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류자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자신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이담에게 학문을 배우고 1564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여러 관직을 거쳐 임진왜란 시기에는 광해군을 수행했으며, 광해군 즉위 후 보국숭록대부 돈녕부영사에 이르렀다. 1612년에 사망하여 호성공신에 추록되었으나, 인조반정으로 관작과 봉호가 추탈되었다. 류자신은 조선 왕실 및 유력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었으며, 3녀가 광해군의 왕비가 되었다.

2. 생애

류자신은 류잠의 아들로 태어나 이담(李湛)에게서 학문을 배웠다.[1]

2. 1. 초기 관직 생활

1564년(명종 19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1] 1565년 문정왕후의 상으로 사직한 아버지를 대신하여 태릉참봉이 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1] 이후 태릉참봉, 돈령부직장, 내자시주부, 장원서장원, 평강현감 등을 역임했다.[1] 1571년 사과, 1572년 호조좌랑, 형조정랑, 1575년 김포현령 등을 역임했다.[1] 1576년 부친상을 당해 3년상을 치렀다.[1]

2. 2. 중기 관직 생활

1579년 형조정랑을 거쳐 김제군수로 부임했다가 어머니의 나이가 70이 넘었다 하여 곧 사퇴하였다. 그 뒤 한성부 판관, 장악원 첨정 등을 지냈다. 제용감 첨정을 거쳐 양근군 수로 부임했다가 1581년 체직되었다.[1] 1582년 상의원 판관, 1583년 사재감 첨정, 1585년 장악원 첨정으로 옮겨 내승을 겸임했다.[1] 1587년 3월 셋째 딸을 왕자 광해군의 부인으로 들여보냈다.[1] 1587년 여름 모친상을 당하여 3년상을 마쳤다.[1]

2. 3. 임진왜란과 광해군 즉위

1589년 가을 경조판관에 제수되었고, 그해 겨울 정여립의 옥사에 안악현감으로 나가 해서(海西)의 가담자와 연루자들을 색출, 잡아들였다. 이후 통정대부로 특진하여 안악현감을 연임하다가 광주목사 등을 지냈다. 1592년 임진왜란 때는 광해군을 수행하였다. 그 후 가선대부로 승진, 돈녕부동지사를 거쳐 춘천도호부사가 되었으나 윤두수가 동궁을 모셔야 된다는 이유로 만류하여 다시 돈녕부동지사가 되었다. 바로 왕의 어가를 호종하여 평양까지 갔다가 평양에서 묘사주(廟社主)를 모시고 광해군 분조를 따라 강원도(조선) 방면으로 나갔다가 그해 가을 성천으로 가 성천도호부사에 임명되었다.[1]

2. 4. 후기 관직 생활

1595년 호군을 거쳐 한성부 우윤으로 전임되어 오위도총부부총관을 겸하였다. 그 뒤 개성부 유수를 거쳐 1597년 겨울 자헌대부 한성부 판윤 겸 도총관 및 오위도총부 도총관 등을 역임하였으며, 1598년 명나라 장군을 구타한 사건으로 파직되었다.[1] 1599년 개성부 유수, 1601년 지돈녕부사가 되었다.[1]

1608년 광해군의 즉위로 보국숭록대부 돈녕부영사로 특진하고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에 봉해졌다.[1] 그러나 평소와 다름없이 겸손한 마음으로 일상생활에 근신하고 권문세가로 행세하는 일이 없었다.[1] 1610년(광해군 2년) 기로소에 들어가 기로소당상이 되었다.[1]

3. 사후

1612년 사망하여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에 안장되었고 호성공신에 추록되었다. 광해군의 특명으로 갈충진성동덕찬모좌운이라는 열 자의 호가 추가되었으며, 증직으로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겸 영경연 홍문관 예문관 춘추관 관상감사 세자사가 추증되었다. 1617년 신도비가 건립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관작과 봉호가 추탈되었으며, 광해군 대에 권력을 누린 아들 희분(希奮), 희발(希發), 희량(希亮) 등은 처형 또는 유배되었다. 류자신 선생 묘 및 신도비는 경기도 시흥시 능곡동에 있으며, 2000년 1월 31일 시흥시의 향토유적 제4호로 지정되었다.

4. 가계

류자신은 조선 왕실 및 유력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증조부는 류제근, 조부는 류수천, 아버지는 류잠이다. 어머니는 하동 정씨로, 정승염의 딸이자 정인지의 증손녀이다.[1] 남동생은 류덕신이다. 부인 봉원부부인 정양정은 좌의정 정유길의 딸이자 영의정 정광필의 증손녀이며,[1] 광해군의 왕비인 문성군부인은 류자신의 3녀이다.

4. 1. 조상

증조부조부아버지어머니
류제근(柳悌根)류수천(柳壽千)류잠(柳潛)하동 정씨 (정승염의 딸, 정인지의 증손녀)[1]


4. 2. 형제자매

남동생: 류덕신(1548 ~ 1617)

4. 3. 배우자 및 자녀

부인 봉원부부인 정양정(1541 ~ 1620)은 좌의정 정유길의 딸이자 영의정 정광필의 증손녀이다.[1] 류자신과의 사이에서 6남 4녀를 두었다.

순서이름출생사망비고
장남류희갱(柳希鏗)1561년?
차남류희담(柳希聃)1563년?
3남류희분(柳希奮)1564년1623년
4남류희발(柳希發)1568년1623년
장녀류옥영(柳玉英)1570년?
차녀류중영(柳重英)1572년?
5남류희량(柳希亮)1575년1628년
3녀문성군부인(文城郡夫人)1576년1623년광해군의 왕비
4녀류소영(柳小英)1576년?
6남류희안(柳希安)1581년1628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