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미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 미분은 텐서장을 벡터장 방향으로 미분하는 연산으로, 1931년 브와디스와프 실레보진스키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고, 다비트 판 단지흐에 의해 '리 미분'으로 명명되었다. 이는 스칼라 함수, 벡터장, 텐서장, 미분 형식, 스피너장 등 다양한 대상에 대해 정의되며, 텐서장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리 미분은 선형 변환이며 텐서곱과 축약에 곱 규칙을 따르고, 외미분과 가환하며, 카르탕 마법 공식을 만족시키는 등 여러 성질을 갖는다.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시공간 대칭성을 나타내는 킬링 벡터장을 찾는 데 활용되며, 유체역학 및 미분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분의 일반화 - 기울기 (벡터)
기울기(벡터)는 스칼라장의 특정 지점에서 값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과 변화율을 나타내는 벡터로, 함수의 등위면에 수직이며 크기는 해당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스칼라 함수의 각 성분에 대한 편미분으로 구성되며 나블라 연산자로 표현된다. - 미분의 일반화 - 야코비 행렬
야코비 행렬은 열린 집합 U에서 정의된 함수 f의 각 성분 편도함수를 요소로 가지는 행렬이며, 함수가 미분 가능할 때 전미분을 나타내고, n=m일 경우 행렬식은 함수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미분 연산자 - 기울기 (벡터)
기울기(벡터)는 스칼라장의 특정 지점에서 값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과 변화율을 나타내는 벡터로, 함수의 등위면에 수직이며 크기는 해당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스칼라 함수의 각 성분에 대한 편미분으로 구성되며 나블라 연산자로 표현된다. - 미분 연산자 - 델 (연산자)
델 연산자는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편미분 연산자를 항으로 하는 벡터로 정의되며, 기울기, 발산, 회전, 라플라시안 등 다양한 연산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전자기학, 유체역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 곡률
가우스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곡면의 두 주곡률의 곱으로, 곡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곡면 자체의 길이 측정만으로 결정되는 내재적인 값이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는 곡면의 가우스 곡률이 외부 공간이 아닌 곡면 자체의 리만 계량만으로 결정된다는 정리로, 곡면의 변형 시 가우스 곡률이 보존됨을 의미하며, 지도 제작의 불가능성 증명과 고차원 리만 다양체 일반화에 응용되어 미분기하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초가 된다.
리 미분 | |
---|---|
개요 | |
정의 | 미분기하학에서 벡터장을 따라 다른 텐서장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연산 |
기호 | ℒ (Lie derivative) |
이름 유래 | 마리우스 리의 이름에서 유래 |
리 미분의 정의 | |
스칼라 함수 | 벡터장 X에 대한 스칼라 함수 f의 리 미분은 단순히 방향 미분임: ℒX(f) = df(X) = X(f). |
벡터장 | 벡터장 Y에 대한 벡터장 X의 리 미분은 리 괄호로 정의됨: ℒX(Y) = [X, Y]. |
텐서장 | 텐서장 T에 대한 리 미분은 T와 임의의 스칼라 함수 f, 벡터장 Y, 쌍대 벡터장 α에 대해 다음 항등식을 만족하는 유일한 텐서장임: ℒX(T(Y, α, ...)) = (ℒX T)(Y, α, ...) + T(ℒX Y, α, ...) + T(Y, ℒX α, ...) + .... |
좌표 표현 | |
벡터장 | ℒX(Yi) = Xj∂jYi − Yj∂jXi |
쌍대 벡터장 | ℒX(ωi) = Xj∂jωi + ωj∂jXi |
(0, 2) 텐서장 | ℒX(Tij) = Xk∂kTij + Ti∂kXj + Tk∂kXi |
속성 | |
선형성 | ℒX(S + T) = ℒX S + ℒX T |
라이프니츠 법칙 | ℒX(S ⊗ T) = (ℒX S) ⊗ T + S ⊗ (ℒX T) |
축약 | ℒX(ctr(T)) = ctr(ℒX T) (여기서 ctr은 임의의 축약) |
미분과의 교환 | ℒX(dT) = d(ℒX T) (여기서 d는 외미분) |
응용 | |
다양체 변형 | 다양체의 변형에 대한 벡터장의 유도를 정량화하는 데 사용됨 |
보존 법칙 | 뇌터 정리와 결합하여 보존 법칙을 찾는 데 사용됨 |
2. 역사적 배경
1931년에 폴란드의 수학자 브와디스와프 실레보진스키가 리 미분의 개념을 처음 도입하였다.[16][17] 1932년에 다비트 판 단지흐(David van Danzignl)가 소푸스 리의 이름을 따 "리 미분"(Liesche Ableitungde)으로 명명하였다.[18]
리 미분은 벡터장의 흐름(flow)을 따라 텐서장이 변화하는 비율을 나타낸다. 함수, 벡터장, 텐서장, 미분 형식 등 다양한 기하학적 객체에 대해 리 미분을 정의할 수 있다.
벨기에의 물리학자 레옹 로젠펠드(Léon Rosenfeld프랑스어)는 일반 상대성이론 연구 과정에서 리 미분과 유사한 개념을 독자적으로 도입하였다.[19] 로젠펠드는 이를 "국소 변화"(variation locale프랑스어)라고 불렀다.
1963년에 앙드레 리크네로비츠(André Lichnerowicz프랑스어)가 스피너장의 리 미분을 정의하였고,[20] 1972년에 이베트 코스만슈와르즈바크(Yvette Kosmann-Schwarzbach프랑스어)가 이를 일반화하였다.[21]
3. 정의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 매끄러운 벡터장 가 주어졌을 때, 방향으로의 '''리 미분'''은 임의의 매끄러운 차 텐서장 에 작용하여 매끄러운 차 텐서장 를 만드는 선형 변환이며, 다음 공리들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연산이다.
아인슈타인 표기법을 사용하고, 국소 좌표계 를 잡았을 때, 벡터 방향의, 차 텐서 의 '''리 미분'''은 다음과 같다.
:
비틀림이 없는 아핀 접속 의 경우, 위의 편미분을 공변 미분으로 치환하여도 상관없다. 리 미분은 아핀 접속에 의존하지 않는다.
:
3. 1. 함수의 리 미분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매끄러운 벡터장 가 주어졌을 때, 함수((0,0)차 텐서) 의 방향으로의 리 미분은 벡터장의 1차 미분 연산자로의 작용과 같으며, 이는 단순한 미분이다. 국소 좌표계에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다양체에서 함수 의 도함수는 가 정의되지 않아 차분 몫 이 정의될 수 없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점 에서 벡터장 에 대한 함수 의 리 미분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벡터장 에 의해 정의된 흐름이 시간 에서 점 를 매핑하는 점이다. 근처에서, 는 다음 1차 자율 (시간에 독립적인) 미분 방정식 시스템의 고유한 해이다.
:
여기서 이다.
로 설정하면 함수의 리 미분은 방향 미분과 동일시되며, 로도 표시된다.
다음은 지역 좌표계 표기법으로 나타낸 예시이다.
스칼라장 에 대해 다음과 같다.
:.
스칼라장 와 벡터장 에 대해 해당하는 리 미분은 다음과 같다.
''M'' 위의 매끄러운 벡터장 ''X''가 ''M'' 위의 곡선족을 정의함을 보이는 것으로부터 리 미분을 정의할 수도 있다. ''M'' 위의 임의의 점 ''p''에 대해, ''M'' 위의 곡선 γ(''t'')가 존재하여, ''p'' = γ(0)이고,
:
가 성립한다. 이 1계 상미분 방정식의 해는 피카르-린델뢰프 정리(더 일반적으로는 프로베니우스 정리)에 의해 존재가 보장된다. 이때 리 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3. 2. 벡터장의 리 미분
벡터장 의 벡터장 에 대한 리 미분은 리 괄호 와 같다. 리 괄호는 여러 가지로 정의될 수 있는데, 그중 두 가지는 다음과 같다.
:
이때, 는 다시 벡터장이 된다.
벡터장 의 에 관한 리 미분은 리 괄호곱 와 같으므로,
:
로 정의한다.
3. 3. 텐서장의 리 미분
아인슈타인 표기법을 사용하면, 국소 좌표계 에서 벡터 방향으로 (p,q)차 텐서 의 리 미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이는 흐름에 의해 공간이 바뀌면서 텐서장이 바뀌는 비율을 나타낸다.
비틀림이 없는 아핀 접속 을 사용하는 경우, 위의 편미분을 공변 미분으로 바꾸어도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 리 미분은 아핀 접속에 의존하지 않는다.
:
매끄러운 다양체 에 미분 가능한 (시간에 독립적인) 벡터장 가 주어지고, 가 해당 국소 흐름일 때, 는 각 에 대한 국소 미분동형사상이므로 텐서장의 당김을 유도한다.
공변 텐서의 경우, 당김 사상의 다중 선형 확장으로 정의된다.
:
반공변 텐서의 경우, 미분 의 역함수를 확장한다.
:
모든 에 대해, 와 같은 종류인 텐서장 를 얻는다.
또는 -형 텐서장 의 벡터장 에 대한 리 미분 는 점 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결과 텐서장 는 와 같은 유형이다.
3. 4. 미분 형식의 리 미분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차 미분 형식 는 차 텐서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리 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 공식을 '''카르탕 마법 공식'''(Cartan's magic formula)이라고 한다.
:
여기서 는 내부곱(interior product)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미분 형식에 대한 리 미분은 다음과 같은 항등식들을 만족시킨다.
:
:
:
일반적인 미분 형식 에 대해서, 리 미분은 의 변분을 고려한 축약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이 공식은 '''카르탄 공식''', '''카르탄 호모토피 공식''' 또는 '''카르탄의 마법 공식'''으로도 알려져 있다.
특히, 카르탄 공식은 다음을 보여준다.
:
리 미분은 또한 다음 관계를 만족한다.
:
3. 5. 스피너장의 리 미분
스핀 구조를 갖는 리만 다양체에서 스피너장 의 리 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여기서
국소 좌표계로 표기하면 이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스피너장의 리 미분은 리만 다양체의 리만 계량에 의존하지 않는다.
만약 가 킬링 벡터장이라면 (즉, ), 이는 다음과 같이 더 간단해진다.
:
일반적인 시공간 벡터장(필연적으로 킬링 벡터장이 아님)에 대한 스피너의 리 미분에 대한 정의는 1971년에 이브트 코스만에 의해 이미 제안되었다.[5] 이후, 그녀의 임시 처방을 섬유 다발에 대한 리 미분의 일반적인 틀 내에서 정당화하는 기하학적 틀이 제공되었으며,[6] 이는 게이지 공변 필드 이론에 가장 적합한 분야로 밝혀진 게이지 자연 다발의 명시적인 맥락에서 제공되었다.[7]
스핀 다양체에서, 즉 스핀 구조를 허용하는 리만 다양체 에서 스피너 장 의 리 미분은 1963년에 주어진 앙드레 리흐네로비츠의 국소 표현을 통해 무한소 등거리 변환(킬링 벡터장)에 대해 정의함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8]
:
여기서 이며, 는 킬링 벡터장이라고 가정하고, 는 디랙 행렬이다.
그 후 리흐네로비츠의 정의를 모든 벡터장(일반적인 무한소 변환)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일반'' 벡터장 에 대해 리흐네로비츠의 국소 표현을 유지하되, 의 반대칭 부분만 명시적으로 취한다.[5] 1972년에 주어진 코스만의 국소 표현은 다음과 같다:[5]
:
여기서 는 교환자이고, 는 외 미분이며, 는 메트릭 아래에서 에 해당하는 듀얼 1-형식(즉, 낮춰진 인덱스 포함)이고, 는 클리포드 곱이다.
스피너 리 미분은 메트릭에 독립적이므로, 접속에도 독립적이라는 점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는 코스만의 국소 표현의 오른쪽에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오른쪽이 스핀 접속(공변 미분), 벡터장의 이중화(인덱스 낮추기) 및 스피너 다발에서 클리포드 곱을 통해 메트릭에 의존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코스만의 국소 표현의 오른쪽의 양은 결합하여 모든 메트릭 및 접속 의존 항이 상쇄된다.
스피너 장의 리 미분에 대한 오랫동안 논쟁이 되어온 개념을 더 잘 이해하려면, 섬유 다발의 단면에 대한 리 미분 이론의 보다 일반적인 틀에 스피너 장의 리 미분 정의가 놓여 있으며, 스피너 경우에 대한 Y. 코스만의 직접적인 접근 방식이 코스만 올림이라고 하는 새로운 기하학적 개념의 형태로 게이지 자연 다발로 일반화된 원래 기사를 참조할 수 있다.[9][10]
4. 성질
리 미분은 선형 변환이며, 텐서곱과 축약에 대해 곱 규칙을 만족시킨다. 외미분과 가환하며, 미분 형식에 대해서는 카르탕 마법 공식을 만족한다. 리 괄호에 대해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한다.
- 함수의 리 미분: 함수((0,0)차 텐서) 에 대하여, 리 미분은 벡터장의 1차 미분 연산자로의 작용과 같다.
- :
- 함수 외미분과의 호환: 함수 에 대하여, 리 미분은 외미분과 가환한다.
- :
- 텐서곱과의 호환: 리 미분은 텐서곱에 대하여 곱 규칙을 따른다.
- :
- 축약과의 호환: 리 미분은 축약에 대하여 곱 규칙을 따른다. 즉, 임의의 벡터장 와 차 텐서장 에 대하여 (),
- :
벡터장의 경우, 리 미분은 리 괄호가 된다.
:
이 경우, 야코비 항등식에 따라 리 미분은 리 괄호에 대해 곱 규칙을 따른다.
:
차 미분 형식 는 차 텐서로 보고 그 리 미분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리 미분은 다음과 같이 주어지며, 이 공식을 '''카르탕 마법 공식'''(Cartan’s magic formula영어)이라고 한다.
:
여기서 는 내부곱(interior product영어)을 나타낸다.
:
미분 형식에 대하여, 리 미분은 다음과 같은 항등식들을 만족시킨다.
:
:
:
대칭 (0,2)차 텐서장 (예를 들어, 리만 계량)의 경우,
:
이다.
특히, 만약 리만 계량 로 유도되는 아핀 접속을 사용할 경우, 이며, 따라서
:
이다. 위 표현이 0이 되게 하는 벡터장 를 의 킬링 벡터장이라고 한다.
을 체에 정의된 함수의 다양체 ''M''에 대한 대수라고 하면
:
은 대수 에 대한 미분이다. 즉,
는 '''R'''-선형이고
:
이다.
마찬가지로, 이 ''M''상의 벡터장의 집합일 때, 에 대한 미분이다.[4]
:
이것은 다음과 같이 동등한 표기법으로도 쓸 수 있다.
:
여기서 텐서 곱 기호 는 함수와 벡터장의 곱이 전체 다양체에 걸쳐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벡터장에 대한 미분으로 간주하면
:
위의 식이 바로 야코비 항등식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리 괄호를 갖춘 ''M''상의 벡터장 공간이 리 대수를 형성한다는 중요한 결과를 얻는다.
''α''와 ''β''를 ''M''상의 두 개의 미분 형식이라고 하고, ''X''와 ''Y''를 두 개의 벡터장이라고 하면
- 여기서 ''i''는 위에 정의된 내적을 나타내며 [·,·]가 교환자 또는 리 괄호를 나타내는지 명확하다.
5. 일반화
공변 리 미분: 주다발 상에서 정의되는 리 미분의 일반화이다. 다양체 M 위의 주다발이 있고, X를 주다발의 접공간의 단면으로 공변 벡터장(수평 및 수직 성분을 가짐)으로 선택한다면, 공변 리 미분은 주다발에 대한 X에 대한 리 미분이다. 다양체 ''M'' 위에 벡터장 ''Y''가 주어져 있지만 (주다발은 아님) 주다발에 대한 접속도 있다면, 수평 성분이 ''Y''와 일치하고 수직 성분이 접속과 일치하는 주다발 위에 벡터장 X를 정의할 수 있는데, 이것이 공변 리 미분이다.
나이엔하위스-리 미분: 미분 형식을 반변 텐서장으로 확장한 일반화이다. 알베르트 니엔하위스(Albert Nijenhuis)는 접선 다발을 값으로 갖는 미분 형식의 다발 Ω''k''(''M'', T''M'')의 임의의 단면을 따라 미분 형식의 리 미분을 정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만약 ''K'' ∈ Ω''k''(''M'', T''M'')이고 α가 미분 ''p''-형식이라면, ''K''와 α의 내부 곱 ''i''''K''α를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니엔하위스-리 미분은 내부 곱과 외 미분의 반가환자이다.
:
반변 텐서장 ''K''와 ''p''차 미분 형식 α에 대해, 이들의 내부곱 ''i''''K''α가 정의될 수 있음을 이용하여, 나이엔하이스-리 미분은 내부곱과 외미분의 반교환자로 정의된다. 나이엔하이스-리 미분은 "통상의 의미로는 더 이상 미분이 아니다"라는 주의해야 할 예외 사항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통상의 리 미분에서와 마찬가지의 다양한 대수적 성질을 만족한다.
6. 응용
미분기하학에서 텐서장의 미분에 대한 세 가지 주요 좌표 독립적 개념 중 하나인 리 미분은, 벡터장을 사용하여 수송 개념(리 수송)을 정의한다.
리만 계량 로 유도되는 아핀 접속을 사용할 경우, 이다. 위 표현이 0이 되게 하는 벡터장 를 의 킬링 벡터장이라고 하며,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시공간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데 활용된다.
참조
[1]
서적
Variations, Geometry and Physics: In honour of Demeter Krupka's sixty-fifth birthday
Nova Science
[2]
저널
Sur les équations de Hamilton
[3]
서적
The Theory of Lie Derivatives and its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North-Holland
[4]
저널
Unification Theories: New Results and Examples
2019
[5]
저널
Dérivées de Lie des spineurs
[6]
서적
General Relativity: Papers in honour of J. L. Synge
Clarenden Press
[7]
서적
Natural and Gauge Natural Formalism for Classical Field Theories
Kluwer Academic
[8]
저널
Spineurs harmoniques
[9]
서적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fferential Geometry and Applications, August 28th–September 1st 1995 (Brno, Czech Republic)
Masaryk University
[10]
저널
Reductive G-structures and Lie derivatives
[11]
저널
Sur le tenseur d'impulsion-énergie
1940
[12]
서적
Theory of Relativity
Dover
1981-07-01
[13]
서적
https://archive.org/[...]
[14]
서적
Natural operations in differential geometry
http://www.emis.de/m[...]
Springer-Verlag
2016-12-20
[15]
저널
[16]
저널
[17]
서적
https://www.novapubl[...]
2016-12-07
[18]
저널
http://www.dwc.knaw.[...]
[19]
저널
[20]
저널
Spineurs harmoniques
http://gallica.bnf.f[...]
[21]
저널
Dérivées de Lie des spineu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