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콜라 밀체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콜라 밀체우는 우크라이나의 사격 선수이다. 15세에 사격을 시작하여 1994년 우크라이나 국가대표로 발탁되었으며, 같은 해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했다. 1999년 유럽 산탄총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0년 하계 올림픽 스키트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기록을 세웠다. 2004년, 2008년, 2016년 올림픽에도 출전했으며, 2016년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우크라이나 선수단의 기수를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크라이나의 남자 사격 선수 - 올렉산드르 페트리우
우크라이나의 사격 선수인 올렉산드르 페트리우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5m 속사권총 금메달과 2014년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 25m 스탠더드 및 센터파이어 권총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하여 우크라이나 공로장 3등급 훈장을 받았다. - 우크라이나의 남자 사격 선수 - 세르히 쿨리시
- 우크라이나의 올림픽 사격 참가 선수 - 올레나 코스테비치
올레나 코스테비치는 우크라이나의 사격 선수로, 2002년 세계 선수권 우승 후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금메달, 2012년 런던 올림픽 동메달, 2020년 도쿄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했다. - 우크라이나의 올림픽 사격 참가 선수 - 올렉산드르 페트리우
우크라이나의 사격 선수인 올렉산드르 페트리우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25m 속사권총 금메달과 2014년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 25m 스탠더드 및 센터파이어 권총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하여 우크라이나 공로장 3등급 훈장을 받았다. - 2019년 유러피언 게임 사격 참가 선수 - 제시카 로시
- 2019년 유러피언 게임 사격 참가 선수 - 니나 크리스텐
미콜라 밀체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원어 이름 | Микола Миколайович Мільчев |
로마자 표기 | Mykola Mykolayovych Milchev |
출생일 | 1967년 11월 3일 |
출생지 | 소련 우크라이나 SSR 오데사 |
신장 | 180cm |
체중 | 90kg |
소속팀 | 콜로스 오데사 |
경력 정보 | |
종목 | 사격 |
세부 종목 | 스키트 |
국가 | 우크라이나 |
메달 기록 | |
올림픽 | 금메달: 2000 시드니 스키트 |
세계 선수권 대회 | 은메달: 2023 바쿠 스키트 혼성전 |
유럽 선수권 대회 | 금메달: 1999 포우산 스키트 |
2. 경력
오데사 출신으로 15세에 사격을 시작하여 1994년 우크라이나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같은 해 1994년 세계 사격 선수권 대회를 통해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며, 1999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첫 국제 메달(은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 스키트 종목에서 예선 세계 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하여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 이후 2004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 2016년 하계 올림픽 등 여러 차례 올림픽에 참가했다. 2005년 스키트 규칙 개정으로 2000년 올림픽 기록은 무효 처리되었으나, 2009년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2009년 ISSF 월드컵에서 다시 세계 기록(125점) 타이를 기록하며 우승했다.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우크라이나 선수단 기수를 맡았으며, 해당 대회 4위를 기록했다. 또한 여러 차례 ISSF 월드컵 대회에서 입상했으며, 2016년 월드컵 파이널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 1. 초기 경력
오데사에서 태어났으며, 15세 때 사격을 시작했다. 1994년에 오데사 교육 연구소 체육학부를 졸업했고, 같은 해 우크라이나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1994년 7월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199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국제 대회에 처음 출전했으며, 스키트 종목에서 93위를 기록했다.1999년 6월 프랑스 푸상에서 열린 유럽 산탄총 선수권 대회 스키트 종목에 참가하여 체코의 브로니슬라프 베힌스키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하며 처음으로 국제 대회 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 9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200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면서 처음으로 올림픽 무대를 밟았다. 그는 스키트 종목 예선에서 125점 만점을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세웠고, 결선에서도 25점을 추가하여 총 150점 만점으로 체코의 페트르 말레크와 미국의 제임스 그레이브스를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2004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9위에 올랐다. 2005년 스키트 종목 규칙이 개정되면서 시드니 올림픽 때 세운 세계 기록은 무효 처리되었다. 2008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32위를 기록했다.
2009년 5월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사격 월드컵 1차 대회에서는 이탈리아의 엔니오 팔코와 핀란드의 마르코 켐파이넨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125점 만점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세계 기록을 세웠다.
2016년 3월 키프로스 니코시아에서 열린 사격 월드컵 1차 대회에서 영국의 벤 루엘린과 스페인의 후안 호세 아람부루를 누르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같은 해 8월에는 브라질 리우에서 열린 201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개막식에서 우크라이나 선수단의 기수를 맡았다. 본선 경기에서는 4위에 올랐다. 이후 10월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월드컵 파이널 대회에서는 러시아의 니콜라이 툐플리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 2. 올림픽 활약
2000년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200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며 처음으로 올림픽 무대를 밟았다. 이 대회 스키트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특히 예선에서 125점 만점을 기록하며 당시 세계 기록을 세웠고, 결선에서도 25점을 추가하여 총 150점 만점으로 체코의 페트르 말레크와 미국의 제임스 그레이브스를 누르고 정상에 올랐다.이후 2004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스키트 종목 9위를 기록했다. 2005년 스키트 종목 규칙이 개정되면서 시드니 올림픽 때 세웠던 세계 기록은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밀체우는 2009년 5월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2009년 ISSF 월드컵에서 다시 한번 예선 125점 만점을 기록하며 세계 기록과 타이를 이루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2008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32위에 머물렀다.
2016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2016년 하계 올림픽은 그의 네 번째 올림픽 참가였다. 이 대회 개막식에서는 우크라이나 선수단 기수를 맡는 영예를 안았다. 본선 경기에서는 4위를 기록하며 메달 획득에는 아쉽게 실패했다.
2. 3. 올림픽 이후
2000년 하계 올림픽 이후 2004년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200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9위에 올랐다. 2005년 스키트 종목 규칙이 개정되면서 시드니 올림픽 때 세운 세계 기록은 무효 처리되었다. 2008년 베이징에서 열린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32위를 기록했다.2009년 5월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사격 월드컵 1차 대회 스키트 종목에서 이탈리아의 엔니오 팔코와 핀란드의 마르코 켐파이넨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 125점을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다시 한번 갱신했다.
2016년 3월 키프로스 니코시아에서 열린 사격 월드컵 1차 대회에서도 영국의 벤 루엘린과 스페인의 후안 호세 아람부루를 누르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같은 해 8월에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2016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개막식에서 우크라이나 선수단의 기수를 맡았다. 본선 경기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이후 10월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월드컵 파이널 대회에서는 러시아의 니콜라이 툐플리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2. 4. 세계 기록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스키트 종목 예선에서 125점을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세웠다. 당시 결승에서도 25점을 추가하여 총 150점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그러나 2005년에 스키트 종목 규칙이 개정되면서 시드니 올림픽에서 세운 세계 기록은 무효 처리되었다. 이후 2009년 5월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2009년 ISSF 월드컵 1차 대회에서 다시 예선 만점인 125점을 기록하여, 개정된 규칙 하에서의 세계 기록과 동률을 이루었다.
2005년–2012년 남자 스키트 예선 세계 기록 (125점) | ||||
---|---|---|---|---|
구분 | 점수 | 선수 | 날짜 | 장소 |
남자 예선 | 125 | 빈센트 핸콕 (미국) | 2007년 6월 14일 | 로나토 델 가르다 (이탈리아) |
토레 브로볼드 (노르웨이) | 2008년 7월 13일 | 니코시아 (키프로스) | ||
미콜라 밀체우 (우크라이나) | 2009년 5월 9일 | 카이로 (이집트) | ||
얀 시흐라 (체코) | 2009년 5월 20일 | 뮌헨 (독일) | ||
토레 브로볼드 (노르웨이) | 2009년 7월 25일 | 오시예크 (크로아티아) | ||
얀 시흐라 (체코) | 2011년 3월 7일 | 콘셉시온 (칠레) | ||
안토나키스 안드레우 (키프로스) | 2011년 4월 22일 | 베이징 (중국) | ||
후안 호세 아람부루 (스페인) | 2011년 9월 13일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 ||
나세르 알 아티야 (카타르) | 2012년 1월 17일 | 도하 (카타르) | ||
안토니 테라스 (프랑스) | 2012년 3월 26일 | 투손 (미국) | ||
에프티미오스 미타스 (그리스) | 2012년 3월 26일 | 투손 (미국)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