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트로비차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트로비차구는 코소보 북부에 위치한 구로,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해 온 유서 깊은 지역이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무니시피움 다르다노룸과 같은 중요한 중심지가 있었으며, 비잔틴 제국, 불가리아 제국, 세르비아 왕국, 오스만 제국 등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912년 세르비아가 이 지역을 획득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되었다. 코소보 전쟁 이후 세르비아계와 알바니아계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으며, 특히 미트로비차 시는 남북으로 분단되었다. 현재는 7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알바니아어와 세르비아어가 공용어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소보의 구 - 페야구
페야구는 코소보에 위치하며 페야, 이스토그, 클리나 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고, 2024년 기준 146,301명의 인구와 1,365km2의 면적을 가지며, 알바니아인이 대다수이고 보스니아인과 로마인 등이 거주하며 각 지역은 고유의 우편번호를 사용한다. - 코소보의 구 - 페리자이구
페리자이구는 코소보에 위치한 지방 자치구로, 5개의 지방 자치 단체와 126개의 정착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페르조비크로 알려졌고, 선사 시대부터 다양한 문화가 존재하며, 코소보 전쟁 당시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 KFOR 평화 유지군의 주요 기지인 캠프 본드스틸이 위치해 있다.
미트로비차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sq: Rajoni i Mitrovicës (알바니아어) sr: Косовскомитровачки округ (세르비아어) |
유형 | 구역 |
수도 | 미트로비차 |
위치 | 코소보 내 미트로비차 구역 위치 |
통계 | |
면적 | 2,077km² |
인구 (2011년) | 232,833명 |
인구 (2014년 추정) | 272,247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순위 | 3위 |
정착지 수 | 267개 |
행정 구역 | |
지방 자치체 수 | 6개 |
우편 번호 | 40000 |
지역 번호 | 해당 없음 |
ISO 코드 | 해당 없음 |
차량 번호판 | 02 |
경제 | |
HDI (2017년) | 0.755 |
HDI 순위 | 2위 (높음) |
2. 역사
이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여러 신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고대에는 일리리아 부족의 일파인 다르다니아인이 살았으며, 기원전 1세기 말 고대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로마 시대에는 레포사비치의 소차니차에 무니시피움 다르다노룸(Municipium Dardanorum)과 같은 중요 도시가 있었고, 부슈트리(고대명 비키아눔(Vicianum)) 지역에서도 로마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로마 제국 쇠퇴 이후에는 비잔틴 제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527-565년)에 건설된 부슈트리의 요새는 오늘날까지 남아있다.[3][4] 9세기 말에는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5][6] 1185년에는 네마니치 왕조 아래 세르비아 왕국의 영토가 되어 정치적, 정신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
14세기부터 17세기까지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 시기 동안 이슬람교가 전파되었고, 모스크, 터키식 목욕탕, 마드라사, 다리 등 오스만 양식의 건축물들이 많이 세워졌다. 부슈트리, 미트로비차, 즈베찬 등은 오스만 제국 내 주요 도시로 성장했다.
1912년 오스만 제국이 물러난 후 세르비아 왕국이 이 지역을 차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1915-18년)를 받았고, 이후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훗날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에 의해 분할 점령되었다. 전쟁 이후 유고슬라비아 치하에서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2. 1. 선사 시대
이 지역의 첫 인류 거주 흔적은 선사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미트로비차 구에서는 루니크, 지트코바크-카라가치, 발라치, 파포스 등 여러 신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선사 시대 후기에는 현대 코소보 영토에 살았던 일리리아 부족의 일파인 다르다니아인(Dardanians)이 이 지역에 거주했다.2. 2. 고대
이 지역에 인류가 처음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선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미트로비차구에서는 루니크, 지트코바크-카라가치, 발라치, 파포스 등 여러 신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고대에는 오늘날의 코소보 영토에 살았던 일리리아 부족 중 하나인 다르다니아인들이 이 지역에 거주했다.기원전 1세기 말, 고대 로마가 이 지역을 침략했다. 당시 이 지역의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는 레포사비치의 소차니차에 위치했던 무니시피움 다르다노룸(라틴어: Municipium Dardanorumla)이었다. 로마 시대의 고고학 유적은 부슈트리(고대명 비키아눔(라틴어: Vicianumla)) 영토에서도 발견되었는데, 페스토바의 유적과 라샨 요새 등이 대표적이다.
로마 제국이 쇠퇴한 후, 미트로비차 지역은 비잔틴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 시대(527~565년)에는 부슈트리에 옛 요새가 건설되었으며, 이 요새는 오늘날까지도 도시의 중심지로 남아 있다.[3][4]
2. 3. 중세

로마 제국이 몰락한 후, 미트로비차 지역은 비잔틴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재위 527년-565년) 시대에는 부슈트리에 오래된 요새가 건설되었는데, 이 요새는 오늘날까지도 도시의 중심지로 남아 있다.[3][4]
9세기 말, 미트로비차 지역은 사무엘이 이끌던 제1차 불가리아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5][6]
1185년에는 네마니치 왕조가 이 지역을 정복하여 세르비아 왕국의 영토로 편입시켰다. 세르비아의 통치 아래 이 지역과 코소보는 세르비아 왕국의 정치적, 정신적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14세기에 들어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하였고, 17세기까지 지배가 이어졌다. 이 시기 동안 이슬람교가 전파되었으며, 많은 모스크, 터키식 목욕탕, 마드라사, 다리, 오스만 양식의 가옥들이 건설되었다. 부슈트리, 미트로비차, 즈베찬 등은 이 지역의 주요 도시로 성장하였고, 오스만 제국 내에서도 중요한 도시들 중 일부로 여겨졌다.
2. 4. 근대
1912년 발칸 전쟁 이후 오스만 제국이 항복하면서 세르비아 왕국이 코소보 영토를 획득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1915년부터 1918년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전쟁 후에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훗날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나치 독일이 미트로비차구 대부분을 점령했고, 일부 지역은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보호령에 속하게 되었다.2. 5.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치하에서 이 지역의 경제가 성장했다.3. 지리
미트로비차구는 전반적으로 험준한 산악 지형이 특징이다. 지역의 경계를 따라 코파오니크 산맥, 로고즈나 산맥, 모크라 고라 산맥, 드레니차 산맥, 큐카비차 산맥 등 여러 산맥이 자리 잡고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이바르강과 시트니차강이 이 지역을 관통하며 흐른다. 또한, 이바르강을 막아 건설한 인공 호수인 가지보다 호수와 프리드보리체 호수가 위치하고 있다.
3. 1. 지형
미트로비차구의 지형은 험준한 산악 지형이다. 북동쪽에는 코파오니크 산맥의 남쪽 부분이 있으며, 해발 2017m의 판치치 봉우리(코소보 최북단)가 최고점이다. 로고즈나 산맥과 모크라 고라 산맥은 주빈 포토크를 지나 북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1731m의 베림 봉우리가 있다. 드레니차 산맥과 큐카비차 산의 북쪽 부분은 지역의 남서쪽 부분을 차지하며, 남동쪽으로는 코소보 평원까지 경계가 뻗어 있다. 이 지역의 중심에는 미트로비차가 위치한 이바르 계곡이 있다.
3. 2. 수문

수문학적으로 미트로비차구는 코소보에서 가장 풍부한 지역 중 하나이다. 산악 지형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작은 강 유역이 있으며, 코소보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강인 이바르강과 시트니차강이 이곳을 통과한다.
이바르강은 몬테네그로 동부의 로자예에서 발원하여 산자크 지역을 거쳐 즈빈 포토크 마을을 통해 코소보로 유입된다. 이 마을 근처에서 강은 가지보다 댐에 의해 막혀 인공 가지보다 호수를 형성한다.

4. 인구
2011년 코소보 인구 조사와 코소보 통계청의 2008-2009년 추정치를 종합하면, 미트로비차구의 총 인구는 약 232,833명으로, 이는 코소보 전체 인구의 약 13.38%에 해당한다.
4. 1. 민족 구성
코소보의 인구 통계에 따르면, 2011년 인구 조사 결과와 세르비아계가 다수인 지방 자치 단체(즈베찬, 레포사비치, 즈빈 포토크, 미트로비차 북부)에 대한 코소보 통계청의 2008-2009년 자료를 종합하면, 미트로비차구에는 약 232,833명의 주민이 거주하며 이는 코소보 전체 인구의 13.38%를 차지한다.도시 | 지방 자치 단체 구역 | 도시 구역 | ||
---|---|---|---|---|
2011년 인구 | 순위 | 2011년 인구 | 순위 | |
미트로비차 | 84,235 | 1 | 46,230 | 1 |
부슈트리 | 69,870 | 2 | 26,964 | 2 |
스켄데라이 | 50,858 | 3 | 6,612 | 3 |
레포사비치 | 13,773 | 4 | 3,702 | 4 |
즈베찬 | 7,481 | 5 | 1,297 | 5 |
즈빈 포토크 | 6,616 | 6 | 1,724 | 6 |
''참고'': 미트로비차 북부는 미트로비차의 지방 자치 단체 구역 및 도시 구역 인구에 포함된다.
미트로비차, 부슈트리, 스켄데라이 시는 알바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즈빈 포토크, 즈베찬, 레포사비치 시는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세르비아인은 또한 코소보의 미트로비차 북부 지역에서도 다수를 차지하며, 이곳은 그들의 문화적, 정치적 중심지이다.
아래 표는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른 미트로비차 남부, 부슈트리, 스켄데라이 지방 자치 단체의 민족 구성 데이터이다.[8]
지방 자치 단체 | 총계 | 민족 | ||||||||||
---|---|---|---|---|---|---|---|---|---|---|---|---|
알바니아인 | 세르비아인 | 터키인 | 보스니아인 | 로마니족 | 아슈칼리족 | 이집트인 | 고라니족 | 기타 | 답변 거부 | 불가 | ||
미트로비차 남부 | 71,909 | 69,497 | 14 | 518 | 416 | 528 | 647 | 6 | 23 | 47 | 61 | 152 |
부슈트리 | 69,870 | 68,840 | 384 | 278 | 33 | 68 | 143 | 1 | 3 | 50 | 17 | 53 |
스켄데라이 | 50,858 | 50,685 | 50 | 1 | 42 | - | 10 | 1 | - | 5 | 4 | 60 |
세르비아인이 다수인 지방 자치 단체인 즈베찬, 레포사비치, 주빈 포토크 및 미트로비차 북부는 2011년 4월에 실시된 인구 조사에 참여하지 않았다. 따라서 해당 지역의 데이터는 2008-2009년 추정치를 사용하였다.[9]
지방 자치 단체 | 총계 | 민족 | |
---|---|---|---|
알바니아인 | 세르비아인 및 기타 | ||
레포사비치 | 13,773 | 323 | 13,450 |
주빈 포토크 | 6,616 | 995 | 5,621 |
즈베찬 | 7,481 | 386 | 7,095 |
미트로비차 북부 | 12,326 | 867 | 11,459 |
5. 행정 구역
미트로비차구는 7개의 기초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5. 1. 지방 자치체
2012년까지 미트로비차구는 6개의 지방 자치체로 나뉘어 있었다. 2013년 코소보 11월 선거 이후, 북미트로비차가 공식적으로 별도의 지방 자치체로 분리되면서 현재는 7개의 기초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큰 도시는 미트로비차(인구 46,230명)이며, 남미트로비차 자치구는 인구 71,909명이다.[11]미트로비차구의 7개 기초 자치체는 다음과 같다.
지방 자치체 | 인구 (2011) | 면적 (km²) | 인구 밀도 (명/km²) |
---|---|---|---|
미트로비차 | 71,909 | 350km2 | 205.5 |
부슈트리 | 69,870 | 344km2 | 203.1 |
스켄데라이 | 50,858 | 378km2 | 134.5 |
북미트로비차 | 29,460 | 11km2 | 2,678.2 |
레포사비치 | 18,600 | 539km2 | 34.5 |
즈베찬 | 16,650 | 122km2 | 136.5 |
주빈포토크 | 14,900 | 333km2 | 44.7 |
미트로비차구 | 272,247 | 2077km2 | 131.1 |
6. 언어
미트로비차 지역의 지방 자치 단체에서는 알바니아어와 세르비아어가 공용어이다. 미트로비차와 부슈트리에서는 터키어도 공용어로 인정된다.[10]
참조
[1]
웹사이트
Komunat në rajonin e Mitrovicës
https://web.archive.[...]
2015-01-10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3]
PDF
http://www.invest-ks[...]
2022-03-01
[4]
웹사이트
Kalaja e Vushtrrisė - Atraksione - Kosova - KosovoGuide
https://web.archive.[...]
2014-03-02
[5]
웹사이트
Komuna Mitrovice - Histori
https://web.archive.[...]
2014-03-02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archive.toda[...]
2014-03-02
[7]
웹사이트
TË DHËNAT DEMOGRAFIKE SIPAS KOMUNAVE
https://esk.rks-gov.[...]
2014-03-08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4-03-08
[9]
웹사이트
Population by ethnicity
https://web.archive.[...]
2014-03-08
[10]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the Law on the Use of Languages by Kosovo Municipalities
http://www.osce.org/[...]
[11]
웹사이트
Census 2011
http://pop-stat.mash[...]
2014-09-14
[12]
웹사이트
OSCE Leposavic estimates
http://www.osce.org/[...]
OSCE
[13]
웹사이트
OSCE Mitrovica North estimate
http://www.osce.org/[...]
OSCE
[14]
웹사이트
OSCE Zubin Potok estimate
http://www.osce.org/[...]
OSCE
[15]
웹사이트
OSCE Zvecan estimates
http://www.osce.org/[...]
OS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