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람보르기니 미우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람보르기니 미우라는 1966년부터 1973년까지 생산된 이탈리아 스포츠카로, 람보르기니의 엔지니어들이 레이싱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했다. P400, P400S, P400SV, Jota 등의 모델이 있으며, 1968년에는 로드스터 모델도 제작되었다. 미드십 엔진, 후륜구동 방식을 채택했으며, 3.9L V12 엔진을 탑재하여 최고 290km/h의 속도를 낼 수 있었다. 1969년 영화 《이탈리안 잡》에 등장하여 대중에게 알려졌으며, 현재까지도 클래식 스포츠카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 2006년에는 미우라 40주년을 기념하는 컨셉트카가 공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6년 도입된 자동차 - 마쓰다 봉고
    마쓰다 봉고는 1966년부터 마쓰다에서 생산된 캡 오버 스타일의 소형 상용차로, 밴, 트럭, 승합차 등 다양한 라인업과 후륜구동, 전륜구동 방식, 다양한 엔진을 탑재했으며, 기아자동차에서 라이선스 생산한 기아 봉고는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고, 2020년부터는 다이하츠 그란 맥스를 OEM 공급받아 생산되고 있다.
  • 1966년 도입된 자동차 - 토요타 코롤라
    토요타 코롤라는 1966년 출시 이후 변화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자동차로 자리매김한 토요타의 준중형차로, 다양한 파생 모델과 모터스포츠 활동을 통해 폭넓은 소비자층을 확보했다.
  • 람보르기니의 차종 - 람보르기니 우라코
    람보르기니 우라코는 페루치오 람보르기니의 주도로 개발되어 포르쉐 911 등과 경쟁한 2+2 시트 쿠페형 스포츠카로,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하고 V8 엔진을 횡치한 지아코사 레이아웃을 채택하여 출시되었으나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 람보르기니의 차종 - 람보르기니 에스파다
    람보르기니 에스파다는 1968년부터 1978년까지 생산된 4인승 GT 쿠페로, 마르첼로 간디니가 베르토네에서 디자인했으며, V12 엔진을 탑재하고 총 1,217대가 제작되었다.
  • 1960년대 자동차 - 포드 머스탱
    포드 머스탱은 포드 모터 컴퍼니가 생산하는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듭하며 모터스포츠와 대중문화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 1960년대 자동차 - 쉐보레 서버번
    쉐보레 서버번은 1935년 출시되어 12세대에 걸쳐 생산된 풀사이즈 SUV로, 초기에는 목재 부품을 사용한 8인승 스테이션 왜건이었으나 현재는 3열 시트와 V8 엔진을 탑재하여 경찰차, 구급차, 미국 정부 기관 등에서 널리 활용된다.
람보르기니 미우라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1 람보르기니 미우라 P400 SV
1971 람보르기니 미우라 P400 SV
제조사Automobili Lamborghini S.p.A.
생산 기간1966년–1973년
조립 장소이탈리아, 산타가타볼로냐
다음 모델람보르기니 쿤타치
차종스포츠카(S-세그먼트)
차체 스타일2도어 쿠페
레이아웃가로 후방 미드 엔진, 후륜 구동
설계자마르첼로 간디니, Gruppo Bertone
엔진
종류L406 V12
변속기
종류5단 수동 변속기
크기
성능
최고 출력350마력/7,500rpm (P400), 370마력/7,700rpm (S), 385마력/7,850rpm (SV)
최대 토크37.5kg·m/5100rpm (P400), 39.0kg·m/5500rpm (S), 40.7kg·m/5750rpm (SV)
차체 크기 (일본어판 기준)
전장4,360mm
전폭1,700mm (P400, S), 1,780mm (SV, SVJ)
전고1,080mm (P400, S), 1,100mm (SV)
휠베이스2,500mm (P400, S), 2,504mm (SV)
차량 중량980kg/1040kg (P400), 1,075kg (S), 1,245kg (SV)
기타
차대가 공통인 차종람보르기니 이오타

2. 개발

1965년 토리노 모터 쇼에서 공개된 프로토타입 미우라의 섀시


1965년, 람보르기니의 핵심 엔지니어였던 쟝 파울로 달라라, 파올로 스탄자니, 그리고 밥 윌리스는 업무 외 시간을 활용하여 P400이라는 코드명의 프로토타입 개발에 착수했다. 이들의 목표는 레이싱카의 성능을 갖추면서도 일반 도로 주행이 가능한 자동차, 즉 트랙과 도로 모두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자동차를 만드는 것이었다. 세 엔지니어는 회사의 공식적인 지원 없이 비밀리에 개발을 진행하며, 이 프로젝트가 페루치오 람보르기니의 마음을 움직여 정식 프로젝트로 인정받기를 희망했다. 결국, 페루치오 람보르기니는 P400이 가진 마케팅 잠재력을 인정하고 개발을 승인했다.

미우라 개발의 핵심적인 특징은 V12 엔진을 차체 중앙에 가로로 배치한 미드십 구조였다. 이는 당시로서는 매우 혁신적인 시도였으며, 변속기와 차동장치를 엔진과 통합하여 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해야 하는 기술적 어려움이 따랐다. 이 구조로 인해 실내 공간은 다소 협소해졌다.

개발 중이던 P400의 섀시는 1965년 토리노 모터쇼에서 먼저 공개되었다. 아직 차체가 완성되지 않은 롤링 섀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관람객들의 반응은 뜨거웠고 많은 사전 주문이 이루어졌다.[8]

섀시 공개 이후, 차체 디자인은 베르토네에 의뢰되었고, 당시 베르토네의 수석 디자이너였던 마르첼로 간디니가 스타일링을 담당했다. 간디니는 조르제토 주지아로의 디자인 요소를 참고하면서도 베르토네 고유의 스타일을 살려 유려하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완성했다. 완성된 프로토타입은 1966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 하지만 모터쇼 직전까지 엔진을 차체에 맞춰 넣을 시간이 부족하여, 엔진룸에는 무게추(밸러스트)를 채우고 후드를 잠근 상태로 전시해야 했다. 판매 책임자인 우발도 스가르지(Ubaldo Sgarzi)는 엔진을 보고 싶어 하는 기자들을 돌려보내야만 했다.[9]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미우라의 아름다운 디자인은 큰 화제를 모으며 모터쇼의 스타로 떠올랐고, 디자이너 간디니 역시 단숨에 유명세를 얻었다.

제네바 모터쇼에서의 성공적인 데뷔 이후, P400은 '미우라'라는 이름으로 다음 해부터 생산에 들어가기로 결정되었다. '미우라'는 스페인의 유명한 투우[10] 사육 가문의 이름 Miura|미우라spa에서 따온 것으로, 이는 람보르기니의 상징인 투우 엠블럼과도 연결되었다.[44] 페루치오 람보르기니는 인터뷰에서 정확한 출시일을 밝히지 않았으나, 자신의 별자리인 황소자리에 맞춰 출시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44]

미우라 개발은 여러 전문가의 협업으로 이루어졌다. 잔파올로 달라라가 섀시 설계를 주도했고, 파올로 스탄자니는 조토 비자리니가 설계한 초기 람보르기니 엔진을 미우라에 맞게 개량했다. 섀시 제작은 350GTV 때부터 협력해 온 마르케지(Marchesi) 사가 담당했다. 대배기량 엔진을 가로로 배치하는 미드십 구조는 전례가 드물었기 때문에 개발 과정에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캄파놀로제 노크 오프 스피너 사양 센터 록 휠

2. 1. 한국과의 관계

람보르기니 미우라 개발에는 세 명의 핵심 엔지니어, 쟝 파울로 달라라, 파울로 스탄자니, 그리고 밥 윌리스가 참여했다.[44] 이들은 1965년 동안 프로토타입 P400 개발에 시간을 할애했으며, 레이싱카의 성능과 공공도로 주행 능력을 겸비한 자동차를 목표로 했다. 특히 밥 윌리스는 개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의 노력은 페루치오 람보르기니의 승인을 얻어 본격적인 개발로 이어졌다.

미우라의 독특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은 베르토네 소속의 디자이너 마르첼로 간디니가 담당했다. 1965년 토리노 모터쇼에서 섀시가 먼저 공개되어 좋은 반응을 얻었고[8], 이후 베르토네가 스타일링을 맡아 1966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완성된 차량이 공개되었다. 비록 모터쇼 당시 엔진룸 문제로 후드를 열지 못했지만[9], 미우라의 혁신적인 디자인은 큰 주목을 받으며 디자이너 마르첼로 간디니의 명성을 크게 높였다. 미우라라는 이름은 스페인의 유명한 투우[10] 사육사 Miura|미우라spa에서 유래했다.[10]

3. 생산 역사

1965년, 람보르기니의 수석 엔지니어 잔파올로 달라라, 파올로 스탄차니, 테스트 드라이버 밥 윌리스는 P400이라는 코드명의 프로토타입 개발에 착수했다. 이들은 레이싱카의 성능을 갖춘 도로용 자동차를 구상했으며, 페루치오 람보르기니는 P400의 홍보 효과를 인정하여 개발을 승인했다.

P400은 람보르기니 최초로 엔진을 차체 중앙에 가로로 배치하는 횡 배치 미드십 엔진 구조를 채택했다. 1965년 토리노 모터쇼에 차체 없이 섀시와 구동계만 갖춘 '롤링 섀시' 형태로 처음 공개되어 혁신적인 구조로 큰 주목을 받았다.[8]

차체 디자인은 베르토네 소속의 젊은 디자이너 마르첼로 간디니가 맡았다. 1966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완성된 차체가 공개되었을 때, 비록 엔진 탑재 공간 확인 문제로 후드를 잠근 채 전시되었지만[9],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모터쇼 최고의 화제작이 되며 간디니의 명성을 높였다.

성공적인 반응에 힘입어 P400은 양산에 들어갔고, 스페인의 유명한 투우[10] 가문의 이름을 따 '미우라'(Miura|미우라es)라는 공식 명칭을 얻었다. 미우라는 1966년부터 1973년까지 총 759대가 생산되었으며[37], 초기 모델인 P400을 시작으로 P400S, P400SV 등 세 가지 주요 모델로 발전했다.

미우라는 유려한 스타일의 2인승 쿠페 차체에 강력한 V12 엔진을 미드십에 가로로 배치한 혁신적인 설계로 슈퍼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발표 당시 최고 속도 300km/h를 목표로 했으며, 실제 P400S 모델은 278km/h를 기록하기도 했다.[38] 대배기량 미드십 엔진 구조는 개발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잔파올로 달라라(섀시), 파올로 스탄차니(엔진 개량) 등 엔지니어들의 노력으로 완성되었다.

미우라는 출시 이후 반세기가 넘도록 자동차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차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 1969년 영화 이탈리안 잡의 오프닝 장면에 등장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10] 2004년 미국의 자동차 전문지 스포츠 카 인터내셔널은 미우라를 '1960년대 최고의 스포츠카' 4위, 미우라 P400SV를 '1970년대 및 역대 최고의 스포츠카' 4위로 선정하기도 했다. 현재는 희소성 높은 클래식카로서 가치가 급등하여, 경매에서 1억 이상의 가격에 거래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39]

3. 1. P400 (1966-1969)

미우라의 초기 모델은 '''P400'''으로 알려졌다. 'P'는 이탈리아어로 "뒤쪽"을 뜻하는 'Posteriore'의 첫 글자로, 엔진을 차체 중앙 뒤쪽에 배치한 미드십 엔진 방식을 나타내며, '400'은 4리터 엔진을 의미한다.

1965년, 람보르기니의 수석 엔지니어 잔파올로 달라라, 파올로 스탄차니, 그리고 테스트 드라이버 밥 월레스는 P400 프로토타입 개발에 착수했다. 그들은 레이싱카의 성능을 갖춘 도로용 자동차, 즉 트랙에서도 우수하고 일반 도로에서도 열정적인 운전자들이 즐길 수 있는 차를 만들고자 했다. 세 엔지니어는 회사 설립자 페루치오 람보르기니가 비용 문제나 회사의 주요 사업 방향과 다르다는 이유로 반대할 것을 우려하여 밤에 비밀리에 디자인 작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페루치오 람보르기니는 P400이 홍보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하고 개발을 승인했다.

P400은 이전 람보르기니 모델들과 달리 엔진을 가로로 배치하는 횡 배치 미드십 엔진 구조를 채택했다. 이는 400GT에 사용된 3929cc 람보르기니 V12 엔진을 변형하여 탑재한 것으로, 최고 출력은 350 PS (350 마력)였다. 엔진과 변속기, 차동장치를 하나의 케이스로 묶어 컴팩트하게 설계했는데, 이는 미니의 구조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었다. 다만 미니와 달리 무게 중심을 낮추기 위해 기어박스를 엔진 옆에 배치했다. 초기에는 엔진과 기어박스가 윤활유를 공유하는 방식이었는데, 이 때문에 리미티드 슬립 디퍼렌셜 (LSD)을 장착하지 못했다. 이 윤활 시스템은 나중에 P400SV 모델에서 분리된다.

1965년 11월 토리노 모터쇼에서 차체 없이 섀시와 구동계만 갖춘 '롤링 섀시' 형태의 프로토타입, '''TP400'''이 공개되었다. 당시 미드십 엔진은 데 토마소 발레룽가 정도에만 쓰였을 정도로 생소했지만, 혁신적인 구조는 큰 주목을 받아 차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주문이 들어올 정도였다.[8] 페루치오 람보르기니가 TP400을 모나코의 한 카지노 주차장에 세워두자 희귀한 엔진 구조가 부호들의 시선을 사로잡았고, 엔진 시동 소리에 구경꾼이 두 배로 늘었다는 일화도 있다.

차체 디자인은 베르토네가 맡았고, 마르첼로 간디니가 디자인했다. 1966년 제네바 모터쇼에 출품될 때는 시간이 부족하여 엔진을 차체에 실제로 탑재해보지 못한 상태였다. 결국 엔진룸에 무게추(밸러스트)를 싣고 후드를 잠근 채 전시했으며, 이는 3년 전 350GTV 데뷔 때와 유사한 상황이었다. 판매 책임자 우발도 스가르지는 엔진을 보고 싶어하는 기자들을 돌려보내야 했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P400은 모터쇼 최고의 화제작이 되었고, 디자이너 간디니의 명성을 단숨에 높였다.

P400 전면
영화 『이탈리안 잡』에 등장하는 차량


제네바 모터쇼에서의 성공적인 반응에 힘입어 P400은 이듬해인 1967년부터 생산에 들어갔다. 이때 스페인의 유명한 투우 사육 가문의 이름(Miura|미우라es)[10]을 따 "미우라"라는 공식 명칭이 부여되었다. 미우라는 1969년 영화 이탈리안 잡의 오프닝 장면에 등장하며 전 세계 자동차 애호가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0]

P400은 1966년부터 1969년까지 총 275대가 생산되었다. 당시 미국 판매 가격은 2만달러 (1966년 기준)에 달하는 고가였음에도 성공적인 판매를 기록했다. 초기 125대는 0.9mm 두께의 강철로 제작되어 이후 1.0mm 강철로 변경된 모델보다 가벼웠다고 알려졌다 (차량 무게: 초기형 980kg, 후기형 1,040kg). 모든 미우라는 강철 프레임과 도어,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앞뒤 차체 패널을 가졌다. 타이어는 피렐리 친투라토 205VR15 (CN72) 규격이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1967년 미우라 P400


페루치오 람보르기니는 처음 미우라를 약 30대 정도만 생산할 쇼카로 생각했지만, 고객들의 강력한 요구로 양산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충분한 테스트 없이 생산이 시작되어 초기 모델은 고속 주행 시 앞부분이 들뜨는 현상이나 급격한 오버스티어 경향 등 주행 안정성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다. 또한, 캐빈과 엔진룸 사이가 유리와 얇은 격벽으로만 분리되어 있어 방음 및 차열 성능이 매우 낮았다. 헤드라이트는 점등 시에만 위로 올라오는 팝업 헤드라이트 방식이었다.

3. 2. P400S (1968-1971)

1968년형 미우라 P400S


P400S 미우라는 '''미우라 S'''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1968년 11월 토리노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이는 미우라의 오리지널 섀시가 같은 모터쇼에서 공개된 지 3년 만이었다. P400 모델과 비교하여 여러 부분이 개선되었다.[12][13]

외관상으로는 창문과 전조등 주변에 크롬 트림이 추가되었고, 트렁크 공간을 조금 더 확보하기 위해 트렁크 끝 패널에 홈(notch)이 파였다. 실내에는 새로운 디자인의 오버헤드 콘솔과 로커 스위치가 적용되었고, 글로브 박스 덮개에 잠금 장치가 추가되었다. 시가 라이터와 와이퍼 스위치의 위치가 변경되었으며, 차량 앞뒤 덮개를 열기 위한 핸들이 하나로 통합되는 등 편의성이 개선되었다.

엔진은 흡기 매니폴드가 2mm 더 커지고 캠샤프트 프로파일이 변경되어 출력이 20마력(PS) 향상된 370마력(PS)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타이어는 전륜에 215/70VR15, 후륜에 225/70VR15 사이즈의 피렐리 친투라토 CN12 타이어가 장착되었다.

옵션으로는 파워 윈도우와 에어컨(800USD)을 선택할 수 있었다. P400S 모델은 1968년 12월부터 1971년 3월까지 총 338대가 생산되었다.

유명 인사 중에서는 미국의 가수이자 영화 배우인 프랭크 시나트라가 차대번호 #4407의 P400S를 소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즈 뮤지션 마일스 데이비스 역시 미우라 S를 소유했으나, 1972년 10월 코카인 복용 상태에서 웨스트 사이드 하이웨이를 60mph로 주행하다 사고를 내 차가 전손되고 본인도 양쪽 발목이 부러지는 중상을 입었다.[12] 록 밴드 반 헤일런의 기타리스트 에디 반 헤일런은 자신의 미우라 엔진 소리를 녹음하여 밴드의 히트곡 "파나마"에 사용하기도 했다.[13]

3. 3. P400SV (1971-1973)

미우라 P400SV. 헤드램프 주변의 "속눈썹"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미우라 P400SV 후면. 넓어진 리어 펜더와 변경된 테일라이트를 볼 수 있다.


미우라의 최종 개선형이자 가장 유명한 모델인 '''P400SV'''(또는 미우라 SV)는 1971년 3월 제네바 모터쇼에서 발표되었다. SV는 'SuperVeloce|수페르벨로체ita'의 약자로, '매우 빠름'을 의미한다.

P400SV는 기존 모델에 비해 여러 부분이 개선되었다. 엔진은 캠 타이밍 변경, 인테이크 확대, 개선된 4X3 배럴 웨버 기화기 장착 등으로 성능이 향상되어, 최고 출력 385 PS (380 마력)를 7,850 rpm에서, 최대 토크 400 Nm를 5,750 rpm에서 발휘했다. 이는 기존 P400S 모델보다 15 PS (약 15 마력)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마지막으로 생산된 96대의 SV 엔진에는 분할 오일 섬프가 적용되어 엔진과 변속기(기어박스)의 윤활 계통이 완전히 분리되었다. 이를 통해 각 부분에 적합한 오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변속기에서 발생한 금속 부스러기가 엔진으로 유입될 위험을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선택 사양이었던 LSD(Limited Slip Differential)의 적용도 용이해졌으나, 실제로 장착된 차량은 많지 않았다.

외관상 가장 큰 특징은 헤드램프 주변의 속눈썹 모양 그릴이 사라지고 검은색으로 마감된 점이다. 또한, 더 넓어진 약 22.86cm의 리어 휠과 피렐리 친투라토 타이어(전륜 215/70R15 CN12, 후륜 255/60R15 CN12)를 장착하기 위해 리어 펜더가 눈에 띄게 넓어졌다. 이로 인해 미우라 본래의 측면 라인 균형이 다소 달라졌다는 평가도 있었다. 이 외에도 프론트 그릴과 방향 지시등, 세로 3분할 디자인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등이 변경되었다. 리어 서스펜션 구조도 기존의 반전 A 암과 트레일링 링크 방식에서 A형 로어 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P400SV는 1973년 10월까지 총 150대가 생산되었으며[14][15], 람보르기니 쿤타치가 등장하기 전까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양산차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 후속 모델은 람보르기니 쿤타치이다.

한편, P400SV의 소유자 설명서에는 흡기 밸브 크기가 미국식 단위(인치)로 잘못 표기되는 오류가 있었다. 이는 미터법 크기는 정확했지만, 모든 미우라 모델의 밸브 크기가 동일했음에도 발생한 실수였다. 이 오류는 이후 에스파다 400GT와 쿤타치 LP 400/LP 400S 설명서에서도 반복되었다.

3. 4. P400 호타 (Jota) (1970)

1970년, 람보르기니의 테스트 드라이버 밥 월리스는 FIA의 부록 J 레이싱 규정을 준수하는 테스트용 차를 만들었다. 이 차는 미우라 호타(Jota)로 명명되었는데, '호타'는 스페인어로 알파벳 'J'를 의미한다. 이 차는 FIA 레이싱 규정-J에 부합하는 차를 만들기 위한 테스트 목적으로 단 한 대만 제작되었다.

밥 월리스가 테스트한 P400 호타의 차대번호는 #5084로 알려지기도 했으나[45], 미우라 전문가 조 새키는 그의 저서 《람보르기니 미우라 바이블》에서 이는 사실이 아니며, #5084는 실제로는 공장에서 SV 모델을 SVJ 사양으로 개조한 것이라고 밝혔다.[20]

월리스는 표준 미우라 섀시와 엔진을 광범위하게 수정했다. 무게 감량을 위해 강철 섀시 부품과 차체 패널을 경량 알루미늄 합금인 아비오날로 교체하고, 측면 창문을 플라스틱으로 바꾸어 양산형 미우라보다 약 약 362.87kg 가볍게 만들었다.[16] 외관상 전면에 스포일러가 추가되었고 헤드라이트는 고정식으로 변경되었다. 기존의 큰 연료 탱크 하나 대신 두 개의 작은 연료 탱크를 문턱(실, sill) 부분에 장착했다. 서스펜션은 재작업되었고, 바퀴는 전면 9인치, 후면 12인치로 넓어졌으며 경량 휠이 장착되었다. 엔진은 압축비를 10.4:1에서 11.5:1로 높이고, 캠 변경, 전자 점화 시스템 도입, 드라이 섬프 윤활 방식 적용, 배기 시스템 개선 등을 통해 8800rpm에서 418~440bhp의 최고 출력을 내도록 개조되었다.[17][18]

미우라 P400 호타의 복제품


이 유일하게 제작된 호타는 광범위한 테스트를 거친 후 개인 구매자에게 판매되었다. 그러나 1971년 4월, 아직 개통되지 않았던 이탈리아 브레시아 외곽의 순환 도로에서 큰 교통사고로 인해 완전히 불타 소실되었다.[45][19]

원본 호타가 파괴된 후, 여러 복제품 또는 오마주 차량이 제작되었다. 예를 들어, 원래 소유자였던 월터 론치는 P400S를 기반으로 한 "Millechiodi"라는 별명의 오마주 차량 제작을 의뢰했고[21], 영국인 소유주 피에트 풀포드를 위해 섀시 #3033 기반의 복제품이 제작되기도 했다.[22] 섀시 #4280 역시 미우라 S 사양을 기반으로 SV 엔진을 얹고 일본에서 호타 사양으로 개조된 복제품이다.[23]

3. 5. P400 SV/J

실제 미우라 SV/J


P400 호타(Jota)의 소식을 들은 고객들의 요청으로 제작된 모델이다.[46] SV/J는 SuperVeloce/Jota의 약자이며, 기존 P400SV를 기반으로 성능을 향상시킨 버전으로 개발되었다. 주요 개선점으로는 출력이 높아진 엔진, 개선된 서스펜션 부품, 그리고 내외관 디자인 변경 등이 있다.

람보르기니 공장에서 생산된 미우라 SV/J는 총 6대로 알려져 있다. 이 중 1대(섀시 #5090)는 처음부터 SV/J 사양으로 제작되었고, 나머지 5대(섀시 #4934, #4860, #4892, #4990, #5084)는 기존 미우라 SV 모델을 기반으로 개조되었다.[27][28] 섀시 #4892는 비교적 최근 공장 문서가 발견되면서 진품 SV/J 목록에 포함되었다.

미우라 SV/J (#4860)


이 차량들 중 특히 섀시 #4934는 역사적으로 유명하다.[46] 이 차량은 이란의 마지막 였던 모함마드 레자 팔라비를 위해 특별히 제작되었다.[24] 샤는 이 SV/J를 테헤란의 왕궁에 다른 미우라 SV와 함께 보관했었다.[47] 그러나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샤가 망명하면서 이 차량은 이란 정부에 의해 압수되었다. 이후 1995년 두바이의 한 수집가에게 판매되었고, 1997년에는 브룩스 경매를 통해 미국의 영화 배우 니콜라스 케이지에게 당시 모델 최고가인 49만달러에 낙찰되었다.[48][25] 이는 당시 경매 역사상 해당 모델로는 가장 높은 가격이었다. 케이지는 2002년에 이 차량을 다시 판매했으며, 이후 행방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다.[49] 이후 다른 SV/J 모델들은 경매에서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되기도 했는데, 예를 들어 #4892는 190만달러 이상에 판매되었다.[26]

공식 생산된 6대 외에, 1983년부터 1987년 사이에 미사용 미우라 P400S 섀시를 기반으로 7번째 SV/J가 람보르기니 공장에서 제작되었다. 이 차량은 당시 람보르기니의 소유주였던 미므란 형제 중 한 명인 장 클로드 미므란을 위해 만들어졌다.[48][25] 하지만 이 차량은 미우라 생산이 공식적으로 종료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제작되었기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은 이를 '공식적인' SV/J로 간주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후, 스위스, 미국, 일본 등지의 여러 정비소에서 기존 미우라 모델을 SV/J 사양으로 개조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3. 6. 로드스터 (1968)

1968년 브뤼셀 오토 쇼에 출품된 미우라 로드스터


미우라 로드스터는 단 한 대만 제작된 특별 모델이다. 실제로는 타르가 모델에 가깝지만 지붕을 완전히 뗄 수 있는 기능은 없다. 베르토네가 전시 목적으로 P400(차체 번호 #3498)을 기반으로 제작하여 1968년 브뤼셀 오토 쇼에서 처음 공개했다. 당시 차체 색상은 밝은 청색 메탈릭이었다.

이 로드스터는 오픈카 형태이면서도 고속 주행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미우라보다 차고를 30mm 낮추고 윈드실드의 각도를 더 눕혔다. 엔진을 덮던 루버는 제거되어 엔진 부분이 개방되었고, 차체 강성 보강을 위해 롤 바가 설치되었으며 사이드 멤버도 강화되었다. 기존에 루프에 있던 스위치들은 콘솔로 옮겨졌고,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디자인도 변경되었다.

쇼가 끝난 후, 미우라 로드스터는 미국의 비영리 단체인 국제 납 아연 연구 기구(International Lead Zinc Research Organization, '''ILZRO''')에 매각되었다. ILZRO는 자동차 산업에서 아연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한 "드림카" 제작을 기획하고 있었으며, 포드의 수석 디자이너였던 존 포스터(John Foster)의 제안으로 미우라 로드스터를 선택하게 되었다. (람보르기니 측은 자사 차량의 개조를 허가하지 않았기에, 이미 제작된 로드스터가 프로젝트에 사용되었다.)

복원 후 페블 비치 콩쿠르 델레강스에 전시된 미우라 로드스터


ILZRO는 베르토네와 협력하여 로드스터를 대대적으로 개조했다. 이 과정에서 50곳 이상의 부품이 ILZRO가 권장하는 아연 합금 또는 크롬 도금 부품으로 교체되었다. 여기에는 연신가공된 아연 합금 범퍼, 도어 패널, 라디에이터 그릴, 스티어링 휠 등이 포함되었고, 휠과 머플러는 아연 코팅 처리되었다. 차체 색상도 금속의 질감을 살린 펄 메탈릭 톤의 다크 그린으로 변경되었다. 이렇게 개조된 차량은 '''Zn75'''라는 이름으로 1969년 5월 발표되었으며, 이후 전 세계 모터쇼에 전시되고 여러 자동차 관련 기업에 대여되며 홍보용 차량으로 활용되었다.

쇼카로서의 역할을 마친 Zn75는 경매를 통해 여러 소유주를 거쳤다. 처음에는 프로젝트를 주도했던 ILZRO의 임원 슈레이드 라드케(Shrade Radtke)가 낙찰받았고, 1981년에는 보스턴 교통 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이후 다시 경매에 나와 영국의 포트만 그룹을 거쳐, 1990년대에는 일본의 클래식카 전문점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41]

2006년, 뉴욕의 부동산 개발업자인 아담 고든(Adam Gordon)이 Zn75를 구매했다. 고든은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 위치한 바빌프 모터카(Bobileff Motorcars)에 의뢰하여 차량을 Zn75 이전의, 즉 1968년 베르토네가 제작했던 미우라 로드스터 본래의 모습으로 복원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복원된 미우라 로드스터는 2008년 8월, 페블 비치 콩쿠르 델레강스(Pebble Beach Concours d'Elegance)에서 성공적으로 공개되었다. 이 차량은 2013년 아멜리아 아일랜드 콩쿠르 델레강스(Amelia Island Concours d'Elegance)에서도 전시되었다.[29]

3. 7. P400 SVJ 스파이더 (1981)



단 한 대만 제작된 P400 SVJ 스파이더는 1981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람보르기니의 새로운 모델인 잘파LM002와 함께 전시되었다. 이 차는 람보르기니 공장의 경영권을 인수한 직후 새로운 CEO가 된 패트릭 밈란(Patrick Mimran)의 지휘 아래 준비되었지만, 공장에서 정식으로 승인하거나 생산한 모델은 아니었다.

펄 화이트 색상으로 마감된 이 스파이더의 기반은 원래 1971년 제네바 모터쇼에 전시되었던 노란색 미우라 S(섀시 번호 #4808)였다.[30] 스위스람보르기니 수입업체인 람보모터 AG(Lambo-Motor AG)가 람보르기니 공장에서 제공받은 SV/J 부품을 사용하여 1980년에 스파이더 형태로 복원했다. 복원 과정에서 베르토네가 문 안쪽 틀에 글씨를 남겼다는 이유로 잠시 베르토네 뱃지를 달기도 했으나, 나중에 람보르기니의 지적으로 다시 람보르기니 뱃지로 교체되었다.

복원된 차량은 기존 미우라보다 훨씬 넓은 광폭 휠과 타이어, 그리고 당시 람보르기니 브랜드의 부활을 상징하는 커다란 리어 윙(스포일러)을 장착한 것이 특징이었다. 일부에서는 이 차를 미우라 스파이더의 한정 생산 모델 프로토타입으로 여기기도 했으나, 실제로는 스위스 수입업체를 위해 제작된 단 하나의 쇼 카였다.

이후 이 차는 스위스의 유명한 람보르기니 수집가이자 1972년 동계 올림픽 봅슬레이 금메달리스트인 진 위키(Jean Wicki)에게 넘어갔다. 위키는 거대한 리어 윙과 앞쪽의 얇은 프론트 스포일러를 제거하고 차체를 은색으로 다시 칠해 베를리네타 SV/J에 가까운 모습으로 만들었다. 그 후, 프랑스람보르기니 전문 수집가 그룹인 오토드롬(Autodrome)이 위키로부터 이 차를 구매하여 파리의 카로세리 레코크(Carrosserie Lecoq)와 협력하여 차체와 실내를 복원했다. 이때 전통적인 미우라의 색상인 라임 그린(lime-green)으로 도색되었으며, 결국 파리의 다른 수집가에게 판매되었다. 이 차는 구조적으로 강성 문제가 있으며, 운전 성능이 좋지 않다는 평가가 있다.[31]

개인적인 개조를 제외하고, 국제 모터쇼에 공식적으로 등장한 '오픈형' 미우라는 1968년 브뤼셀 모터쇼의 베르토네 미우라 로드스터와 1981년 제네바 모터쇼의 이 P400 SVJ 스파이더 단 두 대뿐이다. 다만 P400 SVJ 스파이더는 공장에서 생산된 모델은 아니다.

4. 2006, 미우라 컨셉트

2006년 미우라 컨셉트 자동차


오리지널 미우라가 발표된 지 40주년이 되는 2006년, 람보르기니는 복고풍 디자인의 '''미우라 컨셉트''' 자동차를 공개했다.[50][42] 이 컨셉트 카는 당시 아우디 그룹 소속이자 람보르기니의 디자인 책임자였던 발터 드 실바(Walter de'Silva)가 디자인했다.[50][32][42]

미우라 컨셉트는 2006년 1월 5일, 로스앤젤레스 오토 쇼와 연계하여 미국 텔레비전 & 라디오 박물관에서 그 존재가 처음 알려졌다. 하지만 실제 차량 전시는 2주 후 북미 국제 오토 쇼(디트로이트 오토쇼)에서 공식적으로 이루어졌다.[50][32]

컨셉트 카는 오리지널 미우라의 특징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20인치로 커진 에 맞춰 차체 크기가 약간 커졌고, 유명한 "속눈썹" 디자인이 적용된 헤드라이트는 고정식으로 변경되었다. 도어 후방의 흡입구와 일체형 리어 카울 등도 재현되었으며, 차량 뒷면에는 오리지널 미우라의 "Miura" 로고가 그대로 사용되었다.[42] 다만 엔진은 오리지널 미우라의 가로 배치(횡치형)와 달리 세로 배치(종치형) 방식으로 탑재되었다.[42]

람보르기니의 사장 겸 CEO인 스테판 빈켈만(Stefan Winkelmann)은 이 컨셉트 카 공개가 미우라의 재생산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우라는 우리 역사를 기념하는 것이었지만, 람보르기니는 미래를 지향한다. 복고풍 디자인은 우리가 추구하는 바가 아니며, 미우라를 다시 만들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51][32]

5. 성능

람보르기니 미우라는 모델별로 성능 개선이 이루어졌다. 모든 모델은 4.0L V12 엔진을 미드십으로 가로 배치한 구조를 공유하지만, 세부 튜닝을 통해 출력을 높였다. 주요 모델별 성능은 다음과 같다.

이름엔진출력토크무게비고
미우라 P400[52]4.0L (3939 cc) V12350 bhp @ 7,000 RPM369 N·m @ 5,100 RPM1292kg1966년 3월-1969년 생산
미우라 P400S[53]위와 동일370 bhp @ 7,000 RPM389 N·m @ 5,500 RPM1040kg1969년 11월-1971년 12월 생산
미우라 P400SV[54]위와 동일385 bhp @ 7,850 RPM400 N·m @ 5,750 RPM1245kg1971년 3월-1972년 12월 생산
미우라 P400 요타[55]위와 동일440 bhp @ 8,500 RPM403 N·m @ 6,500 RPM1톤 미만단 1대 생산 후 사고로 소실
미우라 P400 SV/J위와 동일------약 5~12대 생산
미우라 P400 로드스터[56]위와 동일350 bhp @ 7,000 RPM369 N·m @ 5,100 RPM1000kg1대 생산



모델명에 사용된 약자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 P: 이탈리아어 'Posteriore'의 약자로, 엔진이 뒤쪽에 위치한 미드십 엔진 구조를 의미한다.
  • 400: 엔진의 배기량인 약 4L (3,929cc)를 나타낸다.
  • S: 이탈리아어 'Spinto'의 약자로, '튜닝된' 또는 '강화된' 성능을 의미한다.
  • SV: 이탈리아어 'Spinto Veloce'의 약자로, '더 빠른 차'를 의미하며 고성능 버전을 나타낸다.

5. 1. 주행 성능

wikitext

이름0-100 km/h 가속0-160 km/h (100 mph) 가속400미터 드래그 가속(쿼터마일)최고 속도비고
미우라 P4006.7초약 14초14.6초 / 101 mph280km/h--
미우라 P400S4.5초12.5초13.9초 / 106 mph285km/h1969년부터 1971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자동차. 최고속도 288km/h 기록
미우라 P400SV6.5초--14.3초290km/h람보르기니 쿤타치가 등장하기 전까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자동차.
미우라 P400 요타3.5초----320km/h레이싱 대회 출전을 위해 만들었다.
미우라 P400 SV/J--------
미우라 P400 로드스터6.5초14.3초14.5초 / 101 mph280km/h--


6. 미디어

람보르기니 미우라는 여러 영화와 게임에 등장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특히 1969년작 영화 《이탈리안 잡》의 오프닝 시퀀스에서 오렌지색 미우라 P400이 알프스를 질주하는 장면은 매우 인상적이다.[10] 영화 속에서는 차가 불도저에 의해 파괴되는 것처럼 연출되었으나, 실제 촬영에 사용된 주요 차량은 파손되지 않았으며 2019년 람보르기니의 폴로 스토리코 부서에 의해 복원되었다. 당시 영화 제작사인 파라마운트 픽처스는 람보르기니로부터 두 대의 미우라를 제공받았는데, 한 대는 온전한 상태로 주행 장면에 사용되었고, 다른 한 대는 이미 사고로 파손된 상태의 차량으로 충돌 이후 장면에 사용되었다.

이 외에도 미우라 P400 모델은 1987년작 영화 히든에릭 바나 주연의 영화 《러브 더 비스트》, 그리고 영화 식스티 세컨즈에서도 모습을 보인다. 특히 식스티 세컨즈에 등장한 미우라 P400은 주연 배우 니콜라스 케이지가 실제로 소유했던 차량으로 알려져 있다.[57]

게임 분야에서도 미우라를 찾아볼 수 있다. 프랑스 개발사 에덴 게임즈의 테스트 드라이브 언리미티드에서는 미우라 SV 모델이 등장한다. 또한 포르자 모터스포츠 2에서는 미우라 P400을, 포르자 모터스포츠 3에서는 2006년에 공개된 미우라 컨셉트 자동차를 플레이할 수 있다.

7. 평가 및 유산

2004년 미국의 스포츠카 전문지인 스포츠 카 인터내셔널은 베스트 스포츠카 선정에서 미우라를 1960년대 부문 4위로, 미우라 P400SV를 1970년대 스포츠카 및 전체 기간 스포츠카 부문 4위로 선정하며 그 가치를 인정했다.

출시된 지 반세기가 넘은 현재, 미우라는 희소 가치가 높은 클래식카로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시세가 크게 올랐다. 경매 시장에서는 1억 이상의 가격에 낙찰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39]

참조

[1] 간행물 News: Lamborghini out of production? 1972-04-27
[2] 웹사이트 Lamborghini Miura Specifications. http://lamborghinica[...] lamborghinicars.tripod.com 2010-06-29
[3] 서적 The Lamborghini Miura Bible https://books.google[...] Veloce Publishing 2012-10-28
[4] 웹사이트 You Can Drive the Same Car As the First Man in Space https://www.roadandt[...] 2020-04-05
[5] 문서 Top Gear (series 3)
[6] 웹사이트 Here Are The Fastest Cars From The 1960s https://www.hotcars.[...] 2024-01-05
[7] 웹사이트 50 years ago, the Lambo Miura became an instant classic https://driving.ca/a[...] driving.ca 2024-02-26
[8] 웹사이트 Lamborghini Miura: The Supercar That Started It All https://www.caranddr[...] Car and Driver 2024-02-26
[9] 웹사이트 The Complete History Of The Lamborghini Miura https://garagedreams[...] 2024-02-26
[10] 간행물 The Italian Dream 1971-07-10
[11] Youtube List of cars, Gran Turismo 5 http://www.gran-turi[...]
[12] 웹사이트 When Miles Davis crashed his Lamborghini, I was there https://www.roadandt[...] 2024-01-27
[13] 웹사이트 Edward Van Halen's 'Panama' Lamborghini Has Been Discovered https://www.vhnd.com[...] 2020-04-05
[14] 웹사이트 This Beautiful Blue-Gold 1972 Lamborghini Miura P400 SV Is The Perfect Italian Stallion https://www.carscoop[...] Carscoops 2024-02-26
[15] 웹사이트 Lamborghini Miura Retro Review: What it's like to drive the original supercar https://www.autoblog[...] Autoevolution 2024-02-26
[16] 서적 The Complete Book of Lamborghini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17] 서적 The Complete Book of Lamborghini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18] 서적 Lamborghini: Catalogue Raisonné 1963-1984 Automobilia
[19] 웹사이트 Lamborghini Miura Part 5: P400 Jota http://www.qv500.com[...] Qv500.com 2010-09-27
[20] 서적 The Lamborghini Miura Bible Veloce
[21] 뉴스 One-Off 1968 Lamborghini Miura P400 S 'Millechiodi' Could Be World's Most Expensive Miura https://www.thedrive[...] 2020-07-19
[22] 웹사이트 Miura Jota – the STORY http://www.lambocars[...]
[23] 웹사이트 1969 Lamborghini Miura S 'Jota Specification' {{!}} Paris 2023 https://rmsothebys.c[...] 2023-02-02
[24] 서적 The Lamborghini Miura Bible https://books.google[...] Veloce Publishing 2008-11-15
[25] 웹사이트 Lamborghini Miura Part 6: P400 Miura SV/J http://www.qv500.com[...] Qv500.com 2010-09-27
[26] 웹사이트 Lamborghini Miura - P400SV (1971 to 1973) https://www.classic.[...] 2023-09-03
[27] 웹사이트 http://www.themiurar[...]
[28] 웹사이트 1971 Lamborghini Miura SVJ – Automobiles of London 2010 http://www.rmauction[...] RM Sotheby's 2010-10-27
[29] 웹사이트 The Only Lamborghini Miura Roadster At Amelia Island – Or Anywhere http://mycarquest.co[...] MyCarQuest.com
[30] 웹사이트 Miura Targa Special http://www.lambocars[...]
[31] 웹사이트 Miura, the original supercar http://www.ferrarich[...] FerrariChat.com
[32] 간행물 Lambo Plans http://www.autoweek.[...] 2012-09-09
[33] 웹사이트 Lamborghini presents Miura-inspired Aventador at 2016 Goodwood Festival of Speed https://www.motoraut[...] 2016-06-23
[34] 뉴스 Lamborghini unveils the special edition Aventador Miura Homage http://www.carwale.c[...] 2016-07-01
[35] 웹사이트 This Is the 'Italian Job' Lamborghini Miura https://www.roadandt[...] 2020-04-05
[36] 웹사이트 Lamborghini Miura from 'The Italian Job' found and completely restored by Lamborghini https://www.autoblog[...] 2019-05-06
[37] 문서
[38] 서적 いつもクルマがいた ポール・フレール自叙伝 二玄社 1999-03-01
[39] 뉴스 ランボルギーニ「ミウラ」の最初期型が2億5000万円で落札! オリジナルに戻した数少ない1台でした https://www.automess[...] AUTO MESSE WEB
[40] 웹사이트 The incredible story of Hubert Hahne and the ultimate Lamborghini Miura SVJ https://www.classicd[...] 2021-10-16
[41] 간행물 二玄社
[42] 웹사이트 https://vague.style/[...]
[43] 저널 News: Lamborghini out of production? 1972-04-27
[44] 저널 The Italian Dream 1971-07-10
[45] 웹인용 Lamborghini Miura Part 5: P400 Jota http://www.qv500.com[...] 2010-09-27
[46] 웹인용 Miura SV http://www.miurasv.c[...] 2005-03-10
[47] 웹사이트 Iran Supercars: Shah's two 1971 Lamborghini Miura http://iransupercars[...]
[48] 웹인용 Lamborghini Miura Part 6: P400 Miura SV/J http://www.qv500.com[...] 2010-09-27
[4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qv500.com[...] 2010-09-27
[50] 웹사이트 Lamborghini Miura Concept launch http://www.gizmag.co[...]
[51] 웹인용 Lambo Plans - AutoWeek Magazine http://www.autoweek.[...] 2019-06-02
[52] 웹인용 Lamborghini cars, the enthusiast site http://www.lambocars[...] 2010-05-06
[53] 웹인용 Lamborghini cars, the enthusiast site http://www.lambocars[...] 2010-05-06
[54] 웹인용 Lamborghini cars full specifications http://www.lambocars[...] 2010-05-06
[55] 웹인용 Lamborghini cars full specifications http://www.lambocars[...] 2010-05-06
[56] 웹인용 Lamborghini cars, the enthusiast site http://www.lambocars[...] 2010-05-06
[57] 웹사이트 Nicolas Cage: Biography from Answers.com http://www.answer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