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숭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숭어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는 어종이다. 한국에서는 서해안과 남해안에서 주로 어획되며, 봄철 산란기에는 '보리숭어'라 불리며 맛이 좋기로 알려져 있다. 숭어는 수심 0~120m의 다양한 염분 농도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데트리투스와 부착 조류를 먹고 산다. 숭어는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며, 회, 구이, 찜, 탕 등 다양한 요리로 활용된다. 숭어는 크기에 따라 이름이 바뀌는 출세어로, 문화적으로도 의미가 있으며, 양식 어종으로도 가치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숭어목 - 숭어과
    숭어과는 숭어목에 속하는 어류 과로, 전 세계에 17속 72종이 분포하며, 지느러미 가시의 존재로 극기상목에 속하는 원시적인 무리로 여겨지지만 분류학적 이견이 있고, 식용으로 이용되는 숭어, 메나다, 세스지보라 등이 한국에 서식한다.
  • 숭어목 - 가숭어
    가숭어는 원래 지중해와 대서양 온대 해역에 살았지만, 현재는 전 세계 여러 곳에서 발견되며, 줄보라 무늬로 다른 숭어류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
  • 흑해의 물고기 - 유럽뱀장어
    유럽뱀장어는 유럽 전역의 강과 하천에 서식하며, 사르가소 해에서 산란하고, 멸종 위기에 놓인 식용 어류이다.
  • 흑해의 물고기 - 대서양고등어
    대서양고등어는 대서양에 서식하는 고등어과의 어종으로, 길쭉한 방추형 몸체에 등쪽은 강철 푸른색을 띠고 물결 모양 검은 선이 있으며 상업적으로 중요하고 비타민 B12와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다.
  • 지중해의 물고기 - 바다칠성장어
    바다칠성장어는 턱이 없는 원구류 어류로 흡반 모양의 입으로 다른 어류의 혈액을 섭취하며, 북대서양과 서대서양, 유럽과 북미 해안에 분포하고, 강에서 유생 시기를 거쳐 바다에서 기생 생활을 한 뒤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강해성 어류이지만, 북미 오대호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방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지중해의 물고기 - 유럽뱀장어
    유럽뱀장어는 유럽 전역의 강과 하천에 서식하며, 사르가소 해에서 산란하고, 멸종 위기에 놓인 식용 어류이다.
숭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납작머리 숭어
납작머리 숭어
학명Mugil cephalus
명명자Linnaeus, 1758
일반명납작머리 숭어
다른 이름그레이 멀렛
몸길이30 ~ 75 cm
상태LC
상태 출처https://www.iucnredlist.org/species/135567/20682868
다른 이름 (한국어)모쟁이
동어
살모치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조기어강
숭어목
숭어과
숭어속 Mugil
숭어
학명 (이명)
추가 정보
FishBasehttps://www.fishbase.se/summary/Mugil-cephalus.html
동물 다양성 웹https://animaldiversity.org/accounts/Mugil_cephalus/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117406&searchKeywordTo=3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89604&searchKeywordTo=3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170825&searchKeywordTo=3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3%9D%EB%AC%BCI%C2%B7%EB%8F%99%EB%AC%BC%C2%B7%EC%9D%B8%EC%B2%B4/%EB%8F%99%EB%AC%BC%EC%9D%98_%EB%B6%84%EB%A5%98/%EC%B2%99_%EC%B6%94_%EB%8F%99_%EB%AC%BC/%EC%96%B4%EB%A5%98_%EA%B2%BD%EA%B3%A8%EC%96%B4%EB%A5%98#%EC%88%AD%EC%96%B4

2. 분포

숭어는 전 세계의 열대, 아열대, 온대 해역의 연안 수역에 널리 분포한다. 대서양에서는 비스케이만노바스코샤주까지 북쪽으로 널리 서식하며, 수심 0m에서 120m 사이, 수온 8°C에서 24°C 사이의 담수, 기수, 해수 서식지를 차지한다.[3][5]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퀸즐랜드주 북부에서 남부 오스트레일리아를 거쳐 서호주의 킴벌리 지역까지 널리 분포하며, 타즈매니아의 바스 해협 지역에서도 서식한다.[6] 미국 서부의 담수에서는 콜로라도 강과 길라 강 등에서 발견된다.[7]

콜로라도 강의 숭어는 큰 수영장에서는 중층성이며, 때때로 댐 아래의 해류로 이동하고 일반적으로 소규모 무리를 이룬다.[5] 콜로라도 강이 캘리포니아만에 도달하지 않는 기간으로 인해 애리조나주의 숭어 개체수는 현재 감소하고 있다.

2. 1. 한국의 숭어 분포

흑산도, 가거도, 태안반도, 강화도대한민국 서해안과 남해안에서 숭어가 주로 잡힌다. 한강, 금강, 낙동강, 섬진강 등 주요 하천의 하구와 기수역에서도 숭어가 발견된다. 봄철 산란을 위해 연안으로 몰려드는 숭어는 '보리숭어'라고 불리며,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3. 생태

숭어는 수심 0m 에서 120m 사이, 수온 8°C 에서 24°C 사이의 담수, 기수, 해수 서식지를 차지한다.[5] 다양한 염분 농도에서 생존할 수 있으므로 석호, 호수, 하구 깊숙한 곳에서도 발견될 수 있지만, 산란을 위해 바다로 돌아간다.[6]

일반적인 몸길이는 약 50cm이고, 최대 길이는 100cm이다.[3] 최대 무게는 8kg에 달한다.[5] 등 쪽은 올리브색을 띤 녹색이고, 옆구리는 은색이며 배 쪽으로 갈수록 흰색으로 변한다.[3] 옆구리에는 6~7개의 뚜렷한 가로줄이 있으며, 측선은 없다.[3]

납작머리숭어


식성은 잡식성으로, 수저에 쌓인 데트리투스와 부착 조류를 주된 먹이로 한다. 수저에서 먹이를 먹을 때는 고운 이빨이 나 있는 윗턱을 빗자루처럼, 편평한 아래턱을 먼지받이처럼 사용하여 먹이를 모래 진흙과 함께 입속으로 긁어모은다.

천적은 인간 외에도 돌고래, 다투, 농어, 대형 전갱이류 등의 육식어류와 백로류, 왜가리, 제비갈매기, 물수리, 솔개, 가마우지 등의 어식성 물새가 있다.

10월~1월의 산란기에는 외양으로 나가 남쪽으로 회유하지만, 외양에서의 회유 경로, 산란 장소, 산란 과정 등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알은 지름 1mm 정도의 분리 부유란으로, 다른 물고기에 비해 지방분이 많아 해중에 부유하며 발생한다. 알은 수일 만에 부화하고, 치어는 연안역으로 온다.

3. 1. 한국 숭어의 생태

한국 연안의 숭어는 주로 얕은 바다나 하구, 기수역에서 서식하며, 겨울철에는 남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봄철에는 하천으로 거슬러 올라와 먹이 활동을 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된다. 숭어는 수질 오염에 비교적 강한 어종으로, 도시 주변의 항만이나 강에서도 서식한다.[12][13]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이남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하구와 내만의 기수역에 많이 서식한다. 치어 시기에는 대규모 무리를 지어 담수역으로 거슬러 올라가기도 하는데, 이 무리가 강을 가득 채울 정도가 되어 수중 산소 부족을 초래하기도 한다.[12][13] 몸길이가 비슷한 개체끼리 크고 작은 무리를 지어 수면 근처를 헤엄치며, 미끼에 모여드는 등 사람 근처에도 나타나지만, 헤엄이 민첩하여 잡기는 어렵다. 수면 위로 뛰어오르는 습성이 있는데, 그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4]

4. 특징

몸은 앞뒤로 길고 가늘며, 단면은 앞쪽은 등쪽이 납작한 역삼각형이고, 뒤쪽은 방추형이다. 등지느러미는 두 개이며, 앞쪽의 첫 번째 등지느러미에는 가시줄기가 발달한다. 꼬리지느러미는 중앙이 오목하다. 위아래 지느러미는 몸에 비해 작고, 유영능력이 높다. 몸 색깔은 등쪽이 청회색-녹갈색이고, 몸통 옆면에서 배쪽은 은백색이며, 몸통 옆면에는 희미한 가는 세로줄이 여러 개 있다. 보라과 어류에는 측선이 없다.[3]

시즈오카현 야이즈시 고이시카와 강 하구 부근에서


최대 100cm에 달하지만, 연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크기는 수cm부터 50cm 정도이다. 코는 납작하고, 입은 그렇게 크지 않다. 입술은 가늘고 부드럽고 이빨도 작지만, 위턱이 코뿔소의 코처럼 신축한다. 과 그 주변은 지방눈꺼풀이라고 하는 콘택트렌즈 모양의 기관으로 덮여 있다. 보라과의 근연종으로, 마찬가지로 대형어인 메나다와의 구별점 중 하나는 이 지방눈꺼풀의 유무이다.

5. 이용

숭어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용 어류이며, 어획과 양식을 모두 한다. 2012년 어획량은 약 13만 톤, 양식 생산량은 14만 2천 톤이었다.[8] 숭어 알은 소금에 절여 말려 압축하여 전 세계적으로 특산품이 되는데, 한국의 어란을 비롯하여 그리스의 아보가타로, 대만의 우위즈, 일본의 카라스미, 이탈리아의 보타르가 등이 있다.

조리 전 숭어의 위


숭어의 유문은 '숭어 배꼽', '주판알' 등으로 불리며, 닭의 모래주머니와 비슷한 쫄깃한 식감으로 별미로 여겨진다. 주로 소금구이로 먹는다.[10] 숭어는 자망, 정치망 등 다양한 연안 어업 방식으로 연중 잡히며, 낚시로도 잡을 수 있다.

5. 1. 한국의 숭어 이용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숭어를 식용으로 널리 이용해 왔으며, 다양한 조리법이 발달했다. 숭어회는 얇게 썰어 초고추장이나 된장에 찍어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숭어구이는 소금구이, 양념구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숭어찜은 숭어에 채소와 양념을 넣고 쪄서 만든 요리이다. 숭어탕은 숭어와 채소를 넣고 끓인 국으로, 매운탕이나 맑은탕으로 조리된다.

숭어는 , 사시미, 미소시루, 튀김 등 다양한 요리로 먹을 수 있다. 회를 만들 때에는 비린내를 없애기 위해 초장이나 유자고추장을 사용한다.[10]

숭어 은 소금에 절여 말려 압축하여 특산품으로 만드는데, 한국의 어란이 그것이다. 숭어 어란은 한국의 전통 음식 중 하나로, 임금님 수라상에 오르던 고급 음식이었다.

참조

[1] 논문 Mugil cephalus
[2] FishBase
[3] 웹사이트 Common names of Mugil cephalus http://www.fishbase.[...]
[4] 웹사이트 Mugil cephalus (Black mullet) https://animaldivers[...]
[5] 서적 Fishes of Arizona Arizona Game and Fish Department
[6] 웹사이트 Mugil cephalus https://fishesofaust[...] 2020-03-22
[7] 웹사이트 Animal abstract: Mugil cephalus http://www.azgfd.gov[...] ARIZONA GAME AND FISH DEPARTMENT
[8] 웹사이트 FAO Fisheries & Aquaculture - Species Fact Sheets - Mugil cephalus (Linnaeus, 1758) http://www.fao.org/f[...] 2016-04-30
[9] 논문 Postcranial skeletal development of Mugil cephalus (Teleostei: Mugiliformes): morphological and life-history implications for Mugiliformes https://academic.oup[...]
[10] 웹사이트 Instituto Veneto di scienze, lettere ed arti environmental database on the pool of Venice http://www.istitutov[...] 2007-05-23
[11] 서적 Fishes of the Laguna Madre Texas A&M University Press
[12] 뉴스 黒川 ボラだらけ  北区 大量発生 歓迎と困惑 http://www.horikawa1[...] 堀川1000人調査隊2010 2019-02-14
[13] 뉴스 ボラが大量発生 名古屋・北区の黒川 https://www.chunichi[...] 中日新聞 2023-01-06
[14] 뉴스 ボラと〝正面衝突〟松野無念のリタイヤ http://www.tokyo-spo[...] 東京スポーツ 2011-04-21
[15] 웹인용 모쟁이 https://stdict.korea[...] 표준국어대사전 2018-04-08
[16] 웹인용 동어 https://stdict.korea[...] 표준국어대사전 2018-04-08
[17] 웹인용 살모치 https://stdict.korea[...] 표준국어대사전 2018-04-08
[18] 위키소스 숭어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