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고 파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멍고 파크는 1771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탐험가로, 아프리카 내륙 탐험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의학과 식물학을 공부하고, 동인도 회사 소속 선박의 외과 조수로 근무했다. 1795년부터 1797년까지 아프리카 협회의 지원을 받아 니제르강의 경로를 탐험했으며, 1799년에 여행기를 출판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1805년 두 번째 탐험을 떠났지만, 니제르강 부근에서 원주민의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 그는 서아프리카의 콩 산맥을 최초로 보고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의 탐험은 유럽인들에게 아프리카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이지리아에 거주한 영국인 - 프레더릭 포사이스
프레더릭 포사이스는 영국의 소설가이자 저널리스트로, 기자 활동과 저널리즘적 조사 기법을 바탕으로 스릴러 소설을 썼으며 유럽 통합에 반대하는 정치적 견해를 피력하고 보수당을 지지하는 활동을 펼친 공로로 대영 제국 훈장을 받았다. - 나이지리아에 거주한 영국인 - 콜린 퍼스
콜린 퍼스는 드라마 센터 런던에서 연기를 공부한 잉글랜드 배우로, 《오만과 편견》, 《브리짓 존스의 일기》, 《킹스 스피치》 등에 출연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고 《킹스 스피치》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사회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 스코틀랜드의 탐험가 - 데이비드 리빙스턴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19세기 아프리카 탐험에 기여한 스코틀랜드 출신 탐험가이자 선교사로, 빅토리아 폭포 발견, 아프리카 대륙 횡단, 노예 무역 근절 노력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일강 수원지 탐색 중 헨리 모턴 스탠리를 만났고 잠비아에서 사망 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 - 스코틀랜드의 탐험가 - 존 뮤어
존 뮤어는 스코틀랜드 출신으로 시에라네바다 산맥 지형 형성 연구 등 지질학적 업적을 남기고 요세미티 국립공원 설립에 기여했으며 자연 보호 운동을 이끈 자연주의자, 작가, 환경운동가이다.
멍고 파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771년 9월 11일 |
출생지 | 야로우, 셀커크셔, 스코틀랜드 |
사망 | 1806년 (향년 35세) |
사망지 | 부사 (나이지리아) |
국적 | 영국 |
종교 | 칼뱅주의 |
분야 | 아프리카 탐험 외과의 |
모교 | 에든버러 대학교 |
알려진 업적 | 서아프리카 탐험 |
2. 유년 시절 및 교육
멍고 파크는 스코틀랜드 셀커크셔의 셀커크 근처 야로 워터 유역 파울쉴즈(Foulshiels)에서 태어났다. 이곳은 그의 아버지 멍고 파크(Mungo Park, 1714–1793)가 버클루 공작에게서 임차한 농장이었다.[1][2] 그는 13명의 형제자매 중 일곱째였다.[2][3] 파크 가족은 소작농이었지만 비교적 부유하여 자녀들에게 좋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사망 당시 약 3000GBP 가치의 재산을 남겼다.[4] 파크의 부모는 본래 그가 스코틀랜드 교회의 목사가 되기를 바랐다.
파크는 집에서 교육을 받은 뒤 셀커크 그래머 스쿨에 다녔다. 14세에는 셀커크의 외과 의사 토머스 앤더슨(Thomas Anderson)의 도제가 되었다. 도제 기간 동안 파크는 앤더슨의 아들 알렉산더(Alexander)와 친구가 되었고, 훗날 아내가 되는 앤더슨의 딸 앨리슨(Allison)을 만났다.
1788년 10월, 파크는 에든버러 대학교에 입학하여 4학기 동안 의학과 식물학을 공부했다. 특히 대학 재학 중에는 존 워커 교수의 자연사 강좌를 1년간 수강했다. 학업을 마친 후 여름에는 코벤트 가든의 정원사이자 종자 상인이었던 매형 제임스 딕슨과 함께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지방에서 식물학 현장 연구를 했다. 딕슨은 1788년 제임스 에드워드 스미스 경 등과 함께 런던의 린네 학회를 공동 창립한 인물이기도 하다. 파크는 1792년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의학 공부를 마쳤다.
3. 제1차 탐험 (1795-1797)
1794년 9월 26일, 멍고 파크는 아프리카 협회로부터 니제르강의 경로를 탐험하는 임무를 제안받았다. 이는 이전에 같은 목적으로 파견되었다가 사하라 사막에서 사망한 메이저 다니엘 호튼의 후임자를 찾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파크는 조지프 뱅크스 경의 후원을 받아 이 임무에 선발되었다.
1795년 5월 22일, 파크는 왁스와 상아를 거래하는 브리그선 ''엔데버''호를 타고 잉글랜드 포츠머스를 출발하여 감비아로 향했다. 같은 해 6월 21일 감비아강에 도착한 그는 강을 따라 약 300km 거슬러 올라가 영국의 무역소인 피사니아에 도착했다. 12월 2일, 파크는 두 명의 현지 안내인과 함께 미지의 내륙 지역으로 탐험을 시작했다. 그는 상부 세네갈 유역을 지나 카르타의 반사막 지대를 통과하는 경로를 선택했다. 이 여정은 험난했으며, 특히 루다마르에서는 무어인 추장에게 4개월 동안 포로로 잡혀 고초를 겪기도 했다.
1796년 7월 1일, 파크는 말 한 마리와 나침반만 가진 채 홀로 탈출에 성공했다. 같은 해 7월 21일, 그는 마침내 세구에서 그토록 염원하던 니제르강에 도달했는데, 이는 유럽인으로서는 최초의 발견이었다. 그는 강을 따라 하류로 약 130km 더 나아가 실라까지 도달했으나, 더 이상 탐험을 지속할 자원이 부족하여 되돌아와야 했다. 탐험 중 현지 주민들은 종종 그를 유럽인이 아닌 무어인으로 오인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귀환 여정은 1796년 7월 29일에 시작되었다. 그는 왔던 길 대신 더 남쪽 경로를 택하여 니제르강을 따라 바마코까지 약 500km를 이동했다. 카말리아에서는 병에 걸려 쓰러졌으나, 한 현지인의 도움으로 그의 집에서 7개월간 머물며 목숨을 건졌다. 마침내 1797년 6월 10일, 그는 다시 피사니아에 도착했다.
바서스트에서 잉글랜드로 바로 가는 배편을 구하지 못한 파크는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으로 향하는 노예선에 탑승하게 되었다. 항해 중 만딩카어를 배운 그는 노예들을 돌보는 의사 역할을 했지만, 많은 노예가 항해 중에 사망하는 참상을 목격했다.[1] 배는 앤티가에 잠시 정박했고, 파크는 1797년 12월 22일 마침내 스코틀랜드로 돌아왔다. 당시 사망한 것으로 여겨졌던 파크의 귀환과 니제르강 탐험 소식은 대중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의 탐험 이야기는 브라이언 에드워즈가 아프리카 협회를 위해 정리했으며, 상세한 경험담은 1799년 『아프리카 내륙 지방 여행(''Travels in the Interior Districts of Africa'')』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파크는 탐험 중 만딩카족이 사는 말리 지역을 여행하며 노예 무역의 비참한 실상을 직접 목격했다. 그는 노예들이 백인들이 자신들을 잡아먹거나 팔아넘길 것이라는 극심한 공포심 때문에 해안으로 끌려가는 것을 매우 두려워하며, 이 때문에 노예 상인들이 그들을 끊임없이 쇠사슬로 묶고 엄중히 감시한다고 기록했다. 그는 "흑인과 유럽인의 코의 형태와 피부색에는 차이가 있지만, 우리 공통의 본성의 진정한 공감과 특징적인 감정에는 차이가 없다"고 기록하며 인간 본성의 공통점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그의 저서 『아프리카 내륙 지방 여행』은 그가 관찰한 것, 생존 경험, 만난 사람들에 대한 상세하고 생생한 기록 덕분에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의 냉정하면서도 객관적인 묘사는 이후 여행 작가들의 기준을 제시했으며, 유럽인들에게 아프리카의 인간적인 모습과 복잡성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파크는 유럽인들에게 광대한 미지의 대륙 아프리카를 소개했으며, 아프리카 협회가 아프리카 탐험의 시대를 열었다면, 파크는 그 첫 성공적인 탐험가로서 후대 탐험가들의 본보기가 되었다. 그의 탐험과 기록은 이후 아프리카에 대한 유럽의 정치적 관심을 증대시켰으며, 나아가 19세기 유럽의 식민주의 야욕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평가된다.
3. 1. 콩 산맥 논쟁
멍고 파크는 콩 산맥을 처음으로 보고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콩 산맥은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것으로 여겨졌던 산맥으로, 니제르강의 발원지 근처에서 시작해 아프리카 대륙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로지른다고 생각되었다. 이 산맥은 지리학자이자 지도 제작자인 제임스 르넬에 의해 지도에 포함되어 널리 알려졌다.[2]
그러나 콩 산맥의 실제 존재 여부에 대해서는 논쟁이 계속되었다. 결국 1887년부터 1888년까지 탐험을 진행한 프랑스 장교이자 탐험가인 루이 구스타브 빙거가 콩 산맥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확인했다.[2] 이 보고 이후, 콩 산맥은 대부분의 지도에서 삭제되었다.
비록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콩 산맥은 20세기 초까지도 일부 지도에 간헐적으로 표기되기도 했다.[2]
4. 탐험 사이의 기간 (1797-1805)
1799년 8월, 파크는 스코틀랜드 폴쉴스에 정착하여 스승이었던 토마스 앤더슨의 딸 앨리슨과 결혼했다. 공적인 자격으로 오스트레일리아의 뉴사우스웨일스로 가려던 계획은 무산되었다. 이후 1801년 10월, 파크는 페블스로 이주하여 의사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5. 제2차 탐험 (1805-1806)
1803년 가을, 영국 정부는 멍고 파크에게 니제르강 탐험대를 다시 이끌어 달라고 제안했다. 파크는 스코틀랜드 피블스에서의 단조로운 생활에 지쳐 있었기에 이 제안을 수락했지만, 탐험 출발은 지연되었다. 그는 기다리는 동안 모로코 에사우이라(당시 모가도르) 출신의 시디 암바크 부비에게 아랍어를 배우며 실력을 가다듬었다.
1804년 5월, 파크는 풀시엘스로 돌아가 근처 애시스틸에 살던 월터 스코트 경과 친분을 쌓았다. 그해 9월, 탐험 준비를 위해 런던으로 소환된 파크는 스코트에게 "징조는 그것을 보는 자들을 따른다"는 말을 남겼다. 당시 파크는 니제르강과 콩고강이 같은 강이라는 가설을 믿고 있었으며, 영국을 떠나기 전 "콩고를 통해 돌아갈 희망은 전혀 허황된 것이 아니다"라고 적었다.
1805년 1월 31일, 파크는 정부 탐험대의 대장(선장 계급)으로 임명되어 포츠머스를 출발, 감비아로 향했다. 탐험대에는 그의 매형이자 부사령관인 알렉산더 앤더슨(중위), 스코틀랜드 변방 출신의 제도사 조지 스코트, 그리고 네댓 명의 기술자들이 포함되었다. 세네갈의 고레 섬(당시 영국 점령지)에서는 영국 왕립 포병대의 마틴 중위와 35명의 사병, 2명의 선원이 합류했다.
탐험대는 출발이 늦어져 우기에 니제르강 유역에 들어서게 되었다. 1805년 8월 중순 니제르강에 도착했을 때는 열병과 이질로 인해 유럽인 대원 중 11명만이 생존해 있었다. 일행은 바마코에서 세구까지 카누로 이동했다. 현지 통치자 만송 디아라의 허가를 받아 세구 아래의 상상딩에 도착한 파크는 미지의 하류 구간 탐험을 준비했다. 유일하게 작업이 가능했던 병사 한 명의 도움을 받아, 파크는 카누 두 척을 개조하여 길이 약 12.19m, 폭 약 1.83m 크기의 배를 만들고 'H.M. 스쿠너 '''졸리바'''(Joliba, 니제르강의 현지 이름)'라고 명명했다. 1805년 11월 19일, 파크는 남은 생존자들과 함께 졸리바 호를 타고 하류로 출발했다.
출발 전인 10월 28일, 부사령관 앤더슨이 상상딩에서 사망하여 파크는 귀중한 동료를 잃었다. 졸리바 호에 탑승한 인원은 파크, 마틴 중위, 유럽인 병사 3명(그중 한 명은 정신 이상 상태였다), 현지인 가이드 1명, 그리고 노예 3명이었다. 파크는 출발 직전, 그동안 동행했던 만딩고족 가이드 이사코에게 편지를 주어 감비아를 통해 영국으로 전달하도록 했다.
니제르강 중류 지역의 무슬림 상인들은 파크의 탐험 목적이 단순한 지리적 호기심이 아니라 유럽과의 새로운 무역로 개척이라고 의심하며, 자신들의 무역 독점권에 위협이 된다고 여겼다. 이들은 만송 디아라에게 파크 살해를 종용했으나 실패하자, 강 하류 부족들에게 파크 일행에 대한 경계심을 퍼뜨렸다. 파크는 이러한 정치적 상황을 인지하고, 폭이 약 3.22km에서 약 4.83km에 달하는 강의 중앙으로 항해하며 해안과의 접촉을 피하고 접근하는 현지인들을 공격하는 강경책을 택했다. 또한, 각 지역 통치자들에게 통행료나 뇌물을 지불하는 것을 거부했는데, 이는 현지 부족들의 분노를 샀고, 이들은 하류 부족들에게 파크 일행이 위험한 침입자라는 소식을 전했다. 파크의 '먼저 쏘고 교류하지 않는' 정책과 우월한 화력을 이용한 공격은 많은 원주민 사상자를 냈고, 유럽인들을 위험한 존재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파크는 스스로 적대적인 환경을 자초하며 위험한 여정을 이어갔다.
파크는 식민지성 장관에게 보낸 편지에서 "니제르강의 종착점을 발견하거나 그 과정에서 죽거나 둘 중 하나를 각오하고 굳은 결의로 동쪽으로 출항했다. 모든 유럽인이 나와 함께 죽을 것이고, 나 자신도 반쯤 죽은 상태지만, 나는 끝까지 해낼 것이며, 탐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면 적어도 니제르강에서 죽을 것이다"라고 비장한 각오를 밝혔다. 또한 아내에게 보낸 편지에서는 1806년 1월 말경 해안에 도착할 때까지는 어떤 곳에도 상륙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이것이 파크로부터 온 마지막 소식이었으며, 이후 그의 탐험대에 대한 소식은 감비아에 비극적인 결말이 전해지기 전까지 들려오지 않았다. 파크 일행의 최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후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5. 1. 최후
상상딩을 떠난 이후 파크로부터 더 이상 소식이 전해지지 않자, 영국 정부는 그의 운명을 확인하기 위해 만딩고족 안내인 아이사코를 니제르강으로 파견했다. 산상딩에서 아이사코는 파크와 함께 강을 따라 내려갔던 또 다른 안내인 아마디 파투마를 만났다. 아마디 파투마가 전한 이야기는 이후 휴 클래퍼턴과 리처드 레몬 랜더의 조사를 통해 상당히 정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아마디 파투마의 증언에 따르면, 파크의 일행은 시비(Sibi)를 지난 후 여러 차례 원주민 카누의 추격을 받았으며, 무기를 사용하여 이들을 격퇴했다. 이러한 충돌은 카바라, 팀북투(툼부쿠톤), 구루모 등 여러 지역에서 반복되었다. 구루모 인근에서는 동료 한 명이 병으로 사망하여 백인 4명(파크, 마틴, 병사 2명), 아마디 자신, 그리고 노예 3명만이 남게 되었다. 이들은 각자 15정의 머스킷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약 약 1609.34km의 여정 동안 파크는 충분한 식량을 확보하고 원주민과의 접촉을 피하려 했으나, 통행료 지불을 거부하고 접근하는 원주민을 공격하는 정책을 고수했으며, 이는 하류 부족들의 적대감을 키웠다.
하우사 왕국 지역에 들어선 후, 야우리에서 아마디 파투마는 일행과 헤어져 상륙했다. 파크 일행은 계속해서 강을 따라 내려갔으나, 야우리에서 멀지 않은 부사의 급류 지점에서 배가 바위에 걸려 좌초되었다. 강둑에는 적대적인 원주민들이 모여들어 활과 창으로 공격을 퍼부었다. 상황이 절망적으로 변하자, 파크와 마틴, 그리고 남은 두 명의 병사는 강물에 뛰어들었으나 거센 물살에 휘말려 모두 익사하고 말았다. 이 참사에서 살아남은 것은 노예 한 명뿐이었다. 아마디 파투마는 3개월 동안 야우리의 추장에게 억류되었다가 풀려난 후, 이 생존 노예를 만나 파크 일행의 최후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이후 아마디 파투마는 한 풀라니족 남성이 가지고 있던 파크의 검띠를 입수했고, 이를 아이사코에게 전달했다. 아이사코는 이 검띠를 가지고 세네갈로 돌아갔다. 파크가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일지는 끝내 발견되지 않았으나, 검띠와 같은 일부 유품은 회수되었다.
6. 유산 및 영향
멍고 파크의 탐험은 유럽인들에게 서아프리카 내륙, 특히 나이저강의 존재와 상류 경로에 대한 구체적인 지리 정보를 처음으로 제공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의 저서 ''아프리카 내륙 지방 여행'' (1799)은 출간과 동시에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책에는 파크가 겪은 역경과 모험, 그리고 아프리카 주민들과의 만남이 생생하게 담겨 있어 유럽 독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1] 파크는 냉철하면서도 인간적인 시선으로 아프리카 사회와 문화의 단면을 소개했으며, 이는 이후 아프리카 탐험가들에게 중요한 지침이자 비교 대상이 되었다.
파크는 여행 중 노예 무역의 참상을 목격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겼다. 특히 만딩카족 거주 지역에서 만난 노예들이 백인을 식인종으로 오해하며 극심한 공포를 느끼는 모습과 노예 상인들의 비인간적인 처우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묘사했다.
: "그들은 모두 매우 호기심이 많았지만, 처음에는 공포에 질린 표정으로 나를 바라보며, 제 동포들이 식인종인지 거듭 물었습니다. 그들은 소금물을 건너간 후 노예들이 어떻게 되는지 매우 알고 싶어했습니다. 저는 그들에게 그들이 땅을 경작하는 데 고용되었다고 말했지만, 그들은 믿지 않았습니다... 백인들이 흑인들을 먹어 치우거나, 또는 그들을 먹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팔 목적으로 산다는 깊이 뿌리 박힌 생각은 노예들로 하여금 해안으로 가는 여정을 매우 두려워하게 만들었으며, 그 때문에 슬레이트(흑인 노예 상인)들은 그들을 끊임없이 쇠사슬에 묶어 놓고, 그들이 도망가는 것을 막기 위해 매우 면밀히 감시해야 했습니다."
그는 또한 인종 간의 피상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인간성은 동일하다고 주장하며 당시 유럽 사회에 팽배했던 인종적 편견에 맞섰다.
: "흑인과 유럽인의 코의 형태와 피부색에는 차이가 있지만, 우리 공통의 본성의 진정한 공감과 특징적인 감정에는 차이가 없다."
이러한 기록들은 유럽 사회 내에서 노예제 폐지론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관련 논의를 촉발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파크의 탐험과 저술이 불러일으킨 아프리카에 대한 관심은 다른 한편으로 유럽 열강의 식민주의적 야심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그가 제공한 아프리카 내륙 정보는 19세기 유럽 국가들이 아프리카를 분할하고 식민 지배를 확장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파크의 두 번째 탐험 중 사망 소식은 유럽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나이저강의 전체 경로에 대한 의문은 한동안 해결되지 못했다. 그의 둘째 아들 토마스는 아버지의 행방을 찾기 위해 아프리카로 향했으나, 내륙으로 들어간 직후 열병으로 사망했다. 파크의 미망인 앨리슨은 남편의 사망과 관련하여 아프리카 협회로부터 약속된 보상금을 받았으며 1840년에 세상을 떠났다. 파크 사후 25년이 지난 1830년에야 리처드 랜더 형제가 나이저강 하구를 발견함으로써 강의 전체 경로가 마침내 밝혀졌다. 멍고 파크의 유해는 나이지리아 제바 인근 니제르 강변에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왕립 스코틀랜드 지리학회는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매년 멍고 파크 메달을 수여하고 있다.[3] 1859년에는 그의 고향인 스코틀랜드 셀커크에 앤드루 커리가 제작한 실물 크기 조각상이 세워졌고, 1905년에는 토마스 J. 클래퍼튼이 만든 청동상과 부조가 추가되었다.
멍고 파크의 삶과 탐험은 후대의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허먼 멜빌의 소설 ''백경''과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단편 소설 "죽음의 자연사"에서 그의 이름이 언급되며, T.C. 보일의 역사 소설 ''워터 뮤직''(1981)에서는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또한 나이지리아 가수 버나 보이는 2020년 발표한 곡 "Monsters You Made"에서 그를 언급하기도 했다. 그의 탐험기는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번역 출간되어 그의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7. 저작
- 1797년: 《수마트라의 8가지 새로운 물고기에 대한 설명》( Descriptions of eight new fishes from Sumatraeng ). 린네 학회 회보( Transactions of the Linnean Societyeng ) 제3권에 발표되었다.
- 1799년: 《아프리카 내륙 지방 여행기: 1795, 1796, 1797년에 아프리카 협회의 지도와 후원하에 수행됨》( Travels in the Interior Districts of Africa: Performed Under the Direction and Patronage of the African Association, in the Years 1795, 1796, and 1797eng ). 런던에서 출판되었다.
- 1815년: 《1805년 아프리카 내륙으로의 탐험 일지: 동일 탐험과 관련된 기타 공식 및 개인 문서와 함께: 파크 씨의 생애에 대한 설명이 앞에 붙어 있음》( The Journal of a Mission to the Interior of Africa, in the Year 1805: Together with other documents, official and private, relating to the same mission : to which is prefixed an account of the life of Mr. Parkeng ). 그의 두 번째 탐험 기록으로, 사후에 런던에서 출판되었다.
참조
[1]
학술지
Bound to Africa: The Mandinka Legacy in the New World
http://www.jstor.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
학술지
'From the Best Authorities': The Mountains of Kong in the Cartography of West Africa*
https://www.cambridg[...]
1991
[3]
웹사이트
Mungo Park Medal
http://rsgs.org/insp[...]
Royal Scottish Geographical Society
2015-12-28
[4]
학술지
The Moon Hoax
https://archive.org/[...]
190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