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클랜드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포클랜드섬은 면적이 6605 km²인 포클랜드 제도의 주요 섬으로, 두 개의 육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도 스탠리가 위치해 있다. 섬은 지형적으로 고생대 암반으로 이루어진 북부 지역과 중생대 사암으로 이루어진 남부의 라포니아로 나뉘며, 주요 산업은 어업, 양 목축업, 관광업이다. 1764년 프랑스에 의해 처음 정착된 후 아르헨티나의 영유권 주장이 있었으나, 1833년 영국이 재점령하여 통치해왔다. 1982년 포클랜드 전쟁의 주요 전장이었으며, 현재는 영국 군사 주둔이 강화되고 섬 내 교통 시설이 개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클랜드 제도의 섬 - 서포클랜드섬
서포클랜드섬은 포클랜드 제도의 섬으로, 펭귄과 가마우지 군락지이며 과거 포클랜드 섬 여우가 서식했으나 멸종되었고, 현재 200명 미만의 인구가 거주하며, 영국 공군 기지가 위치하고 포클랜드 전쟁 당시 공격을 받았다. - 포클랜드 제도의 섬 - 웨델섬
웨델섬은 포클랜드 제도에 속한 섬으로, 물개 사냥 거점, 해군 기지, 탐험대 침몰지 등 역사적 사건의 무대이자 양 사육, 어업, 관광, 해상 탄화수소 탐사 등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 아남극의 섬 - 오클랜드 제도
오클랜드 제도는 뉴질랜드 남섬 남쪽에 위치한 화산섬들로, 폴리네시아인 거주, 물개잡이 기지 이용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국립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해양 조류를 보호한다. - 아남극의 섬 - 케르겔렌 제도
케르겔렌 제도는 인도양 남부에 위치한 프랑스령 군도로, 그랑드테르 섬과 300개 이상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772년 발견 이후 환경 파괴를 겪었으나 현재는 과학 연구 기지이자 자연보호구역으로서 생태계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인, 과학 연구의 중요한 거점이자 다양한 작품의 배경이 되는 곳이다.
동포클랜드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유형 | 섬 |
다른 이름 | 스페인어: 이슬라 솔레다 |
위치 | 대서양 |
군도 | 포클랜드 제도 |
면적 | 6,605 제곱킬로미터 |
면적 순위 | 포클랜드 제도 내 1위 |
인구 | 2,829명 (2016년 기준) |
인구 순위 | 포클랜드 제도 내 1위 (거주 섬 기준) |
최고 고도 | 705 m (2,313 ft) |
최고 지점 | 마운트 우스본 |
행정 구역 | 포클랜드 제도 |
가장 큰 정착지 | 스탠리 |
지리 | |
면적 | 6,605 제곱킬로미터 |
최고점 | 758 m |
행정 및 정치 | |
국가 | 영국 (실효 지배) |
주장 국가 | 아르헨티나 티에라델푸에고 주 |
2. 지리
동포클랜드섬은 포클랜드 제도의 가장 큰 섬으로, 면적은 6605km2에 달하며 이는 섬 전체 면적의 절반이 조금 넘는다.[2] 이 섬은 거의 비슷한 크기의 두 개의 주요 육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깊은 피오르인 쇼이절 사운드와 브렌턴 로크-그란섬 사운드에 의해 거의 양분된다. 이 두 피오르는 폭 2.2km의 좁은 지협으로 분리되어 있으며[3], 이 지협을 통해 남쪽의 라포니아 지역이 동포클랜드섬 북부와 연결된다. 섬의 해안선 길이는 1668.7km에 달하며, 수많은 작은 만, 좁은 해안, 그리고 곶으로 이루어져 있다.[2] 포클랜드 제도의 최고봉인 마운트 어스본(해발 705m)이 이 섬에 위치한다.[6]
인구는 약 1,600명으로 대부분 섬의 북반부에 거주하며, 포클랜드 제도의 수도인 스탠리가 이곳에 있다. 그 외 주요 정착지로는 포트 루이스, 더글러스, 포트 산 카를로스, 산 카를로스, 살바도르, 존슨스 하버, 피츠로이, 메어 하버, 구스 그린, 다윈, 노스 암 등이 있다. 섬에는 두 개의 국제 공항이 있으며, 주요 산업은 어업, 목양, 관광이다.
동쪽 쇼이절 사운드 북쪽 해안의 버사 해안 일대는 얕은 여울, 켈프 해조류 숲, 암석 해안, 이탄지, 연안 담수 석호 및 ''Poa flabellata'', ''Erigeron incertus'' 등의 식생이 특징적이다. 이곳은 후나 가모, 마젤란 기러기, 켈프 거위, 검은 갈색 울새, 물개, 젠투 펭귄 등 다양한 야생동물의 서식지이며, 2001년 해안의 디렉션 섬(Direction Island) 일대와 함께 람사르 협약 등록지로 지정되었다.[9]
2. 1. 북부 지역
섬의 북부는 쇼이절 사운드에 접한 해안 지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고생대 석영암과 점판암 형태의 암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암반은 거친 지형과 해안선을 형성하며 토양을 척박하고 산성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4] 주요 산맥인 600m 높이의 위컴 하이츠는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다.[5] 이 산맥의 최고봉이자 포클랜드 제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해발 705m의 마운트 어스본이다.[6] 산맥에서 떨어진 지역은 주로 완만한 저지대로, 목초지와 늪이 혼합되어 있고, 얕은 담수 호수가 많으며, 계곡에는 작은 시내가 흐른다. 버클리 사운드와 포트 윌리엄이라는 두 개의 만은 섬의 북동쪽 끝까지 깊숙이 들어가 해운을 위한 정박지를 제공한다.2. 2. 남부 지역 (라포니아)
동포클랜드섬의 남부 지역인 라포니아 반도는 북부 지역과 좁은 지협으로 연결되어 있다. 라포니아는 북부 지역의 고생대 암석보다 젊은 중생대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어, 섬의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평탄한 지형을 이룬다.[4] 이 지역에서는 마운트 사이먼, 돌밭, 황야, 늪과 같은 다양한 지형 경관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집시 코브는 아름다운 경치로 유명하다.3. 인구 및 기반 시설
동포클랜드섬의 면적은 6605km2로, 포클랜드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다. 인구는 약 1,600명으로 대부분 섬의 북반부에 거주하고 있다. 섬 남부의 라포니아 반도(Lafonia) 지역과는 좁은 지협으로 연결되어 있다. 섬의 최고 지점은 아스본 산(Mount Usborne)으로 높이는 758m이다. 주요 산업은 어업, 목양, 관광이다.
3. 1. 정착지

스탠리는 포클랜드 제도의 수도이자 주요 항구이며 동포클랜드섬에 위치한다. 섬의 성공회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도 스탠리에 있다.

버클리 사운드 꼭대기에 있는 포트 루이스는 한때 정부 소재지였다. 그러나 정박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는 단점 때문에, 1844년경 스탠리 항구(포트 윌리엄) 내의 보호된 만에 새로운 마을이 조성되었고 필요한 공공 건물이 세워지면서 수도 기능을 이전했다.
그 외 다른 정착지로는 포트 루이스, 다윈, 더글러스, 포트 산 카를로스, 산 카를로스, 살바도르, 존슨 항구, 피츠로이, 마레 항구, 구스 그린, 노스 암 등이 있다.
3. 2. 교통
동포클랜드섬에는 포장된 활주로를 갖춘 두 개의 공항인 포트 스탠리 공항과 RAF 마운트 플레전트가 있다. 스탠리 근처의 펨브로크 곶에는 등대가 있다. 포클랜드 제도의 몇 안 되는 도로 대부분이 동포클랜드섬에 있다.4. 경제
섬의 주요 산업은 어업, 양 목축업, 관광업이다. 일부 귀리도 재배되지만, 습도가 높고 토양이 산성이어서 토지는 주로 방목에 사용된다.
스탠리는 군도의 수도이자 경제 중심지 역할을 하며, 많은 크루즈 선이 이곳에 정박한다.
RAF 마운트 플레전트 역시 상당한 경제적 기여를 한다. 이곳에 주둔하는 수백 명 규모의 영국군은 섬의 적은 인구(약 2천 명 미만)를 고려할 때 상당한 경제적 비중을 차지한다.
그 외 소규모 산업으로는 말과 소 사육이 있으며, 최근 섬에서 가치 있는 광물 매장 가능성을 시사하는 증거도 발견되었다.
5. 역사
동포클랜드섬에 대한 최초의 영구 정착은 1764년 프랑스의 탐험가 루이 드 부겐빌이 버클리 사운드 지역에 포트 루이스(Port Louis)를 설립하면서 시작되었다. 당시 정착민 중에는 프랑스 브르타뉴 지역 출신이 많았는데, 이들은 자신들의 고향인 생말로(Saint-Malo) 항구의 이름을 따서 이 섬들을 Îles Malouines|일 말루인fra(생말로의 섬들)라고 불렀다. 이 프랑스어 이름은 이후 스페인어로 옮겨지면서 Islas Malvinas|이슬라스 말비나스spa가 되었고, 이는 오늘날 아르헨티나가 포클랜드 제도를 부르는 명칭의 기원이 되었다.
수년 동안 포트 루이스는 동포클랜드섬뿐만 아니라 포클랜드 제도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정착지였으며, 이후 영국과 스페인(그리고 그 계승 국가인 아르헨티나) 사이의 영유권 분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19세기 초 아르헨티나의 영유권 주장 시도와 잠시 동안의 정착 노력, 그리고 1833년 영국의 재점령을 거치면서 섬은 영국의 통치 하에 놓이게 되었다.
5. 1. 아르헨티나의 영유권 주장
1820년 10월, 데이비드 주엣 대령이 지휘하는 사략선 프리깃함 ''Hero이나''가 폭풍으로 손상되어 포클랜드 제도에서 피난처를 찾았다. 이 배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사업가 패트릭 린치가 고용한 것으로, 린치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최고 지도자 호세 론도로부터 사략 허가를 받았다. 1820년 11월 6일, 주엣은 포트 루이스에 라플라타 연합의 국기를 게양하고, 남부 연합(훗날의 아르헨티나)의 이름으로 군도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그러나 제임스 웨델과 같은 당시 목격자들은 이 행위가 단순히 프랑스 난파선에 대한 구조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했다.1823년, 아르헨티나는 호르헤 파체코와 루이스 베르네에게 어업권을 부여했다. 첫 탐험은 실패로 돌아가 파체코는 사업을 포기했지만, 베르네는 1826년 두 번째 탐험을 시도했다. 이 역시 브라질의 봉쇄 등으로 실패했으나, 1828년 마침내 푸에르토 소레다드에 정착지를 건설하는 데 성공했다. 베르네는 탐험 이전에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영국 영사관에 자신의 사업 계획을 알리고 허가를 구했으며, 이후에도 진행 상황을 보고하며 영국에 영구적인 주둔군 설립을 촉구하기도 했다.
1829년, 베르네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정부에 해군 함선 지원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대신 정부는 베르네를 군도의 총독으로 임명하고 자신의 자원으로 활동하도록 허가했다. 영국 영사는 이에 공식적으로 항의했으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 베르네는 영국 영사에게 자신의 관심사는 순전히 상업적인 것이라고 강조하며 다시 한번 영국이 섬에 영구적인 주둔지를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베르네는 공식적으로 총독으로 임명된 첫 인물이지만, 현대 아르헨티나 문서는 주엣과 파체코 역시 '총독'이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후 "푸에르토 루이스"로 이름이 바뀐 정착지는 바다표범 사냥 기지이자 작은 어항이 되었다. 베르네는 자신이 선포한 바다표범 사냥 독점권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미국 배 ''해리엇''을 나포했다. 그러나 이 독점권은 미국이나 영국 정부 모두 인정하지 않았으며, 양국 영사들은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했다. 나포된 배의 재산은 압수되었고, 선장은 재판을 위해 부에노스아이레스로 보내졌으며 베르네도 동행했다. 아르헨티나 주재 미국 영사는 베르네의 행동에 강하게 항의하며 미국은 포클랜드 제도에 대한 아르헨티나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미국 영사는 압수된 재산과 다른 미국 선박들을 되찾기 위해 렉싱턴 호를 푸에르토 루이스로 파견했다. 1832년, 렉싱턴 호는 푸에르토 루이스를 공격했다. 이 공격은 나중에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재 미국 대사에 의해 묵인되었으며, 그는 포클랜드 제도가 어떤 통치권에도 속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현대 아르헨티나는 당시 미국인들이 정착지를 완전히 파괴했다고 주장하지만, 렉싱턴 호의 던컨 함장 일지에는 대포와 화약 저장고를 파괴했다고만 기록되어 있다. 던컨 함장은 베르네 정착지의 고위 인사 7명을 해적 혐의로 체포하고, 떠나기를 원하는 정착민들에게 몬테비데오로 가는 교통편을 제공했다. 베르네가 섬의 실상에 대해 자신들을 속였다고 주장한 정착민 대다수가 떠나기로 결정했다. 이 사건 이후 베르네는 총독직에서 사임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에스테반 메스티비에르를 후임 총독으로 임명하고 섬에 징역형 식민지를 설립하려 했으나, 메스티비에르는 도착 직후 부하들에게 살해당하면서 정착지는 혼란에 빠졌다.
5. 2. 영국의 재점령 및 통치
1832년 USS ''렉싱턴'' 호가 푸에르토 루이스를 공격하여 혼란에 빠진 상황을 계기로, 영국은 포클랜드 제도에 대한 영향력을 다시 행사하기 시작했다. 1833년 1월 3일, 영국 해군 함선이 도착하여 아르헨티나 주둔군에게 철수를 요청했다. (이는 포클랜드 제도에 대한 영국의 재건 (1833)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정착지에 남아 있던 민간인들은 계속 머물도록 권유받았다. 영국은 기존의 "푸에르토 루이스"라는 이름을 "앤슨스 하버"(Anson's Harboureng)로 바꾸었으나, 곧 원래 프랑스 정착지의 이름(포트 생 루이스)을 따라 "포트 루이스"(Port Louiseng)로 다시 변경했다. 이곳은 영국의 해군 주둔지이자 민간 정착지로 기능하게 되었다.얼마 지나지 않아 HMS 비글호의 두 번째 항해 중 섬에 대한 측량이 이루어졌다. 이때 찰스 다윈과 함장 로버트 피츠로이가 동행했으며, 이들의 이름을 딴 정착지 다윈(Darwin)과 피츠로이(Fitzroy)가 나중에 세워졌다. 1833년 3월 섬을 방문한 다윈은 당시 상황에 대해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은 기록을 남겼다. 그는 『비글호 항해기』에서 프랑스, 스페인, 영국이 영유권을 다투다 결국 버려진 섬을 부에노스아이레스 정부가 개인에게 팔고 징역형 식민지로 사용했으며, 영국이 다시 점령한 후에도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고 묘사했다.
1836년 11월 조지 그레이 제독이, 1837년에는 로케이가 섬을 추가로 측량했다. 그레이 제독은 동포클랜드의 첫인상을 "흐리고 암울하며 나무 없는 언덕"으로 묘사하며 스코틀랜드의 겨울 풍경과 비슷하다고 기록했지만, 기온 자체는 약 17.2°C (약 17°C) 정도로 춥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1845년, 몬테비데오의 부유한 상인 새뮤얼 피셔 라폰은 영국 정부로부터 동포클랜드 남부 반도와 섬의 모든 야생 소에 대한 권리를 획득했다. 그는 600000acre에 달하는 이 지역을 1만파운드를 선지급하고, 1852년부터 10년간 2만파운드를 추가로 지불하는 조건으로 매입했다.

1851년, 포클랜드 제도 회사(Falkland Islands Company)가 설립되어 라폰의 지분을 3만파운드에 인수했다. 이 지역은 이후 라포니아(Lafonia)로 불리게 되었다. 라폰 자신은 한 번도 포클랜드 제도를 방문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그의 사업 흔적으로는 호프 플레이스(Hope Place)의 유적과 다윈 지역의 돌 울타리 등이 남아있다.
1859년에는 다윈 마을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19세기 초까지는 소 사육이 주를 이루었으나, 1850년대 이후 동포클랜드의 주요 산업은 양 사육으로 전환되었다.
1925년에는 라포니아 지역의 개울 위에 보디 현수교(Boddy Suspension Bridge)가 건설되었다. 이 다리는 세계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현수교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도 보행자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5. 3. 포클랜드 전쟁
1982년 4월, 아르헨티나는 동포클랜드섬을 침공하며 포클랜드 전쟁이 시작되었다. 침공 가능성은 이미 3월 31일에 영국 정부로부터 렉스 헌트 총독에게 전달된 상태였다. 헌트 총독은 즉시 스탠리의 총독 관저에서 해군 파견대 8901 소속 영국 해병대 선임 장교 두 명(마이크 노먼 소령, 게리 노트 소령)과 방어 대책을 논의했다. 당시 영국군 병력은 해병 68명과 수병 11명에 불과했으나, 주둔군 교체 시기와 맞물려 평소보다 많은 인원이 있었다. 여기에 포클랜드 제도 방위군 (FIDF) 소속 자원 민병대 25명(필 솜머스 소령 지휘)이 합류하여 전화 교환소, 라디오 방송국, 발전소 등 주요 시설 경계를 맡았다. 또한 민간 선박 ''포레스트''호(잭 솔리스 선장 지휘)는 스탠리 앞바다에서 임시 레이더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동포클랜드섬은 포클랜드 전쟁 당시 대부분의 육상 전투가 벌어진 격전지였다. 주요 전투 지역으로는 구스 그린, 산 카를로스, 마운트 롱던, 투 시스터스 능선 등이 있으며, 이곳에서 치열한 교전이 벌어졌다.[8] 이 외에도 구스 그린 전투, 해리엇 산 전투, 투 시스터스 전투, 롱던 산 전투, 텀블다운 산 전투, 와이어리스 능선 전투 등이 동포클랜드섬에서 벌어진 주요 전투들이다.
전쟁의 여파로 동포클랜드섬의 일부 지역, 특히 "캠프"라고 불리는 농촌 지역에는 상당한 양의 지뢰가 매설되었다. 이 지뢰들은 전쟁 후 수십 년간 남아 있었으나, 지속적인 제거 작업 끝에 2020년 포클랜드 제도 전역에서 모든 지뢰가 완전히 제거되었다.
6. 현재
포클랜드 전쟁 이후, 영국은 동포클랜드섬에 대한 군사적 주둔을 강화했다. 포클랜드 제도 정부는 스탠리 및 제도 주변의 교통 시설 개선에 많은 투자를 했으며, 여러 도로를 포장했다. 스탠리의 성장으로 인구는 증가했지만, 캠프에서는 인구가 감소했다. 제도의 개선 사항 대부분은 동포클랜드섬에서 이루어졌다.
참조
[1]
웹사이트
2016 Census Report
http://www.fig.gov.f[...]
Policy and Economic Development Unit, Falkland Islands Government
[2]
웹사이트
D2.1.1 Inventory Report
http://www.eea.europ[...]
European Commission
2012-10-06
[3]
기타
Measured on Google Earth
[4]
간행물
Falkland Islands State of the Environment Report 2008.
http://www.epd.gov.f[...]
Falkland Islands Government and Falklands Conservation
2012-10-10
[5]
웹사이트
Falkland Islands
http://southseas.nla[...]
South Seas: South Seas Companion
2004-03-02
[6]
웹사이트
(Falkland Island) Location
http://www.falklands[...]
The Falkland Islands Government
2010-03-05
[7]
논문
The enigma of guanacos in the Falkland Islands: the legacy of John Hamilton: Guanacos of the Falkland Islands
2005-03-10
[8]
웹사이트
British Triumph on East Falkland
http://www.globalsec[...]
Marine Corps Command and Staff College
1984-04-01
[9]
웹사이트
Bertha's Beach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4-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