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망치고등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치고등어는 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는 어종이다. 동중국해 개체군은 봄부터 여름에는 북상하고, 가을부터 겨울에는 남하 회유하며, 식성은 육식성이다. 성어는 60cm까지 성장하며, 댜오위다오 근해, 동중국해 중부, 사쓰난 해역 등에서 산란한다. 망치고등어는 고등어와 유사하나, 제1 등지느러미의 신경간 극 수로 구별할 수 있다. 식용, 미끼, 고양이 사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지역 브랜드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등어속 - 대서양고등어
    대서양고등어는 대서양에 서식하는 고등어과의 어종으로, 길쭉한 방추형 몸체에 등쪽은 강철 푸른색을 띠고 물결 모양 검은 선이 있으며 상업적으로 중요하고 비타민 B12와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다.
  • 고등어속 - 참고등어
    참고등어는 전 세계 아열대 및 온대 해역에 사는 등푸른생선으로, 한국에서 흔히 먹는 식재료이며, 몸에 검은 곡선 무늬가 있고, 여러 조리법으로 섭취하며, 가을에 맛이 좋고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지만, 신선도 저하로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 1832년 기재된 물고기 - 흑새치
    흑새치는 짧은 주둥이와 낮은 지느러미를 가진 어종으로, 인도-태평양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육식성 어류로 낚시 대상이 된다.
  • 1832년 기재된 물고기 - 삼치
    삼치는 동아시아 아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는 고등어과의 육식성 어종으로, 몸은 길고 납작하며 청회색 등과 은백색 배를 가지며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중요한 어종으로 어획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 홍해의 물고기 - 숭어
    숭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 연안과 기수역에 서식하는 잡식성 어류로, 가로줄이 있는 몸과 얇은 입술, 지방눈꺼풀이 특징이며, 해조류 등을 섭취하고 무리 생활을 하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알은 가공식품으로도 쓰인다.
  • 홍해의 물고기 - 스톤피쉬
    스톤피쉬는 인도양과 태평양에 서식하며 위장술과 독성을 가진 물고기로, 식용 및 관상어로 이용되나 독성으로 인해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 감소가 우려되어 보호 노력이 요구되고, 문화적으로 은밀함 등을 상징한다.
망치고등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상태관심 필요
상태 시스템IUCN3.1
학명Scomber australasicus
명명자Cuvier, 1832
이명Scomber tapeinocephalus Bleeker, 1854
Scomber antarcticus Castelnau, 1872
크기약 30cm
무게약 1.4kg
기타 용어고마사바 (サバの種類, サバ料理)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농어목
아목고등어아목
고등어과
아과고등어아과
고등어속
고마사바 (Scomber australasicus)
학명 정보Scomber australasicus Cuvier, 1832
일본어 이름고마사바
영어 이름Blue mackerel

2. 분포 및 서식지

점고등어 서식 분포


점고등어는 태평양의 열대 및 아열대 해역, 일본에서 호주와 뉴질랜드 남부, 동부 태평양 (하와이와 소코로 섬, 멕시코), 그리고 인도-서태평양: 홍해, 페르시아 만, 오만 만 및 아덴 만의 표층 수역에서 200m 깊이까지 서식한다.[1]

이 고등어는 평생 동안 10°C 이내의 열대아열대 해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 북미 동해안에서는 1982년에 개체수가 고갈된 후 고등어 개체수가 200만 마리 이상으로 증가했다. 점고등어는 북미 해안에서 호주와 일본까지 발견될 수 있다.[1] 쿠로시오 해류를 타고 산리쿠 해역까지 회유하며,고등어보다 고온을 선호하여 일본 근해에서는 여름에 어획량이 증가한다. 태평양 측에서의 주 분포역은 북위 36도(보소반도) 이남이다.[1]

2. 1. 동중국해 개체군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망치고등어는 두 개의 계군으로 나뉜다. 이들은 모두 봄부터 여름에는 북쪽으로 이동하고, 가을부터 겨울에는 월동과 산란을 위해 남쪽으로 이동하는 회유를 한다.[1]

  • 동해 계군: 동중국해 남부에서 규슈 서해역에 걸쳐 분포하며, 일부는 산인 연안이나 사쓰난 해역으로도 회유한다.[1]
  • 사쓰난 해역 계군: 규슈 서해안에서 사쓰난 해역에 분포하며, 태평양 남구의 점고등어의 보급원이 되기도 한다.[1]

3. 생태

망치고등어는 성장이 빠른 어종으로, 만 1세에 꼬리 갈라진 부분의 길이가 20~28cm, 만 2세에 30~36cm 정도로 자라며, 성어는 60cm에 이른다. 자주 어획되는 크기는 30~40cm 정도이다. 식욕이 왕성하고 육식성이 강해 동물 플랑크톤, 작은 물고기, 오징어, 두족류 등을 먹는다. 큰 눈을 가지고 있어 망막의 감도가 높다.[5]

3. 1. 산란

점고등어의 산란기는 해역에 따라 다르다. 어렵도 근해에서는 1~3월, 동중국해 중부에서는 3~5월, 사쓰난 해역에서는 2~4월에 주로 산란한다.[3] 암컷은 만 1세에 약 40%, 만 2세에 약 70%, 만 3세 이상에서는 대부분 성숙한다. 부화 기간은 3~8일이며, 수온이 높을수록 짧아진다.[3]

4. 형태적 특징

망치고등어(점고등어)는 몸이 앞뒤로 길쭉한 방추형이며, 짧은 주둥이가 앞으로 뾰족하다. 몸의 가로 단면은 원형에 가깝다. 등쪽은 청록색 바탕에 고등어류 특유의 검은 곡선 무늬가 많으며, 배쪽은 은백색 바탕에 작은 검은 반점이 있다. 배쪽의 검은 반점은 어린 물고기에서는 불분명하고, 다 자란 물고기에서도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4]

4. 1. 고등어와의 구별

망치고등어(점고등어)는 고등어와 외형이 비슷하여 1980년대 후반까지 고등어의 아종으로 여겨지기도 했다.[4] 두 어종은 모두 같은 속(''Scomber'')에 속하지만, 망치고등어는 고등어와 다른 구조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4]

망치고등어와 고등어를 구별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망치고등어는 더 긴 항문 가시를 가지고 있다.[4]
  • 망치고등어는 첫 번째 등지느러미의 가시 수가 더 많다.[4]
  • 고등어는 두 번째 등지느러미 이후 꼬리 부분으로 좁아지는 둥근 몸체를 가지고 있어 참치와 유사하다.[2]
  • 망치고등어는 몸의 가로 단면이 원형에 가깝고, 등면은 청록색 바탕에 검은 곡선 무늬가 있으며, 복면은 은백색 바탕에 검은 작은 반점이 있다. 하지만 복부의 검은 반점은 미성어에서는 불분명하고, 성어에서도 뚜렷하지 않은 개체가 있다.


특징망치고등어 (*Scomber australasicus*)고등어 (*Scomber japonicus*)
제1 등지느러미 가시 수11 - 12개 (드물게 11개)9 - 10개
체측 흑반체측 정중선상과 체측 하반부에 존재체측 정중선상과 체측 하반부에 없음
몸의 가로 단면원형에 가까움타원형



더 정확하게는 제1 등지느러미의 신경간 극 수(등지느러미 제1 가시에 대응하는 것부터 제2 등지느러미의 제1 조를 담당하는 것 직전까지의 수)를 세어 구별할 수 있다. 신경간 극 수가 17개 이상이면 망치고등어, 16개 이하면 고등어이다.

5. 인간과의 관계

망치고등어는 식용, 낚시 미끼, 고양이 사료, 육류 결합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자바 해역에서 잡힌 망치고등어


망치고등어는 '사바'라는 스시 음식에 쓰이기도 하지만, 불에 굽거나 끓일 때 강한 풍미를 낸다. 대한민국에서 '참고등어'라 불리는 처브고등어(''Scomber japonicus'')와는 달리 맛은 대체로 떨어지지만, 시간이 지나도 참고등어에 비해 그 맛이 비교적 유지되는 편이다. 망치고등어는 하구와 항만에서 날쌔고 잡기 어려울 수 있으며, 식용이나 참치 등 다른 어류의 미끼로 사용하기 위해 상업적 및 개인적으로 낚시를 통해 잡는다.[10]

5. 1. 어획

자망, 고정망, 불빛을 이용한 고등어 어업(들그물 및 막대 그물 어업) 등 연안 어업에서 점고등어가 어획된다. 외해에 면한 방파제에서 하는 낚시로도 어획된다.

5. 2. 식용

점고등어는 고등어보다 지방이 적지만, 계절에 따른 맛 변화가 적어 사계절 즐겨 먹는다. 여름에는 고등어 맛이 떨어지지만 점고등어는 맛이 유지되며 어획량도 증가한다. 주로 고등어포로 이용되지만, 초절임 고등어, 고등어 초밥, 구이, 조림, 튀김, 통조림 등으로도 먹는다.[11] 신선한 것은 로도 먹을 수 있지만, 쉽게 상하므로 주의해야 하며, 아니사키스가 기생하고 있을 위험도 있다.[10]

고치현 도사시미즈시의 시미즈 고등어, 가고시마현 야쿠시마의 목꺾이 고등어 등, 각지에 지역 브랜드가 있다.

5. 3. 기타

망치고등어는 고양이 사료로 자주 쓰이지만, 훈제, 구이, 조림 등으로 사람이 먹기도 한다. 살과 껍질을 분리하기는 쉽지만, 부드러운 살이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뼈를 발라내야 한다. 망치고등어는 육류 결합제로도 흔히 사용된다. 동결 건조 후 단백질을 추출하여 다른 육류 제품에 넣으면, 육류와 양념을 단단하게 결합시켜 비용을 절감하고 제품의 맛과 질감을 좋게 할 수 있다.[11]

참조

[1] 간행물 Scomber australasicus 2011
[2] 웹사이트 Blue Mackerel http://www.amalmark.[...] Amalgameted marketing 2015-02-16
[3] 서적 Atlantic Mackerel, Life History and Habitat Characteristics U.S. Department of Commerce 1999-09
[4] 논문 Microsatellite and mitochondrial haplotype differentiation in blue mackerel (Scomber australasicus) from the western North Pacific
[5] 논문 The relationship of ocular morphology to feeding modes and activity periods in shallow marine teleosts from New Zealand
[6] 논문 Estimation of the spawning ground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and spotted mackerel Scomber australasicus in the East China Sea based on catch statistics and biometric data
[7] 논문 Ichthyoplankton-based spawning dynamics of blue mackerel (Scomber australasicus) in south-eastern Australia: links to the East Australian Current https://eprints.utas[...]
[8] 웹사이트 Blue Mackerel http://www.dpi.nsw.g[...] I&INSW 2015-02-10
[9] 논문 Age, growth, and commercial landings of yellowtail scad (Trachurus novaezelandiae) and blue mackerel (Scomber australasicus) off the coast of New South Wales, Australia
[10] 웹사이트 Blue Mackerel http://www.dpi.nsw.g[...] I&INSW 2015-02-12
[11] 논문 Utilization of freeze-dried mackerel (Scomber australasicus) muscle proteins as a binder in restructured me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