잣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잣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침엽수로, 붉은색 심재를 가져 홍송으로도 불리며, 잣을 생산한다. 높이 30m까지 자라며, 잎은 5개씩 묶여 나고 잣송이에는 잣이 들어있다. 한반도,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지역, 일본 혼슈와 시코쿠에 분포하며, 목재, 식용, 약용,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잣은 영양가가 높고, 잣나무 목재는 건축, 가구, 펄프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 최근에는 잣나무 숲의 복원 및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소나무재선충에 약하지만 실제 삼림에서는 피해가 적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특별자치도의 상징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상징 - 철쭉
철쭉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낙엽 관목으로, 4~5월에 다양한 색의 꽃을 피우며, 잎과 꽃에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약재로도 사용되지만 그레이야노톡신 중독 위험이 있으며, 진달래 등과 유사하나 잎이 난 후 꽃이 피는 점과 독성 유무로 구별된다. - 1842년 기재된 식물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842년 기재된 식물 - 금송
금송은 일본 고유종으로, 상록 교목이며, 부드럽고 내수성이 뛰어난 목재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관상용으로도 식재되며, IUCN 적색 목록에서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소나무과 - 일본잎갈나무
일본잎갈나무는 일본 특산종으로, 가을에 단풍이 들며 방풍림, 목재 등으로 이용되고, 1960~70년대 한국에서 대규모 조림이 이루어졌다. - 소나무과 - 미송
미송은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 원산의 상록침엽수로, *Pseudotsuga menziesii*라는 학명을 가지며, 가짜전나무속에 속하는 대형 수종으로, 건축 및 가구재, 크리스마스 트리 등으로 활용되지만 무분별한 벌채로 서식지 감소가 우려되어 IUCN 적색 목록에서 재평가가 필요한 상태이다.
잣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학명 | Pinus koraiensis |
명명자 | Siebold & Zucc. |
한국어 이름 | 잣나무, 쵸우센고요우, 쵸우센마츠, 홍송 |
영어 이름 | Korean Pine |
중국어 이름 | 红松 (hóng sōng)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구과식물문 |
아문 | 마츠아문 |
강 | 구과식물강 |
아강 | 마츠아강 |
목 | 구과목 |
과 | 소나무과 |
속 | 소나무속 |
아속 | Strobus |
절 | Cembra |
보존 상태 | |
IUCN 상태 | LC (관심 필요) |
IUCN 참고 | Conifer Specialist Group 1998. Pinus koraiensis. In: IUCN 201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0.4. |
생태 및 분포 | |
서식 고도 | 600 ~ 900m, 2,000 ~ 2,600m |
주요 서식지 | 동북 지방 |
특징 | |
설명 | "동북 신 3보" 중 첫 번째 |
기타 정보 | |
PLANTS 심볼 | PIKO2 |
iPlant 정보 | 홍송(hóng sōng) |
이미지 | |
![]() | |
![]() | |
![]() |
2. 다른 이름
잣나무는 나무를 베면 심재가 붉은색을 띠어 홍송(紅松)이라고도 불리며, 한자명으로는 백자목(柏子木)이라고도 한다.[16] Korean white pine영어은 잎이 희게 보이는 한국산 소나무라는 의미이다.[16] 일본에서는 잣나무(チョウセンゴヨウ, 朝鮮五葉) 또는 소나무(チョウセンマツ, 朝鮮松)라고 부른다.[16] 중국 이름은 홍송(紅松)이나 과송(果松), 러시아어 이름은 Корейский кедр(한국 소나무)이나 Маньчжурский кедр(만주 소나무)이다.
잣나무는 높이 30m, 지름 1m 이상까지 자라는 대형 상록수이다. 수피는 흑갈색이며, 얇게 벗겨진다.[19] 잎은 침형으로 5개씩 묶여 나며 길이는 7~12cm이다. 잎 뒷면에는 5~6줄의 흰색 기공선이 있어 전체적으로 녹백색으로 보인다.[19]
3. 형태
잣송이(솔방울)는 긴 난형 또는 원통형으로, 길이 12~15cm, 지름 6~8cm이다. 실편 끝이 길게 자라 뒤로 젖혀지며, 하나의 실편에 잣이 2개씩 들어있다.
3. 1. 잣 (종자)
잣은 잣나무의 씨앗이다. 크기는 2cm 정도이며, 다른 소나무와는 다르게 날개가 없다.[19] 잣은 식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4. 분포 및 생태
잣나무는 한반도,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지역(우스리강 유역[17]), 일본 혼슈와 시코쿠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대부분 고산지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남한에서는 해발 1000m 이상 고산 지대에 자연 분포한다.[23] 특히 동북 3성과 연해주, 하바롭스크 등지에 많은 원시림이 분포하고 있으나 과도한 벌채로 천연림이 급속도로 파괴되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잣나무림의 복원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러시아에서도 1980년 이후 잣나무의 벌채를 금지하고 있다.[23]
어릴 때는 내음성이 강해서 빽빽한 숲에서도 자라나며 성장하면 중용수로 바뀐다. 적윤성 토양에서 잘 자라며 냇가와 습윤지에서도 잘 견딘다. 한대성 수종이기 때문에 남해안과 제주도 같은 온대성 지방에서는 생육이 불량하다.[24] 또한 젓나무, 분비나무, 피나무, 자작나무, 신갈나무 등과 같이 자라지만 백두산지역에서는 순림에 가까운 곳도 있다.
일본에서는 혼슈 중부의 후쿠시마현 남부에서 기후현에 걸쳐, 그리고 시코쿠의 동적석악에도 소규모 군락이 고립 분포하고 있다[18]. 비교적 희귀한 종으로 산에서 보기는 어렵다. 일본에서는 비교적 희귀한 종이며, 순림을 이루는 경우는 드물고 활엽수림에 혼생하는 경우가 많다.[19].
종자는 쥐나 다람쥐와 같은 작은 포유류와, 어치, 쇠딱따구리, 잣까치, 뇌조 등의 조류에 의해 전파되며, 특히 쥐나 다람쥐에 의해 모아지고 이동되어 여러 곳에서 발아한다.[17].
본 종은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에 감수성이 높아 기생되면 소나무재선충병을 발병하여 고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 종은 선충 접종 시험에 대한 감수성은 강하지만, 실제 삼림에서는 피해를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소나무재선충병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한국에서도 일본산 적송이나 곰솔에 비해 본 종의 피해 보고는 늦었다.[20].
4. 1. 보존 노력
잣나무는 과거 과도한 벌채로 인해 천연림이 급속도로 파괴되었다.[23] 특히 시베리아 호랑이의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잣나무 보존은 호랑이 보호의 중요한 단계가 되었다.[1]최근 한국, 중국, 러시아 등에서 잣나무 숲 복원 및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1980년 이후 잣나무 벌채를 금지하고 있다.[23] 중국 흑룡강성 이춘시는 아시아에서 가장 잘 보존된 잣나무 원시림 군집을 보유하고 있으며,[8] 2004년부터 야생 잣나무 벌채를 전면 금지하고 있다.[2] 이춘시의 봉림 자연보호구역은 유네스코 세계 생물권 보전 지역 네트워크에 포함되었다.[8]
일본에서는 잣나무가 희귀하여 활엽수림에 섞여 자라는 경우가 많지만,[19] 시베리아에서는 가문비나무속이나 낙엽송속 등의 침엽수와 함께 삼림의 주요 구성종 중 하나이다. 잣나무 종자는 쥐, 다람쥐, 어치, 쇠딱따구리, 잣까치, 뇌조 등에 의해 전파된다.[17] 잣나무는 소나무재선충에 감수성이 높아 기생되면 소나무재선충병으로 고사할 수 있지만, 실제 삼림에서는 피해가 적다.[20]
5. 이용
잣나무는 목재, 식용, 약용,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목재는 건축(건구, 내장), 가구, 포장, 합판, 펄프, 목탄으로 이용되며, 열매는 식용 혹은 약용으로 쓰인다. 잣나무는 테레빈유 수지와 타닌의 원천이다.[1][12] 잣잎은 잣잎 기름을 추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잣나무 목재는 나이테가 뚜렷하고 심재는 황홍색, 변재는 담홍황백색으로 구분되며, 나무 결이 곧고 향기가 있다.[25] 건조는 잘 되지만 휨 가공은 좋지 않다.[25] 가볍고 나뭇결이 곧으며 가공이 용이하여 전신주, 침목, 다리, 배, 합판, 마루, 가구, 스포츠 용품, 악기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1] 칩, 파티클보드 또는 제지용 펄프로도 쉽게 분해된다.[1] 건축, 펄프 등에 사용된다.[17]
시베리아에서도 잣나무 벌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아무르호랑이와 아무르표범과 같은 대형 육식 포유류를 보호해야 하는 상황에서 경제적 가치가 높은 잣나무의 불법 벌채가 끊이지 않아 잣나무 보호가 요구되어 왔다. 2010년 10월, 소나무속으로는 처음으로 러시아산 잣나무를 워싱턴 조약에 등재하는 조치가 취해졌다.[22]
잣은 영양가가 높고 독특한 풍미가 있어 샐러드, 페스토, 과자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5] 잣에는 피놀렌산 등 특이한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10] 잣 기름은 높은 영양가를 지니고 있으며, 윤활유와 비누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11]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잣을 이용한 잣죽, 잣엿, 수정과 등 다양한 음식이 발달해왔다.
중국에서는 잣을 "장수과(長壽果)"[5], 전통 중약재로는 "해송자(海松子)"[5]라고 불렀으며, 식품, 음료, 건강 증진 및 의료 치료에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잣나무의 씨앗(잣)은 식용이며 상업적으로 판매된다.[6] 유럽과 미국 전역의 시장에서 잣으로 판매되는 가장 흔한 분류군이다.[1]
잣은 전통 의학에서 해송자(海松子)라 불리며 영양 강장제로 사용된다.[5][17] 잣에는 피놀렌산이 함유되어 있는데, "체중 감량, 지방 저하, 면역 증강, 항염증, 항산화, 인슐린 감수성 증강, 항암 전이 등 다양한 생리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10]
송화가루/Pine pollen는 잣나무 수술에서 생성되는 건조된 꽃가루로, 전통 중약 및 전통 중국 요리 재료로 사용된다.[13] "中国预防医学科学院营养与食品卫生研究所/중국예방의학과학원 영양 및 식품위생연구소"는 송화가루가 200가지 이상의 영양 성분과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피로 회복, 항노화, 혈중 지질 조절, 면역 증강, 미용 등 다섯 가지 주요 건강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확인했다.[13] "国家体育总局运动医学研究所兴奋剂检测中心/국가체육총국 운동의학연구소 도핑 검사 센터"는 송화가루에서 올림픽에서 금지된 성분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13]
잣나무는 수려한 수형과 푸른 잎 덕분에 관상수로 인기가 높다.[6] 여러 토양 유형에 내성이 있으며 도시 환경에서 잘 자라고, 매우 추운 겨울 기후에도 적응력이 뛰어나다.[6] 푸른빛을 띠는 'Glauca'와 'Silveray', 넓은 줄기를 가진 'Winton' 등 여러 품종이 있다.[14]
5. 1. 목재
잣나무 목재는 나이테가 뚜렷하고 심재는 황홍색, 변재는 담홍황백색으로 구분되며, 나무 결이 곧고 향기가 있다.[25] 건조는 잘 되지만 휨 가공은 좋지 않다.[25] 가볍고 나뭇결이 곧으며 가공이 용이하여 전신주, 침목, 다리, 배, 합판, 마루, 가구, 스포츠 용품, 악기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1] 칩, 파티클보드 또는 제지용 펄프로도 쉽게 분해된다.[1] 건축, 펄프 등에 사용된다.[17]시베리아에서도 잣나무 벌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아무르호랑이와 아무르표범과 같은 대형 육식 포유류를 보호해야 하는 상황에서 경제적 가치가 높은 잣나무의 불법 벌채가 끊이지 않아 잣나무 보호가 요구되어 왔다. 2010년 10월, 소나무속으로는 처음으로 러시아산 잣나무를 워싱턴 조약에 등재하는 조치가 취해졌다.[22]
5. 2. 식용 (잣)
잣은 영양가가 높고 독특한 풍미가 있어 샐러드, 페스토, 과자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5] 잣에는 피놀렌산 등 특이한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9][10] 잣 기름은 높은 영양가를 지니고 있으며, 윤활유와 비누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11]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잣을 이용한 잣죽, 잣엿, 수정과 등 다양한 음식이 발달해왔다.중국에서는 잣을 "장수과(長壽果)"[5], 전통 중약재로는 "해송자(海松子)"[5]라고 불렀으며, 식품, 음료, 건강 증진 및 의료 치료에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잣나무의 씨앗(잣)은 식용이며 상업적으로 판매된다.[6] 유럽과 미국 전역의 시장에서 잣으로 판매되는 가장 흔한 분류군이다.[1]
5. 3. 약용
잣은 전통 의학에서 해송자(海松子)라 불리며 영양 강장제로 사용된다.[5][17] 잣에는 피놀렌산이 함유되어 있는데, "체중 감량, 지방 저하, 면역 증강, 항염증, 항산화, 인슐린 감수성 증강, 항암 전이 등 다양한 생리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10] 잣 기름은 높은 영양가를 지니고 있으며, 윤활유와 비누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된다.[11]송화가루/Pine pollen는 잣나무 수술에서 생성되는 건조된 꽃가루로, 전통 중약 및 전통 중국 요리 재료로 사용된다.[13] "中国预防医学科学院营养与食品卫生研究所/중국예방의학과학원 영양 및 식품위생연구소"는 송화가루가 200가지 이상의 영양 성분과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피로 회복, 항노화, 혈중 지질 조절, 면역 증강, 미용 등 다섯 가지 주요 건강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확인했다.[13] "国家体育总局运动医学研究所兴奋剂检测中心/국가체육총국 운동의학연구소 도핑 검사 센터"는 송화가루에서 올림픽에서 금지된 성분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13]
5. 4. 조경
잣나무는 수려한 수형과 푸른 잎 덕분에 관상수로 인기가 높다.[6] 여러 토양 유형에 내성이 있으며 도시 환경에서 잘 자라고, 매우 추운 겨울 기후에도 적응력이 뛰어나다.[6] 푸른빛을 띠는 'Glauca'와 'Silveray', 넓은 줄기를 가진 'Winton' 등 여러 품종이 있다.[14]6. 사진
참조
[1]
IUCN
Pinus koraiensis
2021-11-12
[2]
웹사이트
告别"红松故事" 扮靓"红松故乡"
https://www.yc.gov.c[...]
www.yc.gov.cn
2023-01-25
[3]
PLANTS
[4]
웹사이트
红松,东北"新三宝"之首
http://www.forestry.[...]
www.forestry.gov.cn
2023-01-25
[5]
웹사이트
红松(hóng sōng)
https://www.iplant.c[...]
www.iplant.cn
2023-01-25
[6]
웹사이트
Pinus koraiensis
http://www.missourib[...]
Missouri Botanical Garden
[7]
논문
The role of birds and mammals in Korean pine (Pinus koraiensis) regeneration dynamics
1996-00-00
[8]
웹사이트
守护好伊春林区绿水青山 保护小兴安岭生物多样性
https://wap.cnki.net[...]
中国绿色时报
2023-01-26
[9]
논문
Triacylglycerol composition of Pinus koraiensis seed oil
http://lib3.dss.go.t[...]
1998-00-00
[10]
웹사이트
红松子油及皮诺敛酸的研究进展/Research of P. koraiensis nut oil and pinolenic acid
http://www.cqvip.com[...]
2023-01-27
[11]
eFloras
[12]
GRIN
[13]
웹사이트
关注了解红松
http://www.riyuexia.[...]
www.riyuexia.com
2023-01-27
[14]
웹사이트
Pinus koraiensis
http://www.hort.ucon[...]
[15]
IUCN
Pinus koraiensis
http://www.iucnredli[...]
1998-00-00
[16]
YList
2021-08-07
[17]
서적
日本の樹木
中央公論社
1995-04-25
[18]
서적
木の大百科 -解説編-
朝倉書店
1998-00-00
[19]
서적
原色日本植物図鑑 木本編2
保育社
1979-00-00
[20]
논문
First Report of Pine Wilt Disease in on Pinus koraiensis in Korea
2008-00-00
[21]
웹사이트
韓国産生薬の研究(第7報) : 民間薬「Jad Na Mu Ip」の基源
https://cir.nii.ac.j[...]
1991-00-00
[22]
웹사이트
ロシアの森に吉報!チョウセンゴヨウが取引規制の対象に
http://www.wwf.or.jp[...]
WWF Japan
2015-01-12
[23]
논문
광릉 장기 생태 조사지내 잣나무 천연갱신 치수의 분포 특성
2004-00-00
[24]
서적
1997-12-01
[25]
서적
2007-12-0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