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관악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관악기는 금관악기를 제외한 관악기를 통칭하며, 나무 외에도 금속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소리를 내는 방식에 따라 리드를 사용하는 악기,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는 악기, 그리고 프리 리드를 사용하는 악기로 분류된다. 또한, 관의 형태에 따라 원통관, 원추관, 부정형 공명관 악기로 나뉘며, 음공 개폐를 통해 음높이를 조절한다. 현대 오케스트라와 관악 합주단에서 다양한 종류의 목관악기가 사용되며, 한국 전통 음악에도 여러 종류의 목관악기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목관악기 | |
---|---|
악기 분류 | |
악기 | 관악기 |
분류 | 기명악기 - 기류명악기 - 날개악기 |
호른보스텔-작스 분류 | 423.12 (관이 있는 날개악기) |
특징 | |
소리 발생 방법 | 공기 진동 |
연주 방법 | 입으로 불어서 연주 |
재료 | 나무 금속 플라스틱 |
관련 악기 | |
종류 |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색소폰 피리 퉁소 단소 생황 |
2. 명칭의 유래
과거에는 주로 나무로 된 관 모양의 구조가 많았기 때문에 목관악기라고 불렸지만, 오늘날에는 금관악기 이외의 관악기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나무'로 만들어졌는지, '관' 모양인지에는 의존하지 않는다.[15] 예를 들어, 플루트나 색소폰은 주로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오카리나는 나무로 만들어지지도 않았고 관 모양도 아니지만, 모두 입술의 진동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목관악기에 분류된다. 반대로 코르넷이나 서펜트, 수자폰, 소라 고둥은 비금속 재료로 만들어지지만, 모두 입술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기 때문에 금관악기에 분류된다.
목관악기는 리드의 유무 및 형태, 공명관의 형태에 따라 분류된다.
3. 분류
3. 1. 리드의 유무와 형태에 따른 분류
목관악기는 리드의 유무와 형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리드를 사용하는 악기는 리드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며, 싱글 리드, 더블 리드, 프리 리드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8][9]
백파이프는 두 개 이상의 리드를 사용하지만, 리드가 연주자 입술과 직접 접촉하지 않아 기능적으로 캡형 더블 리드 악기와 유사하다.[12]
3. 1. 1. 무황(無簧) 목관악기 (에어 리드 악기)
리드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 흐름이 악기 취구의 모서리에 부딪혀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리코더처럼 윈드웨이로 공기 통로를 만들거나, 플루트처럼 연주자의 입술(엠부셔)로 에어 리드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분류된다.[2][3]
보통 "가로피리"는 플루트처럼 윈드웨이가 없는 것, "세로피리"는 리코더처럼 윈드웨이가 있는 것을 연상하지만, 샤쿠하치나 케나처럼 세로피리여도 윈드웨이가 없는 것도 있어 연주법은 플루트(가로피리)에 가깝다. 따라서 "가로피리", "세로피리"라는 분류는 악기를 잡는 자세(각도)의 차이일 뿐, 연주법이나 진동 방식에 따른 분류에서는 중요하지 않다.[4]
구분 | 종류 |
---|---|
가로 피리 | |
세로 피리 |
- 무황(無簧) 폐관 악기
3. 1. 2. 유황(有簧) 목관악기 (리드 악기)
리드의 진동을 통해 소리를 내는 악기이다. 리드의 개수에 따라 단일 리드, 이중 리드, 자유 리드 악기로 분류된다.[8][9]싱글 리드 목관 악기는 리드를 마우스피스의 구멍에 리게이쳐를 사용하여 고정하고, 공기가 리드와 마우스피스 사이로 들어가면서 리드가 악기 내의 공기 기둥을 진동시켜 소리를 낸다. 클라리넷과 색소폰이 대표적이다.[9][10]
더블 리드 악기는 밑부분이 함께 묶인 두 개의 작은 사탕수수 조각(리드)을 사용한다. 이 리드들은 악기에 삽입되어 두 조각 사이로 공기가 들어가면서 진동한다.[11] 더블 리드 악기는 리드가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와 캡으로 덮여 있는 형태로 나뉜다. 노출형 더블 리드 악기에는 오보에, 잉글리시 호른, 바순 등이 있으며, 캡형 더블 리드 악기에는 크럼혼 등이 있다.
백파이프는 두 개 이상의 더블 리드 또는 싱글 리드를 사용하지만, 리드가 연주자의 입술과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캡형 더블 리드 악기와 유사하다.[12]
프리 리드 기명 악기는 금속 또는 나무 프레임 내에 배열된 작은 금속 혀(프리 리드)를 통해 소리를 낸다. 연주자의 호흡(예: 하모니카)이나 풀무(예: 아코디언)로 기류를 생성한다.[13][14]
- 단일 리드 (싱글 리드) 악기
종류 | 악기 |
---|---|
원통형 관악기 | |
원추형 관악기 |
- 이중 리드 (더블 리드) 악기
종류 | 악기 |
---|---|
원추형 관악기 | |
원통형 관악기 |
- 자유 리드 (프리 리드) 악기
종류 | 악기 |
---|---|
그 외 민속 음악에서는 각종 피리가 사용되고 있다.
3. 2. 공명관의 형태에 따른 분류
목관악기는 공명관의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폐관(원통관): 한쪽 끝이 열려 있고 다른 쪽 끝이 닫혀 있는 관이다. 클라리넷이 대표적인 원통관 악기이다.
- 개관: 양쪽 끝이 열려 있는 관이다.
- 원추관: 폐관이지만 음향학적으로 개관으로 분류된다. 오보에, 바순, 색소폰 등이 원추관 악기에 해당한다.
- 부정형 공명관: 관의 형태가 아닌, 특정한 형태의 공간에서 공명이 일어나는 악기로, 오카리나 등이 이에 해당한다.
- 공진계를 갖지 않는 것: 하모니카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3. 2. 1. 원통관 악기
원통관이란 관의 내부 지름이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관을 말한다. 한쪽 끝이 열려 있고 다른 쪽 끝이 닫혀 있는 관은 폐관, 양쪽 끝이 모두 열려 있는 관은 개관이라고 부른다. 클라리넷이 원통관 악기에 해당한다.3. 2. 2. 원추관 악기
관의 내부 지름이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악기를 말한다. 음향학적으로는 개관으로 분류된다. 오보에, 바순, 색소폰 등이 원추관 악기에 해당한다.3. 2. 3. 부정형 공명관 악기
관의 형태가 아닌, 특정한 형태의 공간에서 공명이 일어나는 악기로, 오카리나 등이 이에 해당한다.4. 음높이 변화 방법
목관악기는 관에 뚫려 있는 음공(톤 홀)을 막거나 열어 공명관의 길이를 조절하여 음높이를 변화시킨다. 음공을 모두 막으면 가장 낮은 음이 나고, 취구에서 먼 쪽의 음공부터 순차적으로 열면 음이 높아진다. 키(key)가 없는 악기의 경우, 반쯤 막거나 건너뛰어 막는 등의 방법(크로스 핑거링)으로 다양한 음높이를 낼 수 있다.[2][3][4][5][6][7]
5. 현대 오케스트라 및 관악 합주단에서의 목관악기
현대 오케스트라의 목관악기 섹션에는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이 주로 포함된다. 피콜로, 잉글리시 호른, 베이스 클라리넷, E♭ 클라리넷, 콘트라바순은 보조 악기로 사용된다. 색소폰도 가끔 사용된다.[12]
관악 합주단의 목관악기 섹션은 오케스트라보다 훨씬 크고 다양하다. 피콜로, 플루트, 오보에, B♭ 클라리넷,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알토 색소폰, 테너 색소폰, 바리톤 색소폰을 일반적으로 포함하며, 알토 플루트, 잉글리시 호른, E♭ 클라리넷, 알토 클라리넷, 콘트라알토 클라리넷, 콘트라베이스 클라리넷, 콘트라바순, 소프라노 색소폰, 베이스 색소폰도 가끔 사용된다.[12]
6. 한국의 전통 목관악기
한국의 전통 음악에서는 피리와 태평소 등 다양한 목관악기가 사용되었다. 피리는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의 세 종류가 있으며, 한국 전통 음악에서 중요한 선율 악기이다. 태평소는 이중 리드를 사용하는 악기로, 강렬하고 힘찬 소리가 특징이다.[1]
6. 1. 무황 목관악기
- 가로 피리
- ** 대금: 한국 전통 악기이며, 가로로 부는 대표적인 악기이다.
- ** 그 외의 가로 피리
디즈 (테키시)
사오
- 세로 피리
- ** 윈드웨이 무
케나
소 (쇼)
- 무요(에어 리드) 폐관 악기
- ** 파이샤오 (하이쇼)
- ** 훈 (슌)
6. 2. 유황 목관악기
피리에는 향피리, 당피리, 세피리의 세 종류가 있으며, 한국 전통 음악에서 중요한 선율 악기이다. 태평소는 이중 리드를 사용하는 악기로, 강렬하고 힘찬 소리가 특징이다.[1]참조
[1]
간행물
Woodwind
Encyclopedia Britannica Online
[2]
웹사이트
Flute acoustics: an introduction
https://newt.phys.un[...]
2024-02-01
[3]
웹사이트
Instruments of the Orchestra Strings Woodwinds Brass Percussion conductor Devin Patrick Hughes
https://www.arapahoe[...]
2024-02-01
[4]
서적
Baroque Woodwind instruments
Ashgate
1999
[5]
서적
Baroque Woodwind instruments
Ashgate
1999
[6]
웹사이트
San Francisco Symphony - Instrument of the Month: Flute
https://www.sfsympho[...]
2024-02-01
[7]
서적
Baroque Woodwind instruments
Ashgate
1999
[8]
간행물
Woodwind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9]
웹사이트
Woodwinds
https://www.uv.es/cl[...]
2024-02-01
[10]
웹사이트
The Woodwind Family, Explained
https://hub.yamaha.c[...]
2024-02-01
[11]
서적
Baroque Woodwind instruments
Ashgate
1999
[12]
간행물
Bagpipes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13]
간행물
Harmo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14]
간행물
Accordion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15]
서적
楽器の科学
講談社ブルーバックス
1997-07-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