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이루아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루아오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법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칭화 대학을 졸업하고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문학사, 시카고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중화민국 국민 정부에서 활동하며 법률 고문, 입법원 위원 등을 역임했고, 극동 국제 군사 재판에 중화민국 대표로 참여하여 일본의 전쟁 범죄를 규탄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 외교부 특별 고문 등을 역임하며 외교에 기여했으나, 문화 대혁명 시기에 박해를 받아 사망했다. 그의 일기는 《도쿄 대심판》으로 출판되었으며, 영화 《도쿄 재판》과 NHK 미니시리즈 《도쿄 재판》에서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창시 출신 - 리친청
    리친청은 중국 장시성 난창시 출신의 프로 바둑 기사로, 중신은행배,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아함·기요야마배 일중결전 등에서 우승했으며 중국 바둑 갑급 리그에서 MVP를 수상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중국 바둑계의 기대주로 주목받고 있다.
  • 난창시 출신 - 팔대산인
    명나라 황족 후손으로 몰락한 왕족의 고뇌와 은둔 생활, 독특한 화풍으로 유명한 팔대산인은 중국 청나라 초기의 예술가로서 화훼, 산수, 새, 물고기 등을 소재로 한 수묵화에서 대담하고 개성적인 표현을 추구하며 멸망한 명나라에 대한 슬픔과 저항 정신을 상징하는 작품을 남겼다.
  • 중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중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칭화방 - 시진핑
    시진핑은 2012년부터 중국 최고지도자로, 반부패 운동 추진, '중국몽' 제시, 국가주석 임기 제한 철폐 및 '시진핑 사상' 당헌 명기 등을 통해 장기 집권 기반을 마련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 칭화방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메이루아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메이루아오
로마자 표기Mei Ru'ao
출생1904년 11월 7일
출생지장시성 난창 시 (청나라)
사망1973년 4월 23일
사망지베이징 시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학력
대학칭화대학교 (1924년)
학사스탠퍼드 대학교 (1926년)
법학 박사시카고 대학교 법학대학원 (1928년)
경력
직책입법원 의원 (장시성)
임기 시작1934년
임기 종료1949년

2. 생애

메이루아오는 중국 장시성 난창 출신으로, 칭화 대학을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하여 스탠퍼드 대학교시카고 대학교 로스쿨에서 학위를 받았다.[1] 귀국 후 난카이 대학, 푸단 대학, 우한 대학 등에서 법학 교수로 재직했으며,[3] 중화민국 국민 정부 시기에는 입법원 위원 등 여러 직책을 맡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부터 1948년까지 극동 국제 군사 재판(도쿄 재판)에 중화민국 대표 판사로 참여하여 일본 전범 처벌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재판 과정에서 중국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대변했으며, 특히 쇼와 천황의 전쟁 책임 문제를 강력하게 제기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중국 공산당을 지지하며 국무원 특별 고문,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등 여러 공직을 역임했다. 그러나 문화 대혁명 시기에 박해를 받아 실각하였고,[3][2] 1973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메이루아오는 중국 동부 장시성 난창에서 태어났다. 12세에 더 나은 교육을 받기 위해 베이징으로 이주하여 당시 칭화 대학 부지에 있던 학교에 다녔다. 1924년 칭화 대학을 졸업하고 재정 지원을 받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1926년 캘리포니아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재학 중 우수한 성적으로 파이 베타 카파 협회 회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이후 1928년에는 시카고 대학교 로스쿨에서 법무박사(Juris Doctor) 학위를 취득했다.[1] 학위 취득 후 유럽에서 1년간 머물며 여행한 뒤, 1929년 중국으로 돌아왔다.[2]

2. 2. 중화민국 시기 활동

1929년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난카이 대학, 푸단 대학, 우한 대학 등에서 법학 교수로 재직했다.[3] 이후 중화민국 행정원 원장 쑹쯔원중화민국 외교부 부장 왕스제의 조수로 활동하며 정부 업무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국민 정부 시기에는 내무부 법률 고문, 중화민국 내정부 참사, 입법원 위원 등 중국 국민당 정부의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2. 3. 도쿄 재판 참여

1946년부터 1948년까지 메이루아오는 극동 국제 군사 재판(도쿄 재판)에서 중화민국 측 사법 대표로 활동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일본의 전범들을 재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본국에서의 법조 경험은 없었으나, 국민당 정부에 의해 대표 판사로 파견되었다.

재판 초기에 재판장 윌리엄 웹이 정한 미국, 영국, 중국 순서의 좌석 배치에 대해 메이루아오는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일본 항복 문서 서명 순서에 따라 좌석을 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적극적인 문제 제기를 통해 결국 웹 재판장 옆자리를 확보했다. 이는 재판 과정에서 중국의 입장을 확고히 하려는 그의 의지를 보여주는 일화이다.

메이루아오는 강한 반일 성향을 보였으며, 이는 그가 재판 기간 동안 작성한 일기를 바탕으로 (원본 일기 대부분은 문화 대혁명 시기에 소실된 것으로 전해진다) 후에 출판된 『도쿄 대심판』에도 잘 드러난다. 이 책에서 그는 일본의 침략 행위를 통렬하게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일기에서 "이 28명의 피고 거의 전부가 중국에 손해를 입혔다"(5월 2일자)고 적었으며, 일본이 "'민족 우월주의'라는 터무니없는 이론을 내세워 국민을 독하게 만들고, 국민에게 으스대게 하여, 중국을 삼켜 멸망시키고, 아시아를 휩쓸어 세계를 정복하려 했다"(5월 4일자)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그는 주요 피고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명확한 평가를 내렸다.

또한 메이루아오는 천황의 전쟁 책임 문제에 대해서도 기소를 강력히 주장했다. 그는 "천황이 일본의 침략 전쟁에 아무런 책임이 없다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다"고 주장했으며, "재판관들 개인 수준의 대화에서도 자주 논의되며, 대다수의 사람은 나와 같은 견해를 가지고 있다"(4월 8일자)고 언급했다. 결국 천황이 기소되지 않고 면책이 결정되자, 그는 "정치적 이유로 기소를 면했지만, 장래에 다시 제소되는 날이 올 것이다"(5월 7일자)라고 기록하며, 천황의 책임 추궁에 대한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2. 4. 중화인민공화국 시기 활동

메이루아오(가운데)와 니정위


메이는 도쿄 재판 이후 중국으로 돌아와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국 공산당을 지지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는 국무원 특별 고문이 되었고,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 외교부 특별 고문, 중국인민 대외우호협회 집행 이사, 세계평화평의회 중국 지부 위원,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등을 역임했다. 그러나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비판의 대상이 되어 박해를 받고 실각했으며,[3][2] 1973년에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2. 5. 문화 대혁명과 말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메이루아오는 국무원 특별 고문,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대표 등을 역임했다. 그러나 문화 대혁명 시기에 비판의 대상이 되어 박해를 받았다.[3][2] 결국 그는 문화 대혁명 중에 실각했으며, 1973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3. 평가

메이루아오는 강경한 반일주의자로 평가받는다. 이러한 평가는 도쿄 재판 이후 출판된 그의 일기 "도쿄 대심판"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책에서 그는 재판 피고인들에 대해 "이 28명의 거의 전부가 중국에 손해를 입혔다"(5월 2일자 기록)고 적었으며, 일본 제국주의에 대해서는 "'민족 우월주의'라는 터무니없는 이론을 내세워 국민을 독하게 만들고, 국민에게 으스대게 하고, 중국을 삼켜 멸망시키고, 아시아를 휩쓸어 세계를 정복하려 했다"(5월 4일자 기록)고 통렬하게 비판했다.

특히 그는 특정 피고인들에 대해 강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 도이하라 겐지를 "중국을 분열시키고 내란을 일으킨 전문가"로, 마쓰이 이와네를 "난징 대학살의 총지휘자"로 지목했으며, 이타가키 세이시로, 고이소 구니아키, 우메즈 요시지로 세 명을 "중국 침략의 달인"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메이루아오는 히로히토 천황의 전쟁 책임 문제에 대해서도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천황이 일본의 침략 전쟁에 아무런 책임이 없다고는 도저히 생각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4월 8일자 기록), 재판관들 사이에서도 다수가 자신과 같은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천황이 기소되지 않자 "정치적 이유로 기소를 면했지만, 장래에 다시 제소되는 날이 올 것이다"(5월 7일자 기록)라고 기록하며 아쉬움과 비판적 입장을 남겼다.

4. 대중 매체에서의 묘사

메이루아오는 중국 영화 ''도쿄 재판''(2006)에서 류송인(Damian Lau영어)이 연기했으며, NHK 미니시리즈 ''도쿄 재판''(2016)에서는 David Tse영어가 연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eeking the Past: Early Chinese Scholars at the Law School {{!}} University of Chicago Law School https://www.law.uchi[...] 2012-10-02
[2] 뉴스 Remembering My Father, a War Crimes Judge http://www.sixthtone[...] 2016-11-23
[3] Webarchive Mei Ju-ao at Tsinghua http://www.tsinghua.[...] Tsinghua University 2014-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