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벵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벵골은 1947년 인도 분할 이후 파키스탄의 주로 설립되었다. 1757년 플라시 전투에서 영국 동인도 회사가 벵골 지역의 지배권을 확보한 이후, 1905년 벵골 분할령으로 동벵골과 아삼 주가 설치되었으나 인도인들의 반발로 철회되었다. 1947년 실렛 주민투표를 통해 아삼 주의 실렛 지구가 파키스탄에 합류했으나, 1948년 벵골어를 연방 공용어로 하는 것을 반대하며 벵골어 운동이 일어나는 등 정치적 갈등을 겪었다. 1955년 동파키스탄으로 개칭되었으며, 경제, 문화, 종교적으로 벵골 문화의 중심지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령 인도 - 암살단
    암살단은 인도 아대륙 북부에서 여행자를 살해하고 강도질하던 집단으로, 손수건이나 올가미를 사용하여 교살하는 수법을 사용했으며, 19세기 중반 영국 식민지 시대에 소탕되었다.
  • 영국령 인도 - 그랜드 트렁크 로드
    그랜드 트렁크 로드는 기원전 3세기부터 존재했던 인도 동부와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도로로, 여러 제국을 거치며 개축 및 확충되었고, 현재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주요 도로로 남아 있으며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 방글라데시의 역사 - 파키스탄 자치령
    파키스탄 자치령은 1947년 인도 분할로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독립하여 탄생한 영연방 왕국이었으나, 국경 분할로 인한 혼란, 정치적 불안정, 외교적 갈등을 겪다가 1956년 이슬람 공화국을 선포하며 공화제로 이행했다.
  • 방글라데시의 역사 - 인도의 분할
    인도의 분할은 1947년 영국령 인도가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나뉘면서 벵골과 펀자브 지방이 분할되고 군대와 자산이 분배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대규모 인구 이동과 인명 피해가 발생했고, 힌두교-이슬람교 갈등, 이민족 이론, 영국의 식민지 해체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했다.
  • 파키스탄의 역사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 바부르가 건국하여 1857년 영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인도 아대륙을 지배했던 제국으로, 악바르 대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아우랑제브 시대 이후 쇠퇴하여 멸망하였으며,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 파키스탄의 역사 - 파로파미사다이
    파로파미사다이는 힌두쿠시 산맥 너머를 의미하는 고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힌두쿠시 산맥과 파미르 산맥에 걸쳐 카불 지방 등을 포함하며, 아케메네스 제국 등 여러 제국과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동벵골
지도
동벵골 (녹색)과 나머지 파키스탄 (연두색)의 위치
동벵골 (녹색)과 나머지 파키스탄 (연두색)의 위치
기본 정보
정식 명칭동벵골
토착어 명칭
일반 명칭동벵골
상태파키스탄의 주
국기
이전 국가벵골 주
다음 국가동파키스탄
수도다카
데모님동벵골인
정부 형태주 정부
입법부입법 의회
시작일1947년 8월 15일
시작 사건벵골 2차 분할
종료일1955년 10월 14일
종료 사건단일 단위
역사
관련 사건벵골 2차 분할
동벵골 난민
벵골어 운동
관련 정보
관련 문서방글라데시의 역사
방글라데시의 연표
벵골 미술
벵골 문학

2. 역사

1757년 플라시 전투에서 영국 동인도 회사가 벵골의 나와브 시라즈 우드다울라를 상대로 승리하면서 벵골 지역에 대한 영국의 영향력이 시작되었다.[1] 1905년 영국은 벵골주를 분할하여 동쪽을 아삼과 합쳐 동벵골과 아삼이라는 주를 설치하였으나, 인도인들의 반발로 1912년 철회되었다. 1906년 전인도 무슬림연맹이 동벵골 지역에서 창립되었고, 1940년에는 라호르 결의안을 채택하여 영국령 인도의 동부와 북서부 무슬림 다수 지역에 주권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구상했다.

인도의 분할과 함께 1947년 동벵골 주가 설치되었다.[1] 실렛 주민투표를 통해 아삼 주의 실렛 지구가 파키스탄에 합류했지만, 카림간지 구역은 인도에 남았다.[2] 분할 과정에서 많은 힌두교도들이 동벵골을 떠났고, 인도 아대륙 각지의 무슬림들이 동벵골로 이주했다.

1947년 파키스탄 주 정부의 도장이 찍힌 영국령 인도 시대의 인도 준비은행(RBI) 5루피 지폐


카와자 나짐무딘 경과 파키스탄 크리켓팀


카와자 나짐무딘 경은 동벵골의 초대 수상이 되었다. 1948년 무함마드 알리 진나가 사망하자 나짐무딘은 파키스탄의 총독이 되었다. 진나는 다카 대학교에서 연설하면서 벵골어를 연방 공용어로 하는 것에 반대했다. 그의 이러한 입장은 동벵골 주민들 사이에서 격렬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 특히 벵골어의 풍부한 문학적 유산을 고려할 때, 우르두어만을 유일한 국가어로 삼으려는 제안은 동벵골에서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3]

벵골어 운동, 1952


벵골어 운동은 1952년에 절정에 달했다. 시위 도중 경찰의 발포로 학생 운동가 4명이 사망하면서 이 지역에서 무슬림 연맹에 대한 반대가 더욱 커졌다.[3]

아부르 카람 파즐룰 후크(A. K. Fazlul Huq)


1954년, 연합전선 연합이 압도적인 득표율로 무슬림 연맹을 꺾고 동벵골에서 승리하였다.[4] 아부르 카람 파즐룰 후크(A. K. Fazlul Huq)가 수상에 취임하여 방글라 아카데미(Bangla Academy)를 설립하고 광범위한 지방 자치를 요구했으며, 연방 정부의 책임을 외교 및 국방으로만 제한하고자 했다.[4] 그러나 취임 몇 달 만에 후크는 분리주의 선동 혐의로 해임되었다.[4]

1955년 10월 14일, 파키스탄 총리 모하마드 알리 보그라(Mohammad Ali of Bogra)의 개혁 및 재편 정책의 일환으로 동벵골은 동파키스탄(East Pakistan)으로 개명되었다.[5]

2. 1. 독립 이전 (영국령 인도 제국 시기)

1757년 플라시 전투에서 영국 동인도 회사가 벵골의 영주(나와브) 시라즈 우드다울라를 상대로 로버트 클라이브가 승리하면서 벵골 지역에 대한 영국의 영향력이 시작되었다.[1] 이 승리로 영국 동인도 회사는 벵골에 대한 주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되었으며, 벵골은 인도 대륙에서 영국 행정의 총본산이 되었다. 세포이 항쟁으로 알려진 1857년의 반란 이후 영국 정부는 동인도 회사로부터 직접적인 지배권을 가져왔으며, 제국의 수도를 동인도 회사에 의해 만들어진 도시였던 콜카타에 세웠다.

1905년 영국은 벵골주를 분할한 뒤 동쪽을 아삼과 합쳐 동벵골과 아삼이라는 주를 설치하였으나, 인도인들의 반발로 1912년 철회되었다. 이후 아삼주가 복구되고 벵골은 하나의 주가 되었다.

1906년 전인도 무슬림연맹이 동벵골 지역에서 창립되었다. 1940년에는 라호르 결의안을 채택했는데, 이는 영국령 인도의 동부와 북서부 무슬림 다수 지역에 주권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구상한 것이었다. 무슬림 연맹은 1946년 벵골 선거에서 승리하여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지지를 받았다.

아삼 주의 실렛 지구도 나머지 동벵골과의 재통합을 위해 투표했고, 무슬림연맹의 운동이 이를 촉진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주민투표가 실시되어 파키스탄 합류로 이어졌다. 그러나 압둘 마틀립 마주무다르의 대표단 때문에 실렛의 카림간지 구역의 상당 부분이 제외되었다. 97%가 비무슬림(대부분 불교도) 인구였던 치타공 구릉 지대는 인도로 접근할 수 없고 주요 도시이자 항구인 치타공을 지원하는 상당한 농촌 완충지대를 제공하기 위해 경계 위원회에 의해 파키스탄에 할당되었다. 파키스탄 옹호자들은 벵골 경계 위원회에 치타공을 통과하는 것만이 유일한 접근 방식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2. 2. 인도 분할과 동벵골 (1947년~1955년)

인도의 분할과 함께 1947년 동벵골 주가 설치되었다.[1] 실렛 주민투표를 통해 아삼 주의 실렛 지구가 파키스탄에 합류했지만, 카림간지 구역은 인도에 남았다.[2] 분할 과정에서 많은 힌두교도들이 동벵골을 떠났고, 인도 아대륙 각지의 무슬림들이 동벵골로 이주했다. 동서벵골 국경은 북인도와 파키스탄 사이의 펀자브 국경에서 볼 수 있었던 것만큼의 폭력은 없었다.

전 벵골 총리였던 카와자 나짐무딘 경(Sir Khawaja Nazimuddin)이 동벵골의 초대 수상이 되었고, 프레데릭 찰머스 본 경(Sir Frederick Chalmers Bourne)이 초대 주지사가 되었다. 나짐무딘은 무슬림연맹의 고위 지도자이자 무함마드 알리 진나의 측근이었다. 1948년 진나가 사망하자 나짐무딘은 파키스탄의 총독이 되었다.

1948년, 진나는 총독으로서 동벵골을 단 한 번 방문했는데, 다카 대학교 학생들에게 연설하는 동안 벵골어를 연방 공용어로 하는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반대했다. 그의 거부는 파키스탄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동벵골 사람들 사이에서 격렬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 특히 벵골어의 풍부한 문학 유산을 고려할 때 우르두어는 상당히 이질적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우르두어를 유일한 국가어로 하는 제안은 동벵골에서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

보수적인 무슬림연맹 지도자 누룰 아민이 나짐우딘의 뒤를 이어 수상이 되었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아민은 리아카트 알리 칸 총리와 콰자 나짐우딘 총독을 포함한 연방 정부와의 관계가 좋지 않았다. 역사가들은 아민 정부가 주 정부를 운영할 만큼 강력하지 못했고, 나짐우딘의 중앙 정부의 완전한 통제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그의 정부는 충분한 권력을 누리지 못했고 비전, 상상력, 주도성이 부족했다.

1949년, 마울라나 바샤니는 무슬림연맹 내 좌익 세력을 이끌고 분리되어 아와미 무슬림 연맹을 결성했다. 이 새로운 정당에는 영국령 벵골의 전 총리였던 후세인 샤히드 수흐라워르디가 합류했다. 이 정당은 나중에 '무슬림'이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자신들을 세속적인 정당으로 꾸미고 동벵골의 많은 비무슬림 소수 민족의 표를 구했다.

벵골어 운동은 1952년에 절정에 달했다. 폭동 중 경찰이 학생 운동가 4명을 사살했다. 이는 이 지역에서 무슬림연맹에 대한 반대를 더욱 증폭시켰다.[3] 서파키스탄과 동파키스탄의 주요 정치인들은 아민의 사퇴를 요구했다. 그 후의 주 선거에서 아민은 입법 의회 의석을 잃었다.

2. 3. 벵골어 운동과 정치적 갈등

무함마드 알리 진나는 1948년 총독으로서 다카 대학교에서 연설하면서 벵골어를 연방 공용어로 하는 것에 반대했다. 그의 이러한 입장은 파키스탄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동벵골 주민들 사이에서 격렬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 특히 벵골어의 풍부한 문학적 유산을 고려할 때, 우르두어만을 유일한 국가어로 삼으려는 제안은 동벵골에서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3]

1949년, 마울라나 바샤니는 무슬림 연맹 내 좌익 세력을 이끌고 분리하여 아와미 무슬림 연맹을 결성했다. 이 새로운 정당에는 영국령 벵골의 전 총리였던 후세인 샤히드 수흐라워르디가 합류했다. 이 정당은 이후 '무슬림'이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세속 정당으로 자신들을 묘사하며 동벵골의 비무슬림 소수 민족의 표를 얻고자 했다.

벵골어 운동은 1952년에 절정에 달했다. 시위 도중 경찰의 발포로 학생 운동가 4명이 사망하면서 이 지역에서 무슬림 연맹에 대한 반대가 더욱 커졌다.[3]

2. 4. 연합전선 정부와 자치권 요구



1954년, 연합전선 연합이 압도적인 득표율로 무슬림 연맹을 꺾고 동벵골에서 승리하였다.[4] 연합에는 아와미 연맹, 크리샤크 프라자당, 민주당, 그리고 니잠-이-이슬람(Nizam-e-Islam)이 포함되어 있었다. 셰르-에-방글라(벵골의 사자)로 널리 알려진 아부르 카람 파즐룰 후크(A. K. Fazlul Huq)가 수상에 취임하였다. 후크는 방글라 아카데미(Bangla Academy)를 설립하고 광범위한 지방 자치를 요구했으며, 연방 정부의 책임을 외교 및 국방으로만 제한하고자 했다.[4]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King Saud)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은 후크를 국왕과의 회동에 초대하기 위해 비행기를 보냈다.[4]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후크가 동벵골의 독립을 원한다는 내용의 기사를 게재했다. 캘커타와 뉴델리를 방문하는 동안 후크는 인도 지도자들로부터 환대를 받았다. 취임 몇 달 만에 후크는 분리주의 선동 혐의로 구람 무함마드 총독에 의해 해임되었다.[4]

2. 5. 동파키스탄으로의 개칭 (1955년)

1955년 10월 14일, 파키스탄 총리 모하마드 알리 보그라(Mohammad Ali of Bogra)의 개혁 및 재편 정책의 일환으로 동벵골은 동파키스탄(East Pakistan)으로 개명되었다.[5] 1954년 총독 통치가 철회된 후, 아부 후세인 사르카르는 총독 통치가 다시 시행되기 전까지 잠시 수상으로 재직했다. 그는 중앙 샤히드 미나르 건설을 시작했다.[5]

총독 통치는 1955년 6월에 철회되었다. 크리삭 스라믹당(Krishak Sramik Party)의 아타우르 라흐만 칸(Ataur Rahman Khan)이 마지막 수상이었다. 그의 정부는 언어 운동 기념일인 2월 21일을 공휴일로 선포했다. 그는 나중에 곡물 가격 폭등과 그에 따른 식량 부족으로 인해 1956년 8월 30일에 사임했다.[6]

3. 연방 법률과 동벵골

동벵골은 파키스탄이 서면 헌법을 갖지 않았던 시기에 존재했다. 대신 파키스탄 법원은 영국 관습법과 목표 결의안에 의존했다.

1953년, 콰자 나짐우딘 총리의 정부는 파키스탄 구성의회에서 과반수의 신임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굴람 무함마드 총독에 의해 해임되었다. 총독은 나중에 구성의회 자체를 해산했다.

''파키스탄 연방 대 마울비 타미즈우딘 칸(Maulvi Tamizuddin Khan)'' 사건에서, 해산된 구성의회 의장은 신드 고등법원에서 총독의 결정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 사건은 파키스탄 연방법원(당시 최고법원)으로 이어졌고, M. 무니르(M. Munir) 판사는 총독의 손을 들어주었다. A. R. 코르넬리우스(A. R. Cornelius) 판사는 반대 의견을 표명하고 의장 칸을 지지했다. 총리와 의회의 해임은 파키스탄 연합에서 민주주의와 법치에 대한 최초의 주요 타격 중 하나였다.

베굼 샤이스타 수흐라와르디 이크람울라는 동벵골이 파키스탄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파키스탄 입헌의회가 다카에서 소집될 것을 촉구했다.[7]

4. 지방 정부

동벵골은 주지사와 간선으로 선출된 수상에 의해 행정이 주도되었다. 1954년 5월부터 1955년 8월까지는 주지사 통치 기간이었다.[21] 동벵골 주지사와 수상의 임기와 명단은 각각 하위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4. 1. 동벵골 주지사

파키스탄(전 동벵골)의 지방 정부로 편입된 이후에 동파키스탄은 의례적 주지사와 간선에 의해 선출된 의장에 의해 행정이 주도되었다. 1954년 5월부터 1955년 8월까지, 공권력은 주지사에 의해 시행되었고, 의장은 존재하지 않았다.[21]

임기동벵골 주지사
1947년 8월 15일 - 1950년 3월 31일프레드릭 찰머스 경
1950년 3월 31일 - 1953년 3월 31일페로즈 칸 눈
1953년 3월 31일 - 1954년 5월 29일초드리 칼리쿠자만
1954년 5월 29일 - 1955년 5월이스칸다르 알리 미르자
1955년 5월 - 1955년 6월마하마드 사라부딘 (권한대행)
1955년 6월 - 1955년 10월 14일아미루딘 아마드
1955년 10월 14일동벵골 지방 해제


4. 2. 동벵골 수상

임기동벵골 수상정당
1947년 8월 15일 – 1948년 9월 14일콰와자 나지무딘무슬림 연맹
1948년 9월 14일 – 1954년 4월 3일누룰 아민무슬림 연맹
1954년 4월 3일 – 1954년 5월 29일A. K. 파즐룰 후크연합전선
1954년 5월 29일 – 1955년 8월주지사 통치
1955년 8월 - 1955년 10월 14일아부 후세인 사르카르크리샥스라믹 당
1955년 10월 14일동벵골 지방 해체


5. 경제, 문화, 종교



벵골어 운동의 결과로 동벵골은 벵골 문화 활동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다카 대학교는 정치 사상의 중심지였다.

1800년대 동벵골의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10][11]

종교비율
힌두교56.4%
이슬람교41.9%
기타1.7%


5. 1. 경제

오리엔트 항공에서 다카와 카라치 간 항공편에 사용된 유나이티드 항공 소속 더글러스 DC-3 항공기


동벵골 기반 재벌이 소유한 오리엔트 항공은 카라치와 다카 간 최초의 항공편을 운항했다. 이 항공사는 나중에 파키스탄 국제항공으로 발전했다.[9]

치타공 차 경매는 1949년에 설립되었다.[9]

5. 2. 문화

다케슈와리 사원 경내


다카는 도시의 수호 여신인 다케슈와리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케슈와리 사당은 다카 시 람나에 있다.[16] 방글라데시에는 힌두교, 이슬람교, 불교, 민속 종교, 신, 관습이 혼합된 문화가 존재한다. 사원과 모스크에서 예배가 교류되고, 종교 민속 음악 모임(특히 바이슈나바 모임과 이슬람 수피 사이)이 열린다. 힌두교도와 이슬람교도 모두 인정하는 민속 신으로는 천연두의 여신 시탈라, 콜레라의 여신 올라데비, 뱀의 여신 마나사 등이 있다.[17]

5. 3. 군사

파키스탄 독립 이후인 1948년 2월 15일에 동벵골 연대(East Bengal Regiment)가 창설되었다. 신생 파키스탄 육군(Pakistan Army)의 보병은 전적으로 서부 지역 출신으로 구성되어, 동부 지역에 연대를 창설할 필요성이 있었다. 총 8개 대대가 창설되었다.

의경(Paramilitary forces)인 동파키스탄 경비대(East Pakistan Rifles)와 동파키스탄 안사르(East Pakistan Ansars)가 설립되었고, 안사르는 1947-1948년 1947~1948년 인도-파키스탄 전쟁(Indo-Pakistani war of 1947–1948) 중 범죄 및 밀수를 방지하기 위해 1948년 국경 지역에 배치되었다.[9]

5. 4. 종교

1800년경 동벵골(현재 방글라데시)의 인구는 1900만 명이었으며,[12] 그중 56.4%인 1071만 6천 명이 힌두교 신자였다.[13] 이슬람교 신자는 41.9%인 796만 1천 명으로 두 번째로 큰 종교 공동체였다.[14] 나머지 1.7%인 32만 3천 명은 불교, 샤머니즘, 기독교 신자였다.

동벵골에서 이슬람교는 정복보다는 개종을 통해 확산되었다. 많은 벵골인들은 불교에 불만을 느끼고, 동벵골 인구 대다수를 하층 카스트로 몰아넣었던 힌두교에 반대하며, 모든 인간은 신 앞에 평등하다는 이슬람 교리에 매료되었다. 그러나 그들은 많은 옛 의식을 유지했고, 그것들을 새로운 신앙에 통합했다.[15]

방글라데시의 수도인 다카의 이름은 도시의 수호 여신인 다케슈와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케슈와리 사당은 다카 시 람나에 있다.[16]

21세기 현재, 동벵골 지역은 방글라데시로 존재하며, 인구 통계 및 헌법상 이슬람 국가이다. 방글라데시는 이슬람교가 국교이다.[19]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방글라데시 인구 1억 6,520만 명 중 91.1%인 1억 5,049만 명이 이슬람교를, 7.9%인 1,305만 명이 힌두교를, 0.6%인 99만 1,000명이 불교를, 0.3%인 49만 5,000명이 기독교를, 0.1%인 16만 5,000명이 기타 종교를 믿는다.[20]

참조

[1] 서적 Civil Insurgency in Burma Ministry of Information (Myanmar)
[2] 서적 The Union of Burma: A Study of the First Year of Independence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Pakistan: Rule of Muslim League and Inception of Democracy (1947-54) Jang Publications
[4] 간행물 Chronology January 1, 1954 – December 31, 1954 1954-12-00
[5] Banglapedia
[6] 서적 Land of Two Rivers: A History of Bengal from the Mahabharata to Mujib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7]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lations, Foreign Affairs & policy, Benazir Bhutto - PIIA http://www.piia.org.[...] 2018-07-02
[8] 웹사이트 Statesmen of Bangladesh http://www.worldstat[...] 2009-04-18
[9] Banglapedia
[10] 웹사이트 A Bleak Future for Bangladesh Hindu's https://www.hinduism[...] 2000-02-00
[11] 웹사이트 Population of Bangladesh 1800-2020 https://www.statista[...]
[12] 웹사이트 Population of Bangladesh 1800-2020 https://www.statista[...]
[13] 웹사이트 A Bleak Future for Bangladesh Hindu's https://www.hinduism[...] 2000-02-00
[14] 뉴스 Truth, half-truth and statistics https://timesofindia[...]
[15] 서적 Bangladesh: A Handbook CIA 1982-11-00
[16] 웹사이트 Dhaka https://www.britanni[...]
[17] 웹사이트 Religion in Bangladesh and Hindus, Christians and Buddhists There | Facts and Details https://factsanddeta[...]
[18] 뉴스 Census 2022: Bangladesh population now 165 million https://www.dhakatri[...] 2022-07-27
[19]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Bangladesh | 2A. The state religion http://bdlaws.minlaw[...]
[20] 뉴스 Census 2022: Bangladesh population now 165 million https://www.dhakatri[...] 2022-07-27
[21] 웹사이트 Statesmen of Bangladesh http://www.worldstat[...] 2009-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