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진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진원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691년 증광문과에 급제했으나 기사환국과 인현왕후 폐비 사건으로 등용되지 못했다가 갑술옥사 이후 관직에 나섰다. 노론으로 활동하며 윤증, 박세채 등을 공격하고, 전라도 관찰사, 형조판서, 좌의정 등을 역임했다. 영조의 탕평책을 반대하고 신임사화 관련 인물들의 복권을 주장하다가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으나, 이인좌의 난 이후 다시 등용되어 영중추부사를 지냈다. 저서로 《숙종실록》 편찬에 참여했으며, 《단암주의》 등이 있다. 사후 영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2. 생애

민진원은 1691년 증광문과에 급제했으나, 1689년 기사환국과 누이 인현왕후 폐비 사건으로 바로 등용되지 못했다.[1] 1694년 갑술환국으로 인현왕후가 복위되자 관직 생활을 시작, 노론 일원으로 활동하며 윤증, 박세채 등을 공격했다.[1] 이후 검열, 겸설서, 정언, 수찬, 사서, 문학, 부수찬, 충청도감진어사, 사복시정, 사헌부집의, 부교리, 집의, 병조정랑, 지평, 부수찬, 필선, 편수관, 수원부사 등을 역임했다.[1]

당상관에 오른 후에는 전라도관찰사, 공조참의, 동부승지, 참찬관, 우부승지, 대사성, 강화유수, 예조참판, 동지의금부사, 공조참판, 개성유수, 평안도관찰사, 한성부좌윤 등을 지냈다.[1] 1703년 전라도 관찰사 시절 서원 난립으로 인한 지방 재정 낭비와 당쟁의 폐단을 지적하며 서원 정비에 힘썼다.[1]

정2품 이상 관직으로는 형조판서, 지중추부사, 공조판서, 예조판서, 내의원제조, 지돈녕부사, 이조판서, 호조판서, 판의금부사 등을 역임했다.[1] 1720년 형 민진후 사망과 숙종 승하 후 경종 즉위하자, 경종의 법적 외숙부임을 내세워 노론의 실질적인 영수가 되었다.[1]

1721년 신임사화로 노론이 실각하면서 성주로 유배되었다.[1] 1725년 영조 즉위 후 복권되어 예조, 공조 판서, 지경연사, 빈객, 우의정, 좌의정을 지냈고, 《숙종실록》 총재관으로 참여했다.[1] 그러나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하고, 소론 이광좌와의 화해에 응하지 않아 영조의 분노를 샀다.[1] 1727년 정미환국으로 파직, 순안에 안치되었다.[1]

정미환국 이후 소론은 민진원이 편찬한 《숙종실록》에 당파적, 사적인 의도가 개입되었다고 주장, 수정을 요구했으나, 노론의 반대로 《숙종실록보궐정오》가 만들어졌다.[3] 1728년 이인좌의 난 발생하자, 영조는 인현왕후의 혈족인 민진원을 재등용, 민진원은 소론과 남인을 이인좌의 잔당으로 몰아 숙청했다.[4][5]

이후 1729년 영중추부사가 되었고, 《가족제복론(加足帝腹論)》을 저술했다. 1730년 기로소에 들어가고, 1733년 봉조하가 되었다가 1736년 사망했다.[6]

2. 1. 초기 활동

1691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였으나 1689년에 발생한 기사환국과 누이동생인 인현왕후가 폐비되었던 사건의 여파로 등용되지 못하였다.[1]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인현왕후가 복위하자 비로소 등용되었다.[1] 이후 검열, 겸설서, 정언, 수찬, 사서, 문학, 부수찬, 충청도감진어사, 사복시정, 사헌부집의 등을 지내며 노론으로 활동하였으며 윤증, 박세채 등을 공격하는데 가담하였다.[1] 그리고 연이어 부교리, 집의, 병조정랑, 지평, 부수찬, 필선, 편수관, 수원부사 등을 지냈다.[1]

이후 당상관에 올라 전라도관찰사, 공조참의, 동부승지, 참찬관, 우부승지, 대사성을 거쳐 강화유수와 예조참판, 동지의금부사, 공조참판과 개성유수를 지내며 노론의 핵심으로 활약했다.[1] 이후 평안도관찰사를 지냈다.[1] 이후 한성부좌윤까지 지냈다.[1]

1703년 전라도 관찰사로 있을 때 서원이 난립되자 지방재정의 낭비와 당쟁의 원인을 들어 이를 막았다.[1]

2. 2. 관료 생활과 정치 활동

1691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였으나 앞서 1689년에 발생한 기사환국과 누이동생인 인현왕후가 폐비되었던 사건의 여파로 등용되지 못하였다. 1694년 갑술환국으로 인현왕후가 복위하자 비로소 등용되었다. 이후 검열과 겸설서, 정언, 수찬 등을 했고 사서와 문학, 부수찬, 충청도감진어사, 사복시정, 사헌부집의 등을 지내며 노론으로 활동하였으며 윤증, 박세채 등을 공격하는데 가담하였다. 그리고 연이어 부교리, 집의, 병조정랑, 지평, 부수찬, 필선, 편수관, 수원부사 등을 지냈다.[1]

이후 당상관에 올라 전라도관찰사, 공조참의, 동부승지, 참찬관, 우부승지, 대사성을 거쳐 강화유수와 예조참판, 동지의금부사, 공조참판과 개성유수를 지내며 노론의 핵심으로 활약했다. 이후 평안도관찰사를 지냈다. 이후 한성부좌윤까지 지낸다.[1]

1703년 전라도 관찰사로 있을 때 서원이 난립되자 지방재정의 낭비와 당쟁의 원인을 들어 이를 막았다. 이후 정2품 이상에 올라서, 형조판서, 지중추부사, 공조판서, 예조판서, 내의원제조, 지돈녕부사, 이조판서, 호조판서, 판의금부사 등을 지내고 1720년 형 민진후가 사망하고 같은 해 숙종이 서거하여 경종이 즉위하자 경종의 법적 외숙부임을 내세우며 죽은 형이 가졌던 실권을 장악하고 실질적 노론 영수가 되었다.[1]

노론 4대신인 김창집, 조태채, 이이명, 이건명을 앞세워 숙빈 최씨의 아들인 연잉군을 왕세제로 삼을 것을 종용하였고, 경종이 이를 주저하자 조정백관 앞에서 경종은 효심과 군주로서의 자질이 부족하니 서둘러 연잉군을 왕세제로 삼는다는 교지를 내리고 정사에서 물러나라는 과격한 언사를 내뱉아 소론의 공분을 샀다. 1721년 신임사화로 노론이 실각하자 성주로 유배되었다가, 1725년 영조가 즉위하자 유배령에서 풀려나 예조, 공조의 판서와 지경연사, 빈객을 거쳐 우의정을 하다가 좌의정으로 임명되었으며 《숙종실록》의 총재관이 되었다.[1]

영조의 탕평책을 반대하였고, 소론 영수 이광좌와의 화해를 주선했지면 역시 호응하지 않아 오히려 영조의 격노를 샀다. 그는 영조를 추대하려 노력하다가 죽어간 노론 대신들의 공적을 인정할 것과 신임사화 당시 노론 4대신(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의 복권과 소론 5대신에 대한 탄핵, 추탈, 부관참시 등을 요구하였다. 당색이 지나치고 언행이 과격하여 1727년 정미환국 때 파직되어 순안에 안치되었다.[1]

2. 3. 신임사화와 유배

1721년 신임옥사로 노론이 실각하자 성주로 유배되었다가, 1725년 영조가 즉위하자 유배령에서 풀려나 예조, 공조의 판서와 지경연사, 빈객을 거쳐 우의정을 하다가 좌의정으로 임명되었으며 《숙종실록》의 총재관이 되었다.[1]

영조의 탕평책을 반대하였고, 소론 영수 이광좌와의 화해를 주선했지만 역시 호응하지 않아 오히려 영조의 격노를 샀다.[1] 그는 영조를 추대하려 노력하다가 죽어간 노론 대신들의 공적을 인정할 것과 신임사화 당시 노론 4대신(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의 복권과 소론 5대신에 대한 탄핵, 추탈, 부관참시 등을 요구하였다.[1] 당색이 지나치고 언행이 과격하여 1727년 정미환국 때 파직되어 순안에 안치되었다.[1]

2. 4. 영조 즉위와 복권, 탕평책 반대

1721년 신임옥사로 노론이 실각하자 성주로 유배되었다가, 1725년 영조가 즉위하자 유배령에서 풀려나 예조, 공조의 판서와 지경연사, 빈객을 거쳐 우의정을 하다가 좌의정으로 임명되었으며 《숙종실록》의 총재관이 되었다.

영조의 탕평책을 반대하였고, 소론 영수 이광좌와의 화해를 주선했지만 역시 호응하지 않아 오히려 영조의 격노를 샀다.[1] 그는 영조를 추대하려 노력하다가 죽어간 노론 대신들의 공적을 인정할 것과 신임사화 당시 노론 4대신(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의 복권과 소론 5대신에 대한 탄핵, 추탈, 부관참시 등을 요구하였다.[1] 당색이 지나치고 언행이 과격하여 1727년 정미환국 때 파직되어 순안에 안치되었다.[1]

2. 5. 정미환국과 파직

정미환국으로 발언권을 얻게 된 소론은 민진원이 완성한 《숙종실록》에 당의(黨意)[1]와 사의(私意)[2]에 따라 고의로 기사를 누락하거나 왜곡시킨 부분이 많아 전면 개정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집권당인 노론의 반대에 부딪혀 일부 내용만 보정한 《숙종실록보궐정오》가 만들어졌다.[3]

1728년 음력 3월, 소론 강경세력이 지방에 은신 중인 남인을 규합하여 삼남지역에서 대규모의 난을 일으켰는데, 이것이 이인좌의 난이다.[4] 이 사건으로 소론에 대해 강한 불신감을 갖게 된 영조는 노론 강경세력의 영수로 활동해온 민진원을 성모(聖母: 왕의 법모, 인현왕후)의 혈족이라는 이유로 다시 조정에 불러들였다. 민진원은 토역을 청하여[5] 숙적인 소론과 남인에게 이인좌의 잔당이라는 죄목을 붙여 대거 숙청하였다.

2. 6. 이인좌의 난과 재등용, 사망

정미환국으로 발언권을 얻게 된 소론은 민진원이 완성한 《숙종실록》에 당의(黨意)[1]와 사의(私意)[2]에 따라 고의로 기사를 누락하거나 왜곡시킨 부분이 많아 전면 개정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집권당인 노론의 반대에 부딪혀 일부 내용만 보정한 《숙종실록보궐정오》가 만들어졌다.[3] 1728년 음력 3월, 소론 강경세력이 지방에 은신 중인 남인을 규합하여 삼남지역에서 대규모의 난을 일으켰는데, 이것이 이인좌의 난이다.[4] 이 사건으로 소론에게 강한 불신감을 갖게 된 영조는 노론 강경세력의 영수로 활동해온 민진원을 성모(聖母: 왕의 법모, 인현왕후를 뜻함)의 혈족이라는 이유로 다시 조정에 불러들였다. 민진원은 토역을 청하여[5] 숙적인 소론과 남인에게 이인좌의 잔당이라는 죄목을 붙여 대거 숙청하였다. 1729년 영중추부사가 되었으며 《가족제복론(加足帝腹論)》을 찬하였다. 1730년 기로소에 들고 1733년 봉조하에 들었다가 1736년 11월 28일 사망하였다.[6]

3. 저작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민광훈(閔光勳)
조모연안 이씨이광정의 딸, 허적의 고종누이
아버지민유중(閔維重)여양부원군
의모덕수 이씨해풍부부인, 이경증의 딸, 순화군의 외손녀
생모은진 송씨은성부부인, 송준길의 딸
누나여흥 민씨1656~1728
민진후(閔鎭厚)명성황후의 5대조
동생인현왕후
의모풍양 조씨풍창부부인
이복 동생민진영(閔鎭永)여흥부대부인, 민승호의 5대조
이복 동생유생 이장휘에게 출가
이복 동생유생 홍우조에게 출가
서모미상
서제민진창(閔鎭昌)
서제민진오(閔鎭五)
서매이만에게 출가
서매유현에게 출가
처부윤지선윤지완의 형
처모홍서의 딸
부인파평 윤씨
장남민창수(閔昌洙)
자부안동 김씨김창집(김광찬의 손자)의 딸
손자민백순(閔百順)
차남민형수(閔亨洙)
자부여흥 이씨이세항의 딸
손녀홍낙인(정조의 외숙부)에게 출가
손자민백상(閔百祥)순명효황후의 고조부
손자민백흥(閔百興)
손자민백증(閔百增)
손자민백갑(閔百甲)
삼남민통수(閔通洙)
자부은진 송씨송상기(김광찬의 외손자)의 딸
손자민백선(閔百善)
이주진(이건명의 처조카)에게 출가


5. 기타

소론의 중진 윤지완은 민진원의 장인 윤지선의 동생으로, 희빈 장씨를 지지한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이다. 갑술년인현왕후 복위와 희빈 장씨 강봉이 정해지자 우의정이었던 윤지완은 사직서를 들고 숙종을 찾아가 희빈 장씨에게 국모에 준하는 명호와 예우를 올려줄 것을 청하고 낙향하였으며[7], 새로이 책봉식을 치르고 복위한 인현왕후에게 끝까지 하례 인사를 올리지 않아 조카사위인 민진원이 편찬한 숙종실록에 학식이 부족하고 어리석은 데다 세자와 남인에게 아부한다고 평가절하되었다.[8]

참조

[1] 문서 민진원의 당파인 노론을 뜻한다. 실제로 숙종실록엔 노론은 온백성이 칭송을 금치 않은 만고의 충신으로, 소론은 무식하고 간사하며 반역당인 [[남인]]과 악녀 [[희빈 장씨]] 모자에게 아첨하는 간신의 무리로, 남인은 반역의 무리로 묘사되어 있다.
[2] 문서 인현왕후가 포함된 민진원의 일족에 대한 평가와 인현왕후의 정적이었던 [[희빈 장씨]]에 대한 평가가 실린 주관적이고 편파적인 기사를 뜻한다.
[3] 역사기록 영조실록 13권, 3년(1727 정미 / 청 옹정(雍正) 5년) 9월 18일(신미) 2번째기사 1727-09-18
[4] 역사기록 영조실록 16권, 4년(1728 무신 / 청 옹정(雍正) 6년) 3월 15일(을축) 6번째기사 1728-03-15
[5] 역사기록 영조 24권, 5년(1729 기유 / 청 옹정(雍正) 7년) 12월 7일(정미) 3번째기사 1729-12-07
[6] 역사기록 영조실록 42권, 12년(1736 병진 / 청 건륭(乾隆) 1년) 11월 28일(정사) 1번째기사 1736-11-28
[7] 역사기록 숙종실록 26권, 20년(1694 갑술 / 청 강희(康熙) 33년) 윤5월 27일(계사) 2번째기사 1694-05-27
[8] 역사기록 숙종실록 26권, 20년(1694 갑술 / 청 강희(康熙) 33년) 4월 17일(갑신) 1번째기사, 숙종실록 28권, 21년(1695 을해 / 청 강희(康熙) 34년) 3월 30일(신묘) 3번째기사 1694-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