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키아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키아누스는 로마 제국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기에 아르메니아로 파견되었고, 네로 황제 시기에는 보조 집정관과 집정관을 역임했다. 67년에는 시리아 총독으로 부임하여 유대 반란 진압에 관여했으며, 베스파시아누스를 황제로 추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텔리우스 사망 후 로마에 입성하여 혼란을 수습하고 베스파시아누스가 도착하기 전까지 로마를 통치했으며, 베스파시아누스 치하에서 보조 집정관을 역임했다. 그는 뛰어난 저술가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키니우스 씨족 - 갈리에누스
갈리에누스는 253년부터 268년까지 로마 황제로 재위했으며, 게르만족 격퇴, 군사 개혁을 시도했으나 여러 반란과 암살을 겪고 사후 로마 제국은 분열되었다. - 리키니우스 씨족 - 발레리아누스
발레리아누스는 3세기 위기 시대에 로마 황제로서 아들 갈리에누스와 공동 통치하며 사산 제국과의 전쟁을 수행했으나, 샤푸르 1세에게 패배하여 포로로 잡히는 치욕을 겪고 기독교 박해 정책을 강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고대 로마의 지리학자 - 파우사니아스 (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기원후 2세기경 소아시아에서 태어난 그리스 지리학자이자 여행가로, 그리스 각지를 여행하며 기록한 10권 분량의 『그리스 지리서』는 고대 그리스의 지리, 역사, 문화, 예술을 담아 고고학 및 미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 고대 로마의 지리학자 -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는 로마 제국 시대의 학자이자 작가로, 《박물지》를 저술했으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 당시 사망했다. - 플라비우스 왕조 -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사투르니누스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사투르니누스는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89년 도미티아누스 황제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 후 기록말살형에 처해졌으며, 마케도니아, 유대,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속주 총독 등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 플라비우스 왕조 - 티투스 페트로니우스 세쿤두스
| 무키아누스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가이우스 리키니우스 무키아누스 |
| 출생 | 서기 1세기 초 |
| 사망 | 69년 또는 70년대 |
| 직업 | 작가 정치인 군인 |
| 로마자 표기 | Gaius Licinius Mucianus |
| 정치 경력 | |
| 임기 시작 | 60년대 |
| 임기 종료 | 69년/70년대 |
| 이전 직책 | 시리아 총독 |
| 군사 경력 | |
| 복무 | 로마 군단 |
| 계급 | 군단장 |
| 참전 | 베스파시아누스 지지 |
| 가족 | |
| 친척 | 플리니우스 (양아버지) |
2. 생애
무키아누스는 무키아 씨족에서 리키니아 씨족으로 입양되었다.[13]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기에는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와 함께 아르메니아로 파견되었고, 네로 황제 시기인 63년 혹은 64년에 보조 집정관을 역임했다.[14]
66년에 유대 반란이 일어나자, 67년에 시리아 총독으로 부임했다.[15] 무키아누스는 베스파시아누스와 협력하여 반란 진압을 시도했지만, 처음에는 서로를 탐탁지 않게 여겼다.[15] 그러나 베스파시아누스의 아들 티투스의 중재로 관계가 개선되었다.
68년 네로 황제가 자살하고 갈바, 오토, 비텔리우스로 이어지는 내전이 발발했다. 무키아누스는 도나우 군단으로부터 황제로 추대되었지만, 이를 거절하고 베스파시아누스를 추천했다. 베스파시아누스가 제위 다툼에 정식으로 참여하면서, 베스파시아누스는 이집트에 머물고, 무키아누스는 군단을 이끌고 발칸 반도를 거쳐 로마로 진군했다.
로마로 진군하던 중 모이시아가 다키아의 침공을 받자 이를 격퇴하였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프리무스가 이끄는 도나우 군단이 먼저 로마에 도착하여 황제 비텔리우스를 살해했고, 무키아누스는 비텔리우스 사망 다음 날 로마에 도착하여 혼란을 수습했다. 그는 불탄 유피테르 신전을 재건하여 평화의 부활을 상징으로 삼았다. 베스파시아누스가 로마에 도착하기 전까지 무키아누스는 원로원을 장악하고 사실상의 최고 집정관 역할을 했다.
무키아누스는 베스파시아누스에게 끝까지 충성을 다했으며, 베스파시아누스 역시 그를 신뢰했다. 그는 70년과 72년에 보조 집정관을 역임했다. 티투스나 도미티아누스 통치 기간에는 무키아누스에 대한 언급이 없어, 베스파시아누스 재위 기간(78년 이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무키아누스가 남긴 로마 공화정의 연설 문서와 편지는 당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경력
그는 입양을 통해 무키아 씨족에서 리키니아 씨족으로 가문을 옮겼다.[1]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기,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와 함께 아르메니아에 파견되었다.[13] 네로 황제 시기인 63년 또는 64년에 보조 집정관을 역임했다.[14]2. 2. 시리아 총독과 유대 전쟁
66년 유대 반란이 일어나자, 67년 무키아누스는 시리아 총독으로 부임했다.[15][3] 네로는 유대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베스파시아누스를 특별 파견했고, 무키아누스는 베스파시아누스와 협력하게 되었다.[15][3]처음에 무키아누스와 베스파시아누스는 서로를 탐탁지 않게 여겼으나,[15][3] 베스파시아누스의 아들 티투스가 중재하여 관계가 개선되었다.[4]
2. 3. 69년 내전과 베스파시아누스 옹립
68년 네로 황제가 자살한 후, 히스파니아 총독 갈바가 황제를 자처했다.[4] 그러나 곧 오토에게 살해당하고, 다시 오토는 비텔리우스에게 패배하는 등 혼란이 계속되었다.[3] 68년부터의 내전 당시 시리아 속주총독의 지위에 있던 무키아누스는 파르티아 대책을 위해 많은 병력을 지휘하고 있었으며, 명성이 있던 코르블로의 계통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비텔리우스에게 패배한 도나우 군단으로부터 황제로 추대되었지만, 이를 거절하고 베스파시아누스를 추천했다.[4]처음에는 엘리트 군인이자 명문 귀족 출신이었던 무키아누스와 아버지의 직업조차 불분명한 평민 출신이었던 베스파시아누스는 서로 반목하는 존재였다.[4] 그러나 베스파시아누스의 장남이자 원만한 성격의 소유자였던 티투스가 사이에 끼어 양자의 관계를 중재했다고 한다.[4] 무키아누스는 비텔리우스에 대항하여 베스파시아누스를 황제로 추대할 것을 결심했다.[13] 69년 5월 또는 6월, 카르멜 산에서 베스파시아누스와 회의를 갖고, 베스파시아누스를 황제로 옹립하기로 결정했다.[4]
69년 7월, 베리투스에서 열린 군사 회의에서 베스파시아누스는 이집트에 남고, 무키아누스는 군대를 이끌고 로마로 진군하기로 결정했다.[5] 베스파시아누스 자신은 전략상 및 경제상의 요충지였던 이집트에 머물고, 유대 전쟁을 베스파시아누스의 장남 티투스가 담당했으며, 무키아누스는 군단을 이끌고 발칸 반도를 북상하여 로마로 진군했다.[4]
2. 4. 로마 진군과 내전 종식
68년 네로가 자살하고 갈바가 황제를 자처했다. 68년부터의 내전 당시 무키아누스는 시리아 속주 총독이었고, 파르티아 대책을 위해 많은 병력을 지휘하고 있었으며, 명성이 있던 코르불로의 계통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비텔리우스에게 패배한 도나우 군단으로부터 황제로 추대되었지만, 이를 거절하고 베스파시아누스를 추천했다.[4]엘리트 군인이자 명문 귀족 출신이었던 무키아누스와 평민 출신이었던 베스파시아누스는 처음에는 서로 반목하는 존재였다. 그러나 베스파시아누스의 장남이자 원만한 성격의 소유자였던 티투스가 중재하여 양자의 관계를 개선했다고 한다.[3]
베스파시아누스가 제위 다툼에 정식으로 참여하기 시작하자, 베스파시아누스는 전략상 및 경제상의 요충지였던 이집트에 머물렀다. 유대 전쟁은 베스파시아누스의 장남 티투스가 담당했으며, 무키아누스는 군단을 이끌고 발칸 반도를 북상하여 로마로 진군했다.[5]
무키아누스는 소아시아와 트라키아를 거쳐 로마로 진군했다.[13] 진군 도중, 모이시아가 다키아의 침공을 받자 이를 격퇴하였다.[6] 한편,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프리무스가 이끄는 도나우 군단이 무키아누스보다 먼저 이탈리아에 도착하여 로마에 있던 황제 비텔리우스를 살해했다.[5] 무키아누스는 비텔리우스가 사망한 다음 날 로마에 도착하여[7] 혼란을 수습하고, 불탄 유피테르 신전을 재건하여 평화의 부활을 상징으로 삼았다.
이후, 베스파시아누스가 로마에 도착하기 전까지 원로원을 장악하고, 사실상의 최고 집정관 역할을 한 것은 무키아누스였다고 한다.[7]
2. 5. 베스파시아누스 치세와 말년
무키아누스는 베스파시아누스에게 충성을 다했으며, 베스파시아누스 역시 그의 오만함에도 불구하고 그를 신뢰했다.[1] 그는 70년과 72년에 보조 집정관을 역임했다.[9] 70년에는 아르발 형제단 기록에도 등장한다.[8] 로널드 사임은 무키아누스가 갈바에 의해 부재중에 아르발 형제단에 선출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8]티투스나 도미티아누스 통치 기간에는 무키아누스에 대한 언급이 없어, 베스파시아누스 재위 기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 사임은 그가 78년 이전에 사망했을 것으로 보았다.[10]
3. 성격
타키투스는 무키아누스를 "방종과 에너지, 예의와 오만함, 선과 악이 기묘하게 뒤섞인 인물"이라고 묘사했다.[11] 그는 한가할 때는 자기 방종에 빠졌지만, 일에 임할 때는 뛰어난 자질을 보였다. 공적으로는 칭찬을 받았지만, 사생활은 비판을 받았다. 교묘한 음모술로 부하, 동료, 동료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황제가 되는 것보다 황제를 만드는 것을 더 즐기는 사람이었다.
4. 저술 활동
무키아누스는 유능한 저술가이자 역사가였다. 그는 원로원의 의사록(< *res gesta senatus* >)을 포함하여, 로마 공화정 시기의 연설문과 문서들을 수집했다.[13] 또한 동방의 자연사와 지리를 다룬 연구 논문을 저술했으며, 이는 대 플리니우스가 자주 인용했다.[13][19] 무키아누스가 남긴 로마 공화정의 연설 문서와 편지는 많이 현존하며, 당시를 알기 위한 제1급 자료가 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Mucianus, Licinius
EB1911
[2]
논문
Nero's consular policy
1981
[3]
간행물
The Career of Licinius Mucianus
https://minerva-acce[...]
The University of Melbourne
2015
[4]
서적
69 AD: The Year of Four Emperor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5]
서적
Year of Four Emperors
[6]
서적
Year of Four Emperors
[7]
서적
Year of Four Emperors
[8]
서적
Some Arval Brethren
Clarendon Press
1980
[9]
논문
The Fasti for A.D. 70–96
https://www.jstor.or[...]
1981
[10]
서적
Some Arval Brethren
[11]
서적
The Histories
Penguin
2009-06-25
[12]
서적
Pilgrimage in Graeco-Roman and Early Christian Antiquity: Seeing the Gods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Mucianus, Licinius
EB1911
[14]
논문
Nero's consular policy
1981
[15]
간행물
The Career of Licinius Mucianus
https://minerva-acce[...]
The University of Melbourne
2015
[16]
서적
Some Arval Brethren
Clarendon Press
1980
[17]
논문
The Fasti for A.D. 70–96
https://www.jstor.or[...]
1981
[18]
서적
Some Arval Brethren
[19]
서적
Pilgrimage in Graeco-Roman and Early Christian Antiquity: Seeing the Gods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