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베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베히어는 스리랑카의 싱할라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도아리아어의 일종으로, 몰디브 공화국의 공용어이다. 타나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아랍어와 유사하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 디베히어는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우르두어, 힌디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차용된 어휘를 포함한다. 디베히어의 날은 4월 14일이며, 몰디비아어는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고, 방언의 다양성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베히어 - 타나 문자
타나 문자는 몰디브에서 사용되는 문자로, 아랍 숫자 기반 자음과 아랍어 모음 체계를 차용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로쓰기하는 18세기에 등장한 문자이며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다. - 남인도아리아어군 - 콘칸어
인도 서부 콘칸 지역에서 사용되는 콘칸어는 인도아리아어족에 속하며, 다양한 문자 체계와 방언을 가지고 있고, 고아의 공용어이자 인도 헌법상 공식 언어이다. - 남인도아리아어군 - 마라티어
마라티어는 인도 마하라슈트라 주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아리아어족 언어로, 고아 주에서도 공용어이며, 초기 프라크리트어에서 파생되어 13세기부터 문학 작품이 등장했고, 현대에는 발보드 문자를 사용하며 인도 헌법에 의해 지정 언어이자 2024년 고전 언어로 인정받았다.
디베히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디베히어 |
다른 이름 | 몰디브어 |
로마자 표기 | Dhivehi |
발음 (IPA) | [d̪iʋehi] |
발음 (한글) | 디베히 |
사용 국가 | 몰디브 미니코이 섬 (말리쿠) |
사용자 민족 | 몰디브인 |
사용자 수 | 499,500명 (2022년)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 인도이란어파 - 인도아리아어군 - 남부 인도아리아어군 - 도서 인도아리아어군 - 싱할라-몰디브어군 |
문자 | 타나 문자 (현재) 디베스 아쿠루 (19세기까지) |
공용 국가 | 몰디브 |
언어 관리 기관 | 디베히 아카데미 |
언어 코드 | |
ISO 639-1 | dv |
ISO 639-2 | div |
ISO 639-3 | div |
Glottolog | dhiv1236 |
IETF | dv-MV |
지도 정보 | |
음성 정보 | |
음성 | Dhivehi Sign Language |
기타 | |
참고 | IPA 발음 표기 |
2. 역사
디베히어는 인도아리아어에 속하며, 스리랑카의 싱할라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두 언어는 고대 및 중세 스리랑카의 엘루 프라크리트어에서 파생되었다.[7] 초기 형태의 디베히어는 12세기와 13세기의 ''lōmāfānu|로마파누디베히어''(구리판 증서)에 기록되어 있다.[6] 16세기 이후 타나 문자라는 독특한 문자로 표기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아랍 문자와 마찬가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 과거에는 디베스 아쿠루 문자를 사용했으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썼다. 20세기까지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14] 싱할라어 언어학자 M. W. S. 데 실바는 디베히어와 싱할라어가 공통 조상 언어에서 분기되었다고 제안했다.[8] 빌헬름 가이거는 몰디브어와 싱할라어의 역사적 언어 분석의 기초를 마련했다.[5] 20세기 중반, 몰디브 정부는 라틴 문자 기반의 표기법을 도입하려 했으나, 타나 문자가 복원되었다.
디베히어는 아랍 문자와 같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타나 문자를 사용한다. 섬이 널리 분포되어 있어 방언 차이가 크다. 권설 'n' (ޱ)는 1950년 모하메드 아민 디디 (몰디브의 초대 대통령) 통치 기간에 공식 문서에서 폐지되었다.[12]
3. 특징
디베히어는 스리랑카의 싱할라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인도아리아어이다. 디베히어와 싱할라어는 함께 현대 인도아리아어 내의 하위 그룹을 구성하며, 이를 도서 인도아리아어라고 한다. 그러나 상호 이해는 불가능하다.[7] 디베히어와 싱할라어는 고대 및 중세 스리랑카의 엘루 프라크리트어에서 파생되었다. 이 프라크리트어들은 원래 베다 산스크리트어와 관련된 고대 인도아리아어 방언에서 유래되었다. 1969년 싱할라어 언어학자 M. W. S. 데 실바는 디베히어와 싱할라어가 공통 조상 언어에서 분기되었다고 처음으로 제안했다.[8]
디베히어는 스리랑카와 지리적으로 가까워 싱할라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현대 디베히어 구축에는 영어, 힌디어, 프랑스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등도 영향을 미쳤다.
1700년경까지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였으나, 몰디브에서 이슬람교가 보급됨에 따라 아랍어의 영향을 받아 서서히 오른쪽에서 쓰게 되었다. 20세기 전반부터는 공용 문서도 오른쪽에서 쓰게 되었으며, 1960년대에는 고립된 섬에 남아있던 좌서 사용자가 사라졌다.
모하메드 아민 디디 통치 기간 동안, ޱ디베히어 문자는 ޏ디베히어로 대체되었으며, ޝ디베히어 문자는 (점 붙은 타나 문자) 중 하나로 간주되었다.
문자의 배열은 과거에는
: ހ ށ ނ ރ ބ ޅ ކ އ ވ މ ފ ދ ތ ލ ގ ޱ ސ ޑ ޝ ޒ ޓ ޏ ޔ ޕ ޖ ޗ디베히어
의 순서였으나, 현재는
: ހ ށ ނ ރ ބ ޅ ކ އ ވ މ ފ ދ ތ ލ ގ ޏ ސ ޑ ޒ ޓ ޔ ޕ ޖ ޗ디베히어
가 되었다.
표기에는 모음 부호를 사용하는 독특한 타나 문자를 사용하며, 단어별로 띄어쓰기를 한다. 또한 과거에는 브라흐미 계열 문자인 디베스 아쿠루 문자를 사용했다.[20]
3. 1. 방언
몰디브어는 섬이 널리 분포되어 있어 여러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수세기 동안 발음과 어휘에 차이가 발생했다. 이 언어의 가장 분화된 방언은 남쪽 환초, 즉 후바두, 푸바물라 및 아두에서 발견된다. 다른 변종들은 공식 방언과 차이가 적으며, 콜후마둘루 환초의 몇몇 섬에서 사용되는 방언과 기라바루에서 한때 사용되었던 지금은 쓰이지 않는 방언을 포함하며, 이는 거의 인식되지 않고 알려져 있지 않다.[13]
많은 인도 언어(구자라트어, 힌디어 등)에 공통적인 권설 ''n'' 소리를 나타내는 문자 Ṇaviyani (ޱ)는 1950년 무하마드 아민에 의해 공식 문서에서 폐지되었다.[12] Ṇaviyani가 타나 알파벳에서 가푸와 시누 사이에서 차지했던 이전 위치는 오늘날 구개 비음 Ñaviyani (ޏ)가 차지하고 있다. 이는 ބޮޑު ތަރުތީބު|Boḍu Tarutību디베히어와 같은 전통적인 옛 책의 재판본과 ''Rādavaḷi''와 같은 공식 문서에서도 여전히 볼 수 있다. 또한 남쪽 환초의 사람들이 자신의 언어 변종으로 노래나 시를 쓸 때 사용한다.
Sonja Fritz에 따르면, "몰디브어 방언은 언어의 발달에서 서로 다른 공시적 단계를 나타낸다. 특히 형태론 분야에서, 고어적 특징의 양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꾸준히 증가한다. 몰디브의 세 개의 가장 남쪽 환초 내에서, 전체 군도의 남쪽 끝을 형성하는 아두 섬의 방언은 최고 수준의 고어성을 특징으로 한다".[13]
그러나 후바두 환초 방언은 최고 수준의 고어성을 특징으로 한다. 후바두 환초에서 고어적 특징은 남쪽과 북쪽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4. 문법
몰디브어는 이중 언어 사용을 보여주는데, 이는 구어체와 문어체가 구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문어 형태를 가진 언어는 어느 정도 이러한 구별이 있지만, 몰디브어를 포함한 많은 아시아 언어들은 두 언어 형태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인다. 말레 방언과 말리쿠 방언만이 일반적으로 문어체에서 사용된다.
구어체 몰디브어는 27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지만, 문어체 몰디브어는 일부 아랍어 음가를 포함한다. 이 소리들은 말하기에서도 사용되지만, 그 음운론은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는다.
문어체 몰디브어의 모든 문장은 ve|베디베히어가 추가되어 끝나는데, 이는 구어체 몰디브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ve|베디베히어를 사용할 때는 엄격한 어순도 지켜야 하지만, 구어체 몰디브어에서는 어순이 그렇게 엄격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문어체 몰디브어에서 매우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글자 alif|알리프디베히어와 shaviyani|샤비야니디베히어에 있는 ‘수쿤’이다. Sukun|수쿤디베히어은 일반적으로 그것이 놓인 글자의 소리에 대한 갑작스러운 멈춤(모음 삭제)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4. 1. 명사
명사는 정해성, 수, 격에 따라 굴절된다. 정해성은 정해, 부정, 불특정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수는 단수 또는 복수일 수 있다. 격은 주격, 여격, 탈격, 소유격, 처격, 도구격 또는 강조격 중 하나일 수 있다.[1]디베히어 명사류(nominal) 체계에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수사가 품사로 포함된다.[1]
4. 2. 동사
몰디브어의 동사 체계는 능동 동사, 사역 동사, 비자발적(또는 자동사) 동사 형태 사이의 파생적 관계가 특징이다.[1]4. 3. 어순
단어 순서는 영어만큼 엄격하지 않지만, 문장에서 단어의 순서를 변경하면 미묘한 의미 차이를 전달할 수 있다. 시장에서 생선을 달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은 단어를 사용한다: mashah|나에게디베히어, mas|생선디베히어, vikkaa|팔다디베히어. 이 단어들은 의미 변화 없이 다음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mashah mas vikkaa|나에게 생선을 팔아주세요.디베히어
- mas mashah vikkaa|나에게 생선을 팔아주세요.디베히어
- mas vikkaa mashah|나에게 생선을 팔아주세요.디베히어
- mashah vikka mas|나에게 생선을 팔아주세요.디베히어
- vikka mas mashah|나에게 생선을 팔아주세요.디베히어
- vikka mashah mas|나에게 생선을 팔아주세요.디베히어
mashah|나에게디베히어는 문맥상 명확하면 생략할 수 있다.
5. 어휘
디베히어는 아랍어, 페르시아어, 포르투갈어, 우르두어, 힌디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차용어를 받아들였다.[6] 이러한 차용어는 사람, 사물, 행위를 나타낼 때 각각 다른 접미사를 사용하여 디베히어에 통합된다.
- 사람을 나타내는 차용어:
- އެހ|eh디베히어: 불특정 단수
- އުނ|un디베히어: 복수
예시:
- 웨이터 (ވެއިޓަރު|veitar디베히어) + eh = 한 명의 웨이터 (ވެއިޓަރެއް|veitareh디베히어)
- 웨이터 (ވެއިޓަރު|veitar디베히어) + un = 웨이터들 (ވެއިޓަރުން|veitarun디베히어)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단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단어 | 의미 |
---|---|
އެކްޓަރު|ektaru디베히어 | 배우 |
އޭޖެންޓު|ejentu디베히어 | 요원 |
އެމްބެސެޑަރު|embesedaru디베히어 | 대사 |
އާކިޓެކްޓު|aakitektu디베히어 | 건축가 |
ބޮޑީގާޑު|bodeegaadu디베히어 | 보디가드 |
ކޭޝިއަރު|keyshiyaru디베히어 | 출납원 |
ޑިރެކްޓަރު|direktaru디베히어, ޑައިރެކްޓަރު|dairektaru디베히어 | 이사 |
ޑަކްޓަރު|daktaru디베히어 | 의사 |
ޑްރައިވަރު|duraivaru디베히어 | 운전사 |
ގާޑު|gaadu디베히어 | 경비원 |
އިންސްޕެކްޓަރު|inspektaru디베히어 | 검사관 |
މެނޭޖަރު|meneyjaru디베히어 | 매니저 |
މިނިސްޓަރު|ministaru디베히어 | 장관 |
އޮޕަރޭޓަރު|opareytaru디베히어 | 교환원 |
ޕްރޮޑިއުސަރު|purodiusaru디베히어 | 프로듀서 |
ސާޖެންޓު|saajentu디베히어 | 하사관 |
ސާވެންޓު|saaventu디베히어 | 하인 |
- 사물을 나타내는 차용어:
- އެހ|eh디베히어: 불특정 단수
- އުތަހަ|uthah디베히어: 복수
예시:
- 자동차 (ކާރު|kaar디베히어) + އެހ|eh디베히어 = 한 대의 자동차 (ކާރެއް|kaareh디베히어)
- 자동차 (ކާރު|kaar디베히어) + އުތަހަ|uthah디베히어 = 자동차들 (ކާރުތައް|kaaruthah디베히어)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단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단어 | 의미 |
---|---|
ބައިސިކަލު|baisikalu디베히어 | 자전거 |
ބިލު|bilu디베히어 | 청구서 |
ކޭބަލު|keybalu디베히어 | 케이블 |
ކޭކު|keyku디베히어 | 케이크 |
ކޯޓު|koatu디베히어 | 코트 |
ކައުންޓަރު|kauntaru디베히어 | 카운터 |
ޕާރިސަލު|paarisalu디베히어, ޕާރުސަލު|paarusalu디베히어 | 소포 |
ޓިކެޓު|tiketu디베히어 | 티켓 |
- 행위를 나타내는 차용어:
- 의도적인 행위: ކުރޭ|kure디베히어 (현재), ކުރަނީ|kuranee디베히어 (현재 진행형), ކޮށްފި|koffi디베히어 (현재 완료), ކުރި|kuri디베히어 (과거), ކުރާނެ|kuraane디베히어 (미래)
- 의도치 않은 행위: ވޭ|ve디베히어 (현재), ވަނީ|vanee디베히어 (현재 진행형), ވެއްޖެ|vejje디베히어 (현재 완료), ވި|vi디베히어 (과거), ވާނެ|vaane디베히어 (미래)
예시:
- ކެންސަލް|kensal디베히어 + ކުރޭ|kurey디베히어 = 취소 (명령)
- ކެންސަލް|kensal디베히어 + ކުރަނީ|kuranee디베히어 = 취소하는 중
- ކެންސަލް|kensal디베히어 + ކޮށްފި|koffi디베히어 = 취소됨/취소되었다
- ކެންސަލް|kensal디베히어 + ކުރި|kuri디베히어 = 취소했다
- ކެންސަލް|kensal디베히어 + ކުރާނެ|kuraane디베히어 = 취소할 것이다
- ކެންސަލް|kensal디베히어 + ވަނީ|vanee디베히어 = (저절로) 취소되는 중
- ކެންސަލް|kensal디베히어 + ވެއްޖެ|vejje디베히어 = (저절로) 취소되었다
- ކެންސަލް|kensal디베히어 + ވާނެ|vaane디베히어 = (저절로) 취소될 것이다
디베히어에는 세 가지 수준의 경어 표현이 존재한다.
- މާއިއު ބަސް|maaiy bas디베히어: 과거 왕족에게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존경심을 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 ރީތި ބަސް|reethi bas디베히어: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두 번째 수준이다.
- އާދައިގެ ބަސް|aadhaige bas디베히어: 세 번째 수준이다.
6. 표기 체계
타나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아랍 문자와 같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9] 몰디브어는 알파벳이며, 아랍 아브자드의 모음 부호에서 파생된 필수 모음을 사용한다. 철자는 대체로 음소 문자로,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면 발음으로 예측 가능하고, 발음은 철자로 예측 가능하다.
타나의 기원은 세계의 알파벳 중에서 독특하다. 처음 9개의 문자(h–v)는 아라비아 숫자를, 다음 9개(m–d)는 현지 인도 숫자를 기반으로 한다. (인도-아라비아 숫자 참조). 외래어(t–z) 및 아랍어 음역을 위한 나머지 문자는 음성적으로 유사한 원어민 자음에서 방언을 통해 파생되었으며, y(ޔ디베히어)는 އ|alifu디베히어()와 ވ|vaavu디베히어()를 결합하여 파생된 것을 제외하고 있다. 이는 타나가 원래 셈족 알파벳에서 그래픽적으로 파생되지 않은 몇 안 되는 알파벳 중 하나임을 의미한다. (인도 숫자가 그랬다면, 브라흐미 숫자 참조). 타나 알파벳(ހ|hā디베히어, ށ|shaviyani디베히어, ނ|nūnu디베히어, ރ|rā디베히어, ބ|bā디베히어, ...)은 다른 인도 문자(예: 타밀어) 또는 아랍어 알파벳의 고대 순서를 따르지 않는다.
타나는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 아랍어에서 파생된 방점을 사용하여 모음을 나타낸다. 각 문자는 모음 또는 "무 모음"을 나타내는 ''sukun''을 가져야 한다. 이 규칙의 유일한 예외는 ނ|noonu디베히어()로, 방점을 사용하지 않고 쓰면 뒤따르는 파열음의 비음화를 나타낸다.
모음은 ފިލި|fili디베히어()라고 하는 방점 부호로 쓰여진다. 짧은 모음(a, i, u, e, o)에 대한 다섯 개의 가 있으며, 처음 세 개는 아랍 모음 부호(فتحة|fathaar, كسرة|kasraar 및 ضمة|dammaar)와 동일하다. 긴 모음(aa, ee, oo, ey, oa)은 이중 로 표시되며, oa는 짧은 ޮބޮފިލި|obofili디베히어()의 변형이다.
문자 އ|alifu디베히어()는 성문 파열음을 나타낸다. 세 가지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모음, 즉 단어 시작 모음 또는 이중 모음의 두 번째 부분의 캐리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을 포함하면 뒤따르는 자음의 겹자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އ|alifu디베히어+이 단어의 끝에 오면 단어가 성문 파열음으로 끝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비음의 겹자음은 겹자음화될 비음에 선행하는 ނ|noonu디베히어+으로 표시된다.
"Male 라틴 문자"(지명 로마자 표기 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됨)로도 기록된다.[15] 1970년대 중반, 이브라힘 나시르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몰디브 정부는 지방 행정에 텔렉스 기계를 도입했다. 현지 타나 문자는 텔렉스 기계의 메시지가 라틴 문자로만 작성될 수 있었기 때문에 장애물로 여겨졌다. 이에 따라 1976년 정부는 새로운 공식 라틴어 음역, 디베히 라틴을 승인했고, 이는 행정부에 의해 빠르게 시행되었다. 마문 압둘 가윰 대통령이 1978년 집권한 직후 정부는 타나 문자를 복원했다. 그러나 1976년의 라틴어 표기는 계속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문자의 배열은 과거에는
: ހ ށ ނ ރ ބ ޅ ކ އ ވ މ ފ ދ ތ ލ ގ ޱ ސ ޑ ޝ ޒ ޓ ޏ ޔ ޕ ޖ ޗ디베히어
의 순서였으나, 현재는
: ހ ށ ނ ރ ބ ޅ ކ އ ވ މ ފ ދ ތ ލ ގ ޏ ސ ޑ ޒ ޓ ޔ ޕ ޖ ޗ디베히어
가 되었다.
모하메드 아민 디디 (몰디브의 초대 대통령)의 통치 기간 동안, ޱ디베히어 문자는 ޏ디베히어로 대체되었으며, ޝ디베히어 문자는 (점 붙은 타나 문자) 중 하나로 간주되었다.
과거에는 브라흐미 계열 문자인 디베스 아쿠루 문자를 사용했다.[20]
7. 정보 기술
미니코이의 마할 유닛 프레스는 1984년에 설립되어 몰디브어 텍스트를 인쇄한다. 이 인쇄소는 몰디브어, 영어, 말라얄람어로 ''락샤드위프 타임스''를 발행하며, 락샤드위프 역사상 처음으로 몰디브어가 타이포그래피 분야에 도입되었다.[1]
마할 유닛 프레스의 활동은 다음과 같다.[1]
활동 내용 |
---|
미니코이에 있는 교육부와 자와할 나보다야 학교를 위한 노트 생산 |
표준 I에서 IV까지의 몰디브어 교과서 인쇄 |
유료로 일반 대중의 인쇄 작업 수행 |
타나 문자를 지원하는 오픈 소스 유니코드 글꼴로는 FreeSerif, MPH 2B Damase 등이 있다.[2]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등 다양한 워드 프로세서가 몰디브어를 작성하는 데 사용된다.[2]
참조
[1]
웹사이트
Dhivehi
https://glottolog.or[...]
[2]
웹사이트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div
https://www.loc.gov/[...]
ISO 639-2 Registration Authority – Library of Congress
2017-07-08
[3]
웹사이트
Documentation for ISO 639 identifier: div
http://www-01.sil.or[...]
ISO 639-3 Registration Authority – SIL International
2017-07-08
[4]
서적
The Chambers Dictionary
Chambers
[5]
간행물
Introduction
https://pure.mpg.de/[...]
Cornell Univ. [Ithaca]
[6]
서적
Proposal to encode Dives Akuru in Unicode
https://www.unicode.[...]
Unicode
2018-01-23
[7]
뉴스
The Dhivehi Language: A Descriptive and Historical Grammar of Dhivehi and Its Dialects. 2 vols
http://findarticles.[...]
[8]
문서
de Silva
1970
[9]
웹사이트
Language: Dhivehi
http://glottolog.org[...]
Glottolog
2017-03-09
[10]
서적
Minicoy Language Primer (Maliku Taana – Devana Foiy)
https://www.academia[...]
2006-01
[11]
웹사이트
Dhivehi Language Day in the Maldives
https://anydayguide.[...]
2018-11-03
[12]
문서
Xavier Romero-Frias, The Maldive Islanders: A Study of the Popular Culture of an Ancient Ocean Kingdom
[13]
문서
Fritz
2002
[14]
서적
The Maldivian Script. Volume One. (Divehi Akuru – 1)
https://www.academia[...]
2003-04-10
[15]
웹사이트
Maldivian language and alphabets
https://omniglot.com[...]
2022-02-07
[16]
문서
Clarence Maloney. People of the Maldive Islands
[17]
서적
Dhivehi: The Language of the Maldives
Berlin: De Gruyter Mouton
[18]
문서
Cain and Gair (2000) は奪格および共格を立てず格は5つとしている。Gnanadesikan (2017) は奪格と具格を ablative/instrumental としてまとめている。
[19]
문서
Cain and Gair (2000), p. 16.
[20]
문서
Anshuman Pandey, Proposal to encode Dives Akuru in Unicode, January 23, 2018
https://www.unico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