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오산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 서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미얀마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전국 시대에는 애뢰국의 중심지였으며, 한나라 때 융창군이 설치된 이후 여러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2000년 지급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룽양구, 텅충 시, 스뎬 현, 룽링 현, 창닝 현의 1개 시할구, 1개의 현급시, 3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이족, 바이족 등 소수 민족도 거주한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고속도로, 국도, 바오산 윈루이 공항, 건설 중인 다리-루이리 철도가 있으며, 문묘, 가오리궁산 자연보호구역 등 관광 자원도 풍부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윈난성의 지급시 - 쿤밍시 쿤밍시는 중국 윈난성의 성도로, 온화한 아열대 고지 기후와 "영원한 봄의 도시"라는 별칭을 가지며, 역사적으로 교역로의 중심지이자 현재는 중국 남서부의 주요 산업, 교육, 문화 중심지로서 다양한 민족 구성과 풍부한 자연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고 국제적인 상업 중심지로 발돋움하고 있다.
윈난성의 지급시 - 취징시 취징시는 윈난성 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윈난 지역과 중원 지역을 잇는 교통 요충지이자 윈난성의 행정, 경제, 문화 중심지이며, 3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 5개의 현을 관할하고, 담배, 자동차, 발전 및 화학 공학 등의 주요 산업과 쿤밍과 연결되는 철도 및 고속도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바오산은 옛 이름으로 영창(永昌)이라고 불렸으며, 전국 시대에는 애뢰국(哀牢)의 중심지였다. 한나라 초기에 중원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기원전 109년에 현이 설치되었다. 69년 애뢰국의 마지막 황제 류모가 한나라에 귀속되면서 영창군가 설치되었다. 이후 여러 왕조의 지배를 받다가 당나라 때에는 남조국의 영토가 되어 서쪽으로 세력을 넓히는 거점이 되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다시 중원 왕조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았다. 처음에는 금치군민지휘사사(金齒軍民指揮使司)와 영창군민부(永昌軍民府)가 설치되었고, 1524년(가정 3년) 바오산 현에 영창군민부가 설치되면서 '바오산'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49년10월 1일 윈난성에 바오산 전구가 설치되었다. 초기에는 6현, 2설치국, 6설치구로 구성되었다. 1952년부터 1954년까지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54년에는 4현 1진만 남게 되었다. 1956년에는 이들 지역마저 더훙 타이족 징포족 자치주에 편입되었다.
1963년 바오산 전구가 다시 설치되었고, 1970년 바오산 지구로 이름이 바뀌었다. 1983년 바오산 현이 시로 승격되었고, 2000년 바오산 지구가 지급시로 승격하면서 현재의 바오산 시가 되었다. 2015년에는 텅충 현이 시로 승격하여 텅충 시가 되었다.
2. 1. 고대
바오산의 옛 명칭은 영창(永昌)이며, 전국 시대에는 애뢰국(哀牢)의 중심이었다. 한나라에 의해 중원 지배를 받게 된 것은 기원전 109년 현이 설치되면서 부터이며, 69년에는 애뢰국의 마지막 황제 류모가 한나라에 귀속되어 영창군이 설치되었다. 그 후 역대 왕조에 의해 지배를 받은 이 땅은 당나라 때에는 남조국의 판도에 들어가서 서쪽 세력 확대의 거점이 되었다.
명대에는 다시 중원 왕조의 직접 지배를 받게 되었고, 처음에는 금치군민지휘사사(金齒軍民指揮使司), 영창군민부(永昌軍民府)가 설치되었으며, 1524년(가정 3년)에는 바오산 현에 영창군민부가 설치되어 바오산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2. 2. 중세
바오산의 옛 명칭은 영창(永昌)이며, 전국 시대에는 哀牢|애뢰중국어국(哀牢王國)의 중심이었다. 중원 지배를 받게 된 것은 한나라 초이며, 기원전 109년 현이 설치되었고, 69년에는 애뢰국의 마지막 황제 류모가 한나라에 귀속되어 영창군이 설치되었다.[1] 그 후 역대 왕조에 의해 지배를 받은 이 땅은 당나라 때에는 남조국의 판도에 들어가서 서쪽 세력 확대의 거점이 되었다.[1]
명대에는 다시 중원 왕조의 직접 지배를 받게 되었고, 처음에는 금치군민지휘사사(金齒軍民指揮使司), 영창군민부(永昌軍民府)가 설치되었으며, 1524년(가정 3년)에는 바오산 현에 영창군민부가 설치되어 바오산이라는 명칭이 사용되기 시작했다.[1]
2. 3. 근세
명나라 시대에는 다시 중원 왕조의 직접 지배를 받게 되었고, 처음에는 금치군민지휘사사, 융창군민부가 설치되었으며, 1524년(가정 3년)에는 바오산현에 부치가 설치되어 바오산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2. 4. 현대
1949년10월 1일중화인민공화국윈난성에 바오산 전구가 성립되었다. 초기에는 바오산 현, 룽링 현, 텅충 현, 창닝 현, 전캉 현, 솽장 현, 루시 설치국, 량허 설지구, 잉장 설지구, 롄산 설지구, 루이리 설치국, 룽촨 설치구, 루수이 설치구, 겅마 설치구 등 6현 2설치국 6설치구로 구성되었다.
1952년부터 1954년까지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바오산시는 윈난성 서부에 위치하며 미얀마 국경과 란창강(메콩강) 사이에 있다. 북서쪽으로 미얀마의 카친, 남쪽으로 샨과 접경하고 있다. 누장강 (살윈강)이 현 전체를 남북으로 관통한다.[8][9]
바오산시(PAO-SHAN (YUNG-CH'ANG) (Walled) ()) 지도 (AMS, 1954)
3. 1. 위치 및 지형
바오산 시는 윈난성 서부에 위치하며, 같은 성의 누장 리수족 자치주, 다리 바이족 자치주, 린창 시,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그리고 미얀마와 접한다. 성도인 쿤밍 시에서는 약 570km 떨어져 있다. 연평균 기온은 16.8°C이고 최한월 평균기온은 9.7°C, 최난월 평균기온은 21.9°C이다.[8][9]
3. 2. 기후
바오산 시는 낮은 위도와 적절한 고도로 인해 온화한 아열대 고산 기후(쾨펜 ''Cwb'')를 보인다. 짧고 온화하며 건조한 겨울과 따뜻하고 비가 많이 오는 여름을 특징으로 한다. 겨울에는 서리가 내릴 수 있지만, 낮에는 일반적으로 16°C에서 17°C 정도로 따뜻해지며, 1월 평균 기온은 9.1°C이다. 가장 더운 달은 6월로 평균 기온은 21.5°C이다. 연간 강수량의 거의 4분의 3이 6월부터 10월까지 내린다.[8][9] 연평균 기온은 14~17℃, 연간 강수량은 1700mm~2100mm로 온난하며, 강수량도 많아 숲이 많아 시 면적의 53%를 차지한다.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평균 최고 기온 (℃)
17.4°C
19.3°C
22.3°C
24.5°C
25.9°C
26.5°C
25.8°C
26.4°C
25.7°C
23.9°C
20.8°C
18.1°C
평균 기온 (℃)
9.7°C
11.8°C
14.9°C
17.6°C
20.2°C
21.9°C
21.6°C
21.5°C
20.5°C
18.2°C
13.8°C
10.4°C
평균 최저 기온 (℃)
3.5°C
5.2°C
8.4°C
11.7°C
15.5°C
18.7°C
18.9°C
18.6°C
17.3°C
14.4°C
8.8°C
4.7°C
최고 기온 기록 (℃)
22.4°C
25.4°C
28.9°C
29.9°C
32.4°C
32.3°C
31.3°C
31.4°C
30.1°C
28.8°C
25.2°C
22.4°C
최저 기온 기록 (℃)
-3.8°C
-2.6°C
-1°C
2.7°C
7.4°C
12.4°C
13.1°C
13°C
10.7°C
5.5°C
0.7°C
-2.3°C
강수량 (mm)
23.2mm
21mm
30.6mm
45.4mm
90.1mm
100.4mm
173.6mm
196.2mm
145.9mm
102.7mm
26.8mm
8.3mm
상대 습도 (%)
65
60
57
61
67
73
79
80
79
76
72
69
평균 강수일수 (≥ 0.1 mm)
3.6
5.0
7.7
10.7
12.0
15.2
21.4
21.3
16.1
12.2
4.5
2.6
평균 일조 시간
247.1
232.8
254.9
236.6
221.9
162.6
116.2
144.1
159.9
191.7
229.2
239.8
일조율 (%)
74
73
68
62
54
40
28
36
44
54
71
73
4. 행정 구역
바오산 시는 1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 3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1]
이름
한자
한어 병음
인구 (2010년)
면적 (km2)
밀도 (/km2)
룽양 구
Lóngyáng Qū
935,618
5011km2
187
텅충 시
Téngchōng Shì
644,765
5845km2
110
스뎬 현
Shīdiàn Xiàn
305,223
2009km2
152
룽링 현
Lónglíng Xiàn
277,319
2884km2
96
창닝 현
Chāngníng Xiàn
343,566
3888km2
88
텅충 시는 2015-16년에 시 지위를 획득하기 위한 로비를 성공적으로 진행하여, 현재 바오산 시로부터 행정적으로 분리되는 과정에 있다.[1]
5. 인구
바오산시의 인구는 약 250만 명이다.
5. 1. 인구 구성
한족 인구는 2,248,140명으로 89.69%를 차지하며, 소수 민족 인구는 258,351명으로 10.31%를 차지한다.[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