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비아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비아강은 총 길이 1,120km로, 기니에서 발원하여 서북쪽으로 흐르다 대서양과 만나는 서아프리카의 강이다. 강 하구 부근에는 노예 무역에 사용되었던 쿤타 킨테 섬이 있으며, 상류 지역에는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감비아는 모래 수출의 주요 원천이지만, 과도한 채취로 하상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감비아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여러 개 있으며, 하류에는 볼롱이라고 불리는 작은 지류가 있다.
역사적으로 감비아 강 유역은 다양한 부족의 거주지였으며, 유럽인들은 15세기에 이 강을 발견하고 무역 거점을 건설했다. 1889년 영불 협약으로 감비아 보호령과 세네갈 식민지의 국경이 설정되었다. 감비아강 유역은 세네갈강 유역과 함께 생태계로 분류되며, 소설 '뿌리'에 등장하여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네갈의 강 - 세네갈강
세네갈강은 기니에서 발원하여 말리를 거쳐 세네갈과 모리타니 국경을 따라 흐르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황금의 강"이라 불렸으며, 현재는 하구 삼각주가 철새 도래지로 보호받고, 농업 개발과 수자원 관리를 위한 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세네갈"이라는 이름은 다양한 어원 설을 가진다. - 기니의 강 - 나이저강
나이저강은 기니에서 발원하여 서아프리카 10개국을 거쳐 기니만으로 흘러드는 총 4,180km 길이의 강으로, 사하라 사막을 가로지르며 내부 나이저 삼각주를 형성하여 어업과 농업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에도 직면해 있다.
| 감비아강 | |
|---|---|
| 지도 정보 | |
![]() | |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감비아 강 |
| 위치 정보 | |
| 국가 | 기니 세네갈 감비아 |
| 지리 정보 | |
| 길이 | 1120km |
| 발원지 | 푸타잘롱 산맥 |
| 발원지 위치 | 기니 라베 |
| 발원지 고도 | 795m |
| 하구 | 대서양 |
| 하구 위치 | 감비아 반줄 |
| 하구 고도 | 0m |
| 유역 면적 | 78000km2 |
2. 지리
감비아강은 기니 북부 후타잘롱 고원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흐르는 총 길이 1120km의 강이다. 반줄을 통해 대서양으로 흘러 들어간다. 강의 약 절반 정도는 배가 다닐 수 있다.
강은 후타잘롱에서 북서쪽으로 세네갈 탐바쿤다주의 니오콜로코바 국립공원을 지나, 니에리 코, 쿨룬투 강과 합류한다. 그 후 파토토에서 감비아로 들어온다. 서쪽으로 흐르지만, 여러 개의 우각호를 지나며 구불구불하게 흐른다. 하구에서 100km 정도 지점부터 점차 강폭이 넓어져 바다와 만나는 지점에서는 10km가 넘는다.
주프레 근처 하구 부근에는 노예 무역에 사용되었던 쿤타킨테섬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내륙에는 잔잔브레아섬이 있다.
상류 지역 범람원에는 삼림, 사바나가 많고, Oxytenanthera abyssinica영어, Borassus aethiopum영어 등이 자란다. 사자, 침팬지, 리카온, 영양 등의 포유류, 오리, 황새류, 맹금류, 코뿔새과 등의 조류, 비단뱀 등의 파충류와 많은 종류의 양서류와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하류에는 Conocarpus erectus영어, Rhizophora mangle영어, Rhizophora harrisonii영어, Rhizophora racemosa영어, Avicennia africana영어, Laguncularia영어로 구성된 맹그로브, 염습지와 갯벌이 발달해 있다. 강과 그 주변에는 수련, 물망초 등의 식물이 자라고, 아프리카매너티, 표범, 발톱없는수달, Western red colobus영어 (특히 아종인 Temminck's red colobus영어) 등이 서식하고 있다.
기니의 수원지 부근[16] 및 쿨룬투 강의 수원지 부근을 포함한 Badiar National Park영어 일대[17], 하류 감비아 중서부의 볼롱이 많은 Bao Bolong Wetland Reserve영어[18], 하구 남쪽 반줄 서부의 Tanbi Wetland Complex영어[19] 및 하구 북쪽의 Niumi National Park영어[20]는 람사르 협약 등록지이다. 니우미 국립공원은 살룸강 하구의 살룸 삼각주 바로 남쪽에 인접해 있다[20].
감비아강이 운반하는 모래는 감비아의 중요한 수출품이지만, 과도한 채취로 하상이 낮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만조 때 바닷물이 역류하여 농경지로 흘러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21]
2. 1. 교량
감비아강에는 여러 개의 다리가 있다. 가장 크고 하류에 있는 다리는 감비아의 파라페니와 소마 마을 사이에 있는 세네감비아 다리이다. 2019년 1월에 개통된 이 다리는 감비아강 북쪽과 남쪽 강둑에 있는 감비아횡단고속도로 구간을 연결한다. 또한 세네갈의 카사망스를 오가는 세네갈 트럭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켜 준다. 이 다리는 길이가 1.9km이며, 이전에 신뢰성이 낮았던 차량 전용 페리를 대체한다. 차량 통행료가 부과된다.감비아 상류 지역의 바세 산타 수와 파토토에도 2021년 10월에 개통된 다리가 있으며,[2] 세네갈 굴룸부에도 다리가 있다.
그 외의 모든 횡단은 감비아강 어귀에 있는 반줄과 바라 사이의 주요 횡단로를 포함하여 페리 또는 소형 보트를 이용한다.
2. 2. 지류 (볼롱)
감비아 강 하류의 작은 지류는 일반적으로 '볼롱(bolongs)' 또는 '볼론(bolons)'으로 불린다. 여기에는 중앙강 지역(Central River Division)과 상류 지역(Upper River Division)의 북쪽 절반을 나누는 사미 볼롱(Sami Bolong), 하류 지역(Lower River Division)과 서해안 지역(West Coast Division)을 나누는 빈탕 볼롱(Bintang Bolong), 그리고 소판카마(Sofancama), 주룬쿠(Jurunku), 쿠탕(Kutang), 니안지(Nianji), 산두구(Sandugu) 볼롱과 같은 더 작은 수역들이 포함된다.[3]3. 역사
감비아 강 유역의 초기 주민은 졸라, 발란테, 바이누크, 만자크이다.[4] 기원전 5세기 카르타고의 탐험가 한노가 감비아에 도착했을 가능성도 있다.[5]
구전에 따르면, 14세기에 수니아타의 최고 장군 중 한 명인 티라마칸 트라오레가 이끄는 말리 출신의 많은 만딩카 이민자들이 이 지역에 왔다고 한다. 그러나 일부 현대 역사가들은 상대적으로 소수의 이민자들, 특히 줄라 상인들이 만딩카 민족과 말리 제국의 지배 계급과의 정체성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켰다고 주장한다.[6][7] 이 줄라 상인들은 감비아를 서아프리카 무역 네트워크의 중요한 부분으로 만들었으며, 소금, 조개류, 철, 천, 상아, 밀랍, 금, 노예, 가죽 등이 니제르 강을 넘어 멀리까지 교역되었다.[8][9]
포르투갈을 위해 일하던 베네치아 탐험가 알비세 카다모스토는 1455년 감비아에 도착한 최초의 유럽인이 되었으며, 이 강을 "감브라" 또는 "캄브라"라고 불렀다. 같은 시대의 다른 자료에는 "구암베아", "구아부", "감부"와 같은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아마도 당시 또는 후대의 역사 서술에서 강의 이름과 카부 왕국의 이름이 혼합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10] 카다모스토 이후 2세기 동안 여러 유럽 국가의 상인들이 감비아 강에서 무역을 했지만, 쿠를란트와 세미갈리아 공국이 1651년 세인트 앤드류스 섬이라고 부르는 곳에 최초로 영구 기지를 설립했다. 1661년 이 섬을 점령하고 '세인트 제임스'로 개명한 영국은 다음 1세기 반 동안 프랑스와 감비아 강의 상업적 지배권을 놓고 경쟁했다.[11]
이 기간 동안 감비아 강을 따라 니우미(바라(바라)라고도 함), 니아니, 칸토라, 지마라, 키앙, 바디부, 풀라두, 투마나, 울리 왕국 등의 왕국이 존재했으며, 이들 모두 오늘날 감비아의 지역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감비아 강 위나 근처의 주요 무역 기지는 바라, 알브레다, 주프레, 제임스 섬(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 , 텐데바, 조아르, 맥카시 섬, 파타텐다, 수투코바 등이 있다.
18세기 초, 스코틀랜드 탐험가 뭉고 파크는 니제르 강으로 가는 길에 두 번 감비아 강을 따라 여행했다.[12]
1889년 영불 협약은 감비아 보호령과 세네갈 식민지의 국경을 야르부텐다(현재 코이나 근처)까지 강의 북쪽과 남쪽 10km로 규정했으며, 마을 중심부에서 10km 반경으로 동쪽 국경을 표시했다.[13] 따라서 영국은 해상 선박이 항해할 수 있는 감비아 강을 통제했다. 당시 일시적인 것으로 널리 여겨졌지만, 1889년에 설정된 국경은 그 이후로 변하지 않았다.[14]
아프리카계 미국인 작가 알렉스 헤일리가 발표한 소설[22]『뿌리: 미국 가족의 사가』는 그의 미국 가족사를 아프리카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이야기이다. 거기에는 감비아강이 하나의 단서로 등장한다.
소설에 따르면, 헤일리는 그의 가족이 대대로 전해 내려온 말 중 하나인 "캄비 볼롱고(Kamby Bolongo)"에 주목했다. 그는 "볼롱고"가 만딩카어로 "움직이는 물" 또는 "강"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아내고, 그 단어가 감비아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예측한다. 그가 감비아강 북쪽 기슭의 주프를 방문했을 때, 만딩카어에는 'g' 음소가 없어서 강 이름을 "감비아"가 아니라 "캄비야"라고 발음하는 부족의 이야기꾼에 의해 그의 이론은 마침내 증명되었다.
소설이 나중에 텔레비전 드라마로 제작되어 인기를 얻으면서 감비아를 찾아 탐험 여행을 즐기는 여행객이 증가하는 등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4. 생태
감비아강 유역의 수생 동물상은 세네갈강 유역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세네갈-감비아 유역이라는 단일 생태계로 분류된다.[15] 종 다양성은 중간 정도로 높지만, 이 생태계에 고유한 개구리 종은 3종, 어류는 1종에 불과하다.
감비아강에서는 여성들이 굴을 채취하여 전통 음식인 감비아 요리의 굴 스튜를 만든다.
상류 지역의 범람원에는 삼림, 사바나가 많고, Oxytenanthera abyssinica|''Oxytenanthera abyssinica''영어, Borassus aethiopum|아프리카 야자영어 등이 자라고 있으며, 사자, 침팬지, 리카온, 영양 등의 포유류, 오리, 황새류, 맹금류, 코뿔새과 등의 조류 및 비단뱀 등의 파충류, 그리고 많은 종류의 양서류와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하구에 가까운 하류에는 Conocarpus erectus|버튼 매그로브영어, Rhizophora mangle|붉은 맹그로브영어, Rhizophora harrisonii|해리슨 맹그로브영어, Rhizophora racemosa|레이스모사 맹그로브영어, Avicennia africana|아프리카 맹그로브영어, Laguncularia|흰 맹그로브영어로 구성된 맹그로브, 염습지와 갯벌이 발달해 있으며, 강과 그 주변에는 수련, 물망초 등의 식물이 자라고, 아프리카 매너티, 표범, 발톱 없는 수달, Western red colobus|서부붉은콜로부스영어 (특히 아종인 Temminck's red colobus|''Piliocolobus badius temminckii''영어) 등이 서식하고 있다.
기니의 수원지 부근[16] 및 쿨룬투 강의 수원지 부근을 포함한 Badiar National Park|바디알 국립공원영어 일대[17], 그리고 하류 감비아 중서부에 있는 Bolong|볼롱프랑스어이 많은 Bao Bolong Wetland Reserve|바오 볼롱 습지 보호구영어[18], 하구 남쪽 반줄 서부의 Tanbi Wetland Complex|탐비 습지 복합체영어[19] 및 하구 북쪽의 Niumi National Park|니우미 국립공원영어[20]는 람사르 협약 등록지이다. 니우미 국립공원은 살룸 강 하구의 살룸 삼각주 바로 남쪽에 인접해 있다.[20]
5. 문화
아프리카계 미국인 작가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와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텔레비전 드라마는 감비아강을 중요한 단서로 다루며,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22]
5. 1. 소설 "뿌리"에서의 감비아 강
아프리카계 미국인 작가 알렉스 헤일리가 발표한 소설[22] 뿌리: 미국 가족의 사가는 그의 미국 가족사를 아프리카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이야기이다. 거기에는 감비아강이 하나의 단서로 등장한다.소설에 따르면, 헤일리는 그의 가족이 대대로 전해 내려온 말 중 하나인 "캄비 볼롱고(Kamby Bolongo)"에 주목했다. 그는 "볼롱고"가 만딩카어로 "움직이는 물" 또는 "강"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아내고, 그 단어가 감비아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예측한다. 그가 감비아강 북쪽 기슭의 주프를 방문했을 때, 만딩카어에는 'g' 음소가 없어서 강 이름을 "감비아"가 아니라 "캄비야"라고 발음하는 부족의 이야기꾼에 의해 그의 이론은 마침내 증명된다.
소설이 나중에 텔레비전 드라마로 제작되어 인기를 얻으면서 감비아를 찾아 탐험 여행을 즐기는 여행객이 증가하는 등 아프리카계 미국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백과사전
Gambia River
https://global.brita[...]
2016-10-30
[2]
뉴스
Building the Friendship Bridges towards a Shared Future of China and The Gambia
https://thepoint.gm/[...]
2021-10-13
[3]
문서
Gailey
[4]
문서
Buhnen, 49
[5]
웹사이트
Kunta Kinteh Island and Related Sites
2022-08-14
[6]
문서
Wright, "Beyond Migration", 385
[7]
문서
Buhnen, 51
[8]
문서
Wright, "Darbo Jula", 33
[9]
문서
Van Hoven
[10]
문서
Buhnen, 71
[11]
문서
Gailey
[12]
논문
Some Account of Mohammedu-Siseï, a Mandingo, of Nyáni-Marú on the Gambia
https://doi.org/10.2[...]
JSTOR
2022-07-27
[13]
문서
Gailey
[14]
문서
Gailey
[15]
웹사이트
509: Senegal – Gambia
http://www.feow.org/[...]
2016-10-30
[16]
웹사이트
Gambie-Oundou-Liti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5-11-14
[17]
웹사이트
Gambie-Koulountou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7-03-28
[18]
웹사이트
Baobolon Wetland Reserve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1996-09-16
[19]
웹사이트
Tanbi Wetlands Complex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7-02-02
[20]
웹사이트
Niumi National Park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08-10-13
[21]
서적
砂戦争
KADOKAWA
2020-00-00 #날짜 정보가 년도만 존재하여 정확한 날짜를 표현할 수 없습니다.
[22]
문서
이 소설은 자전적 작품이지만, 일부 창작된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