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르번구이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르번구이쯔는 중국에서 일본인을 비하하는 멸칭으로, 원래는 서양인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청일 전쟁 이후 일본인에게 사용되었다. "구이쯔"는 잔인한 존재로서 일본군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리번구이쯔" (日本鬼子) 또는 "샤오리번구이쯔" (小日本鬼子)와 같이 사용된다. 2010년 센카쿠 열도 분쟁 이후 일본인들이 이 단어를 접하게 되었지만, 일본어의 "귀(鬼)"가 반드시 부정적인 의미로만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중국의 멸시적인 뉘앙스는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인식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일본에서는 "히노모토 오니코"라는 모에 캐릭터를 만들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반일 감정 - 난징 대학살
    난징 대학살은 1937년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이 난징을 점령한 후 6주 동안 자행한 대규모 학살 및 전쟁범죄로, 희생자 수에 대한 논쟁은 있지만 국제사회는 일본 제국주의의 잔혹한 범죄로 인정하고 있다.
  • 중국의 반일 감정 - 만보산 사건
    만보산 사건은 1931년 만주 만보산 지역에서 조선인 이주민과 중국인 농민 간에 발생한 수로 공사 관련 충돌로, 일본의 과장 보도로 조선 내 반중국인 감정을 격화시키고 만주사변의 원인이 되었다.
  • 인종 및 민족 차별어 - 니거
    '니거'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인종차별적 욕설로, 흑인을 지칭하는 중립적 단어에서 모욕적 의미로 변질되어 현재는 금기시되며, 흑인 사회 내부에서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흑인이 아닌 사람이 사용하는 것은 인종차별 행위로 간주된다.
  • 인종 및 민족 차별어 - 샤오르번
    샤오르번은 중일전쟁 이후 중국에서 일본을 경멸적으로 부르는 용어로, "작은 일본"을 의미하며 일본의 침략에 대한 적개심과 반일 감정의 표현으로 사용된다.
르번구이쯔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한자日本鬼子
간체자日本鬼子
번체자日本鬼子
병음rìběn guǐzi
로마자 표기ribeon gwiji
주음부호ㄖˋ ㄅㄣˇ ㄍㄨㄟˇ ㄗ˙
광둥어jat6 bun2 gwai2 zi2
상해어nyihpen køytsy
타이완어Ji̍t-pún kuí-tsú
가나にほんきし / にっぽんきし
카타카나리벤구이즈
관련 용어
동양귀dōngyángguĭ
로마자 표기dongyang gwi
설명동양의 귀신이 아니라 동쪽의 양귀를 의미
설명
의미일본인을 멸칭하는 말
사용 시기중일 전쟁 이후, 주로 중국에서 사용
다른 표현소일본, 왜구 등
'[[소일본]]', ''귀자'' 등 모욕적인 용어를 적은 플래카드를 든 [[신당 (대만)]] 시위대 ([[중화민국]] 타이베이시)'
'소일본', 귀자 등 모욕적인 용어를 적은 플래카드를 든 신당 (대만) 시위대 (중화민국 타이베이시)

2. 어원 및 의미 변화

"구이쯔"("鬼子"중국어)는 원래 요재지이의 화피에 언급된 도사의 마귀를 가리키는 멸칭이었다.[2] 처음에는 중국을 침략하는 서양인을 가리키는 말로, 몽골로이드와 다른 코카소이드의 얼굴 생김새를 악마처럼 여겼기 때문이다.[2]

일청전쟁 이후, 일본인을 가리키는 멸칭으로 변화하였다.[2] 중화사상에 기반하여 왜노라고 부르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서양 침략자를 뜻하는 "양귀"에 이어 일본인을 "동양귀"라고 표현하게 되었다.[2] "구이쯔"는 잔인한 존재로서 일본인을, 특히 '''일본군'''을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2] 현재는 주로 일본인에 대한 욕설로 사용되며, "리번구이쯔"(일본귀자/日本鬼子중국어)라고 명확하게 표현하기도 한다.[2] 소일본과 함께 "샤오리번구이쯔(소일본귀자/小日本鬼子중국어)"도 사용된다.[2]

"양구이쯔"("洋鬼子"중국어)와 "시양구이쯔"("西洋鬼子"중국어)는 서양인을 낮잡아 부르는 말이다. "자구이쯔"("假鬼子"중국어)와 "자양구이쯔"("假洋鬼子"중국어)는 루쉰의 단편소설 아Q정전에서 사용된 말로, 외국인을 가장하거나 외국에 아첨하는 중국인을 가리킨다. 조선인을 멸칭하는 이귀자는 귀자의 부하라는 의미이다.[2]

2. 1. 중국

"구이쯔"("鬼子"중국어)는 원래 요재지이의 화피에 언급된 도사의 마귀를 가리키는 멸칭이었다.[2] 처음에는 중국을 침략하는 서양인을 가리키는 말로, 몽골로이드와 다른 코카소이드의 얼굴 생김새를 악마처럼 여겼기 때문이다.[2]

일청전쟁 이후, 일본인을 가리키는 멸칭으로 변화하였다.[2] 중화사상에 기반하여 왜노라고 부르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서양 침략자를 뜻하는 "양귀"에 이어 일본인을 "동양귀"라고 표현하게 되었다.[2] "구이쯔"는 잔인한 존재로서 일본인을, 특히 '''일본군'''을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2] 현재는 주로 일본인에 대한 욕설로 사용되며, "리번구이쯔"(일본귀자/日本鬼子중국어)라고 명확하게 표현하기도 한다.[2] 소일본과 함께 "샤오리번구이쯔(소일본귀자/小日本鬼子중국어)"도 사용된다.[2]

"양구이쯔"("洋鬼子"중국어)와 "시양구이쯔"("西洋鬼子"중국어)는 서양인을 낮잡아 부르는 말이다. "자구이쯔"("假鬼子"중국어)와 "자양구이쯔"("假洋鬼子"중국어)는 루쉰의 단편소설 아Q정전에서 사용된 말로, 외국인을 가장하거나 외국에 아첨하는 중국인을 가리킨다. 조선인을 멸칭하는 이귀자는 귀자의 부하라는 의미이다.[2]

2. 2. 일본

2010년 센카쿠 열도 중국어선 충돌 사건을 계기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발생한 반대 시위에서 "日本鬼子(일본귀자)"와 같은 형태로 "鬼子(귀자)"라는 단어가 자주 사용되어 많은 일본인들이 그 글자를 보게 되었다.[3]

중국에서 "鬼(귀)"는 유령 등 꺼리고 두려워하는 존재이지만, 일본인에게 "悪鬼(악귀)"나 "鬼畜(귀축)"과 같은 일종의 강조를 수반하지 않는 일본어의 "鬼(귀)"는 반드시 부정적인 의미로만 사용되는 단어는 아니다(예를 들어 "鬼に金棒(귀에 금방망이)"나 "仕事の鬼(일의 귀신)" 등).[3] 따라서 중국인의 "鬼子(귀자)"라는 단어에 담긴 경멸적인 의도·감정은 일본인에게 전달되지 않아 실감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3]

중국인들이 모욕적인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알려진 '日本鬼子(일본귀자)'를, 오히려 모에 캐릭터로 만들어 검색 결과를 모에 캐릭터로 채우자는 취지로, 인터넷에서 "日本鬼子(히노모토 오니코)"라는 캐릭터가 만들어졌다.[4]

3. 역사적 배경

3. 1. 청일전쟁과 일본 제국

청일 전쟁 이후, 중국에서는 일본 제국일본인을 '구이쯔'(鬼子)라고 부르며 적대감을 표현했다. 이는 원래 중국을 침략하는 서양인에게 사용하던 멸칭이었으나, 전쟁 이후 일본인을 지칭하는 말로 변화했다. 보다 명확하게는 '리번구이쯔'(르번구이쯔/日本鬼子중국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러한 표현은 중국인들이 일본의 침략과 식민 지배에 대한 분노와 혐오감을 드러내는 방식이었다. 한편, "양구이쯔"(洋鬼子)와 "시양구이쯔"(西洋鬼子)는 서양인을 낮잡아 부르는 말로 쓰인다.

3. 2. 중일전쟁과 난징 대학살

4. 현대적 용법

현대에도 '구이쯔'는 여전히 일본인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2] '구이쯔'만으로도 대개 일본인을 가리키지만, 더 명확히 하기 위해 "일본귀자(日本鬼子)"를 사용한다. 소일본(小日本)도 일본을 멸시하는 말이므로, 함께 "소일본귀자(小日本鬼子, 샤오르번구이쯔/小日本鬼子중국어)"도 사용된다.

원래 서양인을 부르는 말('양귀(洋鬼)', '서양귀자(西洋鬼子)')이었다는 역사적 경위는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国)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2] "가귀자(仮鬼子)"는 루쉰(魯迅)의 단편소설(短編小説) 『아Q정전(阿Q正伝)』에서 사용된 말로, 처음에는 외국인을 가장하는 중국인을, 나중에는 외국인에게 아첨하는 중국인을 형용하는 말이 되었다. 조선인을 멸칭으로 이귀자(二鬼子)라고 하는 것은 귀자의 부하라는 의미이다.

4. 1. 중국

4. 2. 한국

5. 일본에서의 인식

"鬼子(귀자)"라는 단어는 2010년 센카쿠 열도 중국어선 충돌 사건을 계기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발생한 반대 시위에서 "日本鬼子(일본귀자)"와 같은 형태로 자주 사용되어 많은 일본인들이 그 글자를 보게 되었다.

중국에서 "鬼(귀)"는 유령 등 꺼리고 두려워하는 존재이지만, 일본인에게 "悪鬼(악귀)"나 "鬼畜(귀축)"과 같은 일종의 강조를 수반하지 않는 일본어의 "鬼(귀)"는 반드시 부정적인 의미로만 사용되는 단어는 아니다(예를 들어 "鬼に金棒(귀에 금방망이)"나 "시고토노오니/仕事の鬼일본어" 등)."는 의미는 다르지만,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따라서 중국인의 "鬼子(귀자)"라는 단어에 담긴 경멸적인 의도·감정은 일본인에게 전달되지 않아 실감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3]

5. 1. 의미의 불일치

중국에서 "鬼(귀)"는 유령 등 꺼리고 두려워하는 존재이지만, 일본어의 "鬼(귀)"는 반드시 부정적인 의미로만 사용되는 단어는 아니다.[3] 예를 들어, "鬼に金棒(귀에 금방망이)"나 "시고토노오니/仕事の鬼일본어" 등 긍정적인 의미로도 사용된다.[3] 따라서 중국에서 사용되는 "구이쯔(鬼子)"의 경멸적인 뉘앙스는 일본인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3]

5. 2. 모에 캐릭터화

일부 일본 네티즌들은 '일본귀자(日本鬼子)'에 대응하기 위해 모에 캐릭터 '히노모토 오니코(日本鬼子)'를 만들었다.[4] 2010년 11월 3일에는 "일본귀자 대표 디자인"이 결정되었고, "일본귀자 대표 디자인 결정 기념식"이 개최되었다.[4] 이 캐릭터는 두 개의 뿔, 검은 긴 머리, 단풍무늬 기모노를 입고 나기나타를 든 미소녀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4]

6. 한국의 관점

7.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一支那青年より日本帝国の青年に与ふ : 日支親善の根本解決は何か {{NDLDC|1268533/57}}[...] 隣人之友社 2020-02
[2] 서적
[3] 뉴스 「日本鬼子」美少女に大変身 中国ネット利用者は愕然 (1/3) http://japanese.chin[...] 中国網日本語版 2017-02-14
[4] 웹사이트 萌えは世界を救う!?日本鬼子の代表デザインがとうとう決定!! https://news.livedoo[...] 2024-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