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알래스카 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알래스카 사령부(ALCOM)는 1947년 창설되어 알래스카주와 주변 해역 방어 및 재해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베트남 전쟁 이후 군축으로 인해 1975년 해체되었다가, 1989년 미국 태평양 사령부 예하 통합 사령부로 재설립되었다. 2014년에는 북부사령부로 관할이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제11공수사단, 제11공군, 미 해안경비대 제17지역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래스카주의 부대 - 제11공수사단
    제11공수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아시아-태평양 전선의 주요 전투에 참여하고 일본 점령 임무를 수행했으며, 2022년 알래스카 육군을 기반으로 재소집되어 현재 미 육군의 북극 작전 수행을 위한 핵심 부대로 활동하고 있다.
  • 알래스카주의 부대 - 제2공병여단 (미국)
    제2공병여단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한국 전쟁, 알래스카,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활동했으며, 여러 차례 개편과 해산을 거쳐 2011년 재소집되어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기도 했다.
  • 미국의 통합전투사령부 - 주일 미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 점령기부터 미일 안보 조약에 따라 현재까지 일본에 주둔하며 일본 방위와 자위대 협력 태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기지 집중으로 인한 주민 반발, 범죄, 환경 문제, 그리고 최근 미일 동맹 강화 계획 발표로 논란이 심화되고 있는 미군을 주일 미군이라고 한다.
  • 미국의 통합전투사령부 -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는 인도양과 태평양 지역을 관할하는 미국 국방부 산하의 통합 전투 사령부로, 미국의 이익 보호, 동맹국과의 안보 협력 증진, 역내 안정 강화를 목표로 군사 작전 및 훈련을 수행하며, 2018년 태평양 사령부에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47년 설립된 단체 - 국제 표준화 기구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167개국 국가 표준 기구를 회원으로 둔 비정부 기구로서, 상품 및 서비스 관련 국제 표준을 제정하며,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와 협력하고 대한민국은 기술표준원을 통해 정회원으로 활동한다.
  • 1947년 설립된 단체 - 미국 국방부
    미국 국방부는 미국의 군정 및 군령을 총괄하는 행정 기관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우주군을 산하에 두고 합동참모본부와 통합전투사령부를 통해 군사 작전을 지휘하며 버지니아주 알링턴의 펜타곤에 본부를 두고 있다.
미국 알래스카 사령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알래스카 사령부 방패
알래스카 사령부 방패
창설일1942년 11월 15일
현재현존
국가미국
군 종류합동
유형예하 통합전투사령부
역할알래스카 방어
규모알 수 없음
지휘 구조미국 북부 사령부
현재 사령관케이스 커닝햄 중장
부사령관조지프 E. 힐버트 소장
주둔지엘먼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
후원자알 수 없음
슬로건북쪽의 수호자
색상알 수 없음
행진곡알 수 없음
마스코트"빙키" 북극곰
전투알 수 없음
기념일조직의 날, 7월 14일
알래스카 사령부 - 육군 요소 - 어깨 소매 휘장
알래스카 사령부 - 육군 요소 어깨 소매 휘장
역사
이전 명칭알래스카 방위 사령부
해체1975년 6월 30일
재설립1989년 10월 1일
조직
구성 요소알래스카 공군, 알래스카 육군, 알래스카 해군
참고
웹사이트미국 북부 사령부

2. 역사

합동참모본부제2차 세계 대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군종 간의 합동성의 필요성을 느껴, 1947년 1월 1일 통합사령부 계획에 따라 알래스카 사령부(ALCOM)를 설립하였다.[2] 육군의 알래스카 육군(USARAL), 공군의 알래스카 항공사령부(AAC), 해군의 알래스카 영해대(Alaskan Sea Frontier영어)가 ALCOM의 산하조직으로 지정되었다. ALCOM은 알래스카주와 주변 해역의 방어, 그리고 1964년 알래스카 지진과 같은 재해 발생 시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하는 임무를 맡았다.[2]

ALCOM 창설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을 서부 알류샨 열도의 아투와 키스카에서 몰아내는 작전에서 지휘 통일의 부재로 작전이 방해받았던 교훈(알류샨 열도 전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2] 1956년 2월 1일에는 눈쌓인 산위에 서있는 북극곰이 그려진 앰블럼을 받았다.[15]

제럴드 포드 대통령과 제임스 R. 슐레진저 국방장관의 베트남 전쟁 이후 군축의 일환으로 1971년에 알래스카 해상 전선이 해체되었다.[3][2] 알류샨 열도 방어 책임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로 이관되어 알래스카 방어에 다시 지휘 통일의 부재를 초래했다. 1974년에 미국 육군 알래스카는 해체되었고, ALCOM도 1975년에 뒤따라 해체되었다.[3][2]

ALCOM을 대체하기 위해 합동 임무 부대-알래스카가 창설되었지만, 이 부대는 합참의장에 의해 전쟁이나 재해 발생 시 임시로 활성화되는 조직이었다. 분산된 지휘의 문제는 1989년 10월 1일에 재활성화된 "알래스카 사령부"가 미국 태평양 사령부의 하위 통합 사령부로서 알래스카 방어와 거기에 주둔하는 모든 부대에 대한 통제를 담당하면서 해결되었다.[4]

1971년부터 주월 미군베트남 전쟁 철수에 따라 군대 축소가 진행되면서 알래스카 주둔군 또한 영향을 받았다. 같은 해에 해군 알래스카 영해대가, 1974년에는 알래스카 육군이 해산되었다.[9][8] 뒤이어 1975년 6월 30일, 사령부를 해산하고, 다음 날 7월 1일에 합동태스크포스 알래스카(Joint Task Force Alaska (JTF-AK)영어)로 대채되었다.[2] 하지만, 대척없이 축소되었기 때문에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9년 7월 7일, 태평양 사령부 예하 통합전투사령부로서 재설립되었다.[4]

제럴드 포드 대통령과 제임스 R. 슐레진저 국방장관에 의한 베트남 전쟁 이후 군축의 일환으로 1971년에 알래스카 해군구가 폐지되었다.[3][2] 이후 알류샨 열도의 방위는 미국 태평양 사령부의 임무가 되었고, 해군과 육군, 공군 사이의 지휘 계통 통일성이 부족해졌다.

알류샨 열도 방어 책임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로 이관되어 알래스카 방어에 다시 지휘 통일의 부재를 초래했다. 미국 육군 알래스카는 1974년에 해체되었고, 알래스카 사령부(ALCOM)도 1975년에 뒤따라 해체되었다.

합동 임무 부대-알래스카는 ALCOM을 대체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합참의장에 의해 전쟁이나 재해 발생 시 임시로 활성화되는 조직이었다.

분산된 지휘의 문제는 1989년 10월 1일에 재활성화된 "알래스카 사령부"가 미국 태평양 사령부의 하위 통합 사령부로서 알래스카 방어와 거기에 주둔하는 모든 부대에 대한 통제를 담당하면서 해결되었다.[10] 이 새로운 사령부는 알래스카의 모든 군사력을 한 명의 사령관의 지휘 아래 두고 알래스카가 태평양에서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인식했다.

1989년 10월 1일, 미국 태평양 사령부의 하위 통합 사령부로서 알래스카 사령부(ALCOM)가 재설립되었다.[10] 이 새로운 사령부는 알래스카의 모든 군사력을 한 명의 사령관 지휘 아래 두고 알래스카가 태평양에서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인식했다. 알래스카 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알류샨 열도 전투에서 지휘 통일성 부재로 작전이 방해받았던 교훈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ALCOM은 알래스카와 주변 해역의 방어, 1964년 알래스카 지진과 같은 재해 발생 시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하는 임무를 맡았다. 알래스카 항공사령부는 1990년 8월 9일 제11공군으로 재편성되었다.[16][17]

제럴드 포드 대통령과 제임스 R. 슐레진저 국방장관의 베트남 전쟁 이후 군축의 일환으로 1971년에 알래스카 해상 전선이 해체되었다.[3][2] 알류샨 열도 방어 책임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로 이관되어 알래스카 방어에 다시 지휘 통일의 부재를 초래했다. 미국 육군 알래스카는 1974년에 해체되었고, ALCOM도 1975년에 뒤따라 해체되었다. ALCOM을 대체하기 위해 합동 임무 부대-알래스카가 창설되었으나, 전쟁이나 재해 발생 시 임시로 활성화되는 조직이었다.

2014년 10월 말, 알래스카 사령부의 관할 통제권이 태평양 사령부로부터 북부사령부로 넘어갔다.[11] 2022년 6월 6일, 미국 알래스카 육군제11공수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2. 1. 통합전투사령부의 설립 (1947~1975)

합동참모본부제2차 세계 대전의 경험을 바탕으로 군종 간의 합동성의 필요성을 느껴, 1947년 1월 1일 통합사령부 계획에 따라 알래스카 사령부(ALCOM)를 설립하였다.[2] 육군의 알래스카 육군(USARAL), 공군의 알래스카 항공사령부(AAC), 해군의 알래스카 영해대(Alaskan Sea Frontier영어)가 ALCOM의 산하조직으로 지정되었다. ALCOM은 알래스카주와 주변 해역의 방어, 그리고 1964년 알래스카 지진과 같은 재해 발생 시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하는 임무를 맡았다.[2]

ALCOM 창설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을 서부 알류샨 열도의 아투와 키스카에서 몰아내는 작전에서 지휘 통일의 부재로 작전이 방해받았던 교훈(알류샨 열도 전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2] 1956년 2월 1일에는 눈쌓인 산위에 서있는 북극곰이 그려진 앰블럼을 받았다.[15]

제럴드 포드 대통령과 제임스 R. 슐레진저 국방장관의 베트남 전쟁 이후 군축의 일환으로 1971년에 알래스카 해상 전선이 해체되었다.[3][2] 알류샨 열도 방어 책임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로 이관되어 알래스카 방어에 다시 지휘 통일의 부재를 초래했다. 1974년에 미국 육군 알래스카는 해체되었고, ALCOM도 1975년에 뒤따라 해체되었다.[3][2]

ALCOM을 대체하기 위해 합동 임무 부대-알래스카가 창설되었지만, 이 부대는 합참의장에 의해 전쟁이나 재해 발생 시 임시로 활성화되는 조직이었다. 분산된 지휘의 문제는 1989년 10월 1일에 재활성화된 "알래스카 사령부"가 미국 태평양 사령부의 하위 통합 사령부로서 알래스카 방어와 거기에 주둔하는 모든 부대에 대한 통제를 담당하면서 해결되었다.[4]

2. 2. 합동태스크포스 알래스카 (1975~1989)

1971년부터 주월 미군베트남 전쟁 철수에 따라 군대 축소가 진행되면서 알래스카 주둔군 또한 영향을 받았다. 같은 해에 해군 알래스카 영해대가, 1974년에는 알래스카 육군이 해산되었다.[9][8] 뒤이어 1975년 6월 30일, 사령부를 해산하고, 다음 날 7월 1일에 합동태스크포스 알래스카(Joint Task Force Alaska (JTF-AK)영어)로 대채되었다.[2] 하지만, 대척없이 축소되었기 때문에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9년 7월 7일, 태평양 사령부 예하 통합전투사령부로서 재설립되었다.[4]

제럴드 포드 대통령과 제임스 R. 슐레진저 국방장관에 의한 베트남 전쟁 이후 군축의 일환으로 1971년에 알래스카 해군구가 폐지되었다.[3][2] 이후 알류샨 열도의 방위는 미국 태평양 사령부의 임무가 되었고, 해군과 육군, 공군 사이의 지휘 계통 통일성이 부족해졌다.

알류샨 열도 방어 책임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로 이관되어 알래스카 방어에 다시 지휘 통일의 부재를 초래했다. 미국 육군 알래스카는 1974년에 해체되었고, 알래스카 사령부(ALCOM)도 1975년에 뒤따라 해체되었다.

합동 임무 부대-알래스카는 ALCOM을 대체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합참의장에 의해 전쟁이나 재해 발생 시 임시로 활성화되는 조직이었다.

분산된 지휘의 문제는 1989년 10월 1일에 재활성화된 "알래스카 사령부"가 미국 태평양 사령부의 하위 통합 사령부로서 알래스카 방어와 거기에 주둔하는 모든 부대에 대한 통제를 담당하면서 해결되었다.[10] 이 새로운 사령부는 알래스카의 모든 군사력을 한 명의 사령관의 지휘 아래 두고 알래스카가 태평양에서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인식했다.

2. 3. 알래스카 사령부 재설립 (1989~현재)

1989년 10월 1일, 미국 태평양 사령부의 하위 통합 사령부로서 알래스카 사령부(ALCOM)가 재설립되었다.[10] 이 새로운 사령부는 알래스카의 모든 군사력을 한 명의 사령관 지휘 아래 두고 알래스카가 태평양에서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인식했다. 알래스카 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알류샨 열도 전투에서 지휘 통일성 부재로 작전이 방해받았던 교훈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ALCOM은 알래스카와 주변 해역의 방어, 1964년 알래스카 지진과 같은 재해 발생 시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하는 임무를 맡았다. 알래스카 항공사령부는 1990년 8월 9일 제11공군으로 재편성되었다.[16][17]

제럴드 포드 대통령과 제임스 R. 슐레진저 국방장관의 베트남 전쟁 이후 군축의 일환으로 1971년에 알래스카 해상 전선이 해체되었다.[3][2] 알류샨 열도 방어 책임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로 이관되어 알래스카 방어에 다시 지휘 통일의 부재를 초래했다. 미국 육군 알래스카는 1974년에 해체되었고, ALCOM도 1975년에 뒤따라 해체되었다. ALCOM을 대체하기 위해 합동 임무 부대-알래스카가 창설되었으나, 전쟁이나 재해 발생 시 임시로 활성화되는 조직이었다.

2014년 10월 말, 알래스카 사령부의 관할 통제권이 태평양 사령부로부터 북부사령부로 넘어갔다.[11] 2022년 6월 6일, 미국 알래스카 육군제11공수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3. 구성 부대


  • 제11공수사단은 이전에는 미국 육군 알래스카(USARAK)로 알려졌으며, I 군단의 예하 부대로, 조인트베이스 루이스-맥코드에 본부를 두고 있다.[5] 이 사단의 임무는 비상 작전, 미국 태평양 사령부 목표 및 미국의 국익을 지원하기 위해 지시된 대로 북극 및 태평양 전역에 신속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다. 11 공수사단은 두 개의 여단 전투단, 항공 임무 부대, 알래스카 주둔 미국 육군, 부사관 학교 및 예비군 부대를 지휘한다.[5] 주 전역에 위치한 예비군 부대에는 주 방위군 지역 지원 그룹(RSG) 및 항공 대대, 미국 육군 예비군 공병 중대(B-411, 대대 본부는 하와이에 위치)[6] 및 예비 병원이 포함된다.[5] 한편, 2022년 여름에 알래스카 주둔 미 육군은 제11공수사단으로 재편된다.[14]

  • 제11공군은 알래스카에서 제공권을 유지하고 알래스카에 주둔한 지상군을 지원하며, 통합 사령관이 미국의 국가 주권을 보존하고 해외에서 미국의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투입할 수 있는 전투 준비 태세를 갖춘 공군을 제공한다. 제11공군 내 가장 큰 예하 부대는 엘멘도프에 주둔한 제3비행단과 페어뱅스 인근 에일슨 공군기지에 주둔한 제354전투비행단이다. 알래스카에서의 군사 공수 수송은 엘멘도프에 주둔한 제3비행단의 제517공수비행대대가 C-17 글로브마스터 III 및 C-12 휴론 항공기를 통해 제공한다. 제962공중통제비행대대는 E-3 센트리를 운용하며, 이 항공기는 미국 영공에 진입하는 미확인 항공기를 요격하고 식별하도록 아군 전투기를 지휘할 수 있으며, 적대 행위 중 생존 가능한 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 플랫폼을 제공하여 기존의 지상 기반 레이더 시스템을 보강한다. 제11공군의 원격 기지는 엘멘도프의 PACAF 지역 지원 센터(PRSC)에서 운영한다. 이 기지에는 셰미야 섬의 이에어릭슨 기지, 그리고 알래스카 전역에 있는 18개의 북방 경계 시스템 공군 레이더 기지가 포함된다. 동원 시, 주의 공군 방위군은 태평양 공군 및 알래스카 사령부의 필수적인 부분이 된다. 알래스카 공군 방위군은 KC-135 스트라토탱커 (제168공중급유비행단), C-130 허큘리스 및 공중 구조 HH-60 페이브호크 헬리콥터 (제176비행단)를 운용한다.

  • 알래스카에는 주요 해군 기지가 없다. 미국 해안 경비대 제17 해안 경비대 사령관이 미 해군 알래스카 부대를 지휘하며, 주에서 평시 및 전시 해군 임무를 모두 수행한다. 주요 평시 임무에는 수색 및 구조, 영해 법 집행, 항해 해상 보조 시설 유지 관리 및 해상 안전 보장이 포함된다. 해군 알래스카 부대는 제91기동부대로 지정되어 있다. 제17 해안 경비대 부대는 페테르부르크, 주노, 케치칸, 호머, 세워드, 톡, 앵커리지, 케나이, 발데즈, 놈, 세인트폴에 위치해 있으며, 코디액, 시트카, 코르도바 (계절별)에 3개의 항공 기지가 있다.

3. 1. 제11공군

제11공군은 알래스카에서 제공권을 유지하고 알래스카에 주둔한 지상군을 지원하며, 통합 사령관이 미국의 국가 주권을 보존하고 해외에서 미국의 이익을 방어하기 위해 투입할 수 있는 전투 준비 태세를 갖춘 공군을 제공한다. 제11공군 내 가장 큰 예하 부대는 엘멘도프에 주둔한 제3비행단과 페어뱅스 인근 에일슨 공군기지에 주둔한 제354전투비행단이다.

제3비행단은 알래스카에서 대공 방어와 제공권을 제공하며, 미국 태평양 사령부 관할 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상 상황 시 태평양 공군을 지원한다. 제3비행단은 F-22 랩터 제공 전투기를 장비하고 있다. 이 비행단의 랩터 전투기는 북미 항공 우주 방위 사령부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연중무휴 24시간 공중 방어 경계 태세를 유지한다. 제354전투비행단은 F-16 파이팅 팔콘을 사용하여 제11공수사단의 근접 항공 지원 및 전장 항공 차단 요구 사항과 태평양 공군의 기동 약속을 충족한다.

알래스카에서의 군사 공수 수송은 엘멘도프에 주둔한 제3비행단의 제517공수비행대대가 C-17 글로브마스터 III 및 C-12 휴론 항공기를 통해 제공한다. 제962공중통제비행대대는 E-3 센트리를 운용하며, 이 항공기는 미국 영공에 진입하는 미확인 항공기를 요격하고 식별하도록 아군 전투기를 지휘할 수 있으며, 적대 행위 중 생존 가능한 공중 조기 경보 및 통제 플랫폼을 제공하여 기존의 지상 기반 레이더 시스템을 보강한다.

제11공군의 원격 기지는 엘멘도프의 PACAF 지역 지원 센터(PRSC)에서 운영한다. 이 기지에는 셰미야 섬의 이에어릭슨 기지, 그리고 알래스카 전역에 있는 18개의 북방 경계 시스템 공군 레이더 기지가 포함된다.

동원 시, 주의 공군 방위군은 태평양 공군 및 알래스카 사령부의 필수적인 부분이 된다. 알래스카 공군 방위군은 KC-135 스트라토탱커 (제168공중급유비행단), C-130 허큘리스 및 공중 구조 HH-60 페이브호크 헬리콥터 (제176비행단)를 운용한다.

3. 2. 제11공수사단

제11공수사단은 이전에는 미국 육군 알래스카(USARAK)로 알려졌으며, I 군단의 예하 부대로, 조인트베이스 루이스-맥코드에 본부를 두고 있다.[5] 이 사단의 임무는 비상 작전, 미국 태평양 사령부 목표 및 미국의 국익을 지원하기 위해 지시된 대로 북극 및 태평양 전역에 신속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다.

11 공수사단은 두 개의 여단 전투단, 항공 임무 부대, 알래스카 주둔 미국 육군, 부사관 학교 및 예비군 부대를 지휘한다.[5] 주둔 기관은 사단의 각 기지에 위치하며, 여기에는 미국 육군 의료 활동-알래스카, 미국 육군 치과 활동-알래스카, 신호 대대 및 토지 관리국이 포함된다.[5] 주 전역에 위치한 예비군 부대에는 주 방위군 지역 지원 그룹(RSG) 및 항공 대대, 미국 육군 예비군 공병 중대(B-411, 대대 본부는 하와이에 위치)[6] 및 예비 병원이 포함된다.[5]

미국 육군 알래스카(USARAK)은 하와이주 포트 샤프터에 위치한 미국 태평양 육군 산하 부대이다.[12] 알래스카 주둔 미 육군은 미국 인도 태평양 사령부의 목표를 달성하고 미국의 국익을 지원하기 위해 태평양 지역 및 기타 지역에 신속하게 전개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12]

알래스카 주둔 미 육군은 2개의 여단 전투단, 항공 임무 부대, 주둔지, 테넌트 조직, 부사관 학교, 예비군 부대를 지휘하고 있다.[12] 테넌트 조직은 알래스카 주둔 미 육군의 각 주둔지에 설치되어 있으며, 미국 육군 의무국 알래스카 지국, 미국 육군 치의병력 알래스카 지국, 통신 대대, 토지 관리국이 설치되어 있다.[12] 주 내 각지에 있는 예비군 부대와 알래스카 육군 주 방위군에는 주 방위군 지역 지원군(RSG), 항공 대대, 제411공병대대의 예비 공병 중대(대대 본부는 하와이주[13])와 육군 예비역 병원이 포함되어 있다.[12]

한편, 2022년 여름에 알래스카 주둔 미 육군은 제11공수사단으로 재편된다.[14]

3. 3. 미국 해군 알래스카 부대

알래스카에는 주요 해군 기지가 없다. 미국 해안 경비대 제17 해안 경비대 사령관이 미 해군 알래스카 부대를 지휘하며, 주에서 평시 및 전시 해군 임무를 모두 수행한다. 주요 평시 임무에는 수색 및 구조, 영해 법 집행, 항해 해상 보조 시설 유지 관리 및 해상 안전 보장이 포함된다. 해군 알래스카 부대는 제91기동부대로 지정되어 있다.

제17 해안 경비대 부대는 페테르부르크, 주노, 케치칸, 호머, 세워드, 톡, 앵커리지, 케나이, 발데즈, 놈, 세인트폴에 위치해 있으며, 코디액, 시트카, 코르도바 (계절별)에 3개의 항공 기지가 있다. 이 구역에서는 텐더, 순찰정 및 중형 내구력 절단기를 포함한 다양한 선박을 사용한다. 전시에는 해안 경비대 부대가 알래스카 해안선 53,000km의 방어를 위해 알래스카 해군의 대부분의 병력을 제공한다.

예산 제약과 과거 적대국과의 관계 개선으로 인해, 아닥 해군 항공 기지는 1997년 3월에 폐쇄되었다. 비활성화 전, 아닥의 임무는 대잠수함 작전을 위한 항공 작전을 지원하는 것에서부터 통과하는 항공기 및 선박에 대한 단기 지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환되었다. 섬의 인구는 약 500명의 비동반 인력 거주자로 감소했는데, 이는 한때 5,000명에 달했던 현역 군인 및 가족 구성원 수에서 감소한 것이다.

4. 프로그램

노턴 엣지 연습은 2년 주기로 시행되는 합동 훈련이다.

4. 1. 노턴 엣지 연습

노턴 엣지 연습은 2년 주기로 시행되는 합동 훈련이다.

5. 역대 사령관

알래스카 사령부, 총사령관 (Commanders-in Chief, Alaskan Command영어)[18]
#사진성명취임일이임일
1
60px
소장 하워드 A. 크레이그/Howard A. Craig영어1947년 1월1947년 10월
2
60px
중장 네이션 F. 트위닝/Nathan F. Twining영어1947년 10월1950년 7월
3
60px
중장 윌리엄 E. 케프너/William E. Kepner영어1950년 7월1953년 3월
4
60px
중장 조지프 H. 엣킨슨/Joseph H. Atkinson영어1953년 3월1956년 9월
5
60px
중장 프랭크 A. 암스트롱, Jr./Frank A. Armstrong, Jr.영어956년 9월1961년 7월
660px중장 조지 W. 문디/George W. Mundy영어1961년 8월1963년 7월
7
60px
대장 레이몬드 J. 리브스/Raymond J. Reeves영어1963년 8월1966년 7월
860px중장 글렌 R. 버차드/Glen R. Birchard영어1966년 7월1967년 6월
960px소장 로버트 A. 브릿와이저/Robert A. Breitweiser영어1967년 6월1969년 7월
1060px중장 로버트 G. 루에그/Robert G. Ruegg영어1969년 8월1972년 8월
1160px중장 제임스 C. 세릴/James C. Sherrill영어1972년 8월1974년 8월
12
60px
중장 제임스 E. 힐/James E. Hill영어1974년 8월1975년 7월



JTF 알래스카, 사령관 (Commanders, Joint Task Force Alaska영어)[18]
#사진성명취임일이임일
1중장 제임스 E. 힐/James E. Hill영어1975년 7월1976년 10월
2
60px
중장 마리온 L. 보스웰/Marion L. Boswell영어1976년 10월1978년 6월
3
60px
중장 윈필드 W. 스코트, Jr./Winfield W. Scott, Jr.영어1978 6월1981년 3월
4
60px
중장 린우드 E. 클라크/Lynwood E. Clark영어1981년 3월1983년 8월
560px중장 브루스 K. 브라운/Bruce K. Brown영어1983년 8월1985년 9월
6
60px
중장 데이비드 L. 니콜스/David L. Nichols영어1985년 9월1988년 5월
7
60px
중장 토머스 G. 맥클러니/Thomas G. McInerney영어1988년 5월1989년 7월



알래스카 사령부, 사령관 (Commanders, Alaskan Command영어)[18]
#사진성명취임일이임일
160px중장 토머스 G. 맥클러니/Thomas G. McInerney영어1989년 7월1992년 7월
2
60px
중장 조지프 W. 랄스턴/Joseph W. Ralston영어1992년 7월1994년 7월
360px중장 로렌스 E. 보에세/Lawrence E. Boese영어1994년 7월1996년 8월
4
60px
중장 패트릭 K. 겜블/Patrick K. Gamble영어1996년 8월1997년 12월
5
60px
중장 데이비트 J. 맥클라우드/David J. McCloud영어1997년 12월1998년 7월
660px중장 토머스 R. 케이스/Thomas R. Case영어1998년 10월2000년 9월
7
60px
중장노턴 A. 슈워츠/Norton A. Schwartz영어2000년 9월2002년 9월
8
60px
중장 캐롤 H. 챈들러/Carrol H. Chandler영어2002년 9월2005년 10월
9
60px
중장 더글러스 M. 프라이저/Douglas M. Fraser영어2005년 10월2008년 5월
10
60px
중장 다나 T. 앗킨스/Dana T. Atkins영어2008년 5월2011년 11월
11
60px
중장 스테판 L. 후그/Stephen L. Hoog영어2011년 11월2013년 8월
12
|60px]]
중장 러셀 J. 핸디/Russell J. Handy영어2013년 8월2016년 8월
13
|60px]]
중장 케네스 윌즈바흐/Kenneth S. Wilsbach영어2016년 8월2018년 8월
14
|60px]]
중장 토머스 A. 부시에/Thomas A. Bussiere영어2018년 8월임기중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States Northern Command http://www.northcom.[...] 2017-06-00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ified Command Plan 1946-2012 https://www.jcs.mil/[...] 2013-00-00
[3] 서적 Grey wars : a contemporary history of U.S. special operations https://www.worldcat[...] 2021-00-00
[4] 웹사이트 Department of the Army Historical Summary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the Army 2020-06-29
[5] 웹사이트 U.S Army Alaska http://www.usarak.ar[...] 2010-04-28
[6] 웹사이트 411engineers.us http://www.411engine[...] 2008-03-22
[7] 웹사이트 United States Northern Command http://www.northcom.[...] 2017-06-00
[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ified Command Plan 1946-2012 https://www.jcs.mil/[...] 2013-00-00
[9] 서적 Grey wars : a contemporary history of U.S. special operations https://www.worldcat[...] 2021-00-00
[10] 웹사이트 Department of the Army Historical Summary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the Army 2020-06-29
[11] Alaskan Command Alaskan Command http://www.jber.af.m[...]
[12] 웹사이트 U.S Army Alaska http://www.usarak.ar[...] 2010-04-28
[1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411engine[...] 2008-03-22
[14] 웹사이트 Army Creating Second Paratrooper Division as Service Forges New Identity for Arctic Troops https://www.military[...] Military.com 2022-05-05
[15] 웹인용 Factsheets : Alaskan Command Lineage and Emblem http://www.jber.af.m[...] 엘먼도프-리처드슨 합동 기지 공사 사무소 2013-09-27
[16] 뉴스 NORTHCOM assumes oversight of Alaskan Command http://www.stripes.c[...] 2014-10-29
[17] 뉴스 Alaskan Command joins U.S. Northern Command http://www.af.mil/Ne[...] 2014-11-03
[18] 웹인용 Fact Sheet: Commanders, Alaskan Command https://www.jber.jb.[...] JBER Public Affairs 2013-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