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기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틴 기타는 C.F. 마틴 1세가 1796년에 설립한 미국의 기타 제조 회사이다. 마틴 가문이 대대로 운영해 왔으며, 현대적인 플랫탑 강철 현 어쿠스틱 기타의 발전에 기여했다. 드레드노트 바디 스타일과 X-브레이싱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을 도입했으며, 1920년대 우쿨렐레 제작으로 성장했다. 대공황과 음악 트렌드 변화로 위기를 겪었지만, MTV 언플러그드 프로그램의 영향으로 어쿠스틱 기타 수요가 증가하며 회복했다. 현재는 다양한 모델과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어쿠스틱 기타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엘비스 프레슬리, 폴 매카트니 등 유명 음악가들이 사용하며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펜실베이니아주의 음악 - 펜실베이니아 (노래)
에디 코리와 로니 보너가 작사, 작곡한 펜실베이니아는 1990년 펜실베이니아 주의 공식 주가로 지정되어 이전 주가를 대체했으며, 펜실베이니아를 찬양하는 가사로 다양한 행사에서 사용되었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음악 - 크로대디
크로대디는 1950년 폴 윌리엄스가 창간한 잡지로, 록 음악을 중심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언더그라운드 문화의 중요한 일부가 되었고, 대중문화 전반을 다루는 매체로 확장, 한국 록 음악계에 기여, 온라인 간행물로 재출시되기도 했으며 브루스 스프링스틴을 지지하며 음악계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 1833년 설립된 기업 - 영국 대서부 철도
영국 대서부 철도는 1830년대 런던과 브리스톨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되어 광궤를 채택하고 노선을 확장했으며, 궤간 전쟁과 국유화, 민영화를 거쳐 현재 Great Western Railway라는 이름으로 여객 서비스를 제공한다. - 1833년 설립된 기업 - 예거 르쿨트르
예거 르쿨트르는 1833년 앙투안 르쿨트르가 스위스 발레 드 주에 설립한 고급 시계 제조 회사로, 1,242개 이상의 칼리버 자체 개발과 400여 개의 특허 획득을 통해 시계 제조 기술 혁신에 기여했으며, 리베르소와 아토모스 시계 등이 대표적인 모델이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기업 - 글락소스미스클라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은 2000년 합병으로 설립된 다국적 제약 회사이며, 의약품과 백신을 개발, 생산하고 일반의약품과 컨슈머 헬스케어 제품을 판매하며 윤리적 문제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기업 - 웨스팅하우스
웨스팅하우스는 조지 웨스팅하우스가 설립한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에서 시작하여 교류 전력 시스템 구축과 미디어 사업 진출, 원자력 발전소 제작 사업 전환, 잇따른 기업 인수 및 재매각을 거쳐 현재는 원자력 분야에서 국제적인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마틴 기타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1833년 |
설립 장소 | 뉴욕시. 1839년, 펜실베이니아주로 이전 |
창립자 | 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마르틴 |
주요 인물 | 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마르틴 4세 (회장), 토마스 립삼 (CEO) |
산업 | 악기 |
제품 | 어쿠스틱 기타 및 클래식 기타 우쿨렐레 기타 현 이전 제품: 일렉트릭 기타, 테너 기타, 만돌린, 티플, 베이스 기타 |
위치 | 펜실베이니아주나자레스 |
웹사이트 | martinguitar.com |
2. 역사
마틴 기타는 창립자 크리스찬 프레드릭 마틴(C. F. Martin) 가문이 대대로 운영해 온 회사이다. 현 최고 경영자(Executive Chairman)인 C.F. '크리스' 마틴 4세는 창립자의 증손자이다. 마틴은 드레드노트 바디 스타일과 스캘럽 브레이싱 등 현대적인 플랫탑 강철 현 어쿠스틱 기타의 특징적인 기능들을 최초로 도입하여 큰 영향을 주었다.
요한 게오르크 슈타우퍼 테르츠 기타 (), 빈 슈타우퍼 스타일 기타 by C.F. 마틴 (1834–35) | 슈타우퍼 스타일 기타 (), 뉴욕에서 제작 | 스페인 스타일 기타 (), 스타일 3-17 () |
---|---|---|
-- | -- | -- |
C. F. 마틴은 1796년 독일 마르크노이키르헨에서 태어나, 15세에 빈에서 유명한 기타 제작자 요한 게오르크 슈타우퍼의 견습생이 되었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와 자신의 공방을 열었지만, 길드 간의 분쟁으로 인해 1833년 뉴욕으로 이주했고, 1838년에는 나사렛으로 사업장을 옮겼다.
마틴은 1850년대에 X-브레이싱 시스템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아마도 1842년 7월). 비록 C. F. 마틴은 이 새로운 브레이싱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신청하지 않았지만, 마틴 회사는 X-브레이싱을 대규모로 사용한 최초의 회사였다. 1860년대부터 팬 브레이싱이 유럽에서 표준이 되었지만, 마틴은 워시번을 포함한 다른 미국 제작자들과 함께 X-브레이싱을 사용했다.[4] 마틴은 가구 제작 기술인 주먹장 이음새를 사용하여 기타 넥과 바디를 연결하는 등 추가적인 혁신을 이루었다.[5]
1900년대 초, 더 크고 타격감 있는 기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마틴은 거트 현 대신 금속 현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1921년까지 강철 현 기타 생산에 주력했다. 1920년대 우쿨렐레 제작은 회사의 확장에 크게 기여했으며, 1928년에는 연간 5,000대 이상의 악기를 생산했다.[6] 1964년, 마틴은 현재까지도 주요 생산 시설인 새로운 공장을 열었다.
1929년 대공황은 마틴의 판매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회사는 14 프렛 넥과 드레드노트 기타라는 두 가지 혁신을 통해 위기를 극복했다. 14 프렛 넥은 더 높은 음높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었고, 드레드노트는 더 큰 음량과 베이스를 제공하여 인기를 얻었다.
1960년대 후반, 마틴은 할로우 바디(hollow-body) Gretsch와 유사한 전기 기타를 제조했지만, 큰 인기를 얻지 못하고 어쿠스틱 기타 생산에 집중했다. 1969년 이후, 브라질 로즈우드 판매 제한으로 인해 일부 모델의 뒷면과 측면을 포함한 로즈우드 부품이 브라질 로즈우드에서 인도 로즈우드로 변경되었다.
1990년에 마틴은 50만 번째 기타를, 2004년에는 100만 번째 기타를 제작했다. 2007년 현재 마틴은 6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2018년 1월, 마틴은 D-45 존 메이어 시그니처 모델을 출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0]
2021년 6월, C.F. 마틴 4세는 CEO 자리에서 물러나고, 첫 비(非) 가족 구성원인 토마스 립삼이 CEO 역할을 맡게 되었다.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역사
1796년, 마틴 기타의 창립자 크리스찬 프레드릭 마틴 1세(C.F. Martin Sr.)가 기타와 바이올린 제작으로 유명한 독일 마르크노이키르헨에서 태어났다.[27] C.F. 마틴은 15세에 빈의 유명한 기타 제작자 요한 슈타우퍼의 제자가 되어 기술을 익혔고, 이후 고향에서 자신의 공방을 열었다.당시 유럽의 장인들은 길드 시스템 하에 있었는데, C.F. 마틴은 가구 제작자 길드와 바이올린 제작자 길드 간의 갈등 속에서 기타 제작의 어려움을 겪었다. 바이올린 제작자 길드는 가구 제작자들이 기타를 제작하는 것을 막으려 했고, C.F. 마틴은 이에 큰 부담을 느꼈다.
1833년, C.F. 마틴은 길드 시스템의 제약을 피해 미국 뉴욕으로 이주하여 기타 제작과 판매를 시작했다.[27] 초기에는 사업이 안정적이지 못했지만, 1838년 펜실베이니아 주 나사렛으로 이전하면서 본격적인 기타 제작을 시작했다.
2. 2. 기술 혁신과 성장
1850년대에 마틴은 현재 어쿠스틱 기타의 표준이 된 X-브레이싱 구조를 개발했다.[3] 이 혁신적인 기술은 기타의 음량과 울림을 향상시켜 마틴 기타의 명성을 높였다. 하지만, 마틴은 이 기술에 대한 특허를 신청하지 않아 여러 제작자가 이 기술을 사용하게 되었다.[3]1920년대에 마틴은 우쿨렐레 제작으로 새로운 붐을 맞이했다. 처음에는 마틴의 우쿨렐레가 목재를 너무 두껍게 사용해 환영받지 못했지만, 마호가니를 사용하고 목재 두께를 줄인 새로운 우쿨렐레는 미국 시장을 석권하며 회사의 성장을 이끌었다.
1929년, 마틴은 밴조 연주자 페리 벡텔의 요청으로 14프렛 넥 기타(오케스트라 모델)를 개발했다. 이는 넥의 길이를 늘려 다양한 연주를 가능하게 한 혁신이었다. 1930년대 중반부터 후반까지 마틴 카탈로그의 모든 14프렛 악기에 이 명칭이 적용되었다.
1931년, 마틴은 올리버 딧슨 사와의 협력으로 드레드넛 기타를 출시했다. 드레드넛 바디는 크고 깊은 울림을 내는 형태로, 포크송의 인기와 함께 어쿠스틱 기타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2. 3. 경영 위기와 극복
1929년의 대공황은 마틴사의 판매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회사는 사업 회복을 돕기 위해 두 가지 혁신을 내놓았다. 1900년경부터 만돌린을, 1920년경부터는 우쿨렐레를 대량 생산했지만 유행의 변화로 판매량이 감소하여 제조를 중단했다.[18]1929년 대공황으로 1930년에는 기타를 4474대 제조했지만 1933년에는 2494대로 생산량이 급감했다.[20] 마틴은 노동 시간 주 3일 단축, 타사의 바이올린 부품 및 장난감 제조 등으로 고비를 넘겼다.[21][22]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에서 컨트리 음악과 포크송이 대유행하면서 어쿠스틱 기타 생산량이 증가하여, 1970년에는 22,637대를 제조했다.[20] 그러나 음악 유행의 변화로 악기의 인기가 일렉트릭 기타로 옮겨가고, 신시사이저가 대유행하면서 어쿠스틱 기타의 생산량은 급격히 감소하여 1981년에는 6,174대에 머물렀다.[20] 마틴에서도 인원 감축이 실시되었고,[23] 동종 업계의 라이벌인 깁슨은 1894년 창업 이후 지속해 오던 어쿠스틱 기타 생산을 1984년에 일시 중단했다.[24]
1989년 MTV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MTV 언플러그드가 히트하면서 어쿠스틱 기타의 인기가 다시 상승했다. 1994년에는 16,473대를 생산하여 급격하게 실적이 회복되었다.[20] 수요가 증가하면서 마틴사는 새롭게 적극적인 상품 전략을 전개했다. 과거에는 전혀 출시되지 않았던 에릭 클랩튼 모델(000-28EC) 등의 아티스트 시그니처 모델과, 전쟁 전 모델의 사양을 부활시킨 빈티지 시리즈(HD-28V 등), 수집가용 초고급 모델(D-100 Deluxe 등), 희귀 소재를 사용한 과거 모델의 복각판(D-28 Authentic 1937 등) 등을 판매하고 있다.
2. 4. 현대: 혁신과 다양성의 추구
1989년 MTV에서 방영된 MTV 언플러그드의 인기로 어쿠스틱 기타의 수요가 다시 증가했다. 1994년에는 16,473대[20]를 생산하며 급격한 실적 회복을 보였다. 마틴사는 이러한 수요 증가에 발맞춰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쳤다. 이전에는 출시되지 않았던 에릭 클랩튼 모델(000-28EC)과 같은 아티스트 시그니처 모델, 전쟁 전 모델의 사양을 복원한 빈티지 시리즈(HD-28V 등), 수집가용 초고급 모델(D-100 Deluxe 등), 희귀 소재를 사용한 과거 모델 복각판(D-28 Authentic 1937 등)을 판매했다.마틴은 창립 이래 장인의 수작업으로 기타를 제조해왔으나, 1990년대부터는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기계화를 추진했다. 부품 절삭용 NC 라우터, 접착 유지를 위한 진공 클램프, 레이저 조각기 등의 자동 공작 기계를 도입하여 전통적인 수작업과 기계 가공을 병행했다.[25]
또한, 초보자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저가형 모델(1 시리즈, ROAD 시리즈 등)을 개발하고, 기존의 본사·공장 외에 멕시코 공장을 개설하여 휴대하기 쉬운 소형 모델(백패커 시리즈)이나 저가형 우쿨렐레 등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악기용 목재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하이프레셔 라미네이트라는 신소재를 개발하고, 고급 라인업에 일렉트릭 어쿠스틱 기타를 추가하는 등 2020년 현재까지 활발하게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2018년 1월에는 D-45 존 메이어 시그니처 모델 출시를 발표하고, NAMM 쇼에서 공개했다.[10] 2018년에는 그렉 코치를 마틴 기타 홍보대사로 영입하여, 마틴 기타 모델 시연 클리닉을 진행하고 있다.[13]
3. 주요 모델 및 특징
마틴은 다양한 종류의 기타 모델을 출시했으며, 각 모델은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요 모델과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X-브레이싱: 마틴은 1850년대에 X-브레이싱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타 제작에 적용했다.[3] 비록 마틴이 X-브레이싱을 발명했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3] 이 방식을 대규모로 사용한 최초의 회사였다. X-브레이싱은 기타의 내구성을 높이고 음색을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
- 14 프렛 넥: 1900년대 초, 마틴은 밴조 연주자들이 기타로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14 프렛 넥 기타를 개발했다. 이전에는 대부분의 기타가 12 프렛 넥을 가지고 있었지만, 14 프렛 넥은 더 높은 음까지 연주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는 곧 미국 기타 산업의 표준이 되었다.
마틴은 기타의 크기와 형태,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모델을 개발했다.
3. 1. 드레드넛 (Dreadnought)
1916년 마틴은 올리버 딧슨사(Oliver Ditson Co.)와의 협력으로 당시 대부분의 기타보다 크고 깊은 드레드노트(Dreadnought) 바디 스타일을 고안했다. 이 기타의 이름은 1906년 영국 해군이 진수한 거대한 전함에서 따왔다. 드레드노트는 크기가 커서 더 큰 음량과 베이스음을 낼 수 있었고, 이는 당시 음향 장비가 충분하지 않았던 가수들의 반주 악기로서 기타의 활용도를 높였다. 딧슨을 위해 제작된 초기 드레드노트 모델은 팬 브레이싱을 사용했고,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1931년, 마틴은 X 브레이싱을 갖춘 드레드노트를 다시 출시했고, 2년 후 14 프렛 넥을 수용하기 위해 바디 모양을 수정했다. 이 모델은 빠르게 마틴의 베스트셀러 기타가 되었으며, 이후 다른 기타 제조사들도 드레드노트 크기와 모양을 따라 하면서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사용되는 상징적인 "표준" 어쿠스틱 기타 모양 중 하나가 되었다.
3. 2. 오케스트라 모델 (Orchestra Model, OM)
C.F.Martin 3세에 의하면 14프렛 넥은 1929년 말에 개발되었다. 이전의 기타는 대부분 12프렛 넥이었다. 당시 유명한 벤조 연주자인 페리 벡텔(Perry Bechtel)이 C.F.Martin 3세에게 14프렛 넥 기타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하면서, 넥이 길수록 음폭도 넓어지고 다양한 연주에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마틴은 그의 충고에 따라 14프렛 넥 기타를 만들고 이를 '오케스트라 모델(OM)'이라고 명명했다.[7] 14프렛 넥의 개발은 성공적이어서 마틴 사는 모든 제품을 14프렛 넥으로 변경했다. 14프렛 넥은 미국 기타 산업의 표준이 되었다.1929년에서 1931년경의 오리지널 마틴 OM은 매우 희귀하며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많은 기타리스트는 OM—마틴의 수정된 14 프렛 000 바디 모양, 롱 스케일(25.4") 넥, 솔리드 헤드스톡, 1-3/4" 너트 너비, 엔드웨지에서 4-1/8" 최대 깊이, 브리지에서 2-3/8" 현 간격의 조합—이 스틸-스트링 어쿠스틱 기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다재다능한 특징의 조합을 제공한다고 생각한다. 많은 현대 기타 제작자(많은 작은 공방과 수제 제작자 포함)가 OM 패턴으로 악기를 설계한다.[7]
3. 3. 000, 00, 0
1920년대에 마틴은 우쿨렐레 제작으로 회사의 확장에 크게 기여했으며, 1928년에는 연간 5,000대 이상의 악기를 생산했다.[6]14 프렛 넥은 더 높은 음높이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특징이었다. 깁슨의 L-5 아치탑 재즈 기타를 제외한 당시 대부분의 기타는 넥이 현의 절반 길이인 12 프렛에서 연결되었다. 마틴은 뉴욕시의 칼 피셔 매장의 매니저인 알 에스포지토를 포함한 테너 연주자들의 요청에 따라, 더 많은 작업 기회를 위해 기타로 전환하는 데 관심이 있는 픽트럼 밴조 연주자들에게 어필하고자 0 사이즈 기타 바디의 모양을 변경하여 14프렛을 수용했다. "칼 피셔 모델" 테너는 곧 0-18T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것은 마틴이 더 긴 넥을 수용하기 위해 원래 바디 모양을 변경한 첫 번째 사례였다.
또한, 애틀랜타의 케이블 피아노에서 밴조 연주자이자 기타 교사인 페리 벡텔이 마틴에게 15 프렛 넥-바디 연결의 기타를 제작해 달라고 요청했다. 벡텔의 요청에 따라 마틴은 12 프렛 000 사이즈 악기의 모양을 수정하여 허리를 낮추고 상단 바우트에 더 날카로운 곡선을 주어 넥 조인트가 14 프렛에 오도록 했다. 14 프렛 기타는 픽으로 연주하고 재즈 오케스트라에서 밴조를 대체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마틴은 최초의 14 프렛, 000 모양의 기타를 오케스트라 모델(OM)이라고 명명했다. 마틴은 1930년대 중반부터 후반까지 카탈로그에 있는 모든 14 프렛 악기에 이 용어를 적용했다.
1929년에서 1931년경의 오리지널 마틴 OM은 매우 희귀하며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많은 기타리스트들은 OM—마틴의 수정된 14 프렛 000 바디 모양, 롱 스케일(25.4") 넥, 솔리드 헤드스톡, 1-3/4" 너트 너비, 엔드웨지에서 4-1/8" 최대 깊이, 브리지에서 2-3/8" 현 간격의 조합—이 스틸-스트링 어쿠스틱 기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다재다능한 특징의 조합을 제공한다고 생각한다. 많은 현대 기타 제작자들이 OM 패턴으로 악기를 설계한다.[7]
바디 모양과 더 긴 넥의 변화가 큰 인기를 얻어 마틴은 거의 모든 기타에 14 프렛 넥을 표준으로 만들었고, 다른 기타 산업도 곧 뒤따랐다.
3. 4. 기타 특징
1850년대에 마틴은 기타 앞판에 혁신적인 X-브레이싱[3] 구조를 장착한 모델을 출시했다. 이 구조는 오늘날 마틴 기타 및 전 세계 어쿠스틱 기타의 표준이 되었으며, 큰 음량과 맑은 울림을 낸다. 마틴은 X-브레이싱 시스템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3], 1850년대에는 여러 제작자들이 X-브레이싱을 사용했고, 이들은 모두 서로 알고 지내던 독일 이민자들이었다. 역사학자 필립 구라(Philip Gura)에 따르면 C. F. 마틴이 이 시스템을 발명했다는 증거는 없지만[3], 마틴은 X-브레이싱을 대규모로 사용한 최초의 회사였다.1920년대 컨트리 음악의 밴조 연주자가 쉽게 기타로 바꿀 수 있도록, 거트 현 대신 밴조와 같은 스틸 현을 장착할 수 있도록 기타를 설계 변경하여 상품화했다.[15] 현재의 스틸 스트링 어쿠스틱 기타 (플랫탑 기타)의 거의 모든 기타에 사용되는 X 브레이싱에 의한 앞판 보강도 마틴의 발명으로 여겨진다.[16] 이후 00(더블 오), 000(트리플 오), D(드레드노트)와 같이 음량을 키우기 위해 바디 사이즈를 키운 모델을 잇달아 발표했다. 드레드노트[17] 타입은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큰 인기를 얻어 현재 어쿠스틱 기타의 기초가 되었다.
4. 사회적 기여 및 문화적 영향
마틴 기타는 엘비스 프레슬리, 폴 매카트니, 에릭 클랩튼, 존 메이어, 토미 엠마뉴엘 등 세계적인 음악가들에게 사랑받고 있다.[26]
1990년에 마틴은 50만 번째 기타를 제작했고, 2004년에는 100만 번째 기타를 제작했다. 100만 번째 기타는 완전히 수작업으로 제작되었으며 40개 이상의 루비와 다이아몬드가 박혀 있었고, 그 가치는 약 100만달러로 추정된다.
2009년 10월, 엘비스 프레슬리가 마지막 콘서트에서 연주했던 마틴 D-28이 경매에서 106200USD에 낙찰되었다.[9]
쿠르드족 가수 누뎀 두락을 지지하기 위해 로저 워터스는 Us + Them Tour에서 연주했던 그의 검은색 마틴 기타를 그녀에게 보냈다.[11]
2020년 6월 21일, 1993년 너바나의 ''MTV 언플러그드'' 공연에서 커트 코베인이 앰프에 연결하여 연주하도록 개조된 1959년 마틴 D-18 E가 경매에서 601만달러에 판매되어 모든 기타 중 최고 판매가를 기록했다.[12]
2020년 8월 1일, 엘비스 프레슬리가 1954년 12월부터 1955년 5월까지 소유하고 사용했던 D-18이 Gottahaverockandroll 경매에서 132만달러에 판매되어 개조되지 않은 어쿠스틱 기타 중 최고 가격을 기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Martin Guitars
https://guitar.com/f[...]
2024-12-10
[2]
웹사이트
Visit Martin
https://web.archive.[...]
C. F. Martin & Company
2014-10-01
[3]
서적
C. F. Martin and His Guitars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4]
서적
C. F. Martin and His Guitars
[5]
뉴스
Martin at AMS
https://www.american[...]
2017-05-31
[6]
서적
The Martin Ukulele: The Little Instrument That Helped Create a Guitar Giant
Hal Leonard
[7]
웹사이트
The Classic Martin OM Fingerstylists' Choice
https://web.archive.[...]
Schoenberg
2011-03-30
[8]
뉴스
https://www.premierg[...]
[9]
웹사이트
Martin Guitar Played by Elvis Sold at Auction
http://www.fretbase.[...]
[10]
뉴스
Martin Guitar Releases the D-45 John Mayer Custom Signature Edition and Updates Standard Series
https://www.premierg[...]
2018-01-13
[11]
웹사이트
"She's Not Free': Inside Roger Waters' Quest to Release a Jailed Kurdish Musician"
https://www.rollings[...]
2022-02-19
[12]
웹사이트
"Kurt Cobain's MTV Unplugged guitar sells for $6m at auction"
https://www.bbc.co.u[...]
2020-06-21
[13]
웹사이트
Greg Koch
https://web.archive.[...]
C.F. MARTIN & CO., INC.
2019-01-27
[14]
서적
Martin Guitar BOOK
[15]
간행물
Guitar Graphic Vol.5
[16]
문서
[17]
서적
마틴D-28
[18]
문서
[19]
서적
마틴D-28이라는 전설
[20]
서적
마틴D-28
[21]
서적
마틴D-28이라는 전설
[22]
서적
Martin Guitar BOOK
[23]
서적
마틴D-28
[24]
서적
Gibson GUITAR BOOK
[25]
서적
마틴D-28
[26]
웹사이트
Martinguitar.com
http://www.martingui[...]
[27]
웹인용
KY trading 브랜드 소개 - Martin
https://web.archive.[...]
2014-1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