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셀 L. 블레이즈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셀 L. 블레이즈델은 미국의 군목으로, 한국 전쟁 참전 중 '유모차 공수 작전'을 지휘하여 전쟁 고아들을 구출한 인물이다. 그는 1940년 미국 육군 항공대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이후 미국 공군에서 대령으로 퇴역했다. 블레이즈델은 1950년 12월, 중공군의 공세로 서울에서 고아들을 제주도로 대피시키는 작전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이 공로로 '한국의 쉰들러'로 불리기도 했다. 그는 1964년 공군에서 퇴역 후 뉴욕주 사회복지부 대표를 역임했으며, 2007년에 사망하여 네바다주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공군의 장교 - 로널드 레이건
미국의 배우 출신으로 캘리포니아 주지사를 거쳐 제40대 대통령을 지낸 로널드 레이건은 레이거노믹스 정책으로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소련과의 긴장 완화로 냉전 종식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재정 적자 증가와 소득 불평등 심화, 이란-콘트라 사건 등 논란도 있었다. - 미국 공군의 장교 - 조지 W. 부시
조지 W. 부시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텍사스 주지사를 거쳐 제43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고 감세 정책과 허리케인 카트리나 대응으로 논란을 겪었다. - 미국의 목회자 - 제임스 네이스미스
캐나다 출신 스포츠 코치이자 혁신가인 제임스 네이스미스는 1891년 농구를 창안하고 기본 규칙 13가지를 만들었으며, 캔자스 대학교 농구팀을 지도했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네이스미스 농구 명예의 전당이 있다. - 미국의 목회자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미네소타주 출신 - 릭 플레어
미국 프로레슬링의 전설 릭 플레어는 "네이처 보이"라는 별명과 "Wooooo!" 외침으로 유명하며 NWA, WCW, WWE 챔피언십을 석권하고 명예의 전당에 두 번 헌액된 인물이다. - 미네소타주 출신 - 코언 형제
코언 형제는 독특한 유머와 스타일,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연출로 미국 독립 영화계를 대표하는 거장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 형제이며, 각본, 연출, 제작, 편집까지 영화 제작 전 과정에 걸쳐 협업하고 특정 배우들을 자주 기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러셀 L. 블레이즈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이름 | 러셀 L. 블레이즈델 |
출생일 | 1910년 9월 4일 |
사망일 | 2007년 5월 1일 |
출생지 | 미국 미네소타주 헤이필드 |
사망지 |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
안장지 | 사우스 네바다 참전 용사 기념 묘지 |
별칭 | (알려진 별칭 없음) |
종교 | 개신교(장로교) |
군사 경력 | |
소속 | 미국 공군 |
복무 기간 | 1938년 – 1964년 |
최종 계급 | 대령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
가족 관계 | |
자녀 | 프랭클린 J. 블레이즈델(미국 공군 소장) |
2. 생애 전반
블레이즈델은 미네소타주 헤이필드에서 고등학교를, 매칼레스터 칼리지에서 학사 학위를, 매코믹 신학대학원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27년 미네소타주 헤이필드에 있는 헤이필드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1934년 매칼레스터 칼리지에서 학사 학위를, 1937년 매코믹 신학대학원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3. 미국 공군 경력
블레이즈델은 1940년 7월 미국 육군 항공대에 입대하여 1940년 10월까지 일리노이주 포트 셰리단에 주둔했다. 이후 1940년부터 1942년까지 포트 조지 라이트에서 복무했다. 1942년부터 1944년까지 알래스카 고속도로 건설 부대 군목으로 에드먼턴 앨버타에서 근무했고, 1944년부터 1946년까지는 히캄 비행장의 퍼시픽 윙 ATC에서 태평양 작전 전구에 있는 미국 공군 부대를 방문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에는 스콧 공군기지에, 1950년까지는 카스웰 공군기지에 주둔했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1950년 7월부터 1951년 5월까지 대한민국에 있는 제5공군 사령부에 배속되었다.[9][1]
인천 상륙 작전과 1950년 9월 서울 수복 이후, 블레이즈델 중령은 또 다른 군목인 윌리스 I. 울버튼 대령과 함께 서울 지역의 전쟁 고아들을 돌보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고아들이 서울의 보육원에 수용되었지만, 고아의 수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블레이즈델은 군목 보조원 머를 "마이크" Y. 스트랭 상사와 한국인 사회복지사들과 함께 고아 처리 센터를 설립하여 1,000명 이상의 고아에게 음식과 쉼터를 제공했다. 울버튼이 대한민국을 떠난 후 블레이즈델은 계속해서 센터를 관리했다.[10][2]
한국 전쟁 이후, 블레이즈델은 일본과 미국 등지에서 군목으로 복무하다가 1964년 6월 30일 미국 공군에서 퇴역했다.[9]
3. 1. 제2차 세계 대전
블레이즈델은 1940년 7월 미국 육군 항공대에 입대하여 1940년 10월까지 일리노이주 포트 셔리단에 주둔했다.[9] 이후 1940년부터 1942년까지 포트 조지 라이트에서 복무했다.[9] 1942년부터 1944년까지는 알래스카 고속도로 건설 부대 군목으로 에드먼턴 앨버타에서 근무했다.[9] 1944년부터 1946년까지는 히캄 비행장의 퍼시픽 윙 ATC에서 태평양 작전 전구에 있는 미국 공군 부대를 방문했다.[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에는 스콧 공군기지에, 1950년까지는 카스웰 공군기지에 주둔하였다.[1]3. 2. 한국 전쟁 참전과 유모차 공수 작전
Russell L. Blaisdell영어 중령은 한국 전쟁 발발과 함께 1950년 7월부터 1951년 5월까지 대한민국에 있는 미국 제5공군에 배치되었다.[9] 1950년 9월 인천 상륙 작전과 서울 수복 이후, 블레이즈델 중령은 또 다른 군목인 월레스 I. 울버튼(Wallace I. Wolverton)과 함께 서울 지역의 전쟁 고아들을 돌보기 시작했다. 당초 이 고아들은 서울의 한 고아원에 수용되었으나 고아가 계속 늘어나면서 블레이즈델은 멀 Y. 스트랭(Merle "Mike" Y. Strang) 하사 및 한국의 고아원 근무자들과 함께 고아 수용 시설을 설립해 1000명 이상의 고아들에게 음식과 쉼터를 제공했다. 울버튼이 한국을 떠난 후에도 블레이즈델은 시설 운영을 계속했다.[10]1950년 12월, 중국인민지원군과 북한군이 2단계 공세 작전으로 서울을 위협하자, 제5공군을 포함한 유엔군은 도시에서 후퇴하여 더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12월 19일, 블레이즈델 중령과 스트랭 하사는 해군 LST로 인천항에서 고아를 태워 제주도로 대피시키려 했으나 선박은 도착하지 못했다. 블레이즈델은 그때 제5공군 작전국장 T.C. 로저스 대령에게 다가가 호소했다. 로저스 대령은 수송기를 편성해줄 테니 다음 날 아침 8시까지 김포 공군기지에 아이들을 데려오라고 말했다. 시간이 촉박했던 블레이즈델은 상부의 명령이라는 급조된 가짜 문서로 1,000여 명이나 되는 아이들과 한국인 근무자들을 미 해병대 중대 트럭 14대로 김포까지 수송했다. 두 시간 이상 늦게 김포에 도착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아들은 16대의 더글러스 C-54 스카이마스터 수송기를 타고 제주도의 안전한 곳으로 무사히 대피할 수 있었다. 이 작전은 유모차 공수 작전(Operation Kiddy Car)으로 불리게 되었다. 제주에 고아원이 세워져 6.25 전쟁 말기까지 황온순(黃溫順) 여사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후에 서울로 다시 옮겨졌다. 블레이즈델은 나중에 해병대 트럭 징발 문제로 미국 공군 군법회의에 회부된다.[10][11][12][13]
이 공수작전을 둘러싼 사건들은 1956년 딘 헤스가 자서전인 ''Battle Hymn''을 출판했을 때 한국 밖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으며, 이후 1957년 딘 헤스 역할이 록 허드슨에 의해 연기된 동명의 영화 전송가 (Battle Hymn)의 기초가 되었다. 스트랭 하사는 나중에 블레이즈델에게 딘 헤스가 대피 작전에서 제한된 역할에 그친 것에 대해 "경고 해야하는 것"이 아닌가 물었고, 블레이즈델은 "고아들에 대한 우리의 노력의 목표는 생명을 구하는 것이었고, 그렇지 않았다면 잃었을 것이다. 그것은 성취되었다. 어떤 의미에서, 마이크, 잘 하는 것은 달러, 위신, 호의로 측정되지 않는 자신만의 보상을 가지고 있다."라고 답했다.[14] 2004년에 조지 F. 드레이크는 딘 헤스가 마땅히 받아야 할 것보다 더 많은 공을 차지했다고 주장하며 유모차 공수작전을 묘사한 방식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드레이크는 블레이즈델과 스트랭에게 대피 작전의 공로를 돌렸고 딘 헤스의 역할은 제주도에서 숙소를 제공한 정도였다라고 격하했다. 이 비판에 따르면 블레이즈델은 당초 ''Battle Hymn''이 발행되기 전까지는 언론에 의해 대피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드레이크는 딘 헤스의 주장을 "사기"라고 불렀지만, 이 영화의 수익금과 로열티는 한국의 고아들을 돕기 위해 기부된 것은 인정했다.[15][16]
3. 3. 한국 전쟁 이후
1950년 인천 상륙 작전과 서울 수복 이후, 블레이즈델 중령은 또 다른 군목인 월리스 I. 울버튼과 함께 서울 지역의 전쟁 고아들을 돌보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고아들을 서울의 보육원에 수용했지만, 고아의 수가 계속 늘어나면서 블레이즈델은 멀 Y. 스트랭 하사 및 한국인 사회복지사들과 함께 고아 처리 센터를 설립하여 1,000명 이상의 고아에게 음식과 쉼터를 제공했다. 울버튼이 한국을 떠난 후에도 블레이즈델은 계속해서 센터를 관리했다.[10]6.25 전쟁 이후, 블레이즈델 중령은 다음과 같은 곳에서 군목으로 복무했다.[9]
4. 생애 후반
1966년부터 1977년까지 뉴욕주 사회복지부 대표를 지냈다. 뉴욕주 페이에트빌로 은퇴하여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겨울을 보냈으며, 2007년 5월 1일에 사망했다. 그는 네바다주 볼더시티의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5. 수상 및 영예
러셀 L. 블레이즈델은 2001년 한국을 방문하여 이희호 대한민국 대통령 영부인에게 영접받았다.[17] 경희대학교에서 명예 사회복지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한국 언론에서는 그를 '한국의 쉰들러'라고 칭했다.[6] 그는 당시 102세였던 황온순 여사와 재회했는데, 황온순 여사의 가족은 서울에서 서울애육원을 운영하고 있었다.[18][19][20]
마이크 스트랭 하사는 고아 구출에 기여한 공로로 1998년 사망 전까지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 못했으나, 2003년 사후에 동성 훈장을 받았다.
6. 기념
참조
[1]
서적
Military Chaplains Association
Turner Publishing Company
1996
[2]
웹사이트
Air Force Chaplain credited with saving children honored at Gwangju
https://web.archive.[...]
Stars and Stripes
2014-08-31
[3]
웹사이트
Operation Kiddy Car
http://www.nationalm[...]
National Museum of the U.S. Air Force
2014-08-31
[4]
웹사이트
Compassionate Heroes
http://csmng.com/wp-[...]
Space Observer, Peterson Air Force Base
2014-08-31
[5]
웹사이트
Hess: Fraudulent Hero
http://www.koreanchi[...]
2014-08-31
[6]
웹사이트
War hero: Retired Air Force chaplain fought for Korean orphans
http://www.lasvegass[...]
Las Vegas Sun
2014-08-31
[7]
문서
6·25전쟁의 격전지와 기념시설물 > 6·25전쟁 UN참전 기념시설물블레이즈델 대령 동상
https://ncms.ncultur[...]
[8]
문서
미국 공군 이성장군|소장
[9]
서적
Military Chaplains Association
Turner Publishing Company
1996
[10]
웹인용
Air Force Chaplain credited with saving children honored at Gwangju
https://web.archive.[...]
Stars and Stripes
2014-08-31
[11]
웹인용
Operation Kiddy Car
http://www.nationalm[...]
National Museum of the U.S. Air Force
2014-08-31
[12]
뉴스
한국전쟁 고아들 구해낸 ‘유모차 작전’을 아십니까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20-01-23
[13]
뉴스
"[군사사 12월20일] 1950년 유모차 공수작전, 6·25 전쟁고아 1069명 구해"
https://web.archive.[...]
국방일보
2020-01-23
[14]
웹인용
Compassionate Heroes
http://csmng.com/wp-[...]
Space Observer, Peterson Air Force Base
2014-08-31
[15]
웹인용
Hess: Fraudulent Hero
http://www.koreanchi[...]
2014-08-31
[16]
뉴스
딘 헤스 ‘전쟁고아의 아버지’?
https://www.hankooki[...]
한국일보
2020-01-23
[17]
뉴스
이희호여사 ‘한국판 쉰들러’접견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20-01-23
[18]
웹인용
War hero: Retired Air Force chaplain fought for Korean orphans
http://www.lasvegass[...]
Las Vegas Sun
2014-08-31
[19]
뉴스
"[화제의 인물]'한국판 쉰들러' 브레이즈델씨"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20-01-23
[20]
뉴스
경희대, 브레이즈델씨에 명예박사학위 수여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20-01-23
[21]
문서
6·25전쟁의 격전지와 기념시설물 > 6·25전쟁 UN참전 기념시설물블레이즈델 대령 동상
https://ncms.ncultu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