다. 빠른 휠은 ''물레 성형''이라는 새로운 도자기 제작 과정을 가능하게 했으며, 도공은 시간당 훨씬 더 많은 냄비를 생산할 수 있었다.[2] 이는 산업화로 가는 첫 번째 단계였다.

철기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레가 바닥에서 약 1미터 위에 회전하는 플랫폼을 가지고 있었고, 긴 차축으로 지면의 무거운 플라이휠에 연결되어 있었다.[8] 이러한 배열을 통해 도공은 발로 플라이휠을 차서 회전하는 휠을 계속 회전시킬 수 있었고,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

[[File:CucuteniPotteryTable.svg|200px|thumb|고고학자 스테판 쿠코스가 제안한 고대 물레의 그래픽 묘사, Valeni}}, Feliceni 및 루마니아의 Ghelăiești에서 발견된 것을 기반으로 함/Văleni, Harghitaro]

2. 3. 철기 시대의 발전

철기 시대에는 회전반을 축봉으로 회전 바퀴를 겸하는 무거운 원반에 연결하고, 발로 아래 원반을 차서 회전을 주는 물레가 널리 퍼졌다.[2] 이전의 물레는 손으로 직접 회전반을 돌렸지만,[2] 이 형태의 물레에서는 손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어 자유롭게 양손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인간공학적 관점에서 보면, 회전하는 허브에 대해 발을 좌우로 쓸어넘기는 것은 다소 어색했다. 어느 시점엔가, 상하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축레버가 포함된 대안이 발명되었다.[2]

thumbnail

2. 4. 동아시아의 물레

일본에서는 아스카 시대 또는 스에키 시대(서기 552~710년)에 물레가 처음 등장하여 도자기가 더 정교하고 복잡해졌다.[9] 새로운 기술인 물레의 등장 외에도 소성 방식도 조잡한 가마에서 훨씬 더 높은 온도로 변경되었다.[9] 나라 시대(710~794)에는 나무로 만든 백만 탑이 물레질로 대량 생산되었다.[22] 산업화헤이안 또는 후지와라 시대(794~1185)까지 계속되었다.[9] 더 높은 온도에서 소성되면서 새로운 유약(녹색, 황갈색, 흰색)이 등장했으며, 새로운 스타일과 유약 처리 기술이 등장했다.[9]

중국 도자기의 역사는 기원전 4300년경에서 기원전 2000년경까지의 신석기 시대에 시작되었다.[10] 일상적인 도자기 생산에 집중한 일본과는 달리, 중국은 대부분 장식품을 만들었으며 도자기류의 산업화 및 생산 기회는 거의 없었다.[10] 중국은 장식품에 집중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도자기는 다른 곳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토기 대신 자기에 중점을 두었고, 자토 점토 문화를 개발하기 위해 물레를 사용했다.[10] 자기는 명나라청나라 시대(1644-1911)에 급증했으며, 이 시대에 상징적인 청백색 도자기가 등장했다.[10]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는 전통적인 요소와 방식을 현대적인 디자인 및 기술과 혼합한다.[10]

고도 경제 성장기에 선반 가공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 플라이어 끝에 총형 바이트(총형 바이트)를 부착한 형식의 물레가 활용되었다.[23]

2. 5. 아메리카 대륙의 물레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유럽인들이 도착하기 전까지 손으로 도자기를 만들었으며, 이후 물레가 전래되었다.[11]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기 전,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물레를 사용하지 않고 도자기를 손으로만 만들었다.[22]

북아메리카 남서부에서는 서기 150년경부터 도자기가 제작되었으며, 2,000년 이상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11] 역사적으로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장식품과 기능적인 작품을 만들기 위해 코일링 방식을 사용해 왔으며, 전기 물레를 만드는 기술은 유럽인들이 도착할 때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더 작은 턴테이블이나 느린 물레는 가끔 사용되었을 수 있다.[12]

2. 6. 산업 혁명과 현대

산업 혁명이 시작되면서 물레는 증기 기관이나 가솔린 엔진, 그리고 전기로 움직이게 되었지만, 인력으로 작동하는 것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그 이전에도 일반적이지는 않았지만, 풍력이나 수력을 동력으로 하는 물레도 발명되었다. 인력으로 움직일 필요가 없어졌다고는 하지만, 물레를 사용하여 도자기를 만드는 것은 여전히 숙련을 요하는 작업이며, 장인의 솜씨라고 할 수 있다.

1836년 당시 물레 시연. 코너 프레리

물레는 차량과의 관계도 깊으며, 인류에게 고대부터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또한 근대 공업의 핵심 중 하나인 선반은 물레의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근대적인 선반은 18세기부터 19세기 영국의 기술자 "공작 기계의 아버지" 모즐리에 의해 발명되었다.

일본에서도 고도 경제 성장기에 선반 가공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 플라이어 끝에 총형 바이트를 부착한 형식의 물레가 활용되었다. 소재를 회전축의 척에 고정하여 회전시키고 플라이어로 잡는 방식으로 가공했다.

3. 산업화

물레의 발전은 도자기 생산 속도를 크게 향상시켜 더 많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였다.[13] 이는 도예 제품 판매의 경제적 진전과 도예 공정의 산업화와 같은 사회적 결과를 야기했다.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도자기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보급되었고,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한편, 일본의 도자기 산업화와 함께 도자기는 역사적 가치를 일부 잃었고, 이 과정에서 일부 기술과 의미가 사라졌다.[13]

4. 물레 성형 기법

숙련된 도공은 최대 15 kg의 점토로 그릇을 빠르게 성형할 수 있다.[14] 또는 그릇을 성형한 후 점토 코일을 추가하여 다시 성형하면 더 높은 항아리를 만들 수 있으며, 다음 코일을 추가하기 전에 블로램프의 열을 사용하여 각 성형된 부분을 굳힐 수 있다.[15] 이와 유사하게 여러 부분을 성형하고 결합하여 대형 그릇을 만들 수도 있다.[16] 대형 물레와 대량의 점토를 사용하면 여러 사람이 동시에 항아리를 작업할 수 있어 매우 큰 도자기 조각을 만들 수 있다. 이 관행은 중국 징더전에서 사용되며, 3명 이상의 도공이 동시에 하나의 항아리에 작업할 수 있다. [17]

upright=1.4 역사 박물관에서 1836년 물레 시연]]

성형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거의 모든 방법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물레 위에 점토를 중심에 맞추고, 점토에 구멍을 내어 항아리 밑면 주위에 도넛 모양의 점토 링을 만들고, 벽을 올려서 항아리의 최종 형태를 만든다. [18] 손의 움직임을 포함한 이러한 단계의 세부 사항은 문화와 도공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대부분의 문화권에서는 물레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오른쪽 손은 성형되는 항아리 바깥쪽에 놓인다. 일본 도자기는 반대로 성형되어 물레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오른쪽 손은 항아리 안쪽에 위치한다. [19] 그러나 전기 모터로 작동되는 현대식 물레는 양방향 회전을 허용하여 도공이 자신의 기술, 손의 지배력 및 개인적 선호도에 가장 적합한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20]

회전 방향에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일본의 도예용 물레에서는 일본 고래의 도예 산지는 대부분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 (우회전)이며, 조선반도에서 건너온 도공에 의해 시작된 이마리야키·하기야키 등에서도 시계 방향이다. 반면, 탄바타치쿠이 야키나 규슈의 우와노야키·코이시와라야키 등에서는 반시계 방향(좌회전)이 사용되고 있다.

4. 1. 한국의 물레 성형 기법

한국의 전통 물레 성형 기법은 간결하면서도 섬세한 조형미를 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 물레 발차기, 흙 가슴에 안기, 중심 잡기, 턱 잡기, 굽 깎기 등 다양한 기법이 사용된다. 숙련된 도공은 빠르게 그릇을 성형할 수 있다.[14] 또는 그릇을 성형한 후 점토 코일을 추가하여 다시 성형하면 더 높은 항아리를 만들 수 있으며, 다음 코일을 추가하기 전에 블로램프의 열을 사용하여 각 성형된 부분을 굳힐 수 있다.[15]

성형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거의 모든 방법이 물레 위에 점토를 중심에 맞추고, 점토에 구멍을 내어 항아리 밑면 주위에 도넛 모양의 점토 링을 만들고, 벽을 올려서 항아리의 최종 형태를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18] 대부분의 문화권에서는 물레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오른쪽 손은 성형되는 항아리 바깥쪽에 놓인다. 일본 도자기는 반대로 성형되어 물레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오른쪽 손은 항아리 안쪽에 위치한다.[19]

5. 물레의 종류

돌림판은 동력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수동 물레는 손이나 발로 직접 돌리는 방식이다. 발 물레는 발로 플라이휠을 돌려 작동한다. 전동 물레는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회전력을 얻는다.

일본의 도예용 물레는 대부분 시계 방향 (우회전)으로 회전하며, 조선반도에서 건너온 도공이 시작한 이마리야키·하기야키 등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면, 탄바타치쿠이 야키나 규슈의 우와노야키·코이시와라야키 등에서는 반시계 방향(좌회전)이 사용된다.

5. 1. 동력 방식에 따른 분류

돌림판은 동력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수동 물레는 손이나 발로 직접 돌리는 방식이다. 발 물레는 발로 플라이휠을 돌려 작동한다. 전동 물레는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회전력을 얻는다.

5. 2. 회전 방향에 따른 분류

일본의 도예용 물레는 대부분 시계 방향 (우회전)으로 회전하며, 조선반도에서 건너온 도공이 시작한 이마리야키·하기야키 등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면, 탄바타치쿠이 야키나 규슈의 우와노야키·코이시와라야키 등에서는 반시계 방향(좌회전)이 사용된다.

6. 신화 속의 물레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크눔물레로 최초의 인간을 만들었다고 한다.

7. 현대적 의의

7. 1. 예술적 가치

7. 2. 산업적 가치

참조

[1] 웹사이트 Best Pottery Wheel https://www.bestcraf[...] 2022-08-27
[2] 간행물 Revisiting the History of the Potter's Wheel in the Southern Levant 2009
[3]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3
[4] 서적 Ancient Mesopotamian Materials and Industries: The Archaeological Evidence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1999
[5] 간행물 Faza Cucuteni B în zona subcarpatică a Moldovei http://www.neamt.ro/[...] Muzeul de Istorie Piatra Neamț (Historical Museum Piatra Neamț)
[6] 웹사이트 萧山日报-数字报纸 http://xsrb.xsnet.cn[...]
[7] 서적 Advancement in Ancient Civilizations: Life, Culture, Science and Thought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8] 서적 The Potter's Dictionary of Materials and Techniques 2004
[9] 웹사이트 Japanese pottery {{!}} History, Styles & Techniqu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0-08
[10] 웹사이트 A Potted History of Chinese Ceramics https://www.thechina[...] 2023-10-16
[11] 웹사이트 Th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Southwestern Native American Pottery https://www.shopgarl[...] 2023-10-16
[12] 웹사이트 Pottery - Native American, Clay, Art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0-16
[13] 간행물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POTTERY IN JAPAN-SETO AND NAGOYA- https://repository.k[...] 1955
[14] 웹사이트 Isaac Button – Country Potter (1965) http://ftvdb.bfi.org[...] BFI
[15] 웹사이트 Coil throwing https://jackwelbourn[...] 2024-09-30
[16] 웹사이트 How to Throw Large Pots in Sections on the Potters Wheel https://ceramicartsn[...] 2024-09-30
[17] AV media Huge Piece of Pottery Takes 3 Men To Sculpt https://www.youtube.[...] 2024-09-30
[18] 웹사이트 Guide to Ceramic Wheel Throwing https://www.thecruci[...] 2024-09-30
[19] 웹사이트 Differences in Western and Japanese Pottery Aesthetics - Dave Hamel's Website https://www.davehame[...] 2024-09-30
[20] 웹사이트 How to center clay on the pottery wheel {{!}} TeachinArt https://www.teachina[...] 2024-09-30
[21] 문서 "[https://doi.org/10.14856/ran.57.0_22 古今(こきん)用語撰]」『らん:纜』 2002年 57巻 p.22-29, {{doi|10.14856/ran.57.0_22}}, 2020年6月17日閲覧。"
[22] 문서 "[http://www.narahaku.go.jp/collection/d-823-0-1.html 収蔵品データベース 百万塔](奈良国立博物館サイト)"
[23] 문서 "[https://dda40x.blog.jp/archives/2011-07.html ロクロ作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