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임스 R. 슐레진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R. 슐레진저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가로, 1973년부터 1975년까지 국방부 장관, 1973년 중앙정보국(CIA) 국장, 1977년부터 1979년까지 초대 에너지부 장관을 역임했다. 그는 닉슨 행정부에서 예산국 부국장보,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랜드 연구소에서 전략 연구 소장으로 근무하며 국가 안보 분야에서 경력을 쌓았다. 슐레진저는 핵 전략에 대한 연구와 유연 대응 핵 전략 개발에 기여했으며, 국방 예산 증액을 주장했으나, 예산 문제와 외교 정책 갈등으로 인해 국방부 장관에서 해임되었다. 이후 에너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14년 폐렴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럴드 포드 행정부의 각료 - 도널드 럼즈펠드
    도널드 럼즈펠드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사업가로, 포드와 부시 행정부에서 국방장관을 역임하며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이라크 전쟁을 지휘했고, '알려진 알려진 것들'이라는 발언과 아부 그라이브 교도소 포로 학대 사건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제럴드 포드 행정부의 각료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 미국의 에너지장관 - 스티븐 추
    스티븐 추는 레이저 기술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에너지부 장관을 지낸 정치인으로서,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소장과 스탠퍼드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를 역임하며 기후 변화 해결을 위해 재생 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 개발을 강조했다.
  • 미국의 에너지장관 - 빌 리처드슨
    빌 리처드슨은 1947년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나 뉴멕시코 주지사, 주 유엔 미국 대사, 에너지부 장관을 역임하고 북한과의 관계 개선에 힘쓰다 2023년에 사망한 미국 정치인이다.
  • 지미 카터 행정부의 각료 - 에드먼드 머스키
    폴란드계 이민자 출신으로 메인 주지사와 연방 상원의원을 지낸 에드먼드 머스키는 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서 환경 보호와 사회 정의를 옹호했으며, 지미 카터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역임했고, 상원에서는 환경 문제에 대한 기여로 "미스터 클린"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지미 카터 행정부의 각료 - 해럴드 브라운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정책 결정가인 해럴드 브라운은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 연구소 소장,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지미 카터 행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을 지내며 핵 억지력 유지, NATO 강화, SALT II 조약 협상에 참여했다.
제임스 R. 슐레진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임스 R. 슐레진저 공식 국방부 사진
공식 사진
직책
초대 에너지부 장관대통령: 지미 카터
임기 시작: 1977년 8월 9일
임기 종료: 1979년 8월 23일
전임: 존 F. 오리어리(FEA)
후임: 찰스 던컨 주니어
제12대 국방부 장관대통령: 리처드 닉슨, 제럴드 포드
임기 시작: 1973년 7월 2일
임기 종료: 1975년 11월 19일
전임: 엘리엇 리처드슨
후임: 도널드 럼즈펠드
제9대 중앙정보국(CIA) 국장대통령: 리처드 닉슨
부국장: 버논 A. 월터스
임기 시작: 1973년 2월 2일
임기 종료: 1973년 7월 2일
전임: 리처드 헬름스
후임: 버논 A. 월터스(대행)
원자력위원회 위원장대통령: 리처드 닉슨
임기 시작: 1971년 8월 17일
임기 종료: 1973년 1월 26일
전임: 글렌 T. 시보그
후임: 딕시 리 레이
개인 정보
본명제임스 로드니 슐레진저 (James Rodney Schlesinger)
출생일1929년 2월 15일
출생지뉴욕 시, 뉴욕 주, 미국
사망일2014년 3월 27일
사망지볼티모어, 메릴랜드 주, 미국
정당공화당
배우자레이첼 라인 멜린저 (1954년 결혼, 1995년 사별)
자녀8명
학력하버드 대학교 (문학사, 문학 석사, 철학 박사)
안장지펀클리프 묘지, 스프링필드, 오하이오, 미국

2. 어린 시절과 교육

슐레진저는 뉴욕시에서 태어나 호레이스 맨 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5년부터 1963년까지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가르쳤으며, 1960년에는 ''국가 안보의 정치 경제학''(The Political Economy of National Security영어)을 출간했다. 1963년에 랜드연구소로 옮겨 1969년까지 전략 연구 부장으로 재직했다.

2. 1. 출생과 가계

제임스 로드니 슐레진저는 뉴욕 시에서 유대인 부모인 리아 릴리안(née 로겐)과 율리우스 슐레진저의 아들로 태어났다.[3] 그의 어머니는 당시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리투아니아 출신 이민자였고, 아버지 가족은 오스트리아 출신이었다. 20대 초반에 루터교로 개종했다. 호레이스 만 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경제학 학사(1950), 석사(1952), 박사 학위(1956)를 받았다.

2. 2. 학력

연도학력
1946년 ~ 1950년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학사)
1950년 ~ 1952년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1952년 ~ 1955년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3][4][29]


3. 초기 경력

1929년 2월 15일, 뉴욕주 뉴욕에서 유대계[29] 가정에서 태어났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1950년), 석사(1952년), 박사 학위(1956년)를 받았다.

3. 1. 대학교수 및 연구 활동

슐레진저는 뉴욕시에서 러시아계 유대인 이민자였던 어머니 레아 릴리안과 오스트리아계 유대인이었던 아버지 줄리어스 슐레진저 사이에서 태어났다.[29] 호레이스 맨 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경제학 학사(1950년), 석사(1952년), 박사 학위(1956년)를 받았다. 1955년부터 1963년까지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가르쳤으며, 1960년에는 『국가안보의 정치경제학(영어:The Political Economy of National Security)』을 출간했다. 1963년에는 싱크탱크인 랜드 연구소로 옮겨 1969년까지 전략 연구 부장으로 재직했다.

4. 닉슨 행정부

1969년 슐레진저는 미국 행정관리예산처 차관보로 닉슨 행정부에 합류하여[5] 국방 문제에 주로 시간을 할애했다. 1971년 닉슨 대통령은 슐레진저를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했다. 그는 약 1년 반 동안 위원장 직책을 수행하면서 기관의 조직을 확장하고 운영상의 변화를 개선하는 등 원자력 위원회의 변화를 이끌었다.

4. 1. 행정예산처 부국장

1969년, 슐레진저는 예산국의 부국장보로 닉슨 행정부에 합류하여[5] 국방 문제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했다. 부국장 재임 기간 동안 그는 국방 문제에 많은 시간을 투자했다.

4. 2. 원자력위원회 위원장

1969년 슐레진저는 예산국 부국장보로 닉슨 행정부에 합류하여[5] 국방 문제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했다. 1971년 닉슨 대통령은 슐레진저를 원자력 위원회(AEC) 위원장으로 임명했다. 그는 약 1년 반 동안 이 직책을 수행하면서 AEC의 규제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범위한 조직 및 관리 변화를 도입했다.[5]

4. 2. 1. 아무치토카 섬 핵실험

1971년 미국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된 슐레진저는 같은 해 11월 6일 알래스카 주 아무치토카 섬에서 실시된 역대 최대 규모의 지하 핵실험 (카니킨)에 입회했다.[1] 미국 국내에서도 폭발에 따른 환경 영향 등이 우려되었던 핵실험이었지만, 슐레진저는 현지에 아내와 두 딸을 동반하여 안전성을 홍보했다.[1]

5. 중앙정보국(CIA) 국장 (1973.2 ~ 1973.7)

리처드 헬름스가 워터게이트 사건 조사 방해를 거부하여 해임된 후, 1973년 2월 2일 슐레진저는 중앙정보국(CIA) 국장에 임명되었다.[36] 그는 첩보 활동 경험은 전무했지만, 예산국 차관보 시절 정보 공동체 조직 개편에 힘쓴 경험이 있었다.[31]

슐레진저는 취임 후 "나는 리처드 닉슨을 죄어 짜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여기에 왔다"고 말했다고 한다.[32] 그는 CIA 직원 수를 7% 감축하고, '가족의 보석'이라는 비밀 활동 보고서를 작성하게 하는 등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36][7] 이러한 행보는 닉슨에게 더욱 복종적인 기관을 만들려는 시도로 여겨져 직원들 사이에서 인기가 없었다.[7] 그는 자신의 초상화 훼손을 우려하여 CIA 본부에 CCTV 카메라를 설치하기도 했다.[7] 1973년 7월 2일까지 CIA 국장직을 수행했으며, 후임은 윌리엄 콜비였다.[6][7]

5. 1. 임명 배경

리처드 헬름스는 워터게이트 사건 조사를 차단하라는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지시에 거부하여 해임되었다.[36] 1973년 2월 2일, 제임스 R. 슐레진저는 헬름스의 후임으로 중앙정보국장(CIA 국장)에 취임했다.[31] 그는 경제학자였으며, 첩보 활동 실무 경험은 전혀 없었지만, 예산국 차관보 시절 미국의 정보 공동체 조직 개편 등에 힘썼기에 그 수완을 기대받았다.[31]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슐레진저가 국장으로 취임하고 나서 처음 한 말은 "나는 리처드 닉슨을 죄어 짜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여기에 왔다."였다고 한다.[32]

5. 2. 재임 기간

1973년 2월 2일, 슐레진저는 리처드 헬름스의 후임으로 중앙정보국장(CIA 국장)에 임명되었다.[36] 헬름스는 워터게이트 사건 조사를 방해하라는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지시를 거부하여 해임되었다.[36] 슐레진저는 CIA 국장 임명 전까지 정보 분야 경험이 전무했다.[36] 그럼에도 불구하고 5개월의 재직 기간 동안 전체 직원의 일부를 감축했다.[36] 또한 1953년부터 1972년까지 요원들의 비밀 활동을 정리한 '가족의 보석'이라는 암호명으로 불렸던 문서를 작성하게 했다.[36]

슐레진저는 1973년 2월 2일부터 1973년 7월 2일까지 CIA 국장을 역임했다.[6][7] 그의 후임은 윌리엄 콜비였다.[6][7] 그는 CIA 직원들 사이에서 인기가 없었는데, 이는 그가 CIA 직원 수를 7% 감축했고, 리처드 닉슨 대통령에게 충성을 다하며 닉슨에게 더욱 복종적인 기관을 만들려 한 인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7] 그는 버지니아 랭글리에 위치한 CIA 본부에서 자신의 공식 초상화 근처에 CCTV 카메라를 설치했는데, 이는 불만을 품은 직원들이 초상화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7]

슐레진저는 경제학자였으며, 첩보 활동의 실무 경험은 전혀 없었지만, 예산국 차관보 시절에 미국의 정보 공동체의 조직 개편 등에 힘썼기에 그 수완을 기대받았다.[31]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슐레진저가 국장으로 취임하고 나서 처음 한 말은 "나는 리처드 닉슨을 죄어 짜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여기에 왔다."였다고 한다.[32] 원자력 위원회와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조직의 인원 변경을 시도했고, 상당한 인원 삭감과 조직 개편을 단행하여 반발을 샀다.[32] 경비국은 국내에 걸려있는 초상화에 장난 방지를 위한 감시 텔레비전 카메라를 설치했다.[32]

6. 국방장관 (1973–1975)

1973년 7월 2일, 44세의 젊은 나이로 중앙정보국(CIA)을 떠나 제12대 미국 국방 장관에 취임한 슐레진저는[1] 대학교수, 랜드 연구소 연구원 및 세 개의 정부 기관 근무 경력을 통해 국가 안보 문제에 대한 인상적인 이력을 갖추고 있었다.[1]

국방부 장관 제임스 슐레진저, 합동참모본부 의장 조지 S. 브라운 대장, 국방부 차관 빌 클레멘츠, 공군 참모총장 데이비드 C. 존스 대장이 1975년 1월 백악관 잔디밭에 함께 있다.


그는 재임 기간 동안 징병 기피자 사면에 반대하고, 더 정교한 핵무기 시스템 개발을 요구했다. 또한 A-10 및 경전투기(후의 F-16 전투기)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했으며, 두 기종은 후에 정식 채택되었다. 미국 국방부에 종합 평가국을 창설하고, 랜드 연구소 시절 부하인 앤드루 마셜을 국장으로 발탁했다.

소련에 대한 강경론자였던 슐레진저는 종종 키신저 국무장관과 대립했다.[34] 1975년 11월 제럴드 포드 대통령은 그의 "냉정하고, 종종 거만한 태도"를 이유로 그를 해임했다.[34]

6. 1. 임명

1973년 7월 2일, 44세의 나이로 중앙정보국(CIA)을 떠나 제12대 미국 국방 장관에 취임했다.[1] 대학교수, 랜드 연구소 연구원, 그리고 세 개의 정부 기관에서 근무한 경력을 통해 국가 안보 문제에 대한 인상적인 이력을 갖추게 되었다.[1]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정권 내에서 신뢰를 받아 미국 국방 장관으로 적임자로 여겨졌다.[2]

6. 2. 핵 전략

1971년 9월 리처드 닉슨과 슐레진저


슐레진저는 국방 장관 취임 직후 "강력한 국방 체제" 유지, 군사 균형 확보, 군인들의 존경과 위엄 보장, 국방 자원의 현명한 사용, 잠재적 적과의 경쟁 등을 목표로 제시했다. 특히 베트남 전쟁 이후 시대에 군의 사기와 위신을 회복하고, 전략 교리와 프로그램을 현대화하며, 연구 개발을 강화하고, 국방 예산을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했다.[8]

그는 전략을 분석하면서, 소련과의 핵 균형, 억제 개념의 변화에 주목했다. 슐레진저는 "억제는 방어를 대체할 수 없다. 효과적인 반격의 잠재력을 나타내는 방어 능력이 억제의 필수 조건"이라고 믿었다.[8]

슐레진저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재래식 능력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NATO가 전술 및 전략 핵무기에 의존하여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재래식 전력에 직접 대응할 필요가 없다는 기존 가정을 거부하고, 미소 간의 핵 균형이 이러한 입장을 부적절하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NATO가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대한 재래식 대응력을 갖출 수 없다는 주장을 거부하고, NATO 지도자들과 부담 분담 개념을 논의하며 미국의 불리한 국제 수지 불균형을 강조했다. 그는 장비 표준화와 NATO 정부의 국방비 지출 증액 등 NATO 전력의 질적 향상을 촉구했다.[8]

1973년 7월 2일, 44세의 나이로 제12대 미국 국방 장관에 취임했다.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정권 내에서 신뢰를 받아 국방 장관으로 적임자로 여겨졌다.

국방 장관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징병 기피자 사면에 반대하고, 더 정교한 핵무기 시스템 개발을 요구했다. 또한 A-10 및 경전투기(후의 F-16 전투기)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했으며, 두 기종은 후에 정식 채택되었다. 미국 국방부에 종합 평가국을 창설하고, 랜드 연구소 시절 부하인 앤드루 마셜을 국장으로 발탁했다.

6. 2. 1. 대응 공격 정책

슐레진저는 전략을 분석하면서, 특히 소련이 미국과 거의 핵 균형을 이루게 되면서 1950년대와 1960년대의 이론과 실제가 변화했고, 이 발전이 억제 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그는 "억제는 방어를 대체할 수 없다. 효과적인 반격의 잠재력을 나타내는 방어 능력이 억제의 필수 조건"이라고 믿었다.[8] 그는 적의 도시-산업 지역에 대한 대규모 핵 공격에 의존하는 확증 파괴 전략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품었다. 그는 신뢰할 수 있는 전략적 핵 억제는 다음과 같은 여러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생각했다.[8]

  • 소련과의 전력 효과 면에서 본질적인 균형을 유지
  • 미국의 인구 또는 경제 목표에 대한 강압적 또는 절망적인 공격을 억제하기 위해 적의 경제 기반을 상대로 보류하거나 목표로 할 수 있는 생존 가능한 전력을 유지
  • 추가적인 적의 공격을 억제하기 위해 신속 대응 전력을 구축
  • 미국이 가장 강력한 경쟁국과 동등하다는 것을 모든 국가에게 확신시키기에 충분한 범위의 능력을 구축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슐레진저는 기존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유연 대응 핵 전략을 개발했으며,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1974년 초에 이를 공개했다. 슐레진저는 미국은 핵 공격 시 "통제되지 않은 확전의 가능성을 제한"하고 광범위한 부수적 피해를 유발하지 않고 "의미 있는 목표를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의 확증 파괴 전력은 적이 미국의 도시를 공격하지 않기를 바라며 보류될 것이다. 슐레진저는 확증 파괴를 거부하면서 닉슨 대통령의 말을 인용했다. "핵 공격 시 대통령이 미국의 대량 학살이 뒤따를 것이 확실한 상황에서 적 민간인 대량 파괴 명령을 내리는 단 하나의 선택지만 남게 되는가?"[8]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슐레진저는 부분적인 대응 공격 정책으로 전환하여, ICBM 미사일 기지와 같은 소련의 군사 목표를 강조하고, 인구 밀집 지역에 대한 초기 공격을 피하며, 의도하지 않은 부수적 피해를 최소화했다. 그는 소련에 대한 불안정한 선제 공격 능력을 획득하려는 의도를 명시적으로 부인했다. 그러나 그는 "잠재적 적의 전략적 전력과 전반적으로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모두가 인식할 수 있는 규모와 구성을 가진 공격 능력을" 원했다.[8]

6. 3.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강화

제임스 R. 슐레진저는 미국 국방부 장관 재임 기간 동안 징병 기피자의 사면에 반대하고, 더 정교한 핵무기 시스템의 개발을 요구했다. 또한 A-10 및 경전투기(후의 F-16 전투기)의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했으며, 두 기종은 후에 정식 채택되었다. 미국 국방부에 종합 평가국을 창설하고, 랜드 연구소 시절의 부하인 앤드루 마셜을 국장으로 발탁했다.[1]

6. 4. 욤키푸르 전쟁과 키프로스 분쟁

슐레진저는 전략 이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졌지만, 취임 직후 발생한 일련의 위기 상황에 대처해야 했다. 1973년 10월에는 욤 키푸르 전쟁이, 1974년 7월에는 키프로스 분쟁이 발생했다.

6. 4. 1. 욤키푸르 전쟁

1973년 10월, 제임스 R. 슐레진저가 국방부 장관에 취임한 지 3개월 만에 아랍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여 욤 키푸르 전쟁이 시작되었다.[9] 전쟁 초기 이스라엘은 예상만큼 군사적으로 우위를 점하지 못했고, 소련이 일부 아랍 국가에 물자를 재보급하자, 이스라엘 정부는 핵무기 사용과 조립을 승인했다.[9]

이에 미국은 이스라엘에 물자를 공수하는 공개 작전을 시작했다.[9] 슐레진저는 직접적인 개입을 피하려는 미국의 초기 정책은 이스라엘의 빠른 승리를 예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예상보다 강력한 군사력에 직면하고 자체적인 재보급 계획을 충족할 수 없게 되자 미국이 그 짐을 떠맡았다.[9] 헨리 키신저에 따르면, 대통령의 권한으로 이스라엘에 필요한 장비를 재보급하고 국무부의 지연을 제거하라는 지시가 내려졌다.[10]

슐레진저는 국방부가 아랍 국가들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재보급 노력을 지연시켰다는 비난을 거부하며, 이 문제에 대해 헨리 키신저 국무장관과 심각한 의견 불일치가 있었다고 밝혔다.[8] 결국 교전 당사자들은 휴전에 동의했지만, 그 전에 소련이 아랍 측에 개입하겠다고 위협했고, 미국은 전 세계적으로 자국의 군대에 더 높은 수준의 경계를 선포했다.[8]

6. 4. 2. 키프로스 분쟁

1974년 7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동맹 내에서 키프로스 분쟁이 발생했다. 터키군이 소수 터키계 주민의 안전 부족을 이유로, 그리스 정부의 지원을 받은 키프로스 국가 방위군이 마카리오스 대주교를 전복시킨 후 키프로스를 침공했다.[8] 전투가 멈춘 후, 터키는 키프로스 북부와 섬의 약 40%를 점령했다. 터키의 군사적 행동은 미국에서 논란을 일으켰는데, 이는 그리스계 키프로스 지지자들의 항의와 로비, 그리고 터키군이 NATO 목적을 위해서만 제공된 미국산 군사 장비를 사용했기 때문이었다.[8]

슐레진저는 터키가 키프로스에서 정당한 NATO의 이익 범위를 넘어섰다고 생각하여, 미국이 터키에 대한 군사 원조 프로그램을 재검토해야 할 수도 있다고 제안했다. 이 시기에 제럴드 포드 대통령이 닉슨의 사임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결국 포드와 헨리 키신저 국무장관은 NATO의 가치 있는 동맹국으로서 터키에 대한 지속적인 군사 지원을 선호한다는 것을 두 번의 대통령 거부권 행사로 밝혔지만, 의회는 두 번의 거부권을 모두 무효화하고 1974년 12월에 군사 원조를 금지하여 5년 동안 지속된 무기 금수 조치를 시행했다.[8]

6. 5. 인도차이나 문제

국방 장관 제임스 슐레진저와 합참 의장 조지 S. 브라운 장군, 1974년 11월 펜타곤에서.


베트남 전쟁의 마지막 단계는 슐레진저의 재임 기간 동안 일어났으며, 이 시기에 남베트남 붕괴와 마야구에즈호 사건이 발생했다.

6. 5. 1. 남베트남 붕괴

베트남 전쟁의 마지막 단계는 슐레진저의 재임 기간 동안 일어났다. 비록 모든 미국 전투 부대가 1973년 봄에 남베트남을 떠났지만, 미국은 동남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 군사적 주둔을 유지했다. 일부 상원 의원들은 슐레진저를 비판했고, 그가 북베트남이 남베트남에 대한 대규모 공세를 시작할 경우 북베트남과 라오스에 대한 미국의 폭격을 재개할 것을 권고하겠다고 밝힌 후, 1973년 6월 인준 청문회에서 그에게 날카로운 질문을 던졌다. 그러나 북베트남이 1975년 봄 공세를 시작했을 때, 미국은 4월 말 북베트남군이 사이공 함락을 통해 남베트남을 완전히 붕괴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일이 거의 없었다. 슐레진저는 1975년 4월 29일 새벽에 헬리콥터를 이용한 마지막 미국 외교, 군사 및 민간인 요원의 사이공 철수를 발표했다.[8]

인도차이나 드라마에는 단 하나의 주목할 만한 사건만 남아 있었다. 1975년 5월 크메르 루즈 군대는 무장하지 않은 미국 등록 화물선 ''마야구에즈호''의 선원들을 태워 납치했다. 미국은 캄보디아 본토의 군사 시설과 연료 시설을 폭격했고, 해병대는 선원들을 구출하기 위해 헬리콥터를 타고 해안 섬에 상륙했다. 39명의 포로가 구출되었지만, 이 작전으로 41명의 미국 군인이 사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미국인들은 행정부의 단호한 조치를 찬성하는 것으로 보였다.[8]

6. 5. 2. 마야구에즈호 사건

1975년 5월 크메르 루즈 군대는 무장하지 않은 미국 등록 화물선 ''마야구에즈호''의 선원들을 납치했다. 미국은 캄보디아 본토의 군사 시설과 연료 시설을 폭격했고, 해병대는 선원들을 구출하기 위해 헬리콥터를 타고 해안 섬에 상륙했다. 39명의 포로가 구출되었지만, 이 작전으로 41명의 미국 군인이 사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미국인들은 행정부의 단호한 조치를 찬성하는 것으로 보였다.[8]

6. 6. 국방 예산

슐레진저는 국방 예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았으며, 국방 예산 삭감을 "자멸적인 게임", "전후 시대의 어리석음"이라며 비판했다. 그는 국방 예산이 실질적으로 1968 회계연도 이후 3분의 1이 감소했으며, 베트남 전쟁 이전인 1964 회계연도 예산보다 8분의 1이 적다고 지적했다. 장비, 소모품, 연구 개발 구매는 전시 최고치에서 45% 감소했고, 불변 가격으로 전전(戰前) 수준보다 약 100억달러 감소했다. 국방 예산은 국내총생산(GNP)의 약 6%로, 한국 전쟁 이전 이후 가장 낮은 비율이었다. 군 병력은 한국 전쟁 이전 이후 최저 수준이었고, 국방비 지출은 전체 국가 지출의 약 17%로, 1941년 진주만 공격 이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통계를 바탕으로 슐레진저는 지속적인 소련의 무기 개발에 경각심을 느껴 더 큰 국방부 예산을 옹호했다. 그러나 1975 회계연도에 의회는 861억달러의 총 할당액(TOA)을 제공했는데, 이는 1974 회계연도의 816억달러에 비해 증가한 것이다. 1976 회계연도에는 956억달러로 3.4% 증가했지만, 실질적으로는 1955 회계연도보다 약간 적었다.

6. 7. 해임

슐레진저는 더 많은 국방 예산을 원했고, 이 문제로 행정부, 의회와 갈등을 겪었으며, 헨리 키신저 국무장관과의 불화도 1975년 11월 포드 대통령이 그를 해임하는 원인이 되었다. 슐레진저의 업적에는 근접 항공 지원기인 A-10과 경량 F-16 전투기 개발이 포함되었다. 키신저는 전략 무기 제한 협상을 지지했지만, 슐레진저는 군비 통제 협정이 미국을 소련보다 불리하게 만들지 않기를 바랐다. 슐레진저가 일부 의회 지도자들을 비판하자 포드 대통령은 당황했고, 포드는 슐레진저보다 국방 예산에 대해 타협할 의향이 있었다. 1975년 11월 2일, 대통령은 슐레진저를 해임하고 다른 인사 조치도 취했다. 키신저는 국가 안보 담당 대통령 특별 보좌관 직을 잃었지만, 국무장관직은 유지했다. 슐레진저는 1975년 11월 19일에 사임했는데, 백악관과의 예산 갈등이 이유로 설명되었다.

슐레진저 해임의 주요 이유는 당시에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포드 대통령에 대한 불복종이었다. ''마야구에즈'' 사건 당시, 포드는 캄보디아에 대한 여러 보복 공격을 지시했다. 슐레진저는 포드에게 첫 번째 공격이 실행되었다고 말했지만, 포드는 나중에 슐레진저가 명령에 동의하지 않아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밥 우드워드의 1999년 저서 ''섀도''에 따르면, 포드는 이 사건을 그냥 넘겼지만, 슐레진저가 다른 문제로 더 불복종하자 그를 해고했다. 우드워드는 "미국은 처음으로 전쟁에서 졌다.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이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 동의할 수 없다는 것은 끔찍한 일이었다. [이것은] 공개되지 않은 군 지휘 계통의 붕괴는 아마도 포드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가장 심각한 스캔들이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슐레진저는 또한 가능한 한 많은 군용 항공기를 남베트남으로 보내라는 포드의 지시를 따르지 않았다. 슐레진저는 그렇게 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았고 항공기를 보내지 않았다. 우드워드는 포드가 아니었던 선출된 대통령이었다면 불복종을 결코 용납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의 재임 기간과 해임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슐레진저는 대부분 유능한 국방부 장관으로 평가받았다. 핵 전략에 대한 진지하고 통찰력 있는 사상가였던 그는 미국이 재래식 및 핵 전력에서 소련에 뒤처지지 않도록 노력했고 국방 정책 및 프로그램의 현대화에 힘썼다. 그는 군 지도부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는데, 더 많은 자원을 제공하고, 정기적으로 그들과 상의하며, 그들의 많은 견해를 공유했기 때문이다. 그는 솔직하게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었지만, 전임 국방부 장관인 멜빈 레이어드처럼 의원들과 개인적인 관계를 맺지 못했기 때문에 의회와의 관계는 종종 긴장되었다. 의원 대다수는 슐레진저의 전략 계획을 지지했지만, 그의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원 통제는 늦추지 않았다. 소련에 대한 강경론자였으며, 종종 키신저 국무장관과 대립했다.[34] 1975년 11월 제럴드 포드 대통령은 그의 "냉정하고, 종종 거만한 태도"를 이유로 그를 해임했다.

7. 에너지부 장관 (1977–1979)

에너지부 장관 재임 시절의 슐레진저


슐레진저는 1977년 8월부터 1979년 8월까지 지미 카터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초대 에너지부 장관을 역임했다. 에너지부 장관으로서 슐레진저는 부서 설립 직후 이산화탄소 영향 및 평가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연방 에너지 관리국 및 연방 전력 위원회와 같은 50개 이상의 기관의 에너지 권한 통합을 감독했다.[11] 1979년 7월, 카터는 내각 개편의 일환으로 그를 교체했다.[11]

7. 1. 임명

1977년 3월 23일 대통령 집무실에서 지미 카터 대통령과 함께 있는 에너지부 장관 제임스 슐레진저.


펜타곤을 떠난 후 슐레진저는 국가 안보 문제, 특히 소련의 위협과 미국이 적절한 방어 태세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강력하게 글을 쓰고 연설했다.[11] 1977년 1월 지미 카터가 대통령이 되자, 그는 공화당원인 슐레진저를 에너지 특별 고문[11]으로 임명했고, 이어서 1977년 10월 초대 에너지부 장관[11]으로 임명했다. 한 설명에 따르면 "슐레진저는 지미 카터 후보에게 그의 지성, 고위 경험... 그리고 대통령 토론에 맞춰 그의 옛 상관인 포드의 국방비 지출 변동에 관한 비밀로 깊은 인상을 심어주었다."[12]

7. 2. 재임 기간 및 해임



국방부를 떠난 후 슐레진저는 국가 안보 문제, 특히 소련의 위협과 미국이 적절한 방어 태세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강력하게 글을 쓰고 연설했다.[11] 1977년 1월 지미 카터가 대통령이 되자, 공화당원인 슐레진저를 에너지 특별 고문으로 임명했고,[11] 이어서 1977년 10월 초대 에너지부 장관으로 임명했다.[11] 한 설명에 따르면 "슐레진저는 지미 카터 후보에게 그의 지성, 고위 경험... 그리고 대통령 토론에 맞춰 그의 옛 상관인 포드의 국방비 지출 변동에 관한 비밀로 깊은 인상을 심어주었다."[12]

에너지부 장관으로서 슐레진저는 1977년 부서 설립 직후 부서의 이산화탄소 영향 및 평가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또한 연방 에너지 관리국 및 연방 전력 위원회와 같은 50개 이상의 기관의 에너지 권한 통합을 감독했다.[11] 1979년 7월, 카터는 더 광범위한 내각 개편의 일환으로 그를 교체했다.[11] 언론인 폴 글래스트리스에 따르면 "카터는 1979년 슐레진저를 해고했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제럴드 포드가 그랬던 것처럼, 그가 자신과 의견이 다른 하찮은 사람들에게 참을 수 없을 정도로 거만하고 참을성이 없었기 때문에 의회 대처에 미숙했기 때문이다."[12]

8. 퇴임 이후 활동

2004년 국방부에서 독립 패널 의장 자격으로 있는 슐레진저


슐레진저는 지미 카터 대통령 재임 기간인 1977년 8월부터 1979년 8월까지 초대 미국 에너지부 장관을 역임했다.[35] 에너지부 장관 퇴임 이후에는 글쓰기와 강연 활동을 재개했으며, 여러 기관에서 자문 활동을 했다. 2014년 3월 27일 폐렴 합병증으로 85세의 나이에 사망했다.[35]

8. 1. 정부 자문 활동

에너지부를 떠난 후 슐레진저는 글쓰기와 강연 활동을 재개했으며, 여기에는 1994년 올드 도미니언 대학교의 국제 관계에 관한 왈도 가문 강연에서 한 강연이 포함된다.[14] 그는 뉴욕 시(New York City)의 리먼 브라더스, 쿤, 로브 Inc.](Lehman Brothers, Kuhn, Loeb Inc.)]의 선임 고문으로 고용되었다. 그는

8. 2. 핵무기 관리 개선 노력

2008년 6월 5일, 로버트 게이츠 국방부 장관은 슐레진저에게 핵무기에 대한 "최고 수준"의 통제를 보장하기 위한 태스크 포스를 이끌도록 임명했다.[19] 이 검토의 목적은 핵무기 구성 요소나 핵무기 자체에 대한 통제력 상실과 같은 사건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8. 3. 피크 오일 문제

슐레진저는 피크 오일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이에 대처하는 것을 지지했다. 2007년 코크에서 열린 석유 및 가스 연구 협회(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eak Oil and Gas) 주최 기조 연설에서, 슐레진저는 석유 산업 경영진들이 이제는 세계가 임박한 석유 생산 정점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을 개인적으로 인정한다고 말했다.[20][21] 2010년 ASPO-USA 기조 연설에서는 피크 오일 논쟁이 끝났다고 언급했다.[22] 그는 폼페이에서 베수비오 산 분화 전에 있었던 일과 같이, 정치적 무대응이 주요 장애물이라고 경고했다.

8. 4. 기타 활동

에너지부를 떠난 후 슐레진저는 글쓰기와 강연 활동을 재개했으며, 여기에는 1994년 올드 도미니언 대학교의 국제 관계에 관한 왈도 가문 강연에서 한 강연이 포함된다.[14] 그는 뉴욕 시의 리먼 브라더스, 쿤, 로브 Inc.의 선임 고문으로 고용되었다. 그는 198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하원 의원이자 대통령 후보였던 리처드 게파르트에게 조언했다.[12]

1995년, 그는 미국 국립 공공 행정 아카데미(NAPA)의 의장이었다. 그들은 미국 국립 연구 위원회와 함께 "Global Positioning System: Charting the Future"라는 보고서를 작성했다.[15] 이 보고서는 GPS를 민간 부문에 개방할 것을 옹호했다.

2002년 2월 8일, 그는 9·11 테러를 조사할 위원회 구성을 지지하기 위해 상원 정부 운영 위원회에서 열린 청문회에 출석했다.[16]

2002년 6월 11일, 그는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에 의해 국토 안보 자문 위원회에 임명되었다. 그는 또한 미국 국방부의 컨설턴트로 활동했으며, 국방 정책 위원회의 위원이었다.

2004년, 그는 국방부 구금 작전을 검토하는 독립 패널의 의장을 역임했다.[17]

2006년 1월 5일, 그는 백악관에서 열린 전직 국방부 장관 및 국무부 장관 회의에 참석하여 부시 행정부 관계자들과 미국의 외교 정책에 대해 논의했다. 2006년 1월 31일, 그는 국무부 장관에 의해 무기 통제 및 비확산 자문 위원회의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2006년 5월 2일, 그는 국방부 에너지 전략에 대한 국방 과학 위원회 연구의 공동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OSS 협회의 명예 의장이었다.[18] 그는 또한 2008년 빌더버그 회의 참석자였다.[19]

2007년, NASA 행정관 마이클 그리핀은 슐레진저를 국가 우주 기반 위치, 항법 및 타이밍(PNT) 자문 위원회의 의장으로 임명했다. "PNT 위원회"는 미국 정부 외부의, 인정받는 GPS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GPS 별자리와 정부의 증강 기능에 대한 감독 관리를 담당하는 부 차관급 PNT 집행 위원회에 자문한다.

2008년 6월 5일, 국방부 장관 로버트 게이츠는 슐레진저를 핵무기에 대한 "최고 수준"의 통제를 보장하기 위한 태스크 포스를 이끌도록 임명했다.

슐레진저는 MITRE 코퍼레이션 이사회의 의장이었으며, 1985년부터 2014년 사망할 때까지 이사회에서 활동했다. 그는 또한 ''더 내셔널 인터레스트'' 자문 위원, 영국 핵 연료 회사(BNFL, Inc.) 이사, 피바디 에너지, 샌디아 코퍼레이션, 세븐 시스 석유 회사, 리처드 닉슨 대통령 도서관 및 박물관 집행 위원회 의장이었다. 그는 또한 GeoSynFuels, LLC의 자문 위원이었다. 슐레진저는 지구 온난화에 대한 여러 의견서를 작성하며 강하게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9. 개인사

슐레진저는 1954년 레이첼 멜린저와 결혼하여 8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유대교 가정에서 자랐지만 성인이 된 후 루터교로 개종했다.[24]

그의 아내 레이첼 슐레진저는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였으며, 알링턴 심포니 이사였다. 1990년대 초반, 포토맥강 버지니아 쪽에 최고 수준의 공연 예술 센터 건립을 위한 기금 모금 활동을 이끌었으나, 센터 완공을 보지 못하고 암으로 사망했다.

슐레진저는 85세로 사망하기 몇 주 전까지 정부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했다.[25][26]

9. 1. 결혼과 가족

슐레진저는 1954년에 레이첼 멜린저(1930년 2월 27일 ~ 1995년 10월 11일)와 결혼했다. 슬하에 코라(1955년생), 찰스(1956년생), 앤(1958년생), 윌리엄(1959년생), 에밀리(1961년생), 토마스(1964년생), 클라라(1966년생), 제임스(1970년생) 등 8명의 자녀를 두었다. 또한 에밀리(1981년생), 앤드류(1984년생), 플레너(1990년생), 릴리(1993년생) 등 5명의 손주가 있다. 현재 알링턴에 거주하고 있다.[24]

레이첼 슐레진저는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였으며, 알링턴 심포니의 이사였다. 1990년대 초반, 그녀는 포토맥강 버지니아 쪽에 최고 수준의 공연 예술 센터를 건립하기 위한 기금 모금 활동을 이끌었다. 그녀는 센터 완공을 보지 못하고 암으로 사망했다. 그녀의 사후, 슐레진저 박사는 센터 이름을 아내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기 위해 100만달러를 기부했다. 노던 버지니아 커뮤니티 칼리지 알렉산드리아 캠퍼스에 있는 레이첼 M. 슐레진저 콘서트홀 및 예술 센터는 2001년 9월에 개관했다.

9. 2. 종교

슐레진저는 유대교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성인이 된 후 루터교로 개종했다.[24]

9. 3. 사망

제임스 R. 슐레진저는 2014년 3월 27일 폐렴 합병증으로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5] 그는 오하이오주 스프링필드의 펀클리프 묘지에 묻혔다.[25][26]

10. 저서

제목출판 연도출판사비고
The Political Economy of National Security; A Study of the Economic Aspects of the Contemporary Power Struggle|국가 안보의 정치 경제; 현대 권력 투쟁의 경제적 측면에 관한 연구영어1960년프레거
Defense Planning and Budgeting: The Issue of Centralized Control|국방 계획 및 예산: 중앙 통제의 문제영어1968년국방 산업 대학교
American Security and Energy Policy|미국의 안보와 에너지 정책영어1980년캔자스 주립대학교
America at Century's End|세기말의 미국영어1989년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11. 대중문화

슐레진저는 밥 우드워드와 로버트 코스타가 쓴 책 ''위험''에서 마크 밀리 합동참모본부 의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 재임 시절 취한 조치와 관련하여 언급된다.[27] 뉴스 매체 슬레이트에 따르면, 1974년 "슐레진저는 당시 합동참모본부 의장이었던 브라운에게 닉슨 대통령으로부터 특이한 명령을 받으면 자신에게 전화하라고 말했다. 브라운은 그 후 여러 군사 사령부(당시 핵무기를 통제했던 전략공군사령부를 포함)를 책임지는 모든 4성 장군에게 브라운과 슐레진저가 먼저 명령을 확인하지 않는 한 대통령의 '실행 명령'을 수행하지 말라고 말했다."[27] 척 그래슬리 상원의원은 최근 이러한 조치를 "초법적"이라고 불렀다.[28] 그래슬리에 따르면, 닉슨 대통령이 탄핵과 사임으로 위기에 직면했을 때, 슐레진저 국방장관은 그가 도발적인 핵 공격을 명령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여 이를 막기 위해 초법적인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프레드 캐플런과 그래슬리 두 저자 모두 슐레진저의 행동을 국방장관으로서의 행동과 합동참모본부 의장으로서의 마크 밀리의 행동을 구별하며, 그래슬리는 "밀리의 행동은 완전히 다른 문제다. 4성 장군은 '슐레진저의 행동'을 할 수 없다. 슐레진저는 대통령 바로 아래, 지휘 계통의 최고점에 있었다. 그는 대통령의 헌법적 명령 권한을 확고하게 민간인의 손에 쥐고 있었다. 밀리는 대통령에게만 전적으로 속하는 통제권을 군사적 손, 즉 자신의 손에 올려놓았다고 한다."라고 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James R. Schlesinger – Richard Nixon / Gerald Ford Administration http://history.defen[...]
[2] 웹사이트 James R. Schlesinger – Richard Nixon / Gerald Ford Administration http://history.defen[...]
[3] 서적 Encyclopedia of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 W. Thomas Smith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James R. Schlesinger Papers A Finding Aid to the Collection in the Library of Congress https://web.archive.[...] 2016-10-26
[5] 웹사이트 MITRE – About Us – Board of Trustees – Dr. James R. Schlesinger http://www.mitre.org[...] 2010-03-01
[6] 웹사이트 James R. Schlesinger Papers A Finding Aid to the Collection in the Library of Congress https://web.archive.[...] 2016-10-26
[7] 논문 Nixon's Axe Man: CIA Director James R. Schlesinger http://wrap.warwick.[...] 2019
[8] 웹사이트 James R. Schlesinger http://history.defen[...] Historical Office,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2016-04-17
[9] 간행물 The Third Temple's Holy of Holies: Israel's Nuclear Weapons https://web.archive.[...] USAF Counterproliferation Center, Air War College 1999-09
[10] 서적 Kissinger, Years of Upheaval
[11] 서적 The Complete Book of U. S. Presidents https://archive.org/[...] Wings Books
[12] 간행물 The powers that shouldn't be; five Washington insiders the next Democratic president shouldn't hire 1987-10
[13] 뉴스 The 1977 White House climate memo that should have changed the world https://www.theguard[...] 2022-06-14
[14] 웹사이트 Waldo Family Lecture Series Digital Collection https://web.archive.[...] 2017-07-17
[15] 웹사이트 GPS: Charting the Future http://www.navcen.us[...] 2016-10-26
[16] 웹사이트 Former Defense Secretary Offers Insight Into 9/11 Commission Inquiry https://cryptome.org[...] 2016-10-26
[17] 웹사이트 Final Report of the Independent Panel to Review DoD Detention Operations https://www.npr.org/[...] 2016-10-26
[18] 뉴스 Group preserves legacy of OSS, predecessor to CIA; Original intelligence agency laid groundwork for others https://web.archive.[...] 2016-04-17
[19] 웹사이트 Stop the North American Union https://web.archive.[...] 2014-01-03
[20] 웹사이트 Peak oil https://web.archive.[...] 2009-07-03
[21] 웹사이트 We are all peakists now – Schlesinger | David Strahan | Articles http://www.davidstra[...]
[22] 웹사이트 The Peak Oil Debate is Over http://vimeo.com/162[...] ASPO-USA
[23] 뉴스 DoD News Briefing with Secretary Gates from the Pentagon Military Times 2008-06-05
[24] 뉴스 James R. Schlesinger, Willful Aide To Three Presidents, Is Dead at 85 https://www.nytimes.[...] 2014-03-27
[25] 뉴스 James R. Schlesinger, CIA chief and Cabinet member, dies https://www.washingt[...] 2014-03-27
[26] 뉴스 Former Defense Secretary James Schlesinger dies https://web.archive.[...] 2014-03-27
[27] 웹사이트 New Revelations About Trump's Final Days in Office Raise a Much More Urgent Question https://slate.com/ne[...] 2021-09-15
[28] 웹사이트 Milley still hasn't responded to Banks, Grassley letter with questions on 'commitment to civilian control' https://www.foxnews.[...] 2022-07-15
[29] 서적 Encyclopedia of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 W. Thomas Smith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30] 뉴스 米、地下核実験を強行 アムチトカ島 1971-11-08
[31] 문서 もっともウォーターズ副長官に、調査妨害を拒否するように指示している。
[32] 문서 "The CIA and Cult of Intelligence"
[33] 간행물 米戦略を動かす伝説の老軍師(上)――アンドリュー・マーシャルの素顔 外務省 2013-05
[34] 뉴스 カーター政権を支える人々 1977-01-20
[35] 뉴스 J・シュレジンジャー氏死去=70年代に国防長官など歴任-米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4-03-28
[36] 뉴스 CIA '치부 공개' 부산일보 2007-06-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